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873A - 창호브라켓용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 Google Patents

창호브라켓용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873A
KR20220013873A KR1020200140096A KR20200140096A KR20220013873A KR 20220013873 A KR20220013873 A KR 20220013873A KR 1020200140096 A KR1020200140096 A KR 1020200140096A KR 20200140096 A KR20200140096 A KR 20200140096A KR 20220013873 A KR20220013873 A KR 20220013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window
fastening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수
Original Assignee
(주)전진에프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진에프앤에스 filed Critical (주)전진에프앤에스
Priority to KR102020014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3873A/ko
Publication of KR2022001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06B1/6023Anchoring means completely hidden between the frame and the border of the opening, at least part of the means being previously fixed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패드 및 창호브라켓은, 수직패드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체결편을 상기 수평패드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체결홈에 삽입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결로방지패드의 치수를 가변적으로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된 상태에서의 체결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창호브라켓용 조립식 결로방지패드{FABRICABLE CONDENSATION-PROOF PAD ASSEMBLY IN USE OF WINDOW BRACKET}
본 발명은 창호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창호의 창틀을 실내측에서 지지하는 창호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창(Window) 및 문(Door)의 총칭으로서, 창틀이 건축물의 개구부에 안착 및 고정된 후 창틀에 설치되는 다수의 창문이 미닫이, 여닫이 또는 틸팅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물에서 발코니를 확장하여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데, 발코니 확장 과정에서 외벽에 설치되는 창호는 건축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옹벽의 두께보다 더 크고 무겁기 때문에,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창호가 옹벽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a에서 보듯이, 발코니 확장에 사용되는 창호의 시공은, 창틀(20)이 옹벽(10)에 안착될 때, 창틀(20)의 폭이 옹벽(10)의 상면 폭보다 크기 때문에,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옹벽(10)의 실내측에 브라켓(30)을 고정하여 받칠 수 있도록 한 후, 그 외측으로 단열재(40), 석고보드(50), 석고(60)를 덧대어 마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브라켓(30)은 창틀(20)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강도가 우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브라켓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도 1b에서 보듯이, 브라켓(30)은, 창틀(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편(110) 및 이에 대해 수직 절곡된 수직지지편(120)으로 구성된 제1 부재와, 제1 부재에 결합된 후 옹벽(10)의 개구부 상단 및 창틀(20)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부재(200)를 포함한다. 특히, 수평지지편(110) 및 수직지지편(120)에는, 폭방향 양단이 각각에 대하여 수직하게 절곡된 절곡부(112, 1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창틀(20)의 하중을 견디면서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창호용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창틀을 지지하는 브라켓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된 절곡부(112, 122)는 각각 수평지지편(110) 및 수직지지편(120)으로부터 대략 10 ~ 20 mm 정도의 절곡 높이(즉, 수평지지편(110) 또는 수직지지편(120)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를 갖는데, 이로 인해 창틀(20) 하부의 빈 공간에 단열재(40)를 충전할 때 돌출된 절곡부(112, 122)로 인해 브라켓(30)과 단열재(40)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단열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
둘째, 브라켓의 구조값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평지지편(110) 및 수직지지편(120)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 재료비의 증가로 인해 브라켓 전체의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세째, 브라켓은 통상 철재로 형성되는데, 외부공기와 내부공기의 온도차이로 인해 옹벽(10)과 브라켓(30) 사이에 결로가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해 창틀(20)의 틈새로 물방울이 유입되어 건물 내측 벽면 및 도배지에 스며들게 되므로,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물기가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다.
네째, 브라켓이 설치될 건물 옹벽의 치수 및 옹벽에 설치할 창호의 치수가 설치환경에 따라 제각각이므로, 브라켓을 설치할 조건에 따라 치수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시공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창호브라켓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틸 재질의 브라켓과 옹벽 사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가 시공현장의 조건에 맞추어 편리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창호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더 적은 양의 스틸을 사용하면서도 창틀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더 향상될 수 있는 창호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브라켓은, 건물의 옹벽에 설치되는 창호의 저면을 지지하는 창호지지부; 상기 창호지지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옹벽의 측벽에 고정되는 벽체고정부;를 포함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창호지지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평패드; 상기 옹벽의 측벽에 연접하는 상기 벽체고정부의 일면을 커버하는 수직패드;를 포함하는 결로방지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패드의 일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직패드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편에는 상기 수직패드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측면에 형성된 제1 그루브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형성된 제2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패드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편 각각이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홈이 상기 수평패드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홈 각각에는 상기 제1 그루브에 교합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그루브에 교합되는 제2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패드에는 일렬로 형성된 상기 복수의 체결홈이 복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체결홈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에는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체결홈에는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 중에서 상기 수평패드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에는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측에 형성된 체결홈에는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패드에는 상기 창호지지부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패드에는 상기 벽체고정부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패드가 배치되는 상기 벽체고정부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배치되는 구조보강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브라켓은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벽체고정부는 일단이 절곡되어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하는 이중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고정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이 서로 연접하는 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엠보가 형성되고, 상기 엠보는 상기 제1 및 제2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엠보는, 상기 제1 및 제2 패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직엠보,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된 수평엠보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고정부를 절곡하여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을 연접할 때, 상기 수직엠보 및 상기 수평엠보가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결로방지패드는, 건물의 옹벽에 설치되는 창호의 저면을 지지하는 창호지지부; 상기 창호지지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옹벽의 측벽에 고정되는 벽체고정부;를 포함하는 지지브라켓을 커버하는 결로방지패드로서, 상기 창호지지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평패드; 상기 옹벽의 측벽에 연접하는 상기 벽체고정부의 일면을 커버하는 수직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패드의 일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직패드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편에는 상기 수직패드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측면에 형성된 제1 그루브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형성된 제2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패드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편 각각이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홈이 상기 수평패드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홈 각각에는 상기 제1 그루브에 교합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그루브에 교합되는 제2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패드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체결편을 상기 수평패드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체결홈에 삽입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패드에는 일렬로 형성된 상기 복수의 체결홈이 복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체결홈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에는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체결홈에는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 중에서 상기 수평패드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에는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측에 형성된 체결홈에는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패드에는 상기 창호지지부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패드에는 상기 벽체고정부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평패드와 결합가능한 보조수평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수평패드는, 상기 수평패드의 일단에 마련된 제1 결합구와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되 수평방향으로의 탈거가 방지되는 제2 결합구, 및 상기 창호지지부의 양 가장자리가 인입되는 보조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로방지패드의 치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시공자가 직접 결로방지패드, 지지브라켓 및 구조보강패드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창호브라켓을 이용한 창호의 설치작업이 더욱 편리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창호브라켓을 사용하는 경우, 더 적은 양의 스틸을 이용하더라도 창호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최대하중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브라켓의 최대하중을 향상시키면서도 적은 양의 스틸을 사용하므로 제조 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을 이용하여 창호를 지지하는 경우, 창호에 대한 지지력은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스틸 재질이 옹벽에 직접 연접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창호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건물의 옹벽에 창호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창호용 브라켓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브라켓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패드의 수직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에서 수직패드에 형성된 체결홈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패드의 수평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수평패드에 형성된 서로 다른 체결홈의 단면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패드로서, 도 8은 수직패드 및 수평패드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라켓을 도시한 측면도 및 벽체고정부를 2중층으로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요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수평패드 및 결로방지패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브라켓의 구성을 개요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에서 보듯이, 창호브라켓은, 지지브라켓(300), 결로방지패드(400) 및 구조보강패드(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300)은, 건물의 옹벽에 설치되는 창호의 저면을 지지하는 창호지지부(310)와, 창호지지부(3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옹벽의 측벽에 고정되는 벽체고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창호지지부(310) 및 벽체고정부(320)는 판상의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호지지부(310)에는 창호의 저면에 스크류로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창호가 실내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312) 및 보강용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한 정공(313)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벽체고정부(320)에는 옹벽의 측벽에 앵커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앵커삽입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창호지지부(310) 및 벽체고정부(320)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는 한쌍의 모서리보강편(340)이 각각 대향하게 형성된다. 모서리보강편(340)은 창호지지부(310) 및 벽체고정부(320) 각각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보강편(340)은 창호지지부(310) 및 벽체고정부(320)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스틸 패널을 이용하여 창호지지부(310) 및 벽체고정부(320)를 형성할 때, 창호지지부(310) 및 벽체고정부(320)가 맞닿는 부위의 양 모서리 영역의 일부를 절개한 후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브라켓(300)을 형성할 때, 스틸 패널에 장공(312), 정공(313), 앵커삽입홀(321)을 타공한 후,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 공정을 통해 창호지지부(310), 벽체고정부(320) 및 한쌍의 모서리보강편(340)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로방지패드(400)는, 창호지지부(3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평패드(410)와, 옹벽의 측벽에 연접하는 벽체고정부(320)의 일면을 커버하는 수직패드(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패드(410) 및 수평패드(420)를 포함하는 결로방지패드(40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로방지패드(400)는 스틸 재질의 지지브라켓(300)이 옹벽에 직접 연접하는 것을 차단하여 결로 현상을 방지한다. 결로방지패드(400)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사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결로방지패드(400)는 지지브라켓(300)과 체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수평패드(410)에는 창호지지부(310)의 양 가장자리(311)가 인입되어 결합되도록 가이드(4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창호브라켓(300)에 형성된 한쌍의 모서리보강편(340) 사이의 간격은 창호지지부(310)의 대향하는 양 가장자리(311) 사이의 거리(즉, 창호지지부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지지브라켓(300)을 수평패드(410)에 체결할 때, 모서리보강편(340)의 외측으로 돌출된 창호지지부(310)의 가장자리(311)가 대응하는 가이드(414)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수평패드(410)에는 창호지지부(310)에 마련된 장공(312) 및 정공(3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장공(412, 413)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수평패드(420)를 지지브라켓(300)의 창호지지부(310)에 체결한 후, 수직패드(420)에 마련된 가이드(424)를 따라 벽체고정부(320)의 가장자리를 인입시킨다. 수직패드(420)에는 벽체고정부(320)의 앵커삽입홀(321)에 대응하는 앵커삽입홀(421)이 형성된다. 특히, 수직패드(420)의 가이드(424)에 끼워지는 벽체고정부(320)를 일정한 위치로 배치하기 위하여, 수직패드(420)의 단부에는 위치결정격자(425)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때, 수평패드(410) 및 수직패드(420)는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416) 및 복수의 체결편(426)을 통해 서로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한 수평패드(410) 및 수직패드(420)의 결합구조를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수직패드(420)의 사시도를 도시하였고, 도 4에는 A 영역에서 수직패드(420)에 마련된 체결편(426)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수직패드(420)의 일단 가장자리에 폭 방향(W)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체결편(426)이 마련된다. 도 4에서 보듯이, 각각의 체결편(426)에는 폭 방향(W)을 기준으로 제1 측면(좌측면)에 제1 그루브(426a)가 형성되고,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우측면)에 제2 그루브(426b)가 형성된다. 도 2에는 하나의 체결편(426)에 제1 및 제2 그루브(426a, 426b)가 함께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하나의 체결편에 두개의 그루브를 형성할 필요는 없고, 수평패드(420)에 마련된 체결홈(416)의 걸림돌기에 대응되도록 어느 하나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수평패드(410)의 상면을 도시한다. 도 5에서 보듯이, 수평패드(410)에는 복수의 체결편(426) 각각이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홈(416)이 수평패드(410)의 폭 방향(a)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체결홈(416) 각각에는 제1 그루브(426a)에 교합되는 제1 걸림돌기(416a) 및 제2 그루브(426b)에 교합되는 제2 걸림돌기(416b)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다. 도 6에는 P1 영역에 형성된 체결홈(416)의 단면을, 도 7에는 P2 영역에 형성된 체결홈(416)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수평패드(410)에 마련된 체결홈(416) 및 수직패드(420)에 마련된 체결편(426)의 결합에 의해, 수평 패드(410) 및 수직패드(420)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특히, 수평패드(410)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416)에는 각각 배향이 다른 제1 걸림돌기(416a) 또는 제2 걸림돌기(416b)가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홈(416)에 끼워지는 체결편(426)이 폭방향(a)을 기준으로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수평패드(410) 및 수직패드(420)의 체결력이 향상되며, 이를 통해 지지브라켓(30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패드(410)에는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이 복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보듯이, 수평패드(410)에는 기준선 (a)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체결홈(416) 이외에도, 기준선 (b)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체결홈(417) 및 기준선 (c)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체결홈(418)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평패드(410)에 복수의 체결홈을 복수의 열로 형성하면, 지지브라켓(300)이 배치되는 측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410a)의 치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자는 창호의 치수 등을 고려하여 옹벽과 창호의 저면 사이로 개재되는 연장부(410a)의 치수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수평패드(410) 및 수직패드(420)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수평패드(410)에 형성되는 일련의 체결홈(416)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체결홈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에는 제1 걸림돌기(416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체결홈에는 제2 걸림돌기(416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걸림돌기(416a) 및 제2 걸림돌기(416b)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도 6 및 도 7 참조). 또한,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기준선 (a)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체결홈에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걸림돌기(416a) 및 제2 걸림돌기(416b)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 중에서 수평패드(410)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에는 제1 걸림돌기(또는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측에 형성된 체결홈에는 이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걸림돌기(또는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직패드(420)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편(426)은 각기 다른 배향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416)에 교합되므로, 조립후 양자가 서로 탈거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조보강패드(500)는 스틸 재질로 형성된 판상의 보강재로서, 여기에는 앵커가 삽입되는 앵커삽입홀(52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조보강패드(500)는, 적은 양의 스틸재를 사용하더라도 한계단면에서 브라켓이 가지는 최대하중을 향상시키기 위해 채용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보강패드(500)는 지지브라켓(300)과 별도의 부재로서 준비되어, 결로방지패드(400)가 장착된 지지브라켓(300)을 옹벽에 설치할 때, 수직패드(420)가 배치되는 벽체고정부(310)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 및 도 11에서 보듯이, 지지브라켓(300)은 2층의 패널 구조를 가진 벽체고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벽체고정부(320)의 길이를 연장하여 형성한 후, 제1 패널(320a) 및 제2층 패널(320b)을 서로 절곡하여 2중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패널(320a) 또는 제2 패널(320b) 중 어느 하나에는 서로 연접하는 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엠보가 형성될 수 있다. 엠보는 제1 패널(320a) 및 제2 패널(320b) 사이의 간격을 일정한 치수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엠보에 의해 지지브라켓(300)이 가지는 한계단면에서의 최대 하중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패널(320a) 및 제2 패널(320b)의 이격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어느 하나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엠보(321a)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엠보(321b)를 형성하여, 수직엠보(321a) 및 수평엠보(321b)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건축물에 시공되는 창호는 그 크기가 제조사마다 다르고, 또한 시공 환경에 따라 창호가 옹벽으로부터 실내측으로 돌출되는 치수가 다르게 된다. 따라서, 시공환경에 따라 치수가 다른 창호브라켓을 여러개 구비하는 것은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고 또한 작업 능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창호브라켓을 통해 창호의 저면을 지지할 때, 창호의 저면에 고정되는 수평패드의 길이를 작업자가 실제 시공환경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보조수평패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12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평패드(410) 및 보조수평패드(430)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0에서 보듯이, 보조수평패드(430)에는, 수평패드(410)의 일단에 마련된 제1 결합구(415)와 체결 가능한 제2 결합구(435)가 형성된다. 아울러, 보조수평패드(430)에는 지지브라켓(300)의 창호지지부(310)의 양 가장자리(311)가 인입되어 고정되는 보조가이드(431)이 형성된다. 작업자는 현장의 시공환경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보조수평패드(430)를 수평패드(410)에 결합한 후, 보조가이드(431) 및 가이드(414)를 통해 지지브라켓(300)을 체결한다(도 1 참조). 그 후, 보조수평패드(430)에 마련된 다수의 정공(432) 및 장공(433)을 통해 창호의 저면에 고정한다. 따라서, 보조수평패드(430)를 이용하면 시공환경에 따라 창호의 치수에 맞추어 작업자가 보조수평패드(430), 결로방지패드(400), 지지브라켓(300) 및 구조보강패드(500)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창호브라켓 조립체를 완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보조수평패드(430)는 결로방지패드와 동일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수평패드(430)에 마련된 제2 결합구(435)는 제1 결합구(415)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가지며, 특히 수평방향으로의 탈거가 방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앵커에 의해 고정된 수직패드(420)에 대하여 수평패드(410) 및 보조수평패드(430)에 전단응력이 발생하더라도 수평패드(410)로부터 보조수평패드(430)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2 결합구(435)는 양측으로 돌출된 돌부(435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돌부(435a)가 마련된 제2 결합구(435)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제1 결합구(415)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 결합구(435)의 일단에는 후크(435c)가 마련되고, 후크(435c)가 교합되도록 수평패드(410)의 제1 결합구(415)에도 후크(415c)가 형성될 수 있다(도 12 및 도 13 참조)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

  1. 건물의 옹벽에 설치되는 창호의 저면을 지지하는 창호지지부; 상기 창호지지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옹벽의 측벽에 고정되는 벽체고정부;를 포함하는 지지브라켓을 커버하는 결로방지패드로서,
    상기 결로방지패드는, 상기 창호지지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평패드; 상기 옹벽의 측벽에 연접하는 상기 벽체고정부의 일면을 커버하는 수직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패드의 일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직패드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편 각각에는 상기 수직패드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측면에 형성된 제1 그루브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형성된 제2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패드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편 각각이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홈이 상기 수평패드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홈 각각에는 상기 제1 그루브에 교합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그루브에 교합되는 제2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체결홈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에는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체결홈에는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직패드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체결편을 상기 수평패드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체결홈에 삽입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패드에는 일렬로 형성된 상기 복수의 체결홈이 복수의 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패드.
KR1020200140096A 2020-07-27 2020-10-27 창호브라켓용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KR20220013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096A KR20220013873A (ko) 2020-07-27 2020-10-27 창호브라켓용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124A KR102183697B1 (ko) 2020-07-27 2020-07-27 조립식 결로방지패드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KR1020200140096A KR20220013873A (ko) 2020-07-27 2020-10-27 창호브라켓용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124A Division KR102183697B1 (ko) 2020-07-27 2020-07-27 조립식 결로방지패드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873A true KR20220013873A (ko) 2022-02-04

Family

ID=736454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124A KR102183697B1 (ko) 2020-07-27 2020-07-27 조립식 결로방지패드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KR1020200140096A KR20220013873A (ko) 2020-07-27 2020-10-27 창호브라켓용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124A KR102183697B1 (ko) 2020-07-27 2020-07-27 조립식 결로방지패드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83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312B1 (ko) * 2021-04-06 2021-07-29 명진호 조립식 창호브라켓
KR102421686B1 (ko) * 2021-10-21 2022-07-15 (주)전진에프앤에스 탈거방지를 위한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608U (ko) * 2011-03-17 2012-09-26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인슐래드 코팅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101548100B1 (ko) * 2015-04-06 2015-08-27 주식회사 대동정밀 개선된 창호용 고정브라켓
KR20190121462A (ko) *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대동정밀 결로 및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브라켓
KR102123690B1 (ko) * 2020-03-19 2020-06-16 이흥수 창호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697B1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478B1 (ko)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방법
US3052330A (en) Curtain wall assembly
EP1757751A1 (en) Wall face exterior structure of outer wall face insulation building and its wall face exterior furring, lateral furring strip frame for installing wall face exterior material and wall face exterior froming method by lateral furring strip frame, and exterior furring material and outer wall employing
US8833023B2 (en) Composite panel for a wall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2123690B1 (ko) 창호브라켓
UA73949C2 (en) Improved system for wall construction with falsework
KR102152497B1 (ko) 단열재를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설치방법
KR102183697B1 (ko) 조립식 결로방지패드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KR20190115655A (ko)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899787B1 (ko) 고정브래킷
KR102157195B1 (ko) 조립식 단열패널
KR20190099604A (ko) 기존 커튼월의 단열 성능 향상용 덧댐 창호가 구비되는 커튼월 시스템
US8511026B2 (en) Drywall and cladding construction system
KR102133944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2133938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783849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20190127039A (ko) 런너가 스터드 내측에 설치된 차음 스터드 설치 구조
GB2466854A (en) Lintel with improved thermal efficiency
KR102190521B1 (ko) 스터드의 조립식 양방향 단열재 고정클립과 이의 시공방법
KR102421686B1 (ko) 탈거방지를 위한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JP4454813B2 (ja) ビルのカーテンウォール、その建造工法および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20020036692A (ko) 내차판넬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KR102551478B1 (ko) 화재 및 지진시 창틀의 원형을 보존시키는 보강 플레이트 구조체
KR102283312B1 (ko) 조립식 창호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