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550B1 - 자동난간 - Google Patents

자동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550B1
KR100925550B1 KR1020090041302A KR20090041302A KR100925550B1 KR 100925550 B1 KR100925550 B1 KR 100925550B1 KR 1020090041302 A KR1020090041302 A KR 1020090041302A KR 20090041302 A KR20090041302 A KR 20090041302A KR 100925550 B1 KR100925550 B1 KR 100925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andrail
railing
bracket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계운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수환경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수환경,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수환경
Priority to KR102009004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되는 자동난간에 관한 것으로, 교량에 형성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에 결합하는 제1 힌지로 이루어진 제1 힌지부와; 교량에 형성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에 결합하는 제2 힌지로 이루어진 제2 힌지부와; 상기 제1 힌지부의 제1 힌지에 결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1 힌지홈을 형성한 지주와,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형성되는 가드레일로 구성된 난간부와; 상기 제2 힌지부의 제2 힌지에 결합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2 힌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힌지홈의 하측으로는 부력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힌지홈을 중심으로 교량 반대 방향으로는 난간부에 형성된 지주의 바닥면과 맞닿는 수평부재와 난간부에 형성된 지주의 제1 측면과 맞닿는 수직부재로 구성된 걸림부를 형성한 난간부 걸림장치;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기립되어 추락방지 역할을 수행하다가 하천범람시에는 난간부를 고정하고 있는 난간부 고정장치가 해제되어 난간부가 전도됨으로써, 난간부의 파손 및 부유물에 의한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난간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난간부 고정장치에 형성된 부력부의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하여도 충분히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제작단가 및 난간부의 중량을 무겁게 제작하더라도 충분히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며, 난간부에 형성된 탄성부재에 의해 난간부의 전도시 난간부의 파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교량용 안전난간을 제공한다.
교량, 난간, 전도, 기립

Description

자동난간{Automatic railing}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하는 자동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기립되어 추락방지 역할을 수행하다가 하천범람시에는 난간부를 고정하고 있는 난간부 고정장치가 해제되어 난간부가 전도됨으로써, 난간부의 파손 및 부유물에 의한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난간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난간부 고정장치에 형성된 부력부의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하여도 충분히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제작단가 및 난간부의 중량을 무겁게 제작하더라도 충분히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며, 난간부에 형성된 탄성부재에 의해 난간부의 전도시 난간부의 파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교량용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둔치나 교량에는 차량 및 보행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복수의 지주 및 가드레일로 이루어진 난간이 설치된다.
이러한, 난간은 고정 구조물 또는 조립체의 형태로 둔치나 교량 위에 설치된다.
이 중, 교량에 이용하는 난간은 차량과의 충돌시 차량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 해 중량이 무거운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난간은 하천의 범람시 교량이 침수될 때, 하천의 유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되어 난간이 파손이 발생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으며, 특히, 유수에 포함되어 있는 나뭇가지, 가옥 파손물, 자동차 파손물 등과 같은 부유물이 난간에 걸림으로써, 2차 파손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 범람 이후 하천이 평상수위를 유지한 상태에서는 부유물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노동력 및 그에 따른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교량의 침수시 난간이 전도되는 자동난간이 제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전도 난간(100)을 도시한 것으로, 지주봉(120)과 상기 지주봉(120) 사이의 가드레일(G)을 구비하고, 상기 지주봉(120)과 가드레일(G)이 회전할 수 있는 힌지부(110)를 형성하며, 상기 지주봉(120)의 하측에 웨이트(130) 및 부력체(140)를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웨이트(130) 및 힌지부(110)의 고정에 의해 지주봉(120) 및 가드레일(G)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하천의 수위 상승에 의해 하천이 범람할 경우, 부력체(140)에 의해 지주봉(120) 및 가드레일(G)이 상승하여, 힌지부(110)에서 회전이 이루어져 자동으로 전도될 수 있도록 하고,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웨이트(130)의 무게에 의해 힌지부(110)를 중심으로 자동으로 지주봉(120) 및 가이드레일(G)이 기립 되도록 구성하였다.
미설명 부호는 콘크리트 부재(c)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안전 자동 난간(100)은 지주봉(120) 하측에 형성된 웨이트(130)의 중량이 무거워야만 지주봉(120)과 가드레일(G)이 기립상태를 유지 및 전도된 이후 자동으로 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웨이트(1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부력체(140)가 지주봉(120) 및 가드레일(G)을 직접 상승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또한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가드레일(G) 및 지주봉(120)을 가벼운 중량으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차량이 소통하는 교량에 적용하여 차량의 추락방지를 위한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난간은 교량에 형성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에 결합하는 제1 힌지로 이루어진 제1 힌지부와; 교량에 형성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에 결합하는 제2 힌지로 이루어진 제2 힌지부와; 상기 제1 힌지부의 제1 힌지에 결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1 힌지홈을 형성한 지주와,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형성되는 가드레일로 구성된 난간부와; 상기 제2 힌지부의 제2 힌지에 결합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2 힌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힌지홈의 하측으로는 부력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힌지홈을 중심으로 교량 반대 방향으로는 난간부에 형성된 지주의 바닥면과 맞닿는 수평부재와 난간부에 형성된 지주의 제1 측면과 맞닿는 수직부재로 구성된 걸림부를 형성한 난간부 걸림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난간은 난간부에 형성된 지주의 제2 측면 하측으로 제1 곡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난간의 난간부에 형성된 지주의 제2 측면의 상단에는 탄성부재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난간에 형성된 난간부 걸림장치의 부력부는 걸림부 보다 무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난간에 형성된 난간부 걸림장치의 부력부의 일측은 제2 힌지부의 제2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제2 곡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난간은 중량이 큰 차량방호용이나 다지인이 복잡한 곳에 적용되어, 하천의 수위가 낮을 때에는 추락방지 역할을 수행하다가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하천에 의해 침수가 될 때에는 난간부를 고정하고 있는 난간부 걸림장치의 부력부에 의해 난간부의 고정을 해제시켜 난간부가 자동으로 전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난간부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무거운 중량의 난간부를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난간부 걸림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난간부 걸림장치의 부력부를 소형으로 제작하여도 난간부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원활히 이루어져 제작단가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난간부의 제2 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탄성부재에 의해 난간부가 전도될때 난간부의 파손율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하천의 범람이 발생하였을 때, 유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에 의한 난간의 파손 및 부유물이 난간에 걸려서 발생하는 2차적인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이 또한, 난간의 파손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하천의 범람 이후에 하천 수위가 낮아졌을 때 난간에 오염물이 들러 붙지않도록 하여 2차적인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부(10)는 교량(B)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브라켓(11)과, 상기 제1 브라켓(11)에 결합하는 제1 힌지(12)로 구성된다.
또한, 제2 힌지부(20)는 교량(B)에 형성되는 제2 브라켓(21)과 상기 제2 브라켓(21)에 결합하는 제2 힌지(22)로 구성된다.
그리고 난간부(30)는 상기 제1 힌지부(10)의 제1 힌지(11)에 결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1 힌지홈(31)을 형성한 지주(32)와, 상기 지주(3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가드레일(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난간부(30)의 지주(32)와 가드레일(33)은 차량낙하방지를 위해 무거운 중량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난간부 걸림장치(40)는 상기 제2 힌지부(20)의 제2 힌지(22)에 결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2 힌지홈(4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힌지홈(41)의 하측으로는 내부가 비워져 있어 부력체 역할을 하는 부력부(42)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힌지홈(41)을 중심으로 교량(B) 반대 방향으로는 난간부(30)의 지주(32) 바닥면(32a)과 맞닿는 수평부재(43)와 난간부에 형성된 지주(32)의 제1 측면(32b)과 맞닿는 수직부재(44)로 구성된 걸림부(45)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난간부(30)에 형성된 지주(32)의 제2 측면(32c) 하측으로는 난간부 걸림장치(40)에 형성된 부력부(42)의 제2 곡면(R2)과 대응하여, 난간부(30)의 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곡면(R1)을 더 형성함이 바림직하다.
또한, 상기 난간부 걸림장치(40)의 부력부(42)는 걸림부(45)보다 더 무겁게 형성하여 평상 수위시 부력부(42)가 하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난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힌지부(10) 및 제2 힌지부(20)의 제1,2 브라켓(11, 21)을 교량(B)에 통상의 결합방법인 볼트(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상기 제1 힌지부(10)의 제1 브라켓(11)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힌지(12)와 난간부(30)의 지주(32)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힌지홈(31)을 결합한다.
그런 후, 난간부(30)의 지주(32) 사이에 가드레일(33)을 결합하여 난간 부(30)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난간부(30)의 결합이 완성되면, 교량(B)에 결합되어 있는 제2 힌지부(20)의 제2 힌지(22)를 난간부 걸림장치(40)의 제2 힌지홈(41)에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시공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자동난간(50)은 도 4의 (a)에서와 같이 평상시에는 난간부(30)가 난간부 걸림장치(40)에 의해 교량(B)에 고정된 상태로 기립되어 있다가, 하천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난간부 걸림장치(40)의 부력부(42)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도 4의 (b)에서와 같이 제2 힌지부(20)의 제2 힌지(22)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난간부(30)의 지주(32)의 바닥면(32a)과 제1 측면(32b)을 지지고정하고 있던 난간부 걸림장치(40)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재(43) 및 수직부재(44)로 이루어진 걸림부(45)도 회전하면서, 난간부(30)의 지주(32)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난간부(3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난간부 걸림장치(40)는 지속적인 수위상승에 의해 지속적으로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난간부(30)는 수위 상승 및 유수의 흐름에 의해 교량(B) 방향으로 전도된다.
이때에, 본 발명에서는 난간부(30)의 전도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4의 (c)에서와 같이 난간부(30)에 형성된 지주(32)의 제2 측면(32c) 하측에 형성된 제1 곡면(R1)과, 상기 제1 곡면(R1) 대응하는 난간부 걸림장치(40)의 부력부(42) 일측에 형성된 제2 곡면(R2)이 난간부(30)의 지주(32)에 형성된 제1 곡면(R1)과 맞닿으면서, 지주(32)가 교량(B) 방향으로 전도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 곡면(R1, R2)의 반경을 동일하게 형성하게 되면, 제1, 2 곡면(R1, R2)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더욱 원활히 난간부(30)의 전도를 유도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수위가 본 발명의 자동난간(50)을 완전히 덮을 정도의 수위까지 상승하게 되면, 도 4의 (d)에서와 같이 난간부(30)가 완전히 전도되며, 특히, 난간부(30)의 지주(32)의 제2 측면(32c) 상판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c)에 의해 난간부(30)에 형성된 지주(32)의 파손율을 줄이면서 전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난간부(30)의 전도시 범람한 유수에 의해 난간부(30)의 파손이 생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c)를 설치할 경우 더욱 파손율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천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인력을 동원하여 상기 전도된 난간부(30)를 기립시킴으로써, 하천 범람시 유수에 의한 난간부(30)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유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에 의한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인력 및 그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전도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난간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난간이 수위 상승에 따라 자동전도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교량 C : 탄성부재
R1 : 제1 곡면 R2 : 제2 곡면
10 : 제1 힌지부 11 : 제1 브라켓
12 : 제1 힌지 20 : 제2 힌지부
21 : 제2 브라켓 22 : 제2 힌지
30 : 난간부 31 : 제1 힌지홈
32 : 지주 32a : 바닥면
32b : 제1 측면 32c : 제2 측면
40 : 난간부 걸림장치 41 : 제2 힌지홈
42 : 부력부 43 : 수평부재
44 : 수직부재 45 : 걸림부
50 : 자동난간

Claims (5)

  1. 교량(B)에 형성되는 제1 브라켓(11)과 상기 제1 브라켓(11)에 결합하는 제1 힌지(12)로 이루어진 제1 힌지부(10);
    교량(B)에 형성되는 제2 브라켓(21)과 상기 제2 브라켓(21)에 결합하는 제2 힌지(22)로 이루어진 제2 힌지부(20);
    상기 제1 힌지부(10)의 제1 힌지(11)에 결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1 힌지홈(31)을 형성한 지주(32)와, 상기 지주(32)와 지주(32) 사이에 형성되는 가드레일(33)로 구성된 난간부(30);
    상기 제2 힌지부(20)의 제2 힌지(22)에 결합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2 힌지홈(41)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힌지홈(41)의 하측으로는 부력부(42)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힌지홈(41)을 중심으로 교량(B) 반대 방향으로는 난간부(30)의 지주(32) 바닥면(32a)과 맞닿는 수평부재(43)와 난간부(30)에 형성된 지주의 제1 측면(32b)과 맞닿는 수직부재(44)로 구성된 걸림부(45)를 형성한 난간부 걸림장치(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30)에 형성된 지주(32)의 제2 측면(32c) 하측으로 제1 곡면(R1)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난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30)에 형성된 지주(32)의 제2 측면(32c)의 상 단에는 탄성부재(C)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난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 걸림장치(40)의 부력부(42)는 걸림부(45) 보다 무겁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난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 걸림장치(40)의 부력부(42)의 일측은 제2 힌지부(20)의 제2 힌지(22)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2 곡면(R2)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용 난간.
KR1020090041302A 2009-05-12 2009-05-12 자동난간 KR100925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02A KR100925550B1 (ko) 2009-05-12 2009-05-12 자동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02A KR100925550B1 (ko) 2009-05-12 2009-05-12 자동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550B1 true KR100925550B1 (ko) 2009-11-05

Family

ID=4156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302A KR100925550B1 (ko) 2009-05-12 2009-05-12 자동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21B1 (ko) * 2009-11-05 2012-03-12 김종식 도복형 교량난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988A (ja) * 2000-11-08 2002-05-22 Sekisui Plastics Co Ltd 手摺り
KR200428875Y1 (ko) 2006-08-01 2006-10-16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접이식 점검대
KR100862894B1 (ko) 2008-04-18 2008-10-13 (주)중동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
KR100871417B1 (ko) 2008-05-08 2008-12-03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자동 전도 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988A (ja) * 2000-11-08 2002-05-22 Sekisui Plastics Co Ltd 手摺り
KR200428875Y1 (ko) 2006-08-01 2006-10-16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접이식 점검대
KR100862894B1 (ko) 2008-04-18 2008-10-13 (주)중동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
KR100871417B1 (ko) 2008-05-08 2008-12-03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자동 전도 난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21B1 (ko) * 2009-11-05 2012-03-12 김종식 도복형 교량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417B1 (ko) 자동 전도 난간
KR101118521B1 (ko) 도복형 교량난간
KR101343849B1 (ko) 진동 저감형 교량용 가설인도
KR101342135B1 (ko) 유동형 안전난간
KR100885260B1 (ko) 자동 전도 난간
KR100912949B1 (ko) 수위에 따른 각도조절식 난간장치
CN109518590B (zh) 一种悬索式跨河浮桥
CN105862697B (zh) 浮动式亲水平台结构
KR20120032785A (ko) 부력식 자동도복난간
KR100925550B1 (ko) 자동난간
US2949703A (en) Prefabricated step unit
CN109138471A (zh) 一种钢平台井道的防护平台及其施工方法
KR20160069706A (ko) 부력교량난간
KR100936723B1 (ko) 자동난간
KR100879398B1 (ko) 자동 전도 난간
KR200418413Y1 (ko) 접이식 안전펜스
KR101168006B1 (ko)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CN109469013B (zh) 生态化河道挡墙
KR102316280B1 (ko) 교량 주탑 내부 리프트 비상용 사다리
KR100937480B1 (ko) 자동난간
KR20100069061A (ko) 친환경 하천 자동 난간
KR101044604B1 (ko) 부력 및 회전을 이용한 이물질 걸림방지용 난간
KR20100034374A (ko) 절첩 구조를 가진 교량난간지주
KR101655120B1 (ko) 자동 전도식 난간
KR200333778Y1 (ko) 잠수 교량의 양방향 꺽임 난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