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902B1 -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 Google Patents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902B1
KR101220902B1 KR1020120106747A KR20120106747A KR101220902B1 KR 101220902 B1 KR101220902 B1 KR 101220902B1 KR 1020120106747 A KR1020120106747 A KR 1020120106747A KR 20120106747 A KR20120106747 A KR 20120106747A KR 101220902 B1 KR101220902 B1 KR 101220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oncrete structure
plate
road plate
flo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예선
조현행
Original Assignee
지케이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케이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지케이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2010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몸체에 수직하게 관통형성된 앵커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지면 아래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일정길이의 앵커볼트에 의해서 수면보다 높은 제방을 따라 고정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 일측단에 하부단이 힌지축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홈을 덮도록 배치되는 도로판 ; 및 상기 도로판의 하부면에 선단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배치홈의 경사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배치홈을 덮도록 수평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도로판을 외부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천가 또는 바닷가측으로 회동시켜 수직상태로 전환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엑추에이터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Multipurpose Road Having the Overflow Preventing Plate}
본 발명은 해일 및 홍수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평상시 자전거 도로 및 보도로 사용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던 도로판을 해일 및 홍수 발생시 바다 또는 하천측으로 회동시켜 육지측으로 범람하게 되는 해일 및 홍수에 의한 도로 침수와 같은 물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최소화할 수 있고, 기후변화 및 지진발생에 따른 자연재해를 저감할 수 있는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국도나 지방도 등에서는 자전거도로 건설이 촉진되고 있으며, 특히 시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아울러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자전거 이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전거는 친환경 교통의 대안 및 건강생활의 주역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종래에는 일반적인 도로의 갓길이나 인도에 단순히 아스팔트를 포장하여 자전거도로를 신설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이지 못하며, 특히 자전거를 타는 사람은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없으며, 차량의 매연가스에 의해 오염된 대기에 그대로 노출되어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한편, 해안가를 따라 시공된 해안도로의 바닷가측에는 태풍이나 해일 발생시 도로측으로 바닷물이 넘쳐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최소화하도록 일정높이의 콘크리트구조물인 해안제방을 설치하였다.
또한, 하천에도 홍수범람으로 인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도록 일정높이의 하천제방을 축조함으로써 유사시 홍수의 범람을 예방하고 있다.
상기한 해안제방이나 하천제방은 해일 또는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공간 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해안제방이나 하천제방을 따라 보행로와 더불어 자전거도로를 신설하여 자전거 이용을 유도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해안제방이나 하천제방은 관광객이나 주민들의 접근성을 차단하는 한편 경관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인 해안제방이나 하천제방을 따라 자전거 도로를 설치하는 경우,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와 제방사이에 보행로와 더불어 자전거 도로를 추가로 확보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공비가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92906호(2010.11.02)에는 하천제방에 설치되어 장마철 한시적으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는 역활을 겸용하는 자전거 도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건거 도로는 장마철에 수위상승에 따라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도로판을 기립하여 차수벽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여 홍수피해를 예방하고, 수위저하에 따라 도로판을 하강선회시켜 복귀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장마철 수위상승시 상승선되는 차수벽인 도로판이 자동차가 주행되는 주행도로와 보행자가 보행하는 보행로측으로 선회작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도로판에 잔류하는 구조물이나 물건들이 주행도로와 보행로측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차와 보행자와의 충돌에 의한 차량사고 및 인명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치명적인 안정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도포판을 부력에 의해서 상승선회 및 하강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수위상승에 따른 부력에 유리한 목재 또는 경량부재를 주로 사용하게 되고, 부력에 취약하지만 강도가 우수한 강판재의 사용이 곤란하기 때문에 평상시 자전거가 주행되는 도로판의 교체주기가 빈번해지고, 이로 인한 설비유지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평상시에 관광객이나 주민들이 자전거나 산책을 즐길 수 있고, 해일 및 홍수시 도로판인 차단판을 해안 또는 하천측으로 회동시켜 홍수 및 해일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전거가 주행되는 도로판을 해안 또는 하천측으로 회동작동시켜 주행도로 또는 보행로측으로 유입되는 잔류물에 의한 차량사고 및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후변화에 의한 집중호우 등으로 빠르게 하천수위가 상승하고 지진에 의한 쓰나미 발생시 해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자연재해저감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므로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가 주행되는 도로판의 재질을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대체할 수 있어 교체주기 및 사용수명을 길게 연장하고, 도로판의 교체작업이 용이한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몸체에 수직하게 관통형성된 앵커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지면 아래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일정길이의 앵커볼트에 의해서 수면보다 높은 제방을 따라 고정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 일측단에 하부단이 힌지축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홈을 덮도록 배치되는 도로판 ; 및 상기 도로판의 하부면에 선단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배치홈의 경사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치홈을 덮도록 수평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도로판을 외부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천가 또는 바닷가측으로 회동시켜 수직상태로 전환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엑추에이터 ; 를 포함하는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기 앵커공이 수직하게 관통형성되고, 상기 앵커공과 대응하는 상부면에 요홈부를 함몰형성한 제1콘크리트구조물과, 상기 도로판의 하부면과 면접하는 상판을 하천 또는 해안측으로 일정길이 돌출연장하고, 상기 상판의 외측단에 난간이 설치되는 돌출턱을 일정높이 돌출형성한 제2콘크리트구조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은 상기 요홈부를 덮도록 연속하여 배치되는 보도블럭에 의해서 보행도로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은 상기 엑추에이터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유압모터와,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탱크를 배치하는 배치부를 상기 배치홈과 연통되도록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콘크리구조물은 상기 배치홈으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배수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로판은 상기 힌지축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수평공을 관통형성한 연결박스체와, 상기 연결박스체의 개방된 입구단을 통해 삽입되는 하부단이 연결박스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사각판체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축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하부단이 매설고정된 지지브라켓의 연결공에 조립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평상시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에 도로판의 하부면이 접하도록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관광객이나 주민들이 자전거나 산책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반면에 해일 및 홍수발생시에는 도로판이 해안 또는 하천측으로 상방회동시켜 수직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범람하는 바닷물이나 하천물이 육지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침수와 같은 물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2) 해일발생시 또는 홍수발생시 차단판역활을 하는 도로판이 바다 또는 하천측으로 회동작동시킴으로써 도로판에 잔류하는 잔류물이 주행도로 또는 보행로측으로 근본적으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잔류물에 의한 차량사고 및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3)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에 접하는 도로판을 강판재와 같은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도로판을 교체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판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설비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에 채용되는 도로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에서 도로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평상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도로에서 도로판이 수직상태로 전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범람방지형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100)는 하천가 또는 바닷가를 따라 보행자의 보행과 더불어 저전거의 주행이 가능한 도로에 해일발생시 또는 홍수발생시 바닷가 또는 하천으로부터 육지측으로 범람하는 물을 차단하여 침수피해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110), 도로판(120) 및 엑추에이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은 몸체에 수직하게 관통형성된 앵커공(113)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앵커공(113)을 삽입되어 지면 아래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앵커볼트(114)에 의해서 바다 또는 하천의 수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방(200)에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110)은 사전에 설정된 형태에 맞추어 공장에서 성형된 프리캐스팅 콘크리트(Precasting Concrete)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방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되는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은 시공후 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자전거도로를 시공하고자 하는 제방(200)을 따라 연속되는 기초콘크리트(110a)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은 제1콘크리트구조물(111)과, 제2콘크리트구조물(112)을 포함하는바,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111)은 상기 앵커볼트(114)가 삽입배치되는 앵커공(113)을 수직하게 관통형성하고, 상기 앵커공(113)과 대응하는 상부면에 요홈부(116)를 함몰형성한 구조물이다.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111)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2콘크리트구조물(112)은 상기 도로판(120)의 하부면과 면접하는 상판(112a)을 하천 또는 해안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하여 연장하고, 상기 상판(112a)의 외측단에 난간(117)이 설치되는 돌출턱(112b)을 일정높이 돌출형성한 구조물이다.
그리고,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111)과 제2콘크리트구조물(112)사이에는 하부단이 밀폐되고 상부단이 개방되어 상기 엑추에이터(130)가 배치되는 배치홈(115)을 구비한다.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111)에는 상기 요홈부(116)를 덮어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111)을 위치고정하는 앵커볼트(114)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되는 보도블럭(118)을 구비하고, 상기 보도블럭(118)에 의해서 상기 도로판(120)이 해일발생 또는 홍수발생시 범람을 방지하도록 바다 또는 하천측으로 선회작동되더라도 보행자가 보행할 수 있는 의해서 보행도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도블럭(118)은 상기 요홈부(116)을 덮도록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도블럭(118)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앵커공(113)과 이에 인접하는 다른 앵커공(113)사이에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블럭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도로판(120)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을 구성하는 제2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 일측단에 하부단이 힌지축(121)을 매개로 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차단판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로판(120)은 평상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의 상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홈(115)을 덮도록 수평하게 대기된 상태에서 해일 또는 홍수 발생시 상기 엑추에이터(130)에 의해서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도로판(120)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의 제2콘크리구조물의 상부면에 수평하게 구비된 힌지축(121)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수평공(124)을 관통형성한 연결박스체(123)와, 상기 연결박스체(123)의 개방된 입구단을 통해 삽입되는 하부단이 연결박스체(123)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사각판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사각판체(122)는 하부단에 복수개의 제1체결공(126a)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연결박스체(123)는 상기 제1체결공(126b)과 대응하는 영역에 복수개의 제2체결공(126b)을 관통형성한다.
이에 따라, 서로 일치되는 상기 제1,2체결공(126a,126b)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사각판체(122)와 연결박스체(123)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사각판체(122)가 손상되거나 훼손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박스체로부터 사각판체를 분리하여 새로운 것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각판체(122)의 하부단이 삽입되는 연결박스체(123)의 내부면에는 상기 연결박스체(123)의 개방된 입구로 삽입된 사각판체(132)와의 연결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체결공(126a,126b)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사각판체(122)의 하부단이 걸리는 스토퍼(126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박스체(123)의 힌지수평공(124)에 조립되는 힌지축(121)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을 구성하는 제2콘크리트구조물(112)에 하부단이 일정깊이 매설되어 고정된 지지브라켓(125)의 연결공에 조립되어 상기 제2콘트리트구조물(112)의 바닥면으로부 이격배치된다.
상기 연결박스체(123)의 하부단은 회동시 상기 제2콘트리트구조물(112)의 상부면과의 간섭이 없도록 호형단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엑추에이터(130)는 평상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10)에 함몰형성된 배치홈(115)을 덮도록 하강선회되어 수평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도로판(120)을 외부신호에 의해서 하천 또는 바다측으로 상기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하여 상승 회동시켜 수직상태로 전환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유압잭 또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작동수단이다.
이러한 엑추에이터(130)는 상기 도로판(120)의 일측면인 하부면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129)과 힌지핀을 매개로 선단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배치홈(115)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다른 연결브라켓(139)과 후단이 다른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연결되는 한편, 상기 배치홈(115)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콘크리트구조물측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111)에는 상기 엑추에이터(130)에 유압라인(133)을 통하여 오일과 같은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유압모터(131)와, 작동유체가 일정량 저장되는 탱크(132)를 안전하게 배치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배치부(134)를 상기 배치홈(115)과 서로 연통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로판(120)의 상승선회시 외부로 노출되는 배치홈(115)으로 유입되는 하천물이나 바닷물을 주행도로의 지면아래에 매설된 메인배수관(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111)에는 상기 배치홈과 연통되는 배수로(119)를 관통형성하고, 상기 배수로(119)는 연결관(301)을 매개로 상기 메인배수관(300)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해일발생시 또는 홍수발생시 바다 또는 하천측으로 상승선회되어 외부노출되는 배치홈(115)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배수로(119) 및 연결관(301)을 통해 메인배수관(300)으로 배수처리됨으로써 상기 배치홈(115)에 구비되는 엑추에이터(130), 유압모터(131) 및 유압탱크(133)가 바닷물이나 하천물에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설비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평상시 상기 도로판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2콘크리트구조물에 하부면이 접하면서 상기 제1,2콘크리트구조물사이에 형성된 배치홈을 덮도록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전거 이용자는 상기 도로판(120)에 의한 자전거 도로를 따라 주행함과 동시에 보행자는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111)의 요홈부(를 덮는 보도블럭에 의해서 형성되는 보행도로를 따라 보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해일예보 또는 홍수예보가 있는 경우, 상기 자전거 도로 주변에 경보음이나 안내방송을 통해 보행자의 통행 및 자전거 도로의 주행을 중단시킨 다음, 외부신호에 의해서 상기 엑추에이터(130)의 작동로드를 전진작동시키면, 상기 작동로드의 선단에 힌지연결된 도로판(120)은 작동로드의 전진이동에 의해서 상기 힌지축(121)을 매개로 하여 상방으로 선회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로판(120)에 고정되지 않은 시설물이나 물건들과 같은 잔류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잔류물은 바다 또는 하천측으로 상방선회되는 도로판에 의해서 육지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반대편으로 이동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육지쪽의 이동되어 주행도로를 주행하는 차량과의 충돌에 의한 사고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엑추에이터(130)의 작동로드가 완전히 전진되면, 상기 로드판은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되어 해일발생시 또는 홍수 발생시 바다 또는 하천으로부터 범람하게 되는 바닷물이나 하천물이 육지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침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연속하여, 해일 또는 홍수 경보가 해제되면, 상기 엑추에이터(130)의 후진복귀 작동에 의해서 상기 도로판(120)은 상기 배치홈(115)을 덮어 밀폐하도록 하강선회되어 수평상태로 복귀되고, 보행도로 및 자전거를 평상시처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콘크리트 구조물 111 : 제1콘크르트구조물
112 : 제2콘크리트구조물 113 : 앵커공
114 : 앵커볼트 115 : 배치홈
116 : 요홈부 117 : 난간
118 : 보도블럭 119 : 배수로
120 : 도로판 121 : 힌지축
122 : 판체 123 : 연결박스체
124 : 힌지수평공 125 : 지지브라켓
130 : 엑추에이터 131 : 유압모터
132 : 유압탱크 133 : 유압라인
200 : 제방 300 : 메인배수관

Claims (7)

  1. 몸체에 수직하게 관통형성된 앵커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지면 아래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일정길이의 앵커볼트에 의해서 수면보다 높은 제방을 따라 고정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 일측단에 하부단이 힌지축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홈을 덮도록 배치되는 도로판 ; 및
    상기 도로판의 하부면에 선단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배치홈의 경사면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배치홈을 덮도록 수평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도로판을 외부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천가 또는 바닷가측으로 회동시켜 수직상태로 전환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엑추에이터 ; 를 포함하는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기 앵커공이 수직하게 관통형성되고, 상기 앵커공과 대응하는 상부면에 요홈부를 함몰형성한 제1콘크리트구조물과, 상기 도로판의 하부면과 면접하는 상판을 하천 또는 해안측으로 일정길이 돌출연장하고, 상기 상판의 외측단에 난간이 설치되는 돌출턱을 일정높이 돌출형성한 제2콘크리트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은 상기 요홈부를 덮도록 연속하여 배치되는 보도블럭에 의해서 보행도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은 상기 엑추에이터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유압모터와,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탱크를 배치하는 배치부를 상기 배치홈과 연통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구조물은 상기 배치홈으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배수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판은 상기 힌지축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수평공을 관통형성한 연결박스체와, 상기 연결박스체의 개방된 입구단을 통해 삽입되는 하부단이 연결박스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사각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하부단이 매설고정된 지지브라켓의 연결공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KR1020120106747A 2012-09-25 2012-09-25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KR101220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747A KR101220902B1 (ko) 2012-09-25 2012-09-25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747A KR101220902B1 (ko) 2012-09-25 2012-09-25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902B1 true KR101220902B1 (ko) 2013-01-11

Family

ID=4784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747A KR101220902B1 (ko) 2012-09-25 2012-09-25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9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807A (ko) 2014-09-04 2016-03-14 일성보산업(주) 무부하 홍수벽
KR102481898B1 (ko) 2022-10-04 2022-12-30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해안 가드레일 겸용 방재용 차수벽
KR102486620B1 (ko) * 2022-09-20 2023-01-10 (주)신화 화재방지를 위한 데크로드
KR102497788B1 (ko) 2022-10-04 2023-02-15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해안 가드레일 겸용 방재용 차수벽을 통한 수해재난 관제 시스템
KR102586825B1 (ko) * 2023-06-28 2023-10-10 알엔비이엔씨 주식회사 기립식 월파 방지용 방조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69B1 (ko) 2008-06-13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0992906B1 (ko) 2010-05-03 2010-11-09 보은군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69B1 (ko) 2008-06-13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0992906B1 (ko) 2010-05-03 2010-11-09 보은군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807A (ko) 2014-09-04 2016-03-14 일성보산업(주) 무부하 홍수벽
KR102486620B1 (ko) * 2022-09-20 2023-01-10 (주)신화 화재방지를 위한 데크로드
KR102481898B1 (ko) 2022-10-04 2022-12-30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해안 가드레일 겸용 방재용 차수벽
KR102497788B1 (ko) 2022-10-04 2023-02-15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해안 가드레일 겸용 방재용 차수벽을 통한 수해재난 관제 시스템
KR102601256B1 (ko) 2022-10-04 2023-11-13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해안 가드레일 겸용 방재용 차수벽을 통한 수해재난 관제 시스템
KR102586825B1 (ko) * 2023-06-28 2023-10-10 알엔비이엔씨 주식회사 기립식 월파 방지용 방조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902B1 (ko)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US9915048B2 (en) Method for river/lake level regulation and water conservancy system
GB2425559A (en) Pivoting flood defence apparatus
WO2014012526A1 (en) A device for protecting buildings against floods and high water
KR100992906B1 (ko)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CN201516912U (zh) 组合体随扩水上漂浮未来居住发展地盘
KR101514959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JP6166370B2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KR100584769B1 (ko) 하천수의 도로침투방지장치
EP2596174A1 (en) Culvert with a deformation zone
JP2013083144A (ja) 液状化防止構造
JP6176534B2 (ja) 洪水用止水装置
CN212865994U (zh) 用于转辙机基坑平台的排水结构及转辙机基坑平台
JP6841455B1 (ja) 浮上構造物
KR20060098723A (ko) 해안선 침식 방지 흡파제와 반사파의 제어 방법
KR101339178B1 (ko) 홍수 예방을 위한 다목적 저류조와 빗물 유입 구조
TW201116666A (en) Makeshift road
CN106049651A (zh) 城市水涝的一种防治方法
KR20110047800A (ko)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JP5967681B1 (ja) 油水分離用路面排水処理槽
CN203755426U (zh) 一种装有浮阀的防水冲击井盖
CN220433544U (zh) 一种护岸工程水工结构
KR101670627B1 (ko)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CN218894113U (zh) 一种防渗水直立后台挡墙构造
CN210315392U (zh) 一种航道整治用的生态护岸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