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260B1 - 자동 전도 난간 - Google Patents

자동 전도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260B1
KR100885260B1 KR1020080114959A KR20080114959A KR100885260B1 KR 100885260 B1 KR100885260 B1 KR 100885260B1 KR 1020080114959 A KR1020080114959 A KR 1020080114959A KR 20080114959 A KR20080114959 A KR 20080114959A KR 100885260 B1 KR100885260 B1 KR 10088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oint
holding rod
weigh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광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to KR102008011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등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전도 및 기립되는 자동 전도 난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결합하는 결합부와 제1, 2 힌지축을 형성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제1 힌지축에 결합하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제1 힌지홈과, 상기 제1 힌지홈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으로 이루어진 제2 힌지홈을 형성한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 사이에 형성된 가드레일과; 상기 지주봉의 하측에 형성된 웨이트와; 상기 지주봉의 하측에 형성된 각각의 웨이트 사이에 형성된 부력체;로 이루어진 자동 전도 난간을 제공함으로써, 수위에 따라 지주봉이 자동 전도 및 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천유하물에 대한 오염 및 난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2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힌지부와 상기 제1, 2 힌지축에 결합되는 지주봉의 제1, 2 힌지홈에 의해 수직 승하강과 회전시 가이드 역할을 하여 단순한 구성으로 인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보다 안정적인 자동 전도 및 기립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R1020080114959
자동 전도, 자동 기립, 범람

Description

자동 전도 난간{Automatic fall down railing}
본 발명은 하천 등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전도 및 기립되는 자동 전도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위에 따라 지주봉이 자동 전도 및 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천유하물에 대한 오염 및 난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2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힌지부와 상기 제1, 2 힌지축에 결합되는 지주봉의 제1, 2 힌지홈에 의해 수직 승하강과 회전시 가이드 역할을 하여 단순한 구성으로 인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보다 안정적인 자동 전도 및 기립을 할 수 있는 자동 전도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교량에는 보행자나 차량 주행시 교량 밖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지주봉과 가드레일로 이루어진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난간은 하천의 물 수위가 상승하여 물이 범람하였을 때에 나뭇가지, 가옥의 파편, 자동차 파손물 등 각종 부유물이 하천 상류에서 하류로 떠내려 가는 경우가 발생하곤 하는데, 이러한 부유물이 난간에 걸리게 되면 난간이 훼손됨은 물론 이로 인해 범람하는 물의 수위를 상승시켜, 2차 피해를 유발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10-2008-0042691호를 제안 바 있다.
상기 종래의 자동 전도 난간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c) 바닥에 고정설치된 힌지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으로 상기 힌지부(110)에 결합하는 장공형태의 힌지홀(123)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가드레일(124)을 형성한 다수의 지주봉(120)이 구성되어, 힌지부(110)를 중심축으로 하여 지주봉(120)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지주봉(120)의 하측으로는 웨이트(130)가 형성되어, 평상시에 지주봉(120)이 자력으로 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웨이트(130) 사이에 부력체(140)가 형성되어 수위가 올라갔을 때에 부력체(140)에 의해 지주봉(120)이 상승할 수 있게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평상시에 사람이나 차량 등이 가드레일(124)에 부딪혔을 때에 콘크리트(c)에 지주봉(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c)에는 고리걸이(103)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걸이(103)에 의해 지주봉(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주봉(120) 하측에 결합된 웨이트(130)에 상기 고리걸이(103)와 대응하는 고리(10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 전도 난간(100)은 평상시에는 콘크리트(c)에 형성된 고리걸이(103)와 웨이트(130)에 형성된 고리(104)에 의해 지주봉(120)이 콘크리트(c)에 고정되어 있다가, 수위가 올라가 부력체(140)에 의해 지주봉(120)이 상승하게 되면, 고리걸이(103)에 고리(104)가 이탈하여 지주봉(120)의 고정이 해제됨과 동시에 힌지부(110)와 장공 형태의 힌지홀(123)을 기준으로 지주봉(120)이 범람하는 물에 의해 자동으로 전도될 수 있도록 작용을 하며,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웨이트(130)에 의해 지주봉(120)이 전도되었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자동 기립됨과 동시에 콘크리트(c)에 형성된 고리걸이(103)에 지주봉(120)의 고리(104)가 결합되어 지주봉(1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 전도 난간(100)은 콘크리트(c)에 결합된 고리걸이(103)와 웨이트(130)에 형성된 고리(104)를 이용하여 콘크리트(c)에 지주봉(120)을 흔들림 없이 고정하기 위해서는 지주봉(120)이 흔들리지 않을 정도의 공차를 형성하여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지주봉(120)이 흔들리지 않을 정도의 공차로 이루어진 형성된 고리걸이(103) 및 고리(104)는 최초에 설치 되었을 때에는 고정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지만, 수위가 상승하여 자동으로 전도된 후 수위가 하강하여 지주봉(120)이 자동기립될 때에 고리걸이(103) 및 고리(104)의 공차가 작기 때문에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인력을 동원하여 지주봉(120)을 기립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리형태로 이루어진 고리걸이(103) 및 고리(104)가 물의 범람으로 인해 전도된 후 상류측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이 끼어 있을 경우에는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아울러, 물의 범람시 지주봉(120)이 자동으로 전도 및 기립하기 위해서는 힌지부(110)를 축으로 하여 지주봉(120)이 회전하여야 하지만, 힌지부(110)가 한개의 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회전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져 전도 및 기립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노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은 콘크리트 구조물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결합하는 결합부와 제1, 2 힌지축을 형성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제1 힌지축에 결합하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제1 힌지홈과, 상기 제1 힌지홈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으로 이루어진 제2 힌지홈을 형성한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 사이에 형성된 가드레일과; 상기 지주봉의 하측에 형성된 웨이트와; 상기 지주봉의 하측에 형성된 각각의 웨이트 사이에 형성된 부력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의 지주봉에 형성된 제1 힌지홈은 제1포인트와 제2포인트를 잇는 직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 힌지홈은 제3포인트와 제4포인트를 잇는 직선구간과, 제4포인트와 제5 포인트를 잇는 곡선구간으로 이루어지되, 제1, 2 포인트와 3, 4포인트 및 제 2, 4포인트와 제2, 5 포인트는 각각 동일한 이격거리로 이루어져, 물의 범람시 지주봉이 상승하여 제2 포인트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은 제1, 2 힌지홈의 제1, 2, 3, 4, 5 포인트의 외곽이 라운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의 웨이트 무게는 지주봉에 형성된 제1 힌지홈의 제2 포인트를 기준으로 지주봉에 형성된 가드레일 부분보다 더 무겁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은 수위에 따라 지주봉이 자동 전도 및 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천유하물에 대한 오염 및 난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2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힌지부와 상기 제1, 2 힌지축에 결합되는 지주봉의 제1, 2 힌지홈에 의해 수직 승하강과 회전시 가이드 역할을 하여 단순한 구성으로 인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보다 안정적인 자동 전도 및 기립을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0)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상측에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11)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으로는 동일한 크기의 제1, 2 힌지축(12, 13)이 구성된다.
또한, 지주봉(20)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힌지부(10)의 제1, 2 힌지축(12, 13)에 가동 및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2 힌지홈(21, 22)이 구성된다.
상기 제1 힌지홈(21)은 제1포인트(P1)와 제2포인트(P2)를 잇는 직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2 힌지홈(22)은 제3포인트(P3)와 제4포인트(P4)를 잇는 직선구간(D)과 제4포인트(P4)와 제5포인트(P5)를 잇는 곡선구간(R)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포인트(P1, P2)와 제3, 4포인트(P3, P4)는 동일한 이격 거리(d1)을 형성하고, 제2, 4포인트(P2, P4)와 제2, 5포인트(P2, P5)도 동일한 이격거리(d2)를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포인트(P1, P2, P3, P4, P5)의 외곽은 라운드(r)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주봉(20) 사이에는 상측으로 가드레일(G)이 구성되고, 하측으로는 웨이트(30)가 구성되며, 상기 웨이트(30) 사이에는 부력체(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웨이트(30)는 지주봉(20)에 형성된 제1 힌지홈(21)의 제2 포인트(P2)를 기준으로 지주봉(20)에 형성된 가드레일(G) 부분에서 작용하는 모우멘트보다 더 모우멘트가 크게 작용하도록 웨이트(30)의 무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50)은 평상시에는 지주봉(20)에 형성된 제1 힌지홈(21)의 제1포인트(P1)에 콘크리트 구조물(c)에 결합되어 있는 힌지부(10)의 제1 힌지축(12)이 위치하고 있고, 제2 힌지홈(22)의 제3포인트(P3) 위치에는 힌지부(10)의 제2 힌지축(13)이 위치하여, 지주봉(20)이 웨이트(30)의 무게에 의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물의 범람으로 인해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도 7에서와 같이 물의 수위 상승에 따라 부력체(40)에 의해 지주봉(20)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최초 힌지부(10)의 제1, 2 힌지축(12, 13)이 위치하였던 지주봉(20)에 제1, 2 힌지홈(21, 22)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제1, 2 힌지홈(21, 22)의 제2포 인트(P2) 및 제4포인트(P4) 위치에 힌지부(10)의 제1, 2 힌지축(12, 13)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하천 등의 물의 흐름 방향이 콘크리트 구조물(c)이 있는 방향으로 흐를 경우, 지주봉(20) 및 가드레일(G)이 수압을 받게 된다.
그러던 중 상기 수압이 웨이트(30)의 무게보다 더 큰 힘으로 작용하게 되면, 지주봉(20)에 형성된 제1 힌지홈(21)의 제2포인트(P2)에 위치한 힌지부(10)의 제1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하여, 힌지부(10)의 제2 힌지축(13)과 지주봉(20)에 형성된 제2 힌지홈(22)의 곡선구간(R)에 의해 지주봉(20)이 가이드 되면서 회전함으로써 자동 전도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자동 전도된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50)은 수위가 점차 내려감에 따라, 도 8에서와 같이 자동 전도되는 과정의 역순으로 기립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 기립과정에서는 지주봉(20)에 형성된 제1 힌지홈(21)의 제2포인트(P2)를 기준으로 지주봉(20)에 형성된 가드레일(G) 부분에서 작용하는 모우멘트보다 더 모우멘트가 크게 작용하도록 웨이트(30)의 무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력체(40)가 수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다시 말해, 수위가 부력체(4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내려가게 되면 자동으로 기립되어 진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함을 명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전도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도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C방향에서 지주봉을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도 난간의 자동 전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도 난간의 자동 기립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코크리트 구조물 D : 직선구간
d1, d2 : 이격거리 G : 가드레일
R : 곡선구간 r : 라운드
P1 : 제1 포인트 P2 : 제2 포인트
P3 : 제3 포인트 P4 : 제4 포인트
P5 : 제5 포인트 10 : 힌지부
11 : 결합부 12 : 제1 힌지축
13 : 제2 힌지축 20 : 지주봉
21 : 제1 힌지홈 22 : 제2 힌지홈
30 : 웨이트 40 : 부력체
50 : 자동 전도 난간

Claims (4)

  1. 콘크리트 구조물(c)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과 결합하는 결합부(11)와 제1, 2 힌지축(12, 13)을 형성한 힌지부(10);
    상기 힌지부(10)의 제1 힌지축(12)에 결합하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제1 힌지홈(21)과, 상기 제1 힌지홈(21)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직선구간(D)과 곡선구간(R)으로 이루어진 제2 힌지홈(22)을 형성한 지주봉(20);
    상기 지주봉(20) 사이에 형성된 가드레일(G);
    상기 지주봉(20)의 하측에 형성된 웨이트(30);
    상기 지주봉(20)의 하측에 형성된 각각의 웨이트(30) 사이에 형성된 부력체(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 전도 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20)의 제1 힌지홈(21)은 제1포인트(P1)와 제2포인트(P2)를 잇는 직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 힌지홈(22)은 제3포인트(P3)와 제4포인트(P4)를 잇는 직선구간(D)과, 제4포인트(P4)와 제5포인트(P5)를 잇는 곡선구간(R)으로 이루어지되, 제1, 2포인트(P1, P2)와 3, 4포인트(P3, P4) 및 제 2, 4포인트(P3, P4)와 제2, 5 포인트(P2, P5)는 각각 동일한 이격거리(d1, d2)로 이루어져, 물의 범람시 지주봉이 상승하여 제2포인트(P2)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 전도 난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힌지홈의 제1, 2, 3, 4, 5포인트(P1, P2, P3, P4, P5)의 외곽은 라운드(r)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 전도 난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30)는 지주봉(20)에 형성된 제1 힌지홈(21)의 제2 포인트(P2)를 기준으로 지주봉(20)에 형성된 가드레일(G) 부분에서 작용하는 모우멘트보다 더 모우멘트가 크게 작용하도록 웨이트의 무게를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 전도 난간.
KR1020080114959A 2008-11-19 2008-11-19 자동 전도 난간 KR10088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959A KR100885260B1 (ko) 2008-11-19 2008-11-19 자동 전도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959A KR100885260B1 (ko) 2008-11-19 2008-11-19 자동 전도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260B1 true KR100885260B1 (ko) 2009-02-23

Family

ID=4068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959A KR100885260B1 (ko) 2008-11-19 2008-11-19 자동 전도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2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23B1 (ko) 2009-06-22 2010-01-14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자동난간
KR100937480B1 (ko) 2009-07-23 2010-01-20 주식회사 건화 자동난간
KR101016771B1 (ko) 2008-12-16 2011-02-2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하천 자동 난간
KR101028110B1 (ko) 2010-10-26 2011-04-08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무빙가드
KR101083318B1 (ko) 2011-03-25 2011-11-15 최석헌 자동난간
KR101818065B1 (ko) 2017-10-12 2018-01-12 주식회사 로드텍 투신 방지용 난간 휀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073Y1 (ko) 2004-04-21 2004-07-22 주식회사 누리플랜 난간지주의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073Y1 (ko) 2004-04-21 2004-07-22 주식회사 누리플랜 난간지주의 지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71B1 (ko) 2008-12-16 2011-02-2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하천 자동 난간
KR100936723B1 (ko) 2009-06-22 2010-01-14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자동난간
KR100937480B1 (ko) 2009-07-23 2010-01-20 주식회사 건화 자동난간
KR101028110B1 (ko) 2010-10-26 2011-04-08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무빙가드
KR101083318B1 (ko) 2011-03-25 2011-11-15 최석헌 자동난간
KR101818065B1 (ko) 2017-10-12 2018-01-12 주식회사 로드텍 투신 방지용 난간 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260B1 (ko) 자동 전도 난간
KR100871417B1 (ko) 자동 전도 난간
KR100931597B1 (ko) 하천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가동되는 하천자동난간
KR100912949B1 (ko) 수위에 따른 각도조절식 난간장치
KR20110049515A (ko) 도복형 교량난간
CN105862697B (zh) 浮动式亲水平台结构
KR100879398B1 (ko) 자동 전도 난간
CN104074172A (zh) 水利闸站闸门升降定位止水装置
KR100936723B1 (ko) 자동난간
KR20120032785A (ko) 부력식 자동도복난간
KR101016771B1 (ko) 친환경 하천 자동 난간
KR101028110B1 (ko) 무빙가드
CN205776136U (zh) 浮动式亲水平台结构
KR101168006B1 (ko)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KR200369719Y1 (ko) 침수 대비용 교량난간 조립체
CN109469013B (zh) 生态化河道挡墙
KR20200136248A (ko) 유희시설을 구비한 사장교의 시공방법
KR101299481B1 (ko) 부유식 교량
KR101402763B1 (ko) 수상시설용 롤링피칭 감쇠장치
KR101675221B1 (ko) 부력을 이용한 안전 자동 난간
KR101165417B1 (ko) 부유체에 연결가능한 부교형 육교
KR101383740B1 (ko) 자동으로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KR101044604B1 (ko) 부력 및 회전을 이용한 이물질 걸림방지용 난간
CN212427041U (zh) 一种开闭式亲水平台
KR101005536B1 (ko) 하천 자동 전도식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