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960B1 -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960B1
KR101740960B1 KR1020160139954A KR20160139954A KR101740960B1 KR 101740960 B1 KR101740960 B1 KR 101740960B1 KR 1020160139954 A KR1020160139954 A KR 1020160139954A KR 20160139954 A KR20160139954 A KR 20160139954A KR 101740960 B1 KR101740960 B1 KR 101740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on wall
flood prevention
sealing member
support por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주
김균태
김민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to KR102016013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부력을 이용한 수방(水防)장치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받침부와 받침부에 설치된 지지부 사이, 상호 인접하는 지지부의 단부 사이, 지지부에 일측이 지지된 범람방지벽과 지지부 사이 및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 사이에 실링모듈이 설치되므로, 범람방지벽의 상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로 외측으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범람방지벽을 지지하는 제1브라켓이 범람방지벽과 함께 운동하므로, 홍수가 발생하면, 제1브라켓이 범람방지벽과 동일하게 운동된다. 그러면, 홍수 발생시, 제1브라켓은 상대적으로 상측인 수면측에 위치되므로, 물과 함께 흐르는 이물질에 의하여 제1브라켓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FLOOD DEFENCE APPARATUS USING BUOYANCY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하천의 수위가 저수위이면 범람방지벽이 수평상태가 되어 보도(步道)로 사용할 수 있고, 고수위이면 상승하면서 수직상태가 되어 물이 하천의 외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부력을 이용한 수방(水防)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변(河川邊)에는 제방이 설치되며, 제방은 홍수 등에 의하여 하천의 수위가 상승할 때, 물이 하천의 외측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이상 기후 등에 의하여 제방의 높이 보다 하천의 수위가 높아지는 일이 종종 발생함에 따라, 제방에 별도의 수방(水防)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방장치는 소정 높이를 가지며 지반에 대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물의 범람을 방지하는 범람(汎濫)방지벽을 포함한다. 그런데, 범람방지벽이 항상 기립되어 수직상태를 유지하면 조망권을 침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하천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범람방지벽 또는 일단부측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범람방지벽을 가지는 수방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천의 길이는 긴 반면, 범람방지벽의 길이는 하천의 길이 보다 짧으므로, 범람방지벽은 복수개가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그런데, 범람방지벽이 회전하는 수방장치의 경우, 범람방지벽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범람방지벽이 회전하여 수직상태가 되었을 때, 회전중심인 범람방지벽의 하면과 범람방지벽이 지지되는 지지부 사이 및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 사이 등이 실링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수방장치에는 범람방지벽이 수직상태가 되었을 때, 범람방지벽의 하면과 양측면측을 실링하는 수단이 없으므로, 범람방지벽의 하면과 양측면 측으로 물이 누설될 수 있다.
수방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14959호(2015년 07월 03일)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하천의 수위에 의하여 범람(汎濫)방지벽이 회전하여 수직상태가 되었을 때, 범람방지벽의 하면 및 범람방지벽의 양측면 외측을 통하여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는,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받침부; 하천의 길이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측에 일측면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하천의 수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받침부를 기준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거나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수평상태이면 상기 받침부의 외측에 위치되고, 수직상태이면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물이 하천의 외측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며,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극을 가지는 복수의 범람(汎濫)방지벽; 상기 범람방지벽에 각각 설치되고, 부력을 가지며, 하천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범람방지벽을 회전시키는 부력체(浮力體); 상기 부력체의 상승에 의하여 상기 범람방지벽이 회전하면서 수직상태로 될 때 또는 수직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 상기 범람방지벽과 상기 지지부 사이 및 상호 인접하는 상기 범람방지벽과 상기 범람방지벽 사이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의 시공방법은,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천변(河川邊)에 받침부를 형성하는 단계;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복수의 제1실링부재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실링부재에 복수의 지지부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보도판, 부력체(浮力體) 및 제1브라켓이 설치된 복수의 범람(汎濫)방지벽이 수위에 따라 회전하면서 수평상태 및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상기 범람방지벽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하되,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극을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상기 범람방지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를 설치하면서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제2실링부재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범람방지벽을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부와 상기 범람방지벽 사이 및 상호 인접하는 상기 범람방지벽과 상기 범람방지벽 사이에 제3실링부재 및 제4실링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받침부와 받침부에 설치된 지지부 사이, 상호 인접하는 지지부의 단부 사이, 지지부에 일측이 지지된 범람방지벽과 지지부 사이 및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 사이에 실링모듈이 설치되므로, 범람방지벽의 상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의 외측으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범람방지벽을 지지하는 제1브라켓이 범람방지벽과 함께 운동하므로, 홍수가 발생하면, 제1브라켓이 범람방지벽과 동일하게 운동된다. 그러면, 홍수 발생시, 제1브라켓은 상대적으로 상측인 수면측에 위치되므로, 물과 함께 흐르는 이물질에 의하여 제1브라켓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물의 흐름방향과 대향하는 부력체의 면이 범람방지벽에서 멀어질수록 부력체의 중심과 점점 더 가까워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물의 흐름방향과 대향하는 부력체의 면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항력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부력체 및 부력체가 설치된 범람방지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의 범람방지벽이 수평 상태인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의 범람방지벽이 수직 상태인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의 일부 제거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범람방지벽과 제1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A"부 및 도 2의 "B"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3의 "C"부 확대도.
도 7a는 도 2의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D"부 확대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보도판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의 시공방법을 보인 흐름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S100, S110, S120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결정하여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의 범람방지벽이 수평 상태인 것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의 범람방지벽이 수직 상태인 것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의 일부 제거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는, 하천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면서, 일측이 수평상태가 되어 보도(步道)로 사용되거나, 수직상태가 되어 물이 하천의 외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는 받침부(110), 보도부(步道部)(120), 지지부(130), 범람(汎濫)방지벽(141), 부력체(浮力體)(149), 난간(151) 및 실링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10)는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천 인근의 지반에 형성되거나, 하천변(河川邊)에 설치된 제방 등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양생된 콘크리트일 수 있다.
받침부(110)가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하천의 길이방향은 받침부(11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고, 하천의 폭방향은 받침부(110)의 폭방향과 대응됨은 당연하다.
보도부(120)는 받침부(1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받침기둥(121), 연결프레임(123)(도 8 참조) 및 보도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기둥(121)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신의 길이방향이 받침부(110)의 폭방향과 평행을 이루면서 설치될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받침기둥(121)과 다른 하나의 받침기둥(121)은 받침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연결프레임(123)(도 8 참조)은 받침기둥(121)의 상면에 결합되어 받침기둥(121)을 연결할 수 있고, 보도판(125)은 연결프레임(123)에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보도판(125)은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받침기둥(121)과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사각판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하는 상기 사각판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각판은 연결프레임(123)을 매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사각 형상의 지지기둥(131)과 지지기둥(131)의 하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결합편(1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받침부(110)의 상면 중, 하천과 인접하는 받침부(1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기둥(131)은 하천을 향하는 보도부(120)의 단부 전방에 위치되게 받침부(1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천을 향하는 지지기둥(131)의 일측면과 하천을 향하는 받침부(110)의 일측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기둥(131)은 받침부(110)의 길이방향을 향하면서 연속적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기둥(131)은 보도부(120)의 받침기둥(121)과 직교하는 형태로 받침기둥(121)의 단부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기둥(131)과 받침기둥(121)의 높이를 같게 형성한 경우, 연결프레임(123)을 매개로 보도판(125)이 지지기둥(13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보도판(125)이 더욱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합편(133)은, 체결부재(미도시) 및 소정의 강성(剛性)을 가지는 지지편(미도시) 등에 의하여, 받침부(110)에 결합되어, 지지기둥(131)의 하면이 받침부(110)에 밀착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범람방지벽(141)은 지지기둥(131)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하천의 길이는 길고, 중간 중간에 굴곡진 부위가 있으므로, 범람방지벽(141)의 길이를 하천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범람방지벽(141)은 복수개 마련되어 받침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범람방지벽(141)과 다른 하나의 범람방지벽(141)은 상호 간극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지지기둥(131)에 하나의 범람방지벽(14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지지기둥(131)과 범람방지벽(141)은 상호 대응되게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범람방지벽(141)은 지지기둥(131)과 인접하는 자신의 일측면이 지지기둥(131)에 지지되어 자신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범람방지벽(141)은, 하천의 수위에 따라 회전하면서, 받침부(110)를 기준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거나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범람방지벽(141)이 수평상태이면 받침부(110)의 외측 및 하천의 상측에 위치되고, 수직상태이면 받침부(1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범람방지벽(141)과 지지기둥(131) 사이에는 범람방지벽(141)을 지지기둥(13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범람방지벽(141)이 수평상태이면 보도(步道)로 사용될 수 있고, 수직상태이면 하천의 물이 하천의 외측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범람방지벽(141)이 수평상태에서 보도로 사용될 때, 범람방지벽(141)의 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범람방지벽(141)의 상면에는 연결프레임(142)(도 8 참조)을 매개로 보도판(143)(도 8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
범람방지벽(141)이 수평상태일 때, 하측을 향하는 범람방지벽(141)의 하면에는 제1브라켓(145)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브라켓(145)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범람방지벽과 제1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145)의 상면은 범람방지벽(141)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브라켓(145)은 범람방지벽(141)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브라켓(145)의 후면측은, 범람방지벽(141)이 수평상태일 때, 받침부(110)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범람방지벽(141)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홍수가 발생하면, 하천으로 다양한 이물질들이 유입되어 물과 함께 흘러간다. 이때, 제1브라켓(145)이 물속에 잠겨 있으면, 물과 함께 흐르는 이물질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다. 그런데, 제1브라켓(145)은 범람방지벽(141)과 함께 운동하므로, 홍수가 발생하면, 제1브라켓(145)은 범람방지벽(141)과 동일하게 회전하여 수직상태가 된다. 그러면, 홍수 발생시, 제1브라켓(145)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면측에 위치되므로, 상대적으로 이물질에 의한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물과 함께 흐르는 이물질에 의하여 제1브라켓(145)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복수의 범람방지벽(141)이 설치되어 각각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받침부(110)와 이격되어 하천을 향하는 범람방지벽(141)의 타단면들이 직선을 이루지 않고 들쑥날쑥하면 미관상 흉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는 복수의 범람방지벽(141)의 타단면들이 직선을 이룰수 있도록, 범람방지벽(141)과 제1브라켓(145)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브라켓(145)의 상면에는 복수의 관통공(145a)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재(146)는 관통공(145a)을 통과하여 범람방지벽(14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브라켓(145)이 범람방지벽(141)에 결합된다. 이때, 받침부(110)의 폭방향을 향하는 관통공(145a)의 직경은 체결부재(146)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공(145a)은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1브라켓(145)을 기준으로, 받침부(110)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범
람방지벽(141)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복수의 범람방지벽(141)의 타단면들이 직선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다.
부력체(149)는, 도 1 및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범람방지벽(141)이 수평상태인 경우를 기준으로, 범람방지벽(141)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부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하여, 부력체(149)는 하천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면서, 범람방지벽(141)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범람방지벽(14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천의 물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흐른다고 가정할 때, 부력체(149)의 좌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력체(149)의 좌측면은 범람방지벽(141)에서 멀어질수록 부력체(149)의 중심과 점점 더 가까워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물의 흐름방향과 대향하는 부력체(149)의 면에 작용하는 물의 흐름에 의한 항력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부력체(149) 및 부력체(149)가 설치된 범람방지벽(14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받침부(110)와 이격된 범람방지벽(141)의 타단부측에는 난간(151)이 설치될 수 있다. 난간(15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A"부 및 도 2의 "B"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151)은 하단부측이 범람방지벽(141)의 타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난간(151)은, 범람방지벽(141)이 수평상태이면 범람방지벽(141)과 수직을 이루면서 보행자가 하천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범람방지벽(141)이 수직상태이면 범람방지벽(14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범람방지벽(141)의 위치가 바뀜에 따라, 난간(151)이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브라켓(153) 및 턴버클(Turnbuckle)(155)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브라켓(153)은 받침부(11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로(153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턴버클(155)의 일단부는 난간(151)의 하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타단부는 지지로(153a)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턴버클(155)의 타단부는 지지로(153a)를 따라서 운동할 수 있다.
그리하여, 범람방지벽(141)이 회전하여 수직상태가 되면, 난간(151)도 상승한다. 그런데, 턴버클(155)의 타단부는 지지로(153a)를 따라서 상승 운동하다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로(153a)의 상단부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난간(151)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범람방지벽(141)의 상측에서 범람방지벽(141)과 대략 평행을 유지하는 것이다.
지지로(153a)의 길이와 경사 각도 및 턴버클(155)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범람방지벽(141)의 위치에 따라 난간(151)의 위치가 바뀌었을 때, 난간(151)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홍수 발생시,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면 부력체(149)가 상승한다. 그러면, 부력체(149)의 상승에 의하여 범람방지벽(141)은 일측면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수직상태가 된다. 범람방지벽(141)이 회전하여 수직상태로 될 때 또는 수직상태가 되었을 때, 범람방지벽(141)의 상측을 제외한 외측으로 물이 누설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는 받침부(110)의 상면과 지지부(130)의 하면 사이, 상호 인접하는 지지부(130)의 단부와 지지부(130)의 단부 사이, 범람방지벽(141)의 일측면과 지지기둥(131)의 일측면 사이 및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141)의 측면과 범람방지벽(141) 측면 사이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모듈에 대하여 도 3,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C"부 확대도이며, 도 7a는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D"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모듈은, 제1실링부재(171), 제2실링부재(173), 제3실링부재(175) 및 제4실링부재(17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부재(171)는 받침부(110)의 상면과 지지기둥(131) 및 결합편(133)을 포함하는 지지부(130) 사이에 개재되어 받침부(110)와 지지부(13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때, 각 지지부(130)와 받침부(110) 사이에 설치된 제1실링부재(171)의 단면(端面)은 상호 접촉할 수 있다. 즉, 상호 인접하는 제1실링부재(171)의 단면(端面)의 상호 접촉할 수 있다.
제2실링부재(173)는 상호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지지부(130)의 단부측 및 다른 하나의 지지부(130)의 단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실링부재(173)는 상호 인접하는 지지기둥(131)의 단부측 상면, 하천을 향하는 상호 인접하는 지지기둥(131)의 단부측 일측면 및 상호 인접하는 지지기둥(131) 및 결합편(133)의 단부측 하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호 인접하는 지지부(13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제3실링부재(175)는 일측은 범람방지벽(141)의 일측면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지지기둥(131)의 상면에 결합되어 범람방지벽(141)의 일측면과 지지기둥(131)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범람방지벽(141)은 수위에 따라 회전하면서 위치가 변하므로, 범람방지벽(141)에 결합된 제3실링부재(175)도 범람방지벽(141)에 의하여 미세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실링부재(175)는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3실링부재(175)는 범람방지벽(141)과 지지기둥(131)을 연결하는 기능도 한다. 그러므로, 범람방지벽(141)이 지지기둥(13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3실링부재(175)는 소정의 강성(强性)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기둥(131)과 범람방지벽(141)에 일측 및 타측이 결합된 제3실링부재(175)의 단면은 상호 접촉할 수 있다. 즉, 상호 인접하는 제3실링부재(175)의 단면(端面)의 상호 접촉할 수 있다.
제4실링부재(177)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된 범람방지벽(141)들 중,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141)과 범람방지벽(141)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141) 중, 어느 하나의 범람방지벽(141)의 상면에 제4실링부재(177)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범람방지벽(141)의 상면에 제4실링부재(177)의 타측이 결합될 수 있다.
각 범람방지벽(141)은 수위에 따라 회전하면서 독립적으로 위치가 변하므로,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141)에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된 제4실링부재(177)도 미세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4실링부재(177)도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4실링부재(177)는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141)과 범람방지벽(141)을 연결하는 기능도 하므로,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141)과 범람방지벽(141)이 설정된 범위 이상 이탈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强性)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기둥(131)을 향하는 제4실링부재(177)의 단면(端面)은 제3실링부재(175)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부(130)의 하면을 감싸는 제2실링부재(173) 부위는 지지부(130)와 제1실링부재(171)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지지기둥(131)의 상면을 감싸는 제2실링부재(173) 부위는 지지기둥(131)과 제3실링부재(175)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기둥(131)의 상면을 감싸는 제2실링부재(173)의 부위에는 범람방지벽(141)측으로 연장된 연장편(173a)이 형성되어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141)과 범람방지벽(14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연장편(173a)은 범람방지벽(141)과 제4실링부재(177)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미설명 부호 179는 제3실링부재(175) 및 제4실링부재(177)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제3실링부재(175) 및 제4실링부재(177)를 눌러서 지지하는 소정의 강성(剛性)을 가지는 지지편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보도판의 저면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범람방지벽(141)(도 1 참조)과 보도부(120) 사이에 지지부(130)(도 3 참조)가 설치되므로, 보도부(120)의 보도판(125)과 범람방지벽(141)에 설치된 보도판(143)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한다. 그러면, 보도부(120)의 보도판(125)과 범람방지벽(141)의 보도판(143)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도부(120)의 보도판(125)과 범람방지벽(141)의 보도판(143) 사이의 간격은 경첩(144)에 의하여 덮힐 수 있다.
그런데, 범람방지벽(141)은, 수위에 따라 회전하면서,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위치가 변하므로, 범람방지벽(141)의 보도판(143)로 범람방지벽(141)과 함께 그 위치가 변한다. 이로 인해, 경첩(144)의 일측 및 타측이 보도부(120)의 보도판(125) 및 범람방지벽(141)의 보도판(143)에 각각 결합되면, 경첩(144) 또는 보도판(125)(143)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첩(144)의 일측은 보도부(120)의 보도판(125)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위치되고, 타측은 범람방지벽(141)의 보도판(143)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범람방지벽(141)의 보도판(143)의 위치가 변경되어 경첩(144)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보도부(120)의 보도판(125)에 위치된 경첩(144)의 일측 부위는 보도부(120)의 보도판(125)을 따라 유동할 수 있으므로, 경첩(144) 또는 보도판(125)(143)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범람방지벽(141)의 보도판(143)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경첩(144)의 일측 부위가 보도부(120)의 보도판(125)측에 항상 위치될 수 있도록, 경첩(144)의 일측 부위의 폭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의 시공방법을 도 3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의 시공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는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천변(河川邊)에 받침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받침부(110)는 지반 또는 하천변에 설치된 제방 등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앵커볼트 및 철판을 시공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20)에서는 받침부(110)의 상면에 제1실링부재(171)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제1실링부재(171)는 하천의 길이방향인 받침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실링부재(171)는 하천을 향하는 받침부(110)의 일측면과 접하는 받침부(110)의 상면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 단계(S130)에서는 제1실링부재(171)의 상면에 지지기둥(131)과 결합편(133)을 가지는 지지부(13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지지부(130)도 받침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그리고, 단계(S140)에서는 지지부(130)를 설치하면서 상호 인접하는 지지부(130)와 지지부(130)사이에 제2실링부재(173) 각각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홍수시,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여도, 받침부(110)와 지지부(130) 사이 및 상호 인접하는 지지부(130)와 지지부(130) 사이로 물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50)에서는 수위에 따라 범람방지벽(141)이 회전하면서 수평상태 및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범람방지벽(141)의 일측면을 지지부(1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범람방지벽(141)은 받침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극을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범람방지벽(141)에는 보도판(143), 제1브라켓(145) 및 부력체(149)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60)에서는, 제1브라켓(145)을 기준으로, 받침부(110)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범람방지벽(141)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범람방지벽(141)들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였을 때, 범람방지벽(141)들의 타단면이 대략 일직선이 이루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70)에서는 지지부(130)와 범람방지벽(141) 사이 및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141)과 범람방지벽(141) 사이에 제3실링부재(175) 및 제4실링부재(177)를 각각 설치하여, 지지부(130)와 범람방지벽(141) 사이 및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141)과 범람방지벽(141)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그러면, 제1실링부재(171) 내지 제4실링부재(177)로 인하여, 범람방지벽(141)이 회전하여 수직상태가 되었을 때, 받침부(110)의 상면과 지지부(130)의 하면 사이, 상호 인접하는 지지부(130)의 단부와 지지부(130)의 단부 사이, 범람방지벽(141)과 지지부(130) 사이 및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141)과 범람방지벽(141) 사이가 실링된다.
단계(S140)에서 제2실링부재(173)를 설치할 때, 제2실링부재(173)는 상호 인접하는 지지부(130)의 단부측 상면, 하천을 향하는 상호 인접하는 지지부(130)의 단부측 일측면 및 상호 인접하는 지지부(130)의 단부측 하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30)의 상면을 감싸는 제2실링부재(173)의 부위에는 범람방지벽(141)측으로 연장된 연장편(173a)이 형성될 수 있다.
단계(S140)에서는 지지부(130)의 하면을 감싸는 제2실링부재(173) 부위를 지지부(130)와 제1실링부재(171) 사이에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계(S170)에서는 지지부(130)의 상면을 감싸는 제2실링부재(173) 부위는 지지부(130)와 제3실링부재(175) 사이에 개재하고, 연장편(173a)은 범람방지벽(141)과 제4실링부재(177) 사이에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그후, 단계(S180)에서는 받침부(110)와 이격된 범람방지벽(141)의 단부측에 난간(151)의 하단부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한 다음, 단계(S190)에서는 받침부(110)의 상면에 보도부(步道部)(1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보도부(120)는 지지부(130)를 사이에 두고 범람방지벽(141)과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80)와 단계(S190)는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단계(S190)에서 보도부(120)를 설치한 다음, 보도부(120)와 범람방지벽(141)에 설치된 보도판(143) 사이의 간격을 경첩(144)으로 덮을 수 있다. 이때, 범람방지벽(141)에 설치된 보도판(143)은 범람방지벽(141)과 함께 위치가 변하므로, 보도부(120)에 위치되는 경첩(144)의 부위는 보도부(120)에 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도판(143)을 범람방지벽(141)에 결합하기 전에, 경첩(144)을 보도판(143)에 결합할 수 있고, 보도판(143)을 범람방지벽(141)에 결합한 후, 경첩(144)을 보도판(143)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받침부(110)의 상면과 지지부(130)의 하면 사이, 상호 인접하는 지지부(130)의 단부와 지지부(130)의 단부 사이, 범람방지벽(141)과 지지기둥(131) 사이 및 상호 인접하는 범람방지벽(141)과 범람방지벽(141) 사이에 상기 실링모듈이 설치되므로, 범람방지벽(141)이 수직상태일 때, 범람방지벽(141)의 상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로 물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범람방지벽(141)을 지지하는 제1브라켓(145)이 범람방지벽(141)과 함께 운동하므로, 홍수가 발생하면, 제1브라켓(145)이 범람방지벽(141)과 동일하게 운동된다. 그러면, 홍수 발생시, 제1브라켓(145)은 상대적으로 상측인 수면측에 위치되므로, 물과 함께 흐르는 이물질에 의하여 제1브라켓(145)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물의 흐름방향과 대향하는 부력체(149)의 면이 범람방지벽(141)에서 멀어질수록 부력체(149)의 중심과 점점 더 가까워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물의 흐름방향과 대향하는 부력체(149)의 면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항력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부력체(149) 및 부력체(149)가 설치된 범람방지벽(141)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받침부
120: 보도부
130: 지지부
141: 범람방지벽
171, 173, 175, 177: 제1실링부재 내지 제4실링부재

Claims (15)

  1.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받침부;
    하천의 길이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측에 일측면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하천의 수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받침부를 기준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거나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수평상태이면 상기 받침부의 외측에 위치되고, 수직상태이면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물이 하천의 외측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며,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극을 가지는 복수의 범람(汎濫)방지벽;
    상기 범람방지벽에 각각 설치되고, 부력을 가지며, 하천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범람방지벽을 회전시키는 부력체(浮力體);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측 상면과 하천을 향하는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측 일측면 및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측 하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 일측은 상기 범람방지벽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범람방지벽과 상기 지지부 사이를 실링하는 탄성을 가진 제3실링부재, 상호 인접하는 상기 범람방지벽 중 일측은 어느 하나의 상기 범람방지벽에 결합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상기 범람방지벽에 결합되어 상호 인접하는 상기 범람방지벽 사이를 실링하는 탄성을 가진 제4실링부재를 가지는 실링모듈을 포함하며,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제1실링부재의 단면(端面)의 상호 접촉하고,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제3실링부재의 단면(端面)은 상호 접촉하며,
    상기 지지부를 향하는 상기 제4실링부재의 단면(端面)은 상기 제3실링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감싸는 상기 제2실링부재의 부위에는 상기 범람방지벽측으로 연장된 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면을 감싸는 제2실링부재 부위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1실링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감싸는 제2실링부재 부위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3실링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연장편은 상기 범람방지벽과 상기 제4실링부재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범람방지벽과 대향하는 형태로 보도부(步道部)가 설치되고,
    상기 범람방지벽에는 보도판(步道板)이 설치되어 상기 범람방지벽과 함께 운동하며,
    상기 보도부와 상기 범람방지벽의 상기 보도판 사이의 간격은 경첩에 의하여 덮히고,
    상기 경첩의 일측은 상기 보도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범람방지벽의 상기 보도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람방지벽에는 제1브라켓이 설치되어 상기 범람방지벽과 함께 운동하고,
    상기 제1브라켓은 일측은 상기 받침부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범람방지벽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1브라켓을 상기 범람방지벽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천의 폭방향을 향하는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체결부재의 직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이격된 상기 범람방지벽의 타단부측에는 난간의 하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되고,
    상기 범람방지벽이 수평상태이면 상기 난간은 상기 범람방지벽과 수직을 이루고, 상기 범람방지벽이 수직상태이면 상기 난간은 상기 범람방지벽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난간에는 턴버클(Turnbuckle)의 일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받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턴버클의 타단부측이 걸려서 지지되는 지지로가 형성된 제2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난간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턴버클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로를 따라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하천의 물의 흐름방향과 대향하는 상기 부력체의 면은 상기 범람방지벽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부력체의 중심과 점점 더 가까워지는 형태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장치.
  10.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천변(河川邊)에 받침부를 형성하는 단계;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복수의 제1실링부재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실링부재에 복수의 지지부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보도판, 부력체(浮力體) 및 제1브라켓이 설치된 복수의 범람(汎濫)방지벽이 수위에 따라 회전하면서 수평상태 및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상기 범람방지벽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하되, 하천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극을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상기 범람방지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를 설치하면서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제2실링부재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범람방지벽을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부와 상기 범람방지벽 사이 및 상호 인접하는 상기 범람방지벽과 상기 범람방지벽 사이에 제3실링부재 및 제4실링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측 상면, 하천을 향하는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측 일측면 및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측 하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감싸는 상기 제2실링부재의 부위에는 상기 범람방지벽측으로 연장된 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면을 감싸는 제2실링부재 부위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1실링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감싸는 제2실링부재 부위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3실링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연장편은 상기 범람방지벽과 상기 제4실링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장치의 시공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실링부재를 설치하기 전, 상기 제1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하천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범람방지벽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장치의 시공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상기 범람방지벽과 대향하는 형태로 보도부(步道部)를 설치하고,
    상기 보도부와 상기 범람방지벽의 상기 보도판 사이의 간격을 경첩으로 덮는 단계를 더 수행하며,
    상기 경첩의 일측은 상기 보도부에 비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범람방지벽의 상기 보도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장치의 시공방법.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이격된 상기 범람방지벽의 단부측에 난간의 하단부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장치의 시공방법.
KR1020160139954A 2016-10-26 2016-10-26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40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954A KR101740960B1 (ko) 2016-10-26 2016-10-26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954A KR101740960B1 (ko) 2016-10-26 2016-10-26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960B1 true KR101740960B1 (ko) 2017-05-29

Family

ID=5905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954A KR101740960B1 (ko) 2016-10-26 2016-10-26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3615A (zh) * 2022-09-03 2022-10-25 浙江钱塘江海塘物业管理有限公司 海塘防浪墙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69B1 (ko) * 2008-06-13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1176067B1 (ko) * 2012-02-16 2012-08-24 주식회사 건화 경관개선용 홍수방지 무빙월
KR101514959B1 (ko) * 2014-05-19 2015-07-03 (주)에스엔비 침수방지용 홍수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69B1 (ko) * 2008-06-13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1176067B1 (ko) * 2012-02-16 2012-08-24 주식회사 건화 경관개선용 홍수방지 무빙월
KR101514959B1 (ko) * 2014-05-19 2015-07-03 (주)에스엔비 침수방지용 홍수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3615A (zh) * 2022-09-03 2022-10-25 浙江钱塘江海塘物业管理有限公司 海塘防浪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233615B (zh) * 2022-09-03 2024-03-29 浙江钱塘江海塘物业管理有限公司 海塘防浪墙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144B1 (ko) 홍수범람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40152B1 (ko)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KR100941698B1 (ko) 펜스용 힌지
KR101998105B1 (ko)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871417B1 (ko) 자동 전도 난간
KR101740960B1 (ko)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865369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1306937B1 (ko) 접이식 월류 방지 구조물
KR100885260B1 (ko) 자동 전도 난간
KR101313668B1 (ko) 3방향 폐쇄형 차수판
KR101176060B1 (ko)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KR101514959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KR102158274B1 (ko)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39671B1 (ko)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JP2007239321A (ja) 水制工及びその設置構造
KR101306019B1 (ko) 월류 방지 구조물 및 그의 설치 방법
JP2017141601A (ja) 防水装置及び防水方法
GB2450875A (en) Flood prevention barrier incorporating a float member
KR101610070B1 (ko) 급속시공이 가능한 투과형 사방댐
KR101103051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200388963Y1 (ko) 교량 점검용 자켓
KR101514949B1 (ko) 플로팅 월
KR20200113567A (ko)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84173B1 (ko) 교량 점검용 자켓
JP6318384B2 (ja) 遮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