KR102007385B1 -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385B1
KR102007385B1 KR1020180135454A KR20180135454A KR102007385B1 KR 102007385 B1 KR102007385 B1 KR 102007385B1 KR 1020180135454 A KR1020180135454 A KR 1020180135454A KR 20180135454 A KR20180135454 A KR 20180135454A KR 102007385 B1 KR102007385 B1 KR 102007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hook portion
rail
fixing bracke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윈텍 filed Critical (주)한국윈텍
Priority to KR1020180135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3Brackets or adjustable mountings for both roller blinds and drawable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커튼레일에 결합되어 블라인드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는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이 제공된다.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은 평판부와, 평판부의 양단부가 굴절되며 탄성 변형되어 블라인드의 양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고정부와, 블라인드 고정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끝단부가 측부로 확장되어 커튼레일의 레일홈 내측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레일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Blind fixing bracket}
본 발명은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레일에 결합되어 블라인드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는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커튼은 창 또는 유리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보온, 방풍, 방음 등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거나, 실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위해 사용된다. 통상 커튼은 창틀의 상부, 창이 형성된 벽체 또는 천장 등에 설치된 커튼레일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공간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천을 사용하여 창 또는 유리벽을 통해 방풍 또는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튼은 천장으로부터 바닥면까지 늘어지도록 연장되고 실내공간 일측벽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어 답답한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만 여닫을 수 있어 최근에는 상하부로 작동하여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깔끔한 느낌의 블라인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커튼레일은 창틀에 별도의 고정부재로 설치되어, 커튼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창틀에 블라인드를 설치할 경우, 커튼레일을 창틀로부터 분리시키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계절이 바뀌거나 상황에 따라 커튼과 블라인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고자 할 때마다 커튼레일과 블라인드 브라켓을 설치 및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5908호, (2000.09.2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튼레일에 결합되어 블라인드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는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은,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양단부가 굴절되며 탄성 변형되어 블라인드의 양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고정부와, 상기 블라인드 고정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부가 측부로 확장되어 커튼레일의 레일홈 내측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레일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평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블라인드의 양단부에 각각 후크 결합되며 상기 평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파지부 또는 상기 제2 파지부에 경사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레일홈의 양측에 각각 후크 결합되는 제1 후크부와 제2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레일홈의 내측면을 향하여 각각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튼레일의 상기 레일홈을 향하여 내측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제1 경사가이드와 제2 경사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는 상기 레일홈의 절개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가이드와 상기 제2 경사가이드는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 상에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가이드와 상기 제2 경사가이드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한 쌍이 상기 평판부로부터 각각 분리되어 연장되어 각각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평판부는 상기 커튼레일의 하부와 직접 접하며, 상기 연장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은, 블라인드를 설치하기 위하여 창틀의 상부, 창이 형성된 벽체 또는 천장 등에 커튼레일을 분리하지 않고, 손쉽게 블라인드를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실내 공간의 사용용도가 바뀌더라도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선택적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계절, 기분에 따라 외풍이나 햇빛의 투광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을 커튼레일에 결합하는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는 도 2의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에 블라인드를 결합하는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을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이 커튼레일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브라켓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은 창틀의 상부, 창이 형성된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 설치된 커튼레일(C)에 블라인드(B)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이다.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은 창틀의 상부, 창이 형성된 벽체 또는 천장에 커튼레일(C)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커튼레일(C)을 분리하거나 별도의 블라인드 브라켓을 나사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지 않고, 블라인드(B)를 커튼레일(C)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튼레일(C)에 삽입되어 결합 가능한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블라인드(B)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손쉽게 블라인드(B)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에,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을 커튼레일에 결합하는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4는 도 2의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에 블라인드를 결합하는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은 블라인드 고정부(10)와 레일 고정부(20)를 포함하여, 레일 고정부(20)가 커튼레일(도 3의 C참조)에 결합되고 블라인드 고정부(10)가 블라인드(도 4의 B참조)를 지지하여 커튼레일(C)에 블라인드(B)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은 블라인드 고정부(10)가 평판부(11)와, 평판부(11)의 양단부가 굴절되며 탄성 변형되어 블라인드(B)의 양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12)를 포함하며, 레일 고정부(20)가 블라인드 고정부(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1)와, 연장부(21)의 끝단부가 측부로 확장되어 커튼레일(C)의 레일홈 내측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22)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블라인드 고정부(10)는 블라인드(B)의 양단부를 파지하여 블라인드(B)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로, 레일 고정부(20)가 커튼레일(C)에 결합된 상태에서 블라인드(B)를 고정하여 커튼레일(C)에 블라인드(B)를 설치할 수 있다. 블라인드 고정부(10)는 블라인드(B)의 상면을 덮는 평판부(11)와, 블라인드(B)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파지부(12)를 포함한다.
평판부(11)는 블라인드 고정부(10)의 일부분으로, 블라인드(B)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금속재질의 얇은 판으로 형성된다. 평판부(11)는 두께가 얇고 넓은 면적을 가진 판으로 형성되어 블라인드(B) 상면의 일부분을 덮도록 형성된다. 평판부(11)는 양단부에 블라인드(B)를 고정시키기 위한 파지부(12)가 형성되고, 상부에 블라인드(B)를 커튼레일(C)에 고정시키기 위한 레일 고정부(20)가 형성된다.
파지부(12)는 블라인드(B)의 양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블라인드 고정부(10)의 일부분으로 평판부(11)로부터 연장형성된다. 파지부(12)는 평판부(11)의 양단부가 굴절되어 형성되며,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블라인드(B)를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12)는 평판부(11)의 양측단부로부터 하부로 굴절형성된 제1 파지부(12a)와 제2 파지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지부(12a)와 제2 파지부(12b)는 평판부(11)를 사이에 두고 평판부(11)의 양측단부로부터 하부로 굴절되며, 굴절형성된 끝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한번 더 굴절되어 블라인드(B)가 삽입되는 삽입홈(14a, 14b)을 형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파지부(12a)와 제2 파지부(12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부(11)의 양측단부로부터 -y축방향으로 굴절 형성된 후에, 각각 -x축방향과 x축방향을 향하여 한번 더 굴절 형성되어 평판부(11)의 하면에 삽입홈(14a, 14b)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파지부(12a)와 제2 파지부(12b)는 블라인드(B)의 양단부에 각각 후크결합되며, 블라인드(B)의 양단부에 탄성력을 가하여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 쌍의 파지부(12)는 평판부(11)와 별도로 형성되어 평판부(11)의 하면 또는 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본 명세서 상에서는 평판부(11)의 양측단부에 평판부(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1 파지부(12a)와 제2 파지부(12b) 중 적어도 하나에 손잡이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3)는 블라인드 고정부(10)와 블라인드(B)를 손쉽게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파지부(12a)와 제2 파지부(12b)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3)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12)의 끝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부(12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제2 파지부(12b)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손잡이부(13)는 제1 파지부(12a)와 연결되는 연결부에 경사면(15)이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15)은 블라인드(B)를 삽입홈(14a, 14b)에 손쉽게 삽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부(13)의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으며, 파지부(12)와 연결되는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5)은 파지부(12)의 끝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블라인드(B)는 블라인드 고정부(10)에 결합될 때, 경사면(15)을 타고 이동하여 삽입홈(14a, 14b)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블라인드 고정부(10)는 블라인드(B)의 상단부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상단에 커튼레일(C)에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20)가 형성된다.
레일 고정부(20)는 블라인드(B)를 파지하는 블라인드 고정부(10)를 커튼레일(C)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레일 고정부(20)는 블라인드 고정부(10)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커튼레일(C)에 결합되며, 블라인드 고정부(10)와 동일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블라인드 고정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블라인드 고정부(10)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레일 고정부(20)는 블라인드 고정부(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1)와, 연장부(21)로부터 확장되어 커튼레일(C)에 결합되는 후크부(2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연장부(21)는 평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얇은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어 평판부(11)와 수직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연장부(21)는 서로 이격 형성된 한 쌍을 포함하며, 한 쌍이 평판부(11)로부터 각각 분리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21)는 한 쌍이 평판부(11)의 상면에 이격될 때, 일단부가 평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 외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형성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연장부(21)는 일단부가 이격된 간격보다 타단부의 이격된 간격이 더 크게 형성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연장부(21)는 타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굴절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1)는 타단부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 방향을 향하여 굴절 형성될 수 있으며, 끝단부에 후크부(22)가 형성된다.
후크부(22)는 블라인드 고정부(10)와 블라인드(B)를 커튼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해 레일 고정부(20)의 일부를 이루어 커튼레일(C)의 레일홈 내측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후크부(22)는 연장부(21)의 양끝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타단부가 측부로 확장 형성된다. 후크부(22)는 레일홈의 양측에 각각 후크결합되는 제1 후크부(220a)와 제2 후크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후크부(220a)와 제2 후크부(220b)는 한 쌍의 연장부(21)의 양끝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연장부(21)의 끝단부로부터 y축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끝단부가 커튼레일(C)의 돌출부(E)의 상부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크부(220a)와 제2 후크부(220b)는 레일홈의 양측에 각각 후크결합되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레일홈의 내측면을 향하여 각각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후크부(220a)와 제2 후크부(220b)는 돌출부(도 3의 E참조)의 상부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되는 끝단부를 제외한 외측면이 레일홈의 내측면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하여 커튼레일(C)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후크부(220a)와 제2 후크부(220b)는 외측면의 끝단부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경사지게 형성되는 끝단부에 제1 경사가이드(221a)와 제2 경사가이드(221b)가 형성되어 레일 고정부(20)가 커튼레일(C)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경사가이드(221a)와 제2 경사가이드(221b)는 제1 후크부(220a)와 제2 후크부(220b)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며, 커튼레일(C)의 레일홈을 향하여 내측 방향으로 경사면(15)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경사가이드(221a) 및 제2 경사가이드(221b)는 제1 후크부(220a) 및 제2 후크부(220b)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가이드(221a)와 제2 경사가이드(221b)는 상부에서 하부,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경사가이드(221a) 및 제2 경사가이드(221b)는 레일홈의 절개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형성되며, 제1 후크부(220a)와 제2 후크부(220b) 상에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이격된 간격이 제1 후크부(220a) 및 제2 후크부(220b)가 이격된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가이드(221a) 및 제2 경사가이드(221b)는 이격된 거리가 좁게 형성되고 경사각이 후크부(2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경사가이드(221a)와 제2 경사가이드(221b)가 이루는 사잇각(끼인각)은 제1 후크부(220a)와 제2 후크부(220b)가 이루는 사잇각 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 경사가이드(221a)와 제2 경사가이드(221b)는 후크부(22)가 커튼레일(C)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블라인드 고정부(10)와 레일 고정부(20)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은 상부가 커튼레일(C)에 결합되고 하부에 블라인드(B)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의 레일 고정부(20)가 커튼레일(C)에 삽입하여 결합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1 후크부(220a)및 제2 후크부(220b)는 제1 경사가이드(221a) 및 제2 경사가이드(221b)에 의해 끝단부가 레일홈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을 상부로 밀게되면, 제1 경사가이드(221a)와 제2 경사가이드(221b)가 탄성변형에 의해 한 쌍의 이격된 거리가 좁아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면을 타고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3의 (b)를 참조하면 한 쌍의 후크부(22)가 한 쌍의 이격된 거리가 좁아지면서 커튼레일(C)에 삽입되며,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을 상부로 계속 밀게되면, 후크부(22)의 타단부가 돌출부(E)와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c)는 후크부(22)가 커튼레일(C)에 완전하게 삽입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후크부(22)가 돌출부(E)에 계속해서 탄성력을 가하여 돌출부(E)와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크부(22)의 돌출 형성된 부분이 돌출부(E)의 상부에 걸리게 되어 레일 고정부(20)가 커튼레일(C)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은 레일 고정부(20)가 커튼레일(C)에 결합된 후에 블라인드 고정부(10)에 블라인드(B)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라인드 고정부(10)에 블라인드(B)를 결합시키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이 커튼레일(C)에 결합된 후에 블라인드(B)가 블라인드 고정부(10)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블라인드 고정부(10)에 블라인드(B)가 먼저 결합된 후에, 레일 고정부(20)가 커튼레일(C)에 결합될 수도 있다. 블라인드(B)는 일측이 손잡이부(13)가 형성되지 않는 제2 삽입홈(14b)에 삽입된다. 블라인드(B)는 제2 삽입홈(14b)에 일측이 삽입된 후에, 제1 삽입홈(14a)에 타측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블라인드(B)의 타측은 손잡이부(13)에 형성된면(15)을 타고 이동하여 제1 삽입홈(14a)에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블라인드(B)의 양측은 파지부(12a, 12b) 끝단부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블라인드(B)의 무게가 무겁더라도 블라인드 고정부(10)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3)가 제2 파지부(12b)로부터 연장 형성될 경우에는, 위와 반대로, 블라인드(B)의 일측이 제1 삽입홈(14a)에 먼저 삽입되고 타측이 경사면(15)을 타고 제2 삽입홈(14b)에 삽입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블라인드(B)를 설치하고자 하나, 창틀 또는 창문의 천장이나 벽면에 분리가 어려운 커튼레일(C)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블라인드(B)를 설치하기 위하여 커튼레일(C)을 제거할 필요 없이, 커튼레일(C)에 직접 블라인드(B)를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은 나사부재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이 커튼레일(C)에 손쉽게 결합하여 블라인드(B)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즉,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고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계절, 공간, 사용 용도에 따라 손쉽게 커튼과 블라인드(B)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을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이 커튼레일에 결합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 고정브라켓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은 레일 고정부를 제외하면, 이미 설명한 일 실시예와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레일 고정부를 제외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a)은 연장부(21a)가 짧은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레일 고정부(20a)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B)를 파지하는 블라인드 고정부(10)를 커튼레일(C)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로, 블라인드 고정부(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커튼레일(C)에 결합된다. 레일 고정부(20a)는 평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1a)와, 연장부(21a)의 끝단부가 측부로 확장되어 커튼레일(C)의 레일홈 내측에 삽입 및 회전하여 결합되는 후크부(22a)를 포함한다.
연장부(21a)는 평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원기둥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21a)는 일실시예에 비해 다소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후크부(22a)가 커튼레일(C)에 결합되더라도 커튼레일(C)의 하부와 평판부(11)의 상부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후크부(22a)는 커튼레일(C)의 레일홈 내측에 걸려 고정되는 결합부로, 연장부(21a)의 양끝단부로부터 측부로 확장 형성된다. 후크부(22a)는 연장부(21a)의 측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확장 형성되어, 횡단면의 넓이가 연장부(21a)의 횡단면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후크부(22a)는 가로폭과 세로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부(22a)는 z축방향의 길이가 x축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커튼레일(C)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레일에 삽입된 후에 회전하여 내측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후크부(22a)는 확장 형성된 하면이 돌출부(E)의 상면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커튼레일(C)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일 고정부(20a)는 커튼레일(C)의 레일홈 내측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레일 고정부(20a)가 커튼레일(C)에 결합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커튼레일(C)에 결합되었을 때 연장부(21a)가 돌출부(E) 사이에 배치되고 후크부(22a)의 하단부가 돌출부(E)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후크부(22a)는 돌출부(E)에 걸려 블라인드 고정부(10)에 무게가 있는 블라인드(B)가 결합되더라도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a)이 커튼레일(C)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a)은 위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블라인드(B)가 블라인드 고정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a)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a)은 하단부에 형성된 블라인드 고정부(10)가 블라인드(B)를 고정 및 지지하고, 레일 고정부(20a)가 커튼레일(C)에 결합가능하여, 창틀 또는 창문의 천장이나 벽면 분리가 어려운 커튼레일(C)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블라인드(B)를 설치하기 위하여 커튼레일(C)을 제거할 필요 없이, 커튼레일(C)에 직접 블라인드(B)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1a)은 연장부(21a)의 높이가 짧게 형성되어 커튼레일에 결합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a: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10: 블라인드 고정부 11: 평판부
12: 파지부 12a: 제1 파지부
12b: 제2 파지부 13: 손잡이부
14a, 14b: 삽입홈 15: 경사면
20, 20a: 레일 고정부 21, 21a: 연장부
22, 22a: 후크부 220a: 제1 후크부
220b: 제2 후크부 221a: 제1 경사가이드
221b: 제2 경사가이드 B: 블라인드
C: 커튼레일 E: 돌출부

Claims (10)

  1.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양단부가 굴절되며 탄성 변형되어 블라인드의 양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고정부; 및
    상기 블라인드 고정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부가 측부로 확장되어 커튼레일의 레일홈 내측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레일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레일홈의 양측에 각각 후크 결합되는 제1 후크부와 제2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레일홈의 내측면을 향하여 각각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튼레일의 상기 레일홈을 향하여 내측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제1 경사가이드와 제2 경사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평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블라인드의 양단부에 각각 후크 결합되며 상기 평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파지부 또는 상기 제2 파지부에 경사면으로 연결되는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는 상기 레일홈의 절개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형성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와 상기 제2 경사가이드는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 상에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와 상기 제2 경사가이드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좁게 형성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한 쌍이 상기 평판부로부터 각각 분리되어 연장되어 각각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에 연결되는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10.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양단부가 굴절되며 탄성 변형되어 블라인드의 양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고정부; 및
    상기 블라인드 고정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부가 측부로 확장되어 커튼레일의 레일홈 내측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레일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부는 상기 커튼레일의 하부와 직접 접하며, 상기 연장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KR1020180135454A 2018-11-06 2018-11-06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KR102007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454A KR102007385B1 (ko) 2018-11-06 2018-11-06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454A KR102007385B1 (ko) 2018-11-06 2018-11-06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385B1 true KR102007385B1 (ko) 2019-08-05

Family

ID=6761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454A KR102007385B1 (ko) 2018-11-06 2018-11-06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263B1 (ko) * 2019-07-22 2019-09-02 박성욱 비천공식 커튼 브래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908Y1 (ko) 2000-07-03 2000-12-01 김광식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구조
KR20090008077U (ko) * 2008-02-04 2009-08-07 김수식 블라인드 체결구
KR101829444B1 (ko) * 2016-10-05 2018-02-14 주식회사 유일 커튼봉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908Y1 (ko) 2000-07-03 2000-12-01 김광식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구조
KR20090008077U (ko) * 2008-02-04 2009-08-07 김수식 블라인드 체결구
KR101829444B1 (ko) * 2016-10-05 2018-02-14 주식회사 유일 커튼봉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263B1 (ko) * 2019-07-22 2019-09-02 박성욱 비천공식 커튼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3238A (en) Venetian blind
US9445684B2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KR102007385B1 (ko)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KR102459898B1 (ko) 커튼봉 고정장치
US5657807A (en) Operating structure for a vertical blind
KR101788778B1 (ko) 착탈 가능한 슬라이드 방충망
KR102042076B1 (ko)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KR200400101Y1 (ko) 차양장치의 레일용 클립구조
KR102051893B1 (ko)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및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KR20180003387U (ko)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US7059010B2 (en) Mini blind cleaning support system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KR100321636B1 (ko)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KR20200121226A (ko) 흔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방진망 프레임 및 프레임에 방진망을 결합시키는 결합구조
JP7117815B2 (ja) 吊下げフック及びシート材の吊下げ構造
JP2007000514A (ja) 吊下げ式遮光装置
JPH06221064A (ja) ハニカムスクリ−ン
KR200183371Y1 (ko) 길이가 변하는 미닫이창
JP6792110B2 (ja) 窓ユニット取付構造
JP7407315B2 (ja) コード規制部材
KR101377212B1 (ko) 착탈 방식의 클린룸 도어용 관람창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관람창 시공방법
KR200408084Y1 (ko) 롤 방충망 장치
JPS5840949Y2 (ja) ブラインド用又はカ−テン用のボツクス
KR100512327B1 (ko) 상단 분리형 홈 샤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