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006B1 -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 Google Patents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006B1
KR101168006B1 KR1020120036516A KR20120036516A KR101168006B1 KR 101168006 B1 KR101168006 B1 KR 101168006B1 KR 1020120036516 A KR1020120036516 A KR 1020120036516A KR 20120036516 A KR20120036516 A KR 20120036516A KR 101168006 B1 KR101168006 B1 KR 101168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uoyancy
handrail
weigh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렬
고수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비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비, 주식회사 이산 filed Critical (주)에스엔비
Priority to KR102012003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수위시에는 난간부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수위상승시에는 자동으로 전도할 수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에 관한 것으로, 교량상판 또는 지면 상측면에 고정결합하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천이 형성된 반대방향의 측면으로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물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양 측면으로는 힌지가 결합하는 제1 힌지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 결합홈의 하측으로는 직선형태로 이루어진 안내구간과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내구간으로 구성된 부력부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부력부 안내홈에 결합하는 한쌍의 부력부 축과 상기 부력부 축 사이에 형성되는 부력체로 구성된 부력부와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형성되되, 제2 힌지 결합홈의 하측으로는 부력부 이동홈을 형성하며, 부력부 이동홈 하측으로는 웨이트 결합홈을 형성한 한쌍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가드레일로 구성된 난간부와; 상기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난간부의 지주에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 결합홈에 고정결합하되 내측으로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 상측으로 웨이트 보다 작은 부피로 이루어진 공간부로 구성된 웨이트부;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웨이트부를 한쌍의 지주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지주의 변형을 방지해 난간부의 기립 및 전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케이스의 물 이동공간을 이물질이 유입하지 않도록 하천과 맞닿는 반대방향에만 형성하여 난간부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웨이트부에 공간부를 형성해 수위상승시 웨이트부가 부력에 의해 가벼워져 난간부의 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난간부의 가드레일에 결합하는 파이프 캡에 중공홀을 형성해 난간부 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Fall down railing}
본 발명은 평상수위시에는 난간부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수위상승시에는 자동으로 전도할 수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웨이트부를 한쌍의 지주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지주의 변형을 방지해 난간부의 기립 및 전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케이스의 물 이동공간을 이물질이 유입하지 않도록 하천과 맞닿는 반대방향에만 형성하여 난간부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웨이트부에 공간부를 형성해 수위상승시 웨이트부가 부력에 의해 가벼워져 난간부의 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난간부의 가드레일에 결합하는 파이프 캡에 중공홀을 형성해 난간부 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교량에는 보행자나 차량이 교량 밖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지주 및 가드레일로 이루어진 난간이 설치된다.
이러한, 난간은 하천범람시 하천수에 나뭇가지나 가옥의 파편 등의 각종 부유물이 하천 상류에서 하류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지주 및 가드레일이 고정되어 있어 이러한 부유물이 난간에 걸리게 되어 난간을 훼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특히, 상기와 같이 부유물이 난간에 걸려 있을 경우 하천수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작용하여 수위상승에 따른 2차 피해를 유발하는 상황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10-0931597호(하천자동난간)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하천자동난간(200)은 내측에 수납공간(112)을 형성하고, 양 측면으로는 케이스 홈(113)이 형성되며, 하천이 형성된 방향으로 수납공간(112)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입홈(116)을 포함하는 케이스(110)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10)의 수납공간(112)에는 부력체(121)와 축(122)로 이루어진 부력부(12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력부(120)의 축(122)이 결합하는 난간부홈(131)을 형성한 다수의 지주(132)와 지주(132) 사이에 형성된 가드레일(133)로 구성된 난간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난간부(130)의 지주(132) 하측에는 웨이트(134)를 결합하여 난간부(130)의 상측에서 발생하는 모우멘트보다 하측에서 발생하는 모우멘트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평상수위시에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수위상승시에는 부력부(120)의 상승에 의해 난간부(130)가 전도되도록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위가 내려가게 되면 난간부(130)가 자동으로 기립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의 하천자동난간(200)은 케이스(110)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홈(116)이 하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천범람시 하천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케이스(110)의 수납공간(112)으로 유입되어 난간부(130)의 전도 및 기립을 방해함으로써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난간부(130)의 전도 및 기립시 난간부(130)의 지주(132)에 형성되어 있는 무게추(134)의 무게에 의해 지주(132)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난간부(130)의 전도 및 기립 작동이 불능상태가 되는 경우가 잦았으며, 특히, 각각의 지주(132)에 무게추(134)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난간부(130)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주(132)이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난간부(130)의 지주(132)는 케이스(110) 양측면에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지주(132)와 케이스(110)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거나 보행자 또는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 및 오물들이 삽입되는 등의 현상에 의해 작동불능뿐만 아니라 파손이 잦아 하천범람시 제대로 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난간부(130)의 가드레일(133)은 통상 중공형태의 것을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이때에,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가드레일(133) 양 끝단에 캡을 씌우는게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 캡의 대부분이 가드레일(133)의 내부를 막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하천범람시 전도되는 난간부(130)의 가드레일(133)이 전도되는 과정에서 가드레일(133)이 부력체 역할을 수행하여 완전히 난간부(130)가 전도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은 교량상판 또는 지면 상측면에 고정결합하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천이 형성된 반대방향의 측면으로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물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양 측면으로는 힌지가 결합하는 제1 힌지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 결합홈의 하측으로는 직선형태로 이루어진 안내구간과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구간으로 구성된 부력부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부력부 안내홈에 결합하는 한쌍의 부력부 축과 상기 부력부 축 사이에 형성되는 부력체로 구성된 부력부와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형성되되, 제2 힌지 결합홈의 하측으로는 부력부 이동홈을 형성하며, 부력부 이동홈 하측으로는 웨이트 결합홈을 형성한 한쌍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가드레일로 구성된 난간부와; 상기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난간부의 지주에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 결합홈에 고정결합하되 내측으로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 상측으로 웨이트 보다 작은 부피로 이루어진 공간부로 구성된 웨이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에 형성된 부력부 안내홈의 하측에는 부력부의 부력부 축이 결합할 수 있도록 개방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케이스의 양 측면에는 난간부에 형성된 지주의 전도 및 기립시 지주가 더 이상 전도되지 않도록 스토퍼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난간부의 지주 하측에는 지주의 하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에 결합하는 보조 케이스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난간부의 가드레일의 양 끝단에는 홈 형태로 형성된 파이프 결합부와 상기 파이프 결합부 내측으로 중공홀이 형성된 파이프 캡이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웨이트부를 난간부의 지주 사이에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난간부의 전도가 이루어질 때에 한쌍의 지주가 웨이트부를 지지하고 있는 형태로 작용하여 지주가 웨이브부에 의한 비틀림 응력 발생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중 하천이 형성된 반대방향으로만 물 이동공간이 형성되어 하천수위 상승시 하천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난간부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트부 중 웨이트를 하단에 형성해 무게중심점이 하단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난간부의 상측보다 하측부분의 모우멘트가 더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난간부의 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한다.
또한, 웨이트부에 공간부를 형성해 수위상승시 웨이트부에서도 부력이 발생하도록 작용하여 난간부 하측의 모우멘트가 더 작용하더라도 전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난간부에 형성된 중공형태의 가드레일 양 끝단을 마감하는 파이프 캡에 중공홀을 형성해 난간부의 전도시 가드레일 내측으로 물이 유입할 수 있도록 하여 수위상승에 따른 난간부의 전도시 힌지를 중심으로 난간부 상측의 모우멘트가 더 작용하도록 하여 전도 및 전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아울러, 케이스에 형성된 스토퍼를 통해 기립 및 전도시 난간부의 지주를 지지하여 안정적인 전도 및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하천자동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웨이트부를 단면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난간부의 지주 전도시 스토퍼의 작용을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교량상판이나 지면의 상측면(C)에 고정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단부는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수납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 중 하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반대편 면에는 물 이동공간(12)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양 측면에는 힌지(H)가 결합하기 위한 제1 힌지 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힌지 결합홈(13)의 하측에는 직선구간으로 이루어진 고정구간(14a)과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내구간(14b)으로 구성된 부력부 안내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부 안내홈(14)의 고정구간(14a)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구성하고, 안내구간(14b)은 제1 힌지 결합홈(1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부력부 안내홈(14)의 고정구간(14a) 하측에는 개방홈(15)을 더 형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부력부(20)는 상기 케이스(10)의 수납공간(11)에 배치되어 있으며, 케이스(10)의 부력부 안내홈(14)에 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부력부 축(21)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력부 축(21) 사이에는 부력이 발생할 수 있는 부력체(22)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난간부(50)는 지주(30)와 가드레일(40)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30)는 한쌍이 한조로 이루어져 케이스(10) 외측 양 측면에 배치되어 케이스(10)의 제1 힌지 결합홈(13)에 결합하는 힌지(H)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힌지 결합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힌지 결합홈(33)의 하측에는 부력부(20)의 부력부 축(21)이 결합할 수 있는 부력부 이동홈(34)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력부 이동홈(34)의 하측에는 웨이트 결합홈(35)이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가 비워져 있는 중공형태로 형성된 가드레일(40)은 한쌍의 지주(30) 사이에 배치되어 지주(30)에 고정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가드레일(40)의 양 끝단에는 파이프 캡(80)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이프 캡(80)은 전체적으로 가드레일(4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가드레일(40) 끝단을 마감 처리할 수 있도록 가드레일(40) 끝단에 결합하는 홈 형태의 파이프 결합부(81)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측에는 가드레일(40) 내부가 차단되지 않도록 중공홀(8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웨이트부(60)는 상기 난간부(50)의 지주(30)에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 결합홈(35)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웨이트(61)와 공간부(6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웨이트(61)와 공간부(62)의 비율은 웨이트(61)가 차지하는 부피가 공간부(62)의 부피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웨이트부(60)의 웨이트(61)는 하천의 수위가 낮아 평상수위를 유지할 때에 힌지(H)를 중심으로 난간부(50)의 상측에서 발생하는 모우멘트보다 힌지(H) 하측에서 발생하는 모우멘트가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도록 무게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케이스(40)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난간부(50)의 지주(30)가 기립 또는 전도된 상태였을 때에 더 이상 지주(3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스토퍼(S)가 더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보조 케이스(70)가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케이스(70)는 난간부(50)의 지주(30) 하측의 구성요소들을 보호가 위한 구성으로 상측 및 측면에 난간부(50)에 형성된 지주(30)의 전도 및 기립시 작동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간섭방지홈(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100)은 평상수위일 때에는 난간부(50)가 기립된 상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난간부(50)의 지주(30)에 형성된 부력부 이동홈(34)과 케이스(10)에 형성된 부력부 안내홈(14)의 직선형태로 이루어진 고정구간(14a)에 결합한 부력부(20)의 부력부 축(21)이 고정되어 난간부(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웨이트부(60)에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61)가 힌지(H)를 중심으로 난간부(50)의 상측보다 하측에서 발생하는 모우멘트가 더 크게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웨이트부(60)는 상단부로는 공간부(62)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로는 웨이트(6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형성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난간부(50)의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40) 중 제1 힌지 결합홈(13), 부력부 안내홈(14)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스토퍼(S)를 형성하여 난간부(50)의 지주(30)를 받치는 형태도 작용해 더욱 안정적으로 난간부(50)의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작용한다.
한편,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본 발명의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100)은 부력부(20)의 상승에 의해 난간부(50)가 전도되도록 작동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부력부(20)의 부력체(22)는 하천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부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수위상승에 의해 부력부(20)가 상승하게 되면 난간부(50)의 지주(30)에 형성되어 있는 세로방향으로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부력부 이동홈(34)과 케이스(10)의 부력부 안내홈(14)에 형성되어 있는 세로 방향으로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고정구간(14a)에서 부력부(20)의 부력부 축(21)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상측으로 이동한 부력부(20)의 부력부 축(21)은 케이스(10)의 안내홈(14) 중 고정구간(14a)과 안내구간(14b)의 경계에 위치하게 되어 난간부(50)의 지주(30)를 고정하고 있던 고정력이 해제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웨이트부(60)의 웨이트(61)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난간부(50)의 상측보다 하측에서 발생하는 모우멘트가 더 커서 자연적으로 전도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웨이트부(60)는 부력부(20)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특히, 웨이트부(60)에는 공간부(62)가 형성되어 수위상승시 웨이트부(60)에서도 부력이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웨이트(62)의 중량이 더 가벼워지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힌지(H)를 중심으로 난간부(50)의 상측에서 발생하는 모우멘트가 하측에서 발생하는 모우멘트보다 더 크게 작용하게 되어 난간부(50)가 전도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부력부(20)가 부력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고정력을 발생하고 있던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웨이트부(60)의 부력에 의한 상승에 의해 난간부(50)의 전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난간부(50)의 전도가 이루어지게 되면, 난간부(50)의 지주(30)와 케이스(10)의 부력부 안내홈(14)에 형성된 고정구간(14a)에 결합되어 있던 부력부(20)의 부력부 축(21)은 케이스(10)의 부력부 안내홈(14)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구간(14b)을 통해 지주(3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부력부(20)에 형성된 부력체(22)의 상승하는 작용이 난간부(50)가 전도되는 작용을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웨이트부(60)에 부력작용을 하는 공간부(62)가 형성되어 수위 상승시 웨이트부(60)의 웨이트(61)의 중량에 의해 발생하는 모우멘트가 평상시의 모우멘트보다 작은 값을 형성하기 때문에 난간부(50)의 전도시 지주(30)에 작용하는 힘이 작아지게 되어 지주(3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특히, 상기 웨이트부(60)는 웨이트부(60) 양 끝단이 지주(30)에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평상시 난간부(50)의 지주(30)가 기립된 상태 또는 수위상승에 따라 난간부(50)의 전도가 이루어지더라도 지주(30)가 구조적으로 비틀림 응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난간부(50)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10) 중 하천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방향에만 물 이동공간(12)이 형성되어 하천의 수위상승시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부력부(2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하천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방향에만 물 이동공간(12)이 구성되어 있어, 하천 수위 상승시 하천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여 난간부(50)의 작동시 이물질에 의한 작동 불능 상태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조 케이스(70)가 난간부(50)의 지주(30) 하측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상시 난간부(50)가 기립된 상태에서 난간부(50)의 지주(30)와 케이스(10) 사이 및 케이스(10)에 형성되어 있는 부력부 안내홈(14)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100)이 수위상승시 및 수위상승 후 수위하강시 전도 및 기립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난간부(50)에 형성된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가드레일(40)의 양 끝단을 마감하기 위한 파이프 캡(80)이 구성되어 있어, 보행자의 안전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수위 상승시 난간부(50)가 원활히 전도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즉, 가드레일(40)은 중량감소, 구조적인 안정성 및 제작비 절감을 위해 원형 또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제작된 가드레일(40)은 보행자가 통행하는 위치에 설치될 경우 보행자의 안전성을 위해 양 끝단에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캡을 씌우게 되는데, 이러한, 캡은 중공형태의 가드레일(40) 내부가 막혀있는 형태의 캡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캡을 가드레일(40)에 결합할 경우 수위상승에 의해 난간부(50)가 전도하였을 때에 가드레일(40)이 부력체와 같은 역할을 하여 제대로 전도가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 캡(80)에 내측에 중공홀(82)을 형성하여 중공형태의 가드레일(40)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힌지(H)를 중심으로 난간부(50) 상측의 모우멘트가 최초의 상태일때 보다 더 크게 작용하도록 하여 난간부(50)의 전도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도되었던 난간부(50)는 수위가 하강함에 따라 힌지(H)를 중심으로 난간부(50)의 하측이 모우멘트가 더 크게 작용하여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10)의 부력부 안내홈(14)에 형성된 고정구간(14a) 하측으로 개방홈(15)을 형성하여 부력부(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H : 힌지 S : 스토퍼
10 : 케이스
11 : 수납공간 12 : 물 이동공간 13 : 제1 힌지 결합홈
14 : 부력부 안내홈 14a : 고정구간 14b : 안내구간 15 : 개방홈
20 : 부력부
21 : 부력부 축 22 : 부력체
50 : 난간부
30 : 지주 33 : 제2 힌지 결합홈 34 : 부력부 이동홈
35 : 웨이트 결합홈
40 : 가드레일
60 : 웨이트부
61 : 웨이트 62 : 공간부
70 : 보조 케이스
80 : 파이프 캡
81 : 파이프 결합부 82 : 중공홀
100 :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Claims (5)

  1. 교량상판 또는 지면 상측면(C)에 고정결합하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수납공간(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천이 형성된 반대방향의 측면으로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물 이동공간(12)이 형성되고, 양 측면으로는 힌지(H)가 결합하는 제1 힌지 결합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 결합홈(13)의 하측으로는 직선형태로 이루어진 고정구간(14a)과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내구간(14b)으로 구성된 부력부 안내홈(4)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수납공간(11)에 배치되어 케이스(10)에 형성되어 있는 부력부 안내홈(14)에 결합하는 한쌍의 부력부 축(21)과 상기 부력부 축(21) 사이에 형성되는 부력체(22)로 구성된 부력부(20);
    상기 케이스(10)의 양 측면에 형성되되, 힌지(H)에 결합하는 제2 힌지 결합홈(33)이 형성되고, 제2 힌지 결합홈(33)의 하측으로는 부력부 이동홈(34)을 형성하며, 부력부 이동홈(34) 하측으로는 웨이트 결합홈(35)을 형성한 한쌍의 지주(30)와,
    상기 지주(30) 사이에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가드레일(40)로 구성된 난간부(50);
    상기 케이스(10)의 수납공간(11)에 배치되어 난간부(50)의 지주(30)에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 결합홈(35)에 고정결합하되 내측으로 웨이트(61)와 상기 웨이트(61) 상측으로 웨이트(61) 보다 작은 부피로 이루어진 공간부(62)로 구성된 웨이트부(6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부력부 안내홈(14)의 하측에는 부력부(20)의 부력부 축(21)이 결합할 수 있도록 개방홈(15)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양 측면에는 난간부(50)에 형성된 지주(30)의 전도 및 기립시 지주(30)가 더 이상 전도되지 않도록 스토퍼(S)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50)의 지주(30) 하측에는 지주(30)의 하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10)에 결합하는 보조 케이스(7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50)에 형성된 가드레일(40)의 양 끝단에는 홈 형태로 형성된 파이프 결합(81)부와 상기 파이프 결합부(81 내측으로 중공홀(82)이 형성된 파이프 캡(80)이 더 결합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KR1020120036516A 2012-04-09 2012-04-09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KR101168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516A KR101168006B1 (ko) 2012-04-09 2012-04-09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516A KR101168006B1 (ko) 2012-04-09 2012-04-09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006B1 true KR101168006B1 (ko) 2012-07-31

Family

ID=4671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516A KR101168006B1 (ko) 2012-04-09 2012-04-09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0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40B1 (ko) 2012-11-20 2014-04-09 (주)에스엔비 자동으로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KR20160111679A (ko) * 2015-03-17 2016-09-27 주식회사 우신씨앤티 부력을 이용한 안전 자동 난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97B1 (ko) 2009-09-10 2009-12-14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하천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가동되는 하천자동난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97B1 (ko) 2009-09-10 2009-12-14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하천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가동되는 하천자동난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40B1 (ko) 2012-11-20 2014-04-09 (주)에스엔비 자동으로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KR20160111679A (ko) * 2015-03-17 2016-09-27 주식회사 우신씨앤티 부력을 이용한 안전 자동 난간
KR101675221B1 (ko) 2015-03-17 2016-11-10 주식회사 우신씨앤티 부력을 이용한 안전 자동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597B1 (ko) 하천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가동되는 하천자동난간
KR100871417B1 (ko) 자동 전도 난간
KR100804778B1 (ko) 접이식 안전발판
KR100885260B1 (ko) 자동 전도 난간
KR101168006B1 (ko)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KR101755417B1 (ko) 부력교량난간
KR101383740B1 (ko) 자동으로 가동되는 전도식 난간
CN105862697A (zh) 浮动式亲水平台结构
CN104074172B (zh) 水利闸站闸门升降定位止水装置
CN108203923A (zh) 一种公路桥梁减震装置
KR20120032785A (ko) 부력식 자동도복난간
KR101220902B1 (ko)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KR101028110B1 (ko) 무빙가드
KR101514959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CN109469013B (zh) 生态化河道挡墙
KR20170104773A (ko) 교각기둥 보호장치
KR100936723B1 (ko) 자동난간
KR100583368B1 (ko) 교각기초 세굴방지대
CN205776136U (zh) 浮动式亲水平台结构
KR100879398B1 (ko) 자동 전도 난간
KR200369719Y1 (ko) 침수 대비용 교량난간 조립체
KR101016771B1 (ko) 친환경 하천 자동 난간
KR100925550B1 (ko) 자동난간
KR101675221B1 (ko) 부력을 이용한 안전 자동 난간
KR101144835B1 (ko) 저수로용 교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