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794B1 -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794B1
KR101136794B1 KR1020110119431A KR20110119431A KR101136794B1 KR 101136794 B1 KR101136794 B1 KR 101136794B1 KR 1020110119431 A KR1020110119431 A KR 1020110119431A KR 20110119431 A KR20110119431 A KR 20110119431A KR 101136794 B1 KR101136794 B1 KR 101136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lock
masonry
seating
fitt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임
Original Assignee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119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적 벽체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단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연결 블록과; 상기 연결 블록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노출되는 상기 각 조적 벽체들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지는 끼움 돌기와; 상기 연결 블록의 사방 모서리부에 상기 연결 블록의 상하를 관통하는 스크류 홀과, 상기 스크류 홀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 볼트를 갖는 상하 체결부와; 상기 안착홈에 안착 설치되고, 양측방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부 상측 및 하측에 상기 관통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홀을 갖는 보조 연결 블록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홀을 따라 활주되도록 세워져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바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 연결체를 갖는 탄성 이동부; 및 일단이 상기 각 슬라이딩 바의 일정 위치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회전되고, 상기 각 조적 벽체들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타단에 끼움단이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 로드를 포함하는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CONNECTING APPARATUS FOR BRICKLAYING INTERVAL FOR MASONRY CONSTRUCTION}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적 벽체의 공간 쌓기를 함에 있어, 공간 양측에 위치되는 조적 벽체들을 서로 탄성 지지하고, 상기 공간에서 다단으로 설치 가능한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형적으로 공동주택의 벽체 시공시 시멘트 벽돌을 재료로 한 조적공사가 시행된다. 공간쌓기의 경우 중간 공간에 단열재나 패널등이 삽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간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벽체가 마주 대하게 되는데 두 벽체 사이를 연결재로 이어주는 것이 보통이다.
연결재로는 토막 벽돌이 사용될 수 도 있고 구부려진 철물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철물인 경우 쉽게 빠지거나 원래 설치 위치에서 이탈되는 일이 발생하기 쉽다. 벽체를 다 시공하고 나면 연결재가 제대로 이어져 있는지 확인하기도 쉽지 않다.
연결재로 토막 벽돌이 사용되는 경우 공간쌓기의 폭이 상기 토막 벽돌의 길이나 크기와 맞지 않으면 조적공사 작업이 순탄 하게 진행되기 힘들다. 구부려진 철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당초의 철물자체가 가지는 연결효과가 구부리는 모양이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것에 따라 항상 당초의 연결 효과와 동일하도록 제작되기는 힘들다.
재료의 건조 또는 수축에 따른 변형은 있기 마련이다. 공간쌓기에서 마주 보고 있는 두 벽체도 역시 변형하려는 힘을 가지게 된다. 상기 두 벽체가 벌어지게 되면 마감작업이 힘들어 진다. 토막 벽돌이나 철물만은 상기 두 벽체를 어는 정도 이어주는 것은 가능하지만 변형에 대항하기는 힘들다.
근래에 들어, 두 개의 조적벽체가 서로에 대해 벌어지려는 변형력에 대항하여 상기 두 개의 조적벽체의 간격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공동주택 조적공사에 사용되는 공간쌓기 연결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적 벽체의 공간 쌓기를 함에 있어, 공간 양측에 위치되는 조적 벽체들을 서로 탄성 지지하고, 상기 공간에서 다단으로 설치 가능한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는 조적 벽체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단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연결 블록과; 상기 연결 블록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노출되는 상기 각 조적 벽체들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지는 끼움 돌기와; 상기 연결 블록의 사방 모서리부에 상기 연결 블록의 상하를 관통하는 스크류 홀과, 상기 스크류 홀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 볼트를 갖는 상하 체결부와; 상기 안착홈에 안착 설치되고, 양측방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부 상측 및 하측에 상기 관통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홀을 갖는 보조 연결 블록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홀을 따라 활주되도록 세워져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바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 연결체를 갖는 탄성 이동부; 및 일단이 상기 각 슬라이딩 바의 일정 위치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회전되고, 상기 각 조적 벽체들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타단에 끼움단이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각 끼움 로드는 다단의 신축 가능한 파이프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홀에 체결되는 스크류 볼트의 단부는 다른 연결 블록에 형성되는 다른 스크류 홀에 스크류 체결된다.
상기 안착홈에는, 다수의 안착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연결 블록의 하단에는 상기 다수의 안착 고정홈에 끼워지는 다수의 안착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각 끼움 로드를 하방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홈은 일정 길이를 이루고,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고정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상기 연결 블록의 양측부에는 일정 두께의 탄성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의 내부 측벽부에는 상기 연결 블록의 외부와 관통되는 다수의 나사홀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나사홀에는 일정 길이의 위치 보정 나사들이 관통되도록 나사 결합된다.
상기 안착홈 내부 측으로 상기 각 나사홀을 관통한 상기 위치 보정 나사들의 단부는 상기 보조 연결 블록의 외측 둘레에 가압 접촉된다.
상기 연결 블록의 하단에는 상기 보조 연결 블록의 상단이 끼워지는 보조 안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조적 벽체의 공간 쌓기를 함에 있어, 공간 양측에 위치되는 조적 벽체들을 서로 탄성 지지하고, 조적 벽체들을 서로 탄성 연결하는 보조 연결 블록을 연결 블록과 분리 가능하게 하여 보조 연결 블록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Ⅰ-Ⅰ'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블록에 위치 보정 나사들이 더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를 보여준다. 도 2는 보조 연결 블록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는 연결 블록(100)과, 끼움 돌기(130)와, 상하 체결부와, 보조 연결 블록(200)과, 탄성 이동부와, 한 쌍의 끼움 로드(30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블록(100)은 조적 벽체들(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단에 안착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 블록(100)은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끼움 돌기(130)는 상기 연결 블록(100)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노출되는 상기 각 조적 벽체들(10)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고정홈(11)에 끼워진다.
상기 고정홈(11)은 일정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끼움 돌기(130)는 상기 고정홈(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활주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홈(120)의 내측 상하부에는 활주홀이 형성되고, 끼움 돌기(130)의 일단측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활주홀에 걸쳐지는 활주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 체결부는 상기 연결 블록(100)의 사방 모서리부에 상기 연결 블록(100)의 상하를 관통하는 스크류 홀(101)과, 상기 스크류 홀(101)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 볼트(15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스크류 홀(101)은 연결 블록(100)의 사방 모서리에서 상하를 관통한다.
상기 다수의 스크류 볼트(150)는 상기 각 스크류 홀(101)에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 볼트(150)는 연결 블록(10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스크류 홀(10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연결 블록(200)은 연결 블록(100)의 안착홈(110)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홈(110)은 사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 연결 블록(200)은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 연결 블록(200)에는 양측부를 관통하는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10) 내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일정 길이의 한 쌍의 슬라이딩 홀(230)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홀(230)의 형성 방향은 관통홀(210)의 길이 방향을 따른다.
상기 탄성 이동부는 한 쌍의 슬라이딩 바(400)와, 탄성 연결체(240)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400)는 관통홀(210)의 내부에서 세워져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각 슬라이딩 바(400)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상측과 하측의 각 슬라이딩 홀(230)에 걸쳐진다. 상기 각 슬라이딩 바(400)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슬라이딩 홀(230)에 걸쳐질 수 있도록 돌기(410)를 갖는다.
상기 탄성 연결체(240)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400)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 연결체(240)는 탄성 스프링이다. 상기 탄성 연결체(240)는 한 쌍의 슬라이딩 바(400)를 연결한다. 상기 탄성 연결체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또한, 한 쌍의 탄성 연결체는 서로 크로스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끼움 로드(300)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끼움 로드(300)는 각 슬라이딩 바(400)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각 끼움 로드(300)는 관통홀(2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힌지 연결되는 부분(H)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된다.
상기 힌지 연결되는 부분(H)에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각 끼움 로드(300)를 하방으로 탄성 회전력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각 끼움 로드(300)는 상기 각 조적 벽체들(10)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홈(13)에 끼워지도록 상기 타단에 끼움단(341)이 형성된다.
상기 각 끼움 로드(300)는 다단의 신축 가능한 파이프(310,320,330,340)로 형성된다. 상기 다단의 파이프(310,320,330,340)는 서로 탄성체(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되어 신축되는 경우 원위치로의 복귀가 가능하다.
또한, 연결 블록(100)의 스크류 홀(101)에 체결되는 스크류 볼트(150)의 단부는 다른 연결 블록(100)에 형성되는 다른 스크류 홀(101)에 스크류 체결된다.
상기 안착홈(110)에는, 다수의 안착 고정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연결 블록(200)의 하단에는 상기 다수의 안착 고정홈(111)에 끼워지는 다수의 안착 돌기(22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블록(100)의 양측부에는 일정 두께의 탄성층(미도시)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 블록(100)의 양측부에 밀착되는 조적 벽체(10)와의 탄성력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안착홈(110)의 내부 측벽부에는 상기 연결 블록(100)의 외부와 관통되는 다수의 나사홀(102)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나사홀(102)에는 일정 길이의 위치 보정 나사들(B)이 관통되도록 나사 결합된다.
상기 안착홈(110) 내부 측으로 상기 각 나사홀(102)을 관통한 상기 위치 보정 나사들(B)의 단부는 상기 보조 연결 블록(200)의 외측 둘레에 가압 접촉된다.
따라서, 만일 보조 연결 블록(200)이 안착홈(110)에서 틀어지는 경우, 다수의 위치 보정 나사들(B)의 상기 조임을 통한 가압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보조 연결 블록(200)의 안착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연결 블록(100)의 하단에 상기 보조 연결 블록(200)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는 보조 안착홈(140)이 형성된다.
10 : 조적 벽체
13 : 고정홈
100 : 연결 블록
200 : 보조 연결 블록
300 : 끼움 로드
400 : 슬라이딩 바

Claims (3)

  1. 조적 벽체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단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연결 블록;
    상기 연결 블록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노출되는 상기 각 조적 벽체들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지는 끼움 돌기;
    상기 연결 블록의 사방 모서리부에 상기 연결 블록의 상하를 관통하는 스크류 홀과, 상기 스크류 홀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 볼트를 갖는 상하 체결부;
    상기 안착홈에 안착 설치되고, 양측방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부 상측 및 하측에 상기 관통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홀을 갖는 보조 연결 블록;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홀을 따라 활주되도록 세워져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바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 연결체를 갖는 탄성 이동부; 및
    일단이 상기 각 슬라이딩 바의 일정 위치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회전되고, 상기 각 조적 벽체들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타단에 끼움단이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각 끼움 로드는 다단의 신축 가능한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블록의 하단에는 상기 보조 연결 블록의 상단이 끼워지는 보조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홀에 체결되는 스크류 볼트의 단부는 다른 연결 블록에 형성되는 다른 스크류 홀에 스크류 체결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다수의 안착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연결 블록의 하단에는 상기 다수의 안착 고정홈에 끼워지는 다수의 안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각 끼움 로드를 하방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홈은 일정 길이를 이루고,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고정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연결 블록의 양측부에는 일정 두께의 탄성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내부 측벽부에는 상기 연결 블록의 외부와 관통되는 다수의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나사홀에는 일정 길이의 위치 보정 나사들이 관통되도록 나사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 내부 측으로 상기 각 나사홀을 관통한 상기 위치 보정 나사들의 단부는 상기 보조 연결 블록의 외측 둘레에 가압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
KR1020110119431A 2011-11-16 2011-11-16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KR101136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431A KR101136794B1 (ko) 2011-11-16 2011-11-16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431A KR101136794B1 (ko) 2011-11-16 2011-11-16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794B1 true KR101136794B1 (ko) 2012-04-23

Family

ID=4614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431A KR101136794B1 (ko) 2011-11-16 2011-11-16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7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00B1 (ko) 2013-09-30 2014-03-03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조적 공사용 공간쌓기 연결장치
KR101391296B1 (ko) 2014-02-04 2014-05-02 주식회사 서원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공사용 인방 결합 조립체
KR101442491B1 (ko) * 2014-02-10 2014-09-22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건축 공사용 공간쌓기 연결구조를 위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571A (ja) * 1992-11-27 1994-07-19 Nobuaki Debari 間伐材を利用した集成壁体による建物施工方法
KR100873361B1 (ko) 2008-08-25 2008-12-11 주식회사 마이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벽체구조
KR100986590B1 (ko) 2010-07-21 2010-10-08 (주) 유성엔지니어링건축사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KR100988158B1 (ko) 2010-08-12 2010-10-18 주식회사 서원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
KR100998876B1 (ko) 2010-07-02 2011-01-07 (주)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유니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571A (ja) * 1992-11-27 1994-07-19 Nobuaki Debari 間伐材を利用した集成壁体による建物施工方法
KR100873361B1 (ko) 2008-08-25 2008-12-11 주식회사 마이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벽체구조
KR100998876B1 (ko) 2010-07-02 2011-01-07 (주)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유니트
KR100986590B1 (ko) 2010-07-21 2010-10-08 (주) 유성엔지니어링건축사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KR100988158B1 (ko) 2010-08-12 2010-10-18 주식회사 서원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00B1 (ko) 2013-09-30 2014-03-03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조적 공사용 공간쌓기 연결장치
KR101391296B1 (ko) 2014-02-04 2014-05-02 주식회사 서원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공사용 인방 결합 조립체
KR101442491B1 (ko) * 2014-02-10 2014-09-22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건축 공사용 공간쌓기 연결구조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794B1 (ko)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KR101576230B1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US10508433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1427240B1 (ko) 이중 마루 내진 보강장치
KR100986590B1 (ko)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KR101090852B1 (ko) 내/외장 패널 고정장치
KR101031292B1 (ko) 교량용 외장재 조립장치
KR100988158B1 (ko) 건축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장치
KR100475692B1 (ko) 방음판 고정용 록킹장치
KR100998876B1 (ko) 조적 공사용 공간 쌓기 연결 유니트
KR100845459B1 (ko) 콘크리트 보 패널의 지지장치
KR100814721B1 (ko) 각도 및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KR101687542B1 (ko) 상부수평철근용 철근스페이서의 고정구조
KR101995470B1 (ko) 내진프레임이 적용된 수배전반
JP7222746B2 (ja) 間仕切りユニット、及びこの間仕切りユニットを用いた間仕切り構造
CN105768675A (zh) 一种简易拆装的框架床结构
KR20120099309A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1225619B1 (ko) 걸쇠로 연결된 좌우상하 조절형 문틀 고정장치
CN104453041B (zh) 一种装配式保温幕墙板的安装方法
KR100545053B1 (ko) 공동주택 조적공사에 사용되는 공간쌓기 연결장치 및시공방법
KR100643528B1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가시설 설치구조
KR101654979B1 (ko)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06307A (ko) 외장판넬 설치용 브라켓장치
JP7482512B2 (ja) 仮囲い用コーナー部材
JP2004176997A (ja) 段状設置具及び室外機の設置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