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398B1 - 자동 전도 난간 - Google Patents

자동 전도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398B1
KR100879398B1 KR1020080098266A KR20080098266A KR100879398B1 KR 100879398 B1 KR100879398 B1 KR 100879398B1 KR 1020080098266 A KR1020080098266 A KR 1020080098266A KR 20080098266 A KR20080098266 A KR 20080098266A KR 100879398 B1 KR100879398 B1 KR 100879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le
holding rod
hinge shaf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filed Critical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Priority to KR1020080098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전도 난간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결합하는 결합부와 힌지축을 형성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이 고정결합하되 상측으로 형성된 고정홀과 하측으로 힌지축이 가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동홀로 이루어진 힌지홀을 하측에 형성하고, 일측으로 다수의 가드레일과 결합하는 다수의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의 하측에 형성된 웨이트와; 상기 지주봉들의 하측에 형성된 각각의 웨이트 사이에 형성된 부력체;로 이루어진 자동 전도 난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위가 높지 않을 때에는 난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수위가 높아지면서 물이 범람할 때에는 지주봉이 상승한 후 자동으로 전도되도록 구성되어, 하천유하물에 대한 오염 및 난간의 파손을 방지하고, 수위가 낮아지면 다시 자동으로 기립될 수 있으며, 특히, 지주봉의 자동 전도 및 기립시 지주봉의 힌지홀과 힌지부의 힌지축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고정/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제작단가 및 자동 전도/기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동 전도, 자동 기립, 범람

Description

자동 전도 난간{Automatic fall down railing}
본 발명은 하천 등에 설치되어 수위가 올라가 물이 범람할 때에 자동으로 전도 및 기립되는 자동 전도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위가 높지 않을 때에는 난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수위가 높아지면서 물이 범람할 때에는 지주봉이 상승한 후 자동으로 전도되도록 구성되어, 하천유하물에 대한 오염 및 난간의 파손을 방지하고, 수위가 낮아지면 다시 자동으로 기립될 수 있으며, 특히, 지주봉의 자동 전도 및 기립시 지주봉의 힌지홀과 힌지부의 힌지축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고정/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제작단가 및 자동 전도/기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전도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교량에는 보행자나 차량 주행시 교량 밖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지주봉과 가드레일로 이루어진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난간은 하천의 물 수위가 상승하여 물이 범람하였을 때에 나뭇가지, 가옥의 파편, 자동차 파손물 등 각종 부유물이 하천 상류에서 하류로 떠내려 가는 경우가 발생하곤 하는데, 이러한 부유물이 난간에 걸리게 되면 난간이 훼손됨은 물론 이로 인해 범람하는 물의 수위를 상승시켜, 2차 피해를 유발하는 상 황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10-2008-0042691호를 제안 바 있다.
상기 종래의 자동 전도 난간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c) 바닥에 고정설치된 힌지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으로 상기 힌지부(110)에 결합하는 장공형태의 힌지홀(123)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가드레일(124)을 형성한 다수의 지주봉(120)이 구성되어, 힌지부(110)를 중심축으로 하여 지주봉(120)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지주봉(120)의 하측으로는 웨이트(130)가 형성되어, 평상시에 지주봉(120)이 자력으로 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웨이트(130) 사이에 부력체(140)가 형성되어 수위가 올라갔을 때에 부력체(140)에 의해 지주봉(120)이 상승할 수 있게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평상시에 사람이나 차량 등이 가드레일(124)에 부딪혔을 때에 콘크리트(c)에 지주봉(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c)에는 고리걸이(103)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걸이(103)에 의해 지주봉(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주봉(120) 하측에 결합된 웨이트(130)에 상기 고리걸이(103)와 대응하는 고리(10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 전도 난간(100)은 평상시에는 콘크리트(c)에 형성된 고리걸이(103)와 웨이트(130)에 형성된 고리(104)에 의해 지주봉(120)이 콘크리트(c)에 고정되어 있다가, 수위가 올라가 부력체(140)에 의해 지 주봉(120)이 상승하게 되면, 고리걸이(103)에 고리(104)가 이탈하여 지주봉(120)의 고정이 해제됨과 동시에 힌지부(110)와 장공 형태의 힌지홀(123)을 기준으로 지주봉(120)이 범람하는 물에 의해 자동으로 전도될 수 있도록 작용을 하며,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웨이트(130)에 의해 지주봉(120)이 전도되었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자동 기립됨과 동시에 콘크리트(c)에 형성된 고리걸이(103)에 지주봉(120)의 고리(104)가 결합되어 지주봉(1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 전도 난간(100)은 콘크리트(c)에 결합된 고리걸이(103)와 웨이트(130)에 형성된 고리(104)를 이용하여 콘크리트(c)에 지주봉(120)을 흔들림 없이 고정하기 위해서는 지주봉(120)이 흔들리지 않을 정도의 공차를 형성하여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지주봉(120)이 흔들리지 않을 정도의 공차로 이루어진 형성된 고리걸이(103) 및 고리(104)는 최초에 설치 되었을 때에는 고정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지만, 수위가 상승하여 자동으로 전도된 후 수위가 하강하여 지주봉(120)이 자동기립될 때에 고리걸이(103) 및 고리(104)의 공차가 작기 때문에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인력을 동원하여 지주봉(120)을 기립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리형태로 이루어진 고리걸이(103) 및 고리(104)가 물의 범람으로 인해 전도된 후 상류측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이 끼어 있을 경우에는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은 콘크리트 구조물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결합하는 결합부와 힌지축을 형성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이 고정결합하되 상측으로 형성된 고정홀과 하측으로 힌지축이 가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동홀로 이루어진 힌지홀을 하측에 형성하고, 일측으로 다수의 가드레일과 결합하는 다수의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의 하측에 형성된 웨이트와; 상기 지주봉들의 하측에 형성된 각각의 웨이트 사이에 형성된 부력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은 힌지부의 힌지축은 각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은 지주봉에 형성된 힌지홀의 고정홀은 힌지축과 동일형상으로 형성하고, 가동홀은 물의 범람으로 수위가 올라가 부력체에 의해 지주봉이 상승하여 힌지축이 가동홀에 위치하였을 때에, 힌지축을 기준으로 지주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축보다 큰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은 웨이트의 무게는 지주봉에 형성된 힌지홀의 가동홀을 기준으로 가드레일이 형성된 지주봉보다 더 무겁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은 수위가 높지 않을 때에는 난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수위가 높아지면서 물이 범람할 때에는 지주봉이 상승한 후 자동으로 전도되도록 구성되어, 하천유하물에 대한 오염 및 난간의 파손을 방지하고, 수위가 낮아지면 다시 자동으로 기립될 수 있으며, 특히, 지주봉의 자동 전도 및 기립시 지주봉의 힌지홀과 힌지부의 힌지축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고정/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제작단가 및 자동 전도/기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0)는 결합부(11)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와 통상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11)가 형성된 타측으로는 힌지축(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힌지축(12)은 사각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각진 형태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지주봉(20)은 하측으로 상기 힌지부(10)의 힌지축(12)과 결합하는 힌지홀(23)을 구성하고 있으며, 일측으로는 가드레일(24)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12)은 상측의 고정홀(21)과 하측의 고정홀(22)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홀(21)은 상기 힌지부(10)의 힌지축(12)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홀(21)에 힌지축(12)이 위치하였을 때에 지주봉(20)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홀(21)은 물의 범람으로 인해 수위가 올라가 지주봉(20)이 상승하여 힌지홀(23)의 고정홀(21)에 힌지축(12)이 배치되었을 때에, 범람하는 물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전도될 수 있도록 힌지축(12)보다 크기가 더 크게 형성하도록 하며, 이때에 본 발명에서는 고정홀(21)의 형상을 원형으로 예시를 하였으나, 힌지축(12)을 중심으로 지주봉(20)이 회전할 때에 무리가 없을 정도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한편, 웨이트(30)는 상기 지주봉(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지주봉(20)의 자력에 의해 지주봉(20)이 전도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이 수위가 상승하여 자동으로 전도된 후 수위가 낮아졌을 때에 자력으로 지주봉(20)이 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웨이트(30)의 무게는 지주봉(20)에 형성된 힌지홀(23)의 가동홀(22)을 기준으로 지주봉(20)의 가드레일(24)이 형성된 부분보다 더 무겁도록 형성하여, 지주봉(20)이 전도되어 있을 때에 웨이트(30)의 무게에 의해 자력으로 지주봉(20)이 기립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봉(20)들에 형성된 각각의 웨이트(30) 사이에는 부력체(40)가 구성된다.
상기 부력체(4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물의 수위가 올라갔을 때에, 물에 뜰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 전도 난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자동 안전 난간(50)은 평상시에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결합되어 있는 힌지부(10)의 힌지축(12)이 지주봉(20)의 힌지홀(23)에 형성된 힌지축(12)과 동일하게 각진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홀(21)에 의해 기립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하천이나 둔치등에 형성하여 사람이 하천으로 빠지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러다가, 강수량이 많을 때에나 태풍과 같이 하천의 수위가 상승할 때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물의 수위가 올라가는 만큼 부력체(40)에 의해 지주봉(20)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의 수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지주봉(20)의 힌지홀(23) 중 가동홀(22)의 위치가 힌지부(10)의 힌지축(12)이 형성된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지주봉(20)은 고정이 해제되어 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가드레일(24)을 포함하는 지주봉(20)이 물의 힘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c)이 있는 방향으로 전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주봉(20)의 하측에 형성된 부력체(40)를 상승시키던 물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되면, 지주봉(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30)의 무게에 의해 지주봉(20)이 서서히 기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주봉(20)이 서서히 기립하는 과정에서 일정각도까지 지주봉(20)이 기립하게 되면, 지주봉(20) 및 상기 지주봉(20)에 형성된 힌지홀(23)이 서서히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주봉(20)에 형성된 힌지홀(23)의 고정홀(21)에 힌지부(10)의 힌지축(12)이 결합하게 되면서 자동으로 기립하는 과정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것은 본 발명에 속하는 당업자 사이에서는 당연한 것임을 밝혀둔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전도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도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도 난간의 전도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도 난간의 자동 기립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콘크리트 구조물 10 : 힌지부
11 : 결합부 12 : 힌지축
20 : 지주봉 21 : 고정홀
22 : 가동홀 23 : 힌지홀
24 : 가드레일 30 : 웨이트
40 : 부력체 50 : 자동 전도 난간

Claims (4)

  1. 콘크리트 구조물(c)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과 결합하는 결합부(11)와 힌지축(12)을 형성한 힌지부(10);
    상기 힌지부(10)의 힌지축(12)이 고정결합하되 상측으로 형성된 고정홀(21)과 하측으로 힌지축(12)이 가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동홀(22)로 이루어진 힌지홀(23)을 하측에 형성하고, 일측으로 다수의 가드레일(24)과 결합하는 다수의 지주봉(20);
    상기 지주봉(20)의 하측에 형성된 웨이트(30);
    상기 지주봉(20)들의 하측에 형성된 각각의 웨이트(30) 사이에 형성된 부력체(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 전도 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0)의 힌지축(12)은 각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 전도 난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20)에 형성된 힌지홀(23)의 고정홀(21)은 힌지축(12)과 동일형상으로 형성하고, 가동홀(22)은 물의 범람으로 수위가 올라가 부력체(40)에 의해 지주봉(20)이 상승하여 힌지축(12)이 가동홀(22)에 위치하였을 때에, 힌지축(12)을 기준으로 지주봉(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축(12)보다 큰 크기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 전도 난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30)의 무게는 지주봉(20)에 형성된 힌지홀(23)의 가동홀(22)을 기준으로 가드레일(24)이 형성된 지주봉(20)보다 더 무겁도록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 전도 난간.
KR1020080098266A 2008-10-07 2008-10-07 자동 전도 난간 KR100879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266A KR100879398B1 (ko) 2008-10-07 2008-10-07 자동 전도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266A KR100879398B1 (ko) 2008-10-07 2008-10-07 자동 전도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398B1 true KR100879398B1 (ko) 2009-01-21

Family

ID=4048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266A KR100879398B1 (ko) 2008-10-07 2008-10-07 자동 전도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3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80B1 (ko) 2009-07-23 2010-01-20 주식회사 건화 자동난간
CN105421270A (zh) * 2015-12-25 2016-03-23 辽宁科技学院 一种埋置式可调车道防护栏杆
CN114961415A (zh) * 2022-05-17 2022-08-30 国网甘肃省电力公司 一种带警报系统的防误入安全围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478Y1 (ko) 1996-10-07 1999-08-02 한상관 자동수문
KR200333778Y1 (ko) 2003-08-14 2003-11-17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잠수 교량의 양방향 꺽임 난간구조
KR100831623B1 (ko) 2008-02-29 2008-05-27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접이식 난간 및 원형거더를 구비한 가설교량
KR100865369B1 (ko) 2008-06-13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478Y1 (ko) 1996-10-07 1999-08-02 한상관 자동수문
KR200333778Y1 (ko) 2003-08-14 2003-11-17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잠수 교량의 양방향 꺽임 난간구조
KR100831623B1 (ko) 2008-02-29 2008-05-27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접이식 난간 및 원형거더를 구비한 가설교량
KR100865369B1 (ko) 2008-06-13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80B1 (ko) 2009-07-23 2010-01-20 주식회사 건화 자동난간
CN105421270A (zh) * 2015-12-25 2016-03-23 辽宁科技学院 一种埋置式可调车道防护栏杆
CN114961415A (zh) * 2022-05-17 2022-08-30 国网甘肃省电力公司 一种带警报系统的防误入安全围栏
CN114961415B (zh) * 2022-05-17 2023-08-01 国网甘肃省电力公司 一种带警报系统的防误入安全围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417B1 (ko) 자동 전도 난간
KR100885260B1 (ko) 자동 전도 난간
KR100912949B1 (ko) 수위에 따른 각도조절식 난간장치
KR100879398B1 (ko) 자동 전도 난간
KR101709274B1 (ko)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IT201900017105A1 (it) Macchinario per il recupero e la rimozione di rifiuti o detriti galleggianti da corsi d’acqua
KR101555362B1 (ko) 부유 구조물
KR20120032785A (ko) 부력식 자동도복난간
KR101220902B1 (ko)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KR101016771B1 (ko) 친환경 하천 자동 난간
KR100936723B1 (ko) 자동난간
KR20090118682A (ko) 조립식 부교 유닛
KR200429494Y1 (ko) 조립식 수영장
KR101675221B1 (ko) 부력을 이용한 안전 자동 난간
CN109469013B (zh) 生态化河道挡墙
KR101248063B1 (ko) 부양형 야외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KR101511689B1 (ko)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
KR101402763B1 (ko) 수상시설용 롤링피칭 감쇠장치
KR100925550B1 (ko) 자동난간
KR200369719Y1 (ko) 침수 대비용 교량난간 조립체
KR100937480B1 (ko) 자동난간
KR101044604B1 (ko) 부력 및 회전을 이용한 이물질 걸림방지용 난간
KR101168006B1 (ko)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JP5869059B2 (ja) 防潮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