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387U -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387U
KR20180003387U KR2020170002573U KR20170002573U KR20180003387U KR 20180003387 U KR20180003387 U KR 20180003387U KR 2020170002573 U KR2020170002573 U KR 2020170002573U KR 20170002573 U KR20170002573 U KR 20170002573U KR 20180003387 U KR20180003387 U KR 201800033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lat plate
plate portion
blin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윈텍 filed Critical (주)한국윈텍
Priority to KR2020170002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387U/ko
Publication of KR201800033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3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3Structure or support of upper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블라인드 프레임에 결합 시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지 않으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은, 금속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블라인드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블라인드를 벽면에 고정하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하면 중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1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 단부 아래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Fixing Bracket of b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라인드 프레임에 결합 시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지 않으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이드는 천장 또는 벽면 설치되어, 투명한 유리창 또는 유리벽을 통해 들어오는 투광량을 조절하거나 내부가 시인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대부분의 롤 블라인드는 창문 틀의 상부나 벽체 및 천장 등에 설치되며, 볼 체인과 같은 구동부재를 일 방향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잡아당겨 롤 스크린의 구동부재를 회전시킴에 따라, 롤에 감긴 스크린을 풀어 내리거나 감아 올릴 수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이 형성된 롤 스크린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을 삽입하여 실내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인테리어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롤 블라인드를 창틀 또는 천장 등에 설치 및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천장 또는 창틀 등에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을 고정시킨 후에,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에 블라인드 프레임을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이 블라인드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 결합되어 롤 블라인드를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할 경우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여, 블라인드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을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5902호, (2000.09.2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라인드 프레임에 결합 시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지 않으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은, 금속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블라인드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블라인드를 벽면에 고정하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하면 중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1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 단부 아래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제1 평판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상기 제1평판부 외측으로 굴절되어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1 평판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일단부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타단부에 상기 제1 평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평판부는, 양단부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 평판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양단부 사이에 상기 지지부가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 평판부 사이에 상기 제1 평판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판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평판부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굴절되어 상기 프레임 하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편은 외팔보형태로 상기 제2 평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중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고 말단부는 하부로 연장되어 손잡이부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는, 상면의 일측 단부에 삽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며 스크린이 권취되는 권취롤과, 하면 중 일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1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금속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제1 평판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상기 제1평판부 외측으로 굴절되어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1 평판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평판부는, 양단부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 평판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양단부 사이에 상기 지지부가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 평판부 사이에 상기 제1 평판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판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평판부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굴절되어 상기 프레임 하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편은 외팔보형태로 상기 제2 평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중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고 말단부는 하부로 연장되어 손잡이부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은, 블라인드 프레임에 결합 시에 끝단부가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및 고정되며,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 시에 프레임의 외관이 깔끔한 특징이 있다.
또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은 프레임에 결합 시, 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여 프레임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이 적용된 블라인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 프레임에 결합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블라인드 프레임에 결합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전단' 및 '후단'은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측과 벽면에 고정되는 측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단'은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측을 의미하고, '후단'은 벽면에 고정되는 측을 의미한다. 또한, '상부' 및 '하부'는 천장을 향하는 측과 바닥면을 향하는 측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는 천장을 향하는 측을 의미하고, '하부'는 바닥면을 향하는 측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및 블라인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이 적용된 블라인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은, 롤 블라인드를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해 블라인드의 프레임(30)과 천장 또는 벽면을 연결시키기 위한 브라켓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은 블라인드 스크린이 권취되는 권취롤(40)을 수용하는 블라인드의 프레임(30)에 결합되어 블라인드 장치를 이룬다.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이 프레임(30)에 결합 시에 프레임(30)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블라인드 프레임(3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블라인드 장치(100)의 외관이 깔끔한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의 구성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 프레임에 결합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의 저면사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은 제1 평판부(10), 제2 평판부(20), 걸림부(11)의 구성이'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은 블라인드의 프레임(30)에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금속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블라인드의프레임(30)에 결합되어 플라인드를 벽면에 고정하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에 있어서, 하면 중 일부가 프레임(30)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1 평판부(10)와, 제1 평판부(10)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탄성력을 가하여 프레임(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평판부(20)와, 제1 평판부(10)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프레임(30)의 일측 단부 아래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11)를 포함한다.
프레임(30)은 블라인드 스크린을 수용하는 일종의 하우징으로서, 후술할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에 의해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30)은 하나의 판형상의 금속 부재가 굴절되어 형성되며, 천장에 마주하고 있는 가로프레임(30b)과, 가로프레임(30b)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세로프레임(30a)과, 가로프레임(30b)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연장부(30c)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로프레임(30b), 세로프레임(30a) 및 연장부(30c)의 내측부에는 스크린을 권취하는 권취롤(40)이 배치된다.
가로프레임(30b)은 프레임(30)의 상판을 이루는 것으로 판 형상의 금속부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가로프레임(30b)은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의 일부가 상부를 향하여 굴절 형성될 수 있다. 가로프레임(30b)의 상부에는 후술할 제1 평판부(10)의 하단부가 접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가로프레임(30b)의 일단부에는 세로프레임(30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연장부(30c)가 형성된다.
세로프레임(30a)은 프레임(30)의 일부를 이루는 금속 부재로, 가로프레임(30b)의 일단부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30)의 전면을 이룬다. 세로프레임(30a)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의 돌출 형성된 부분이 프레임(30)의 전면을 이룰 수 있다. 가로프레임(30b)의 일단부와 접하는 세로프레임(30a의 일단부는 가로프레임(30b)의 상부보다 돌출 형성되며, 다른 끝단부는 아래로 연장 형성된다. 세로프레임(30a)의 일단부에는 가로프레임(30b)의 중심부를 향하여 굴절 형성되는 굴절편(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굴절편(31)은 가로프레임(30b)의 상부에 이격 형성된다. 굴절편(31)의 하부와 가로프레임(30b)의 상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삽입구(33)가 형성되며, 삽입구(33)에는 후술할 걸림부(11)가 결합된다. 가로프레임(30b) 일단부의 상부에는 굴절편(31)이 배치되고, 타단부의 상부에는 적어도 한번 굴절 형성된 지지부(32)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2)는 굴절편(31)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로프레임(30b)의 타단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2)는 후술할 제1 평판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굴절편(31)과 지지부(32)는 가로프레임(30b)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상부에 각각 고정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가로프레임(30b) 및 세로프레임(30a)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한편, 가로프레임(30b)의 타단부에는 연장부(30c)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0c)는 가로프레임(30b)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프레임(30)을 이루는 일부로 금속부재로 형성된다. 연장부(30c)는 가로프레임(30b)의 타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 형성 되며, 세로프레임(30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0c)의 일단부는 가로프레임(30b)의 타단부와 접하고, 연장부(30c)의 타단부에는 후술할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의 탄성편(20b)이 결합되며, 연장부(30c)의 상부에는 제1 평판부(10)가 배치되고, 외측면에는 후술할 제2 평판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30)을 이루는 가로프레임(30b), 세로프레임(30a) 및 연장부(30c)는 모두 일체로 형성되고 프레임(30)의 일부가 굴절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별도로 각각 형성되어 서로 고정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30)의 상부에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의 제1 평판부(10)가 배치된다.
제1 평판부(10)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의 일부로, 가로프레임(30b)의 상부에 안착되는 금속 부재이다. 제1 평판부(10)는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평판부(10)의 일단부에는 걸림부(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 평판부(20)가 형성된다. 먼저, 제1 평판부(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에, 제2 평판부(20)와 걸림부(1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평판부(10)는 프레임(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의 일부로,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일종의 횡판일 수 있다. 제1 평판부(10)는 금속부재가 'ㅡ'자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면이 가로프레임(30b)의 상면과 마주하도록 가로프레임(30b)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면이 천장에 접하도록 고정되어 프레임(3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평판부(10)의 상면에 천장에 접하도록 고정 시에, 제1 평판부(10)와 천장 사이에 빈틈 없이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제1 평판부(10)에는 고정구(14)와, 관통구(12a)와, 지지편(12) 및 돌출부(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평판부(10)의 일부에 복수 개의 고정구(14)가 형성되어, 제1 평판부(10)의 상면이 천장과 접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구(14)는 제1 평판부(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일종의 관통홀로, 제1 평판부(1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평판부(10)의 상면이 천장과 접하도록 배치되었을 경우 나사 등과 같은 고정부재가 고정구(14)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제1 평판부(10)를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평판부(10)가 고정부재에 의해 천장에 고정되었을 때, 제1 평판부(10)는 천장에 밀착 배치되어 제1 평판부(10)와 천장 사이로 빛이 투과되어 들어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타원형으로 형성된 고정구(14) 사이에는 관통구(12a)가 형성된다.
관통구(12a)는 제1 평판부(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일종의 관통홀이다. 관통구(12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구(14) 사이에 제1 평판부(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12a)의 일측에는 제1 평판부(1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편(12)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12)은 제1 평판부(10)의 일부가 하부로 연장 형상되어 프레임(30)을 지지하는 금속부재이다. 지지편(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12a)의 일측으로부터 제1 평판부(10)의 일부가 하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12)은 관통구(12a)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평판부(10)의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가로프레임(30b) 상판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편(12)의 후단에는 돌출부(13)가 형성된다.
돌출부(13)는 제1 평판부(10)가 프레임(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부재로, 제1 평판부(10)의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13)는 지지편(12)의 후단에 배치되며, 제1 평판부(10)의 일부 전단 및 양 측단이 절개되어 하부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출부(13)는 복수 개가 제1 평판부(1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30)의 타측 단부를 지지한다. 즉, 돌출부(13)는 지지부(32)의 일부와 접하여 지지함으로써, 제1 평판부(10)가 프레임(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평판부(10)의 타단부에는 제2 평판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평판부(20)는 연장부(30c)의 외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의 일부로, 'ㅣ'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일종의 종판이다. 제2 평판부(20)는 제1 평판부(10)의 타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 형성되어, 제1 평판부(10)가 천장에 고정 시 제2 평판부(20)는 벽면에 빈틈없이 밀착 고정되며, 연장부(30c)에 탄성력을 가하여 프레임(30)의 하부를 지지한다. 제2 평판부(20)는 제1 평판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제1 평판부(10)와 일체로 형성되나, 제1 평판부(1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평판부(20)는 타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부가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를 이루는 탄성편(20b)과, 탄성편(20b)의 양 측단에 탄성편(20b)으로부터 절개되어 형성된 날개부(20a)로 이루어진다.
탄성편(20b)은 제2 평판부(20)가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제2 평판부(20)의 중심부로, 연장부(30c)를 향하여 굴절 형성된다. 탄성편(20b)은 제2 평판부(20)의 일단부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탄성편(20b)의 중단부가 절곡되어 연장부(30c)의 하부를 지지하고, 말단부는 하부로 연장되어 손잡이부를 이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탄성편(20b)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연장부(30c)의 끝단부를 지지하도록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편(20b)의 중단부는 프레임(30)의 전단을 향하여 굴절 형성되어 연장부(30c)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30)의 전단을 향하여 굴절된 프레임(30)의 중단부는 프레임(30)의 하부와 후단을 향하여 경사 형성되도록 굴절 되어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편(20b)의 말단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을 연장부(30c)에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날개부(20a)는 탄성편(20b)의 양 측에 탄성편(20b)과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20a)는 제2 평판부(20)의 양 측 가장자리로, 탄성편(20b)의 양 측에 탄성편(20b)으로부터 분리 형성된다. 날개부(20a)는 프레임(30)의 연장부(30c)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연장부(30c)와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날개부(20a)의 일부에는 날개부(20a)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14)는 날개부(20a)를 관통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일종의 관통홀로 형성되어 날개부(20a)가 벽면에 배치되었을 ? 나사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고정부에 고정시켜 날개부(20a)가 벽면에 접하도록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블라인드 프레임에 결합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1의 블라인드 프레임에 결합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이 프레임(30)에 결합되어 있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은 먼저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부재로 고정시킨 후에, 프레임(30)을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에 고정시켜 블라인드 장치(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과 프레임(30)을 결합하면, 걸림부(11)는 삽입구(33)에 삽입되고, 탄성편(20b)이 연장부(30c)의 하단을 지지하여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과 프레임(30)이 결합될 수 있다.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이 프레임(30)에 결합되었을 때, 걸림부(11)는 삽입구(33)에 수용되며, 지지편(12)은 가로프레임(30b)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평판부(10)가 지지부(32)와 접하여 지지부(32)에 탄성력을 가하고, 탄성편(20b)이 연장부(30c)의 하부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고정된다. 이때, 돌출부(13)는 지지편(12)의 일측부에 탄성력을 가하여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이 프레임(3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11)가 삽입구(33)에 삽입 결합되어, 걸림부(11)가 삽입구(33)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상 뛰어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에 결합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은 프레임(3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블라인드 장치(100)를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 시 외관상 깔끔해 보여 효율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1)은 프레임(3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동시에 제1 평판부(10)와 굴절편(31)의 상부가 동일 평면을 이루고 있어,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 시 들뜨는 공간 없이 밀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평판부(10)의 상부는 천장에 밀착 배치되어 제1 평판부(10)의 상부와 천장 사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창 밖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세로프레임(30a)과 블라인드 스크린으로부터 차단하는 등 햇빛의 투광량과 내부가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등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직접적인 햇빛의 투광량과 시선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10: 제1 평판부 11: 걸림부
12: 지지편 12a: 관통구
13: 돌출부 14: 고정구
20: 제2 평판부 20a: 날개부
20b: 탄성편 30: 프레임
30a: 세로프레임 30b: 가로프레임
30c: 연장부 31: 굴절편
32: 지지부 33: 삽입구
40: 권취롤 100: 블라인드 장치

Claims (12)

  1. 금속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블라인드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블라인드를 벽면에 고정하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하면 중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1 평판부;
    상기 제1 평판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평판부; 및
    상기 제1 평판부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 단부 아래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제1 평판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상기 제1평판부 외측으로 굴절되어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1 평판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단부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타단부에 상기 제1 평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평판부는, 양단부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 평판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양단부 사이에 상기 지지부가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 평판부 사이에 상기 제1 평판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판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평판부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굴절되어 상기 프레임 하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편은 외팔보형태로 상기 제2 평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중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고 말단부는 하부로 연장되어 손잡이부를 이루는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7. 상면의 일측 단부에 삽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며 스크린이 권취되는 권취롤; 및
    하면 중 일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1 평판부,
    상기 제1 평판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평판부, 및
    상기 제1 평판부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금속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제1 평판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상기 제1평판부 외측으로 굴절되어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1 평판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블라인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판부는, 양단부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 평판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양단부 사이에 상기 지지부가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는 블라인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 평판부 사이에 상기 제1 평판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판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평판부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굴절되어 상기 프레임 하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편은 외팔보형태로 상기 제2 평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중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고 말단부는 하부로 연장되어 손잡이부를 이루는 블라인드 장치.
KR2020170002573U 2017-05-25 2017-05-25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KR201800033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73U KR20180003387U (ko) 2017-05-25 2017-05-25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73U KR20180003387U (ko) 2017-05-25 2017-05-25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387U true KR20180003387U (ko) 2018-12-05

Family

ID=6466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573U KR20180003387U (ko) 2017-05-25 2017-05-25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387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902Y1 (ko) 2000-07-01 2000-12-01 김영호 블라인드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902Y1 (ko) 2000-07-01 2000-12-01 김영호 블라인드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6373C (en) Concealed suspension ceiling with downward removable panels
US20060196615A1 (en) Securement insert for a head rail
KR100877901B1 (ko) U형채널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ES2765228T3 (es) Pantallas de ventana y puerta separables
KR20120004980U (ko) 천장용 스크린 루바조립구조
KR101820447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US20090158677A1 (en) Muntin bar clip for colonial and other-style windows
KR20180003387U (ko)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RU2743757C1 (ru) Узел натяжения полотна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CN204084025U (zh) 一种嵌入式led面板灯箱
KR200436794Y1 (ko) 천장용 패널
JP2007009612A (ja) パネル取付構造
JP6898794B2 (ja) 防煙垂れ壁用パネル
KR102051893B1 (ko)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및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JP6749178B2 (ja) 垂壁パネル及び防煙垂壁
KR101883399B1 (ko) 단 꺾임 천장 실내 조명박스 설치장치
KR102007385B1 (ko)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KR20150002213U (ko) 방충망 및 그에 사용되는 방충망지 고정대
KR101508282B1 (ko)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JP4167141B2 (ja) スクリーンの取付構造
CN218105528U (zh) 一种设置外饰件的支撑架
KR200302955Y1 (ko) 로만쉐이드형 커튼레일의 지지용 부라켓
JP7117815B2 (ja) 吊下げフック及びシート材の吊下げ構造
KR20130142510A (ko) 건축물용 스트레치 시트의 설치 구조물
KR200374580Y1 (ko) 천장패널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