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357B1 -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357B1
KR102480357B1 KR1020200174270A KR20200174270A KR102480357B1 KR 102480357 B1 KR102480357 B1 KR 102480357B1 KR 1020200174270 A KR1020200174270 A KR 1020200174270A KR 20200174270 A KR20200174270 A KR 20200174270A KR 102480357 B1 KR102480357 B1 KR 102480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oupled
insulation
partition wall
coupl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4620A (ko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이정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복 filed Critical 이정복
Priority to KR102020017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3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이 개시된다. 개시된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은 전후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외면에 마감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구조틀; 상기 한 쌍의 구조틀을 전후로 연결하여 벽체패널의 구조결합재로서 기능하며, FRP(Fiber-reinforced plastic)나 목재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전후가 개방된 사각박스가 적층된 적층사각박스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하 적층된 복수의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격벽;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삽입되며 무기질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열재; 상기 한 쌍의 구조틀 각각의 외면에 결합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high insulation wall panel for building}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 등에서 건축물 벽체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의 두께와 상관없이 강한 고정력을 실현하고 구조적 결합성 향상을 통해 마감재의 다양한 적용이 가능한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열차단을 하기 위한 단열공법에 있어 벽을 기준으로 외단열, 중단열, 내단열등의 방법이 있다. 또한 단열공법의 핵심은 단열성능과 더불어 구조물과 단열재 그리고 단열재를 마감하는 마감재를 서로 어떻게 고정, 연결하여 단열재를 외부의 화재, 지진등으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가에 따라 각종 자재 및 공법이 개발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지진등의 외력에 완벽히 대응하며 화재에 대한 안전성까지 확보된 자재 및 공법의 개발이 흡족히 진행되지 못해온 것이 현실이다.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첫째는 단열재의 종류와 두께이며 둘째는 단열재를 고정하는 재료나 방식에 의해 열이 빠져나가는 열교현상이며 따라서 좋은 단열재와 열교 없는 시공이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단열공법 가운데에서는 내단열, 중단열, 외단열중 가장 효율이 높은 방법이 외단열 공법임은 이미 공인된 내용으로, 외단열공법을 장려하고 있으나 현재 시행되는 대부분의 외단열 시공법이 접착에 의한 단열재 부착방식으로 이 공법의 한계인 마감재의 중량문제로 단열재를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는데 많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즉, 외단열에 있어 접착력에 의한 부착방식으로는 단열재를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마감이 어렵고 반대로 화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두꺼운 불연재로 마감할경우 벽체에 이를 고정하기 위한 철물 등으로 인해 열교에 따른 단열성능의 저하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단열공법에 있어 최상의 공법은 화재에도 강하며 마감재를 중량에 관계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지진, 태풍 등에 강한 외단열 공법이 가장 좋은 단열방법이나, 이를 만족할 만한 단열패널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73559호에서 단열재의 일측에만 구조틀을 두고 FRP봉이나 목재봉으로 된 구조봉들을 트러스 구조가 되도록 단열재 내부를 관통하고 구조봉들의 일측단을 구조틀에 고정하고, 타측단은 단열재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화를 이루면서도, 건물의 구조용 콘크리트벽의 시공시, 거푸집역할을 하여 거푸집설치에 대한 작업을 간편화할 수 할 수 있도록 하며, 외측에 마감재의 무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마감재를 시공설치할 수 있는 건축용 단열패널을 제시한 바 있다.
다만, 이러한 건축용 단열패널은 FRP봉이나 목재봉을 구조봉으로 사용하고, 볼트형태의 고정장치가 대부분으로서 단열재의 두께가 두꺼울 수록 고정력 확보가 어렵고, 구조적 안정성면에서도 다소 아쉬움이 있었으며, 또한 고정력의 한계가 있어서 단열재의 마감재로 석재, 콘크리트판재 등 중량이 무거운 재료로는 마감재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건축용 벽체패널에 대한 연구개발을 계속하여 본 발명을 도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7355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단열재의 두께와 상관없이 강한 고정력을 구현하며, 강한 구조적 결합을 통해 구조적안정성을 높여 다양한 마감재에 대해 자유로운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유기질계 단열재보다 무기질계 단열재를 활용하는데 유리하여 건축물의 화재로부터 안전한 고단열 건물을 건축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은 전후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외면에 마감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구조틀; 상기 한 쌍의 구조틀을 전후로 연결하여 벽체패널의 구조결합재로서 기능하며, FRP(Fiber-reinforced plastic)나 목재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전후가 개방된 사각박스가 적층된 적층사각박스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하 적층된 복수의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격벽;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삽입되며 무기질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열재; 상기 한 쌍의 구조틀 각각의 외면에 결합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구조틀 각각은, 좌우 이격되게 수직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으로 수평되게 연결하며 상하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마감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수직결합리브와, 상기 제1수직결합리브에서 직각되게 절곡되며 상기 격벽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수직결합리브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마감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수평결합리브와, 상기 제1수평결합리브에서 직각되게 절곡되며 상기 격벽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수평결합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전후 단부가 전후 마주하는 상기 제2수직결합리브에 결합되는 수직격벽부재와, 전후 단부가 전후 마주하는 상기 제2수평결합리브에 결합되는 수평격벽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격벽부재와 상기 수직격벽부재가 상기 상하 적층된 복수의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도록 적층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외면테두리에 결합설치되어 상기 격벽의 외면 테두리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커버시트;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두께가 적어도 300mm 이상의 무기질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양측의 구조틀 사이에서 단열재를 관통하여 양측 구조틀을 연결하도록 격벽이 구성되며, 이 격벽이 FRP나 목재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적층사각박스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열교를 차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강한 고정력을 확보하고 구조적 안전성이 향상되어, 고단열, 고강도를 갖는 고기능성 벽체판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격벽의 외면이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격벽 외면 테두리에 단열재로 이루어진 커버시트가 구성되어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벽체파넬의 취급 및 운반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에 타공에 의한 열손실방지홀이 형성되어 격벽의 두께를 크게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열전달 단면적을 감소시켜 단열효과가 더욱더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1)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1)은 조립식 건축물 등에서의 구조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구조벽체용 고단열 벽체패널이다.
본 발명의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1)은 한 쌍의 구조틀(10), 격벽(20), 단열재(30), 마감재(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구조틀(10)의 전후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외면에 마감재(40)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격벽(20)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각 구조틀(1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좌우 소정간격 이격되며 수직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과, 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11)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되게 설치되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각 수직프레임(11)은 마감재(40)와 밀착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수직결합리브(11a)와, 이 제1수직결합리브(11a)에서 직각되게 절곡형성되며 격벽(20)과 밀착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수직결합리브(1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각 수평프레임(14)은 마감재(40)와 밀착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수평결합리브(14a)와, 이 제1수평결합리브(14a)에서 직각되게 적곡형성되며 격벽(20)과 밀착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수평결합리브(14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격벽(20)은 전후 양측의 구조틀(10)을 서로 연결하도록 양단이 양측의 구조틀(10)과 나사, 피스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전후가 개방되고 상하로 복수개가 적층된 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단열재(3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격벽(20)은 수직배치되는 수직격벽부재(21)와, 수평배치되는 수평격벽부재(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수직격벽부재(21)는 FRP나 목재로 이루어진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좌우 소정간격 이격되게 쌍을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이 쌍들이 상하로 복수개 쌍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각각의 수직격벽부재(21)는 제2수직결합리브(11b)에 나사, 피스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수직격벽부재(21)를 전후 배치된 한 쌍의 구조틀(10)의 양측 수직프레임(11)에 설치되도록 되는 것이며, 전후단부가 전후 서로 마주하는 양측 수직프레임(11)의 제2수직결합리브(11b)에 나사나 피스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수평격벽부재(23)는 FRP나 목재로 이루어진 사각판재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수평격벽부재(23)는 제2수평결합리브(14b)에 나사, 피스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수평격벽부재(23)는 전후 단부가 전후 서로 마주하는 제2수평결합리브(14b)에 피스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수직격벽부재(21)와 수평격벽부재(23)이 전후 배치된 양측의 구조틀(10)을 서로 연결하도록 결합이 이루어져, 전후가 개방된 사각박스가 상하로 적층된 형태의 구조체를 형성하게 되며, 이 내부에는 단열재(30)를 삽입하여 충진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단열재(30)가 내부에 수용이 이루어지게 되면, 단열재(30) 하측에 배치된 수평격벽부재(23)는 단열재(30)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좌우 양측의 수직격벽부재(21)는 단열재(30)가 수평격벽부재(23)의 좌우 측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해주게 된다.
단열재(30)는 유기질 단열재가 아닌 무기질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무기질 단열재는 유리질 단열재, 광물질 단열재, 금속질 단열재, 탄소질 단열재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무기질 단열재는 열에 강하고 접합부 시공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미네랄울, 락울 등의 암면 단열재, 글라스울과 같은 유리면 단열재, 펄라이트와 같은 퍼라이트 단열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무기질 단열재로 이루어진 단열재(30)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격벽(20)에 형성된 상하 적층배열된 다수의 수용공간에 삽입하여 수용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각 단열재(30)들을 격벽(20)의 각 수용공간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후 양측 구조틀(10)의 외면에 각각 마감재(40)를 피스나 나사등의 체결부재로 결합체결하여 고단열 벽체판넬(1)을 완성할 수 있다.
마감재(40)는 석판, 금속판, OBS합판, CRC보드 등 다양한 마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수직결합리브(11a)와 제1수평결합리브(14a)에 피스나, 나사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고단열 벽체판넬의 기능과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30)의 양측에 마감재(40)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틀(10)이 구성되고, 이 구조틀(10)의 외측면에 마감재(40)가 고정되는 구조이며, 핵심은 양측의 구조틀(10) 사이를 FRP나 목재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진 격벽(20)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이 격벽(20)이 단열재(30)를 관통하며 단열재(30)를 수용시키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구조이다.
FRP나 목재로 이루어진 격벽(20)은 가볍고 강하면서도 단열효과가 우수한 재료로서, 이를 단열재(30) 사이의 구조결합재로 사용하여 양측 구조틀(10)과의 강한 결합이 이루어지면서도 열교현상에 의한 열손실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특히, 벽체판넬 내에서 FRP나 목재로 이루어진 격벽(20)을 전후 양측 구조틀(10)에 구조 결합시, 그 형태를 전후 개방된 박스가 상하로 적층된 적층박스형태로 구성하여 종, 횡력에 매우 강한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고, 이는 지진 등의 횡력대응력이 매우 우수하며 석재 등의 중량물의 마감재(40)에도 강한 구조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벽체판넬 내에서 격벽(20)을 적층박스형태로 구성하고, 그 외부에 마감재(40)를 고정함으로써 이는 허니컴구조의 판넬과 같은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벽체판넬이 전체적인 매우 강한 하나의 구조체를 이룰 수 있게 해준다.
특히, 본 발명은 수평격벽부재(23)가 다단으로 구성되어 각 단열재(30)의 하단 중량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무기질 단열재의 단점인 처짐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격벽(20)의 재료가 목재 판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격벽의 방부, 방염처리를 하여 내구성을 증진한 목재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금속재로 이루어진 구조틀(10)의 경우, 아연도금, 방청 도료코팅처리로 된 재료 사용으로 내구성을 향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격벽(20)의 재료는 벽체의 소요강도에 따라 두께를 조정하나 기본적으로5mm ~ 10mm 이내의 두께를 갖는 판재로 구성할 때 가장 좋은 단열효과와 구조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단열 벽체판넬에 대한 일 예로서 양측 마감재(40)는 10~14mm 두께의 시멘트보드를 적용하고, 단열재(30)는 밀도 24k의 글라스울로 이루어지고, 두께 300mm의 무기질 단열재를 적용하며, 격벽(20)는 5mm 두께의 낙엽송 합판을 적용하여 고단열 벽체판넬 제작시, 계산수치상 열관류율이 0.12W/㎡ㆍK가 계산되며 이는 패시브하우스 기준 열관류율 0.15W/㎡ㆍK보다 우수한 단열성능을 갖는 벽체임을 알수 있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고단열 벽체판넬의 테두리 측면을 따라 단열재로 이루어진 커버패드(50)를 부착설치함으로써, 수직격벽부재(21) 모두와 최상단 및 최하단의 수평격벽부재(23)에 대한 외부노출을 방지하도록 고단열 벽체판넬의 테두리 마감을 진행하여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커버패드(50)는 단열재(3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직격벽부재(21)의 외면에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는 수직커버(52)와, 최상단 및 최하단의 수평격벽부재(23)의 외면에 접착재 등으로 결합되는 수평커버(5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수직격벽부재(21)와 각각의 수평격벽부재(23)에는 타공에 의해 관통형성되는 열손실방지홀(21a,23a)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열재(30)는 적어도 300mm 이상의 두께(d, 도 3참조)로 이루어져야 고단열 벽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후 양측의 구조틀(30)을 고정하는 격벽(20) 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고단열 벽체판넬의 강도가 증가되나 이 경우 역으로 격벽(20)의 두께가 뚜꺼울수록 이 격벽을 통한 열손실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격벽(20)의 각 수직격벽부재(21)와 수평격벽부재(23) 마다 타공을 통해 열손실 방지홀(21a,23a)을 형성하여, 재료의 두께를 두껍게 구성하면서도 열전달 단면적을 감소시켜 단열효과의 증대와 구조적 강도의 증가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구조틀
11...수직프레임
11a...제1수직결합리브
11b...제2수직결합리브
14...수평프레임
14a...제1수평결합리브
14b...제2수평결합리브
20...격벽
21...수직격벽부재
23...수평격벽부재
30...단열재
40...마감재
50..커버패드
52...수직커버
54...수평커버

Claims (5)

  1. 전후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외면에 마감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구조틀;
    상기 한 쌍의 구조틀을 전후로 연결하여 벽체패널의 구조결합재로서 기능하며, FRP(Fiber-reinforced plastic)나 목재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전후가 개방된 사각박스가 적층된 적층사각박스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하 적층된 복수의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격벽;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삽입되며 무기질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열재;
    상기 한 쌍의 구조틀 각각의 외면에 결합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구조틀 각각은,
    좌우 이격되게 수직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으로 수평되게 연결하며 상하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마감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수직결합리브와, 상기 제1수직결합리브에서 직각되게 절곡되며 상기 격벽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수직결합리브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마감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수평결합리브와, 상기 제1수평결합리브에서 직각되게 절곡되며 상기 격벽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수평결합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전후 단부가 전후 마주하는 상기 제2수직결합리브에 결합되는 수직격벽부재와, 전후 단부가 전후 마주하는 상기 제2수평결합리브에 결합되는 수평격벽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격벽부재와 상기 수직격벽부재가 상기 상하 적층된 복수의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도록 적층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외면테두리에 결합설치되어 상기 격벽의 외면 테두리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커버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두께가 적어도 300mm 이상의 무기질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KR1020200174270A 2020-12-14 2020-12-14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KR102480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270A KR102480357B1 (ko) 2020-12-14 2020-12-14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270A KR102480357B1 (ko) 2020-12-14 2020-12-14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620A KR20220084620A (ko) 2022-06-21
KR102480357B1 true KR102480357B1 (ko) 2022-12-21

Family

ID=8222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270A KR102480357B1 (ko) 2020-12-14 2020-12-14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3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446B1 (ko) * 2015-10-28 2017-03-07 노경수 적층 허니콤을 이용한 방화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118B1 (ko) * 2018-01-11 2020-06-29 주식회사 종이나무 조립식 주택용 조립 패널
KR102178097B1 (ko) * 2018-11-07 2020-11-1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재소재의 프레임 보강재를 활용하여 내력 및 강성을 증대시킨 구조단열패널
KR102173559B1 (ko) 2018-12-31 2020-11-03 이정복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 건축용 단열패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446B1 (ko) * 2015-10-28 2017-03-07 노경수 적층 허니콤을 이용한 방화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620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3882B2 (en) Shipping container insulation panel and installation method
US20100313515A1 (en) Composite cellulose element
US10392797B2 (en) Single leaf separating wall
RU2656260C2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и здание, построенное при помощи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1229547B1 (ko) 건축용 그린팀버웰 내화벽 구조
KR102480357B1 (ko)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US8640416B2 (en) Sliding and locking energy-efficient wall assembly
US202200181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ulating an intermodal container
EP2369084B1 (en) Panel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1160983B1 (ko) 목조 건물용 벽체 및 목조 건물용 벽체의 조립체
JP2006161406A (ja) 天井または床の耐火構造
KR101375028B1 (ko) 구조용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102173559B1 (ko)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 건축용 단열패널 제조방법
CN112020588B (zh) 隔热墙壁面板以及具备该隔热墙壁面板的组合式房屋
JP6697927B2 (ja) 耐火梁の接合部における耐火構造
KR20090104614A (ko)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구조물의 피복방법 및 이에 사용된조립식 패널
CA2888793A1 (en) Insulated battens for installation of exterior wall insulation at corners and architectural trim
KR100441340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의 단열재 설치방법
JP2008285989A (ja) 壁パネル
KR102098757B1 (ko) 우수한 난연성 및 단열성과 열변형 대응이 가능한 건축물 외벽 마감구조
US4490955A (en) Residential wall construction
CN112020589B (zh) 隔热墙壁面板以及具备该隔热墙壁面板的组合式房屋
JP7032271B2 (ja) 耐火構造
KR20090116264A (ko)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어
KR20230117008A (ko) 조립식 나무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