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906B1 -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 Google Patents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906B1
KR100992906B1 KR1020100041285A KR20100041285A KR100992906B1 KR 100992906 B1 KR100992906 B1 KR 100992906B1 KR 1020100041285 A KR1020100041285 A KR 1020100041285A KR 20100041285 A KR20100041285 A KR 20100041285A KR 100992906 B1 KR100992906 B1 KR 100992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support
road
concrete
ro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천
Original Assignee
보은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은군 filed Critical 보은군
Priority to KR102010004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제방에 설치되어 장마철 한시적으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용하는 자전거도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천제방에 시공된 전도식 자전거도로를 이용하여 평상시엔 주민들이 자연경관이 뛰어난 하천을 따라가면서 자전거를 타거나 산책을 즐길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활용하고, 상기 전도식 자전거도로는 장마철에 수위상승에 따라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기립되어 차수벽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여 홍수피해를 적극 예방하며, 장마철이 지나면 수위저하에 따라 전도식 자전거도로가 수평상태로 펼쳐지면서 본연의 역할로 자동 복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Bike lane having function preventing flooding of river}
본 발명은 하천제방에 설치된 자전거도로를 이용하여 산책이나 자전거를 즐길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활용하며, 상기 자전거도로는 장마철에 자동으로 기립되어 차수벽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여 홍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국도나 지방도 등에서는 자전거도로 건설이 촉진되고 있으며, 특히 시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아울러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자전거 이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전거는 친환경 교통의 대안 및 건강생활의 주역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종래에는 일반적인 도로의 갓길이나 인도에 단순히 아스팔트를 포장하여 자전거도로를 신설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이지 못하며, 특히 자전거를 타는 사람은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없으며, 차량의 매연가스에 의해 오염된 대기에 그대로 노출되어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한편, 치수(治水)기능을 담당하는 하천제방은 홍수범람으로 인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축조하는 것으로, 현재는 각 하천의 홍수위를 감안하여 홍수량 규모별로 0.6~2m 높이의 여유고를 두고 제방을 축조하여 유사시 홍수의 범람을 예방하고 있다.
상기한 하천제방은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공간 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도심하천 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됨에 따라 하천의 고유 기능 회복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하류에 위치하는 하천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장마철에 홍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하천수가 범람하여 장마철마다 이재민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수하여 하천의 폭을 넓혀야 하나, 현실적으로 하천의 폭을 넓히기 위해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한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발생이 예상되어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하천제방에 콘크리트 홍수벽을 보축하고 있으나, 이는 인근 주민과 하천으로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전망이 가려지면서 경관성을 해치는 흉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근래의 자연형 하천을 선호하는 시류에는 맞지 않아 큰 호응을 얻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자전거도로 및 하천제방이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동시에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하천제방에 전도식 자전거도로를 설치하여 평상시엔 주민들이 자연경관이 뛰어난 하천을 따라가면서 자전거를 타거나 산책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장마철엔 상기 전도식 자전거도로가 수위상승에 따른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기립되면서 차수벽의 기능을 수행하여 홍수피해를 적극 예방하도록 하며, 장마철이 지나면 수위저하에 따라 전도식 자전거도로가 수평상태로 펼쳐지면서 본연의 역할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천제방의 상단에 타설된 지지콘크리트에 다수의 매설 앙카판을 설치하고, 상기 매설 앙카판의 선단에는 부력에 의해 상하로 선회작동하는 차수겸용 도로판을 하천을 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차수겸용 도로판의 일측 상단에 신축형 안전난간을 신축가능하게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콘크리트의 길이방향 양측에 한 쌍의 케이싱을 상하를 관통하여 설치하되 상기 케이싱은 지하에 천공된 지하공의 상측 내경에 밀착상태로 삽입 설치하고, 상기 지하공의 내부에 지지파일을 삽입한 후 지하공에 채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콘크리트에 받침대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 수납부에 바이어스 회전지지대를 매설하며, 상기 바이어스 회전지지대에는 유수력에 의해 자동으로 스윙 작동하면서 받침대 수납부에 수납되는 자동스윙 받침대를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식 자전거도로가 제방하천에 시공됨으로써 하천의 뛰어난 자연경관 및 신선한 공기를 만끽하면서 산책을 하거나 자전거를 탈 수 있어 주민들에게 자연친화적인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전거도로는 장마철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기립되면서 차수벽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여 홍수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홍수방지의 명목으로 하천제방에 설치하던 기존의 콘크리트 홍수벽을 대체함으로써 하천의 경관성을 회복하며, 접근성이 양호하면서도 저렴한 공사비용으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는 자전거도로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전거도로가 하천제방에 설치된 상태의 일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지지콘크리트의 시공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신축형 안전난간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도식 자전거도로가 수위상승에 따라 상부로 선회작동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도식 자전거도로가 수위상승에 따라 완전하게 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도로판 받침수단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자동스윙 받침판의 스윙 작동상태 평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천제방(1)의 상단에 타설된 지지콘크리트(10)와; 상기 지지콘크리트(10)에 등간격으로 매설된 다수의 매설 앙카판(20)과; 상기 매설 앙카판(20)의 선단에 회동축(31)을 매개로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하천(3)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된 차수겸용 도로판(30)과; 상기 차수겸용 도로판(30)의 일측 상단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신축형 안전난간(4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천제방(1)에 전도식 자전거도로(B)가 시공됨으로써 평상시에는 뛰어난 하천경관을 만끽하면서 자전거를 탈 수 있으면서도 장마철엔 상기 전도식 자전거도로(B)가 차수벽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하천제방(1)에 인접된 자동차도로(2)로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적인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도식 자전거도로(B)는 하천제방(1)을 따라가면서 연속적으로 시공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기술구성은 상기 하천제방(1)의 상단에 지지콘크리트(10)가 타설되고, 상기 지지콘크리트(10)에는 차수겸용 도로판(30)을 회동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매설 앙카판(20)이 등간격으로 일체화 매설된다.
상기 지지콘크리트(10)는 차수겸용 도로판(3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한 쌍의 케이싱(11)이 상하를 관통하여 일체화 매설되되, 상기 케이싱(11)은 지하에 천공된 지하공(12)의 상측 내경에 밀착하도록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11)은 지지콘크리트(10) 및 지하공(12)을 일체로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토사층에 위치하는 지하공(12)이 허물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지하공(12)의 내부에는 H빔 등의 지지파일(13)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지지파일(13)에 부착된 지지돌기(13a)는 케이싱(11)의 내경에 밀착됨으로써 지지파일(13)의 유동을 방지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지하공(12)에 채움콘크리트(14)가 타설됨으로써 상기 지지콘크리트(10)는 지중에서 더욱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매설 앙카판(20)의 선단에는 하천(3)을 향하도록 수평상으로 차수겸용 도로판(30)이 회동축(31)을 매개로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콘크리트(10) 및 매설 앙카판(20)은 상부 선단 모서리에 받침경사면(32)이 형성되고, 상기 차수겸용 도로판(30)의 하부 선단 모서리에는 상기 받침경사면(32)에 밀착상태로 안착되는 안착면(3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수겸용 도로판(30)은 안정적인 받침구조를 이루면서 평상시 더 이상 하향으로 꺾이지 않고 더욱 안정된 수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자전거도로의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차수겸용 도로판(30)은 부력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장마철 하천의 수위가 증가하면 부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상부로 선회하면서 지지콘크리트(10)의 상단에 직립 설치된 고정파일(35)에 밀착되는 상태에 도달하면 더 이상 선회작동하지 않고 기립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차수벽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하천이 범람하여 자동차도로(2)가 침수되거나 홍수피해를 입게 되는 폐단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며, 상기 차수겸용 도로판(30)은 장마철이 지나 하천의 수위가 저하되면서 부력이 점점 약해지면 하부로 선회하면서 원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전거도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본연의 역할로 복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차수겸용 도로판(30)의 일측 상단에는 하천(3)으로 보행자나 자전거가 낙상함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형 안전난간(40)이 설치되되, 상기 차수겸용 도로판(30)이 기립된 상태에서 자동차도로(2) 쪽으로 심하게 돌출되어 차량주행을 방해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신축형 안전난간(40)은 선택적으로 압축되면서 길이가 줄어드는 신축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신축형 안전난간(40)은 도 3과 같이 차수겸용 도로판(30)의 일측 상단에 다수의 고정 수직바(41)가 등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이 고정 수직바(41)의 중앙에는 보강성을 개선하기 위한 보조 가로바(42)가 수평상으로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수직바(41)의 상부 외측에는 상부 가로바(43)의 하단에 일체로 부착된 다수의 이동 수직바(44)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되 상기 고정 수직바(41) 및 이동 수직바(44)의 내부에는 신축가능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5)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이동 수직바(44)의 하단에 내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44a)은 고정 수직바(41)의 상단에 외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41a)에 걸리면서 이탈방지됨으로써 상호 분리되지 않는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자유로운 상하 신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신축형 안전난간(4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차수겸용 도로판(30)이 상부로 선회작동할 때 상부 가로바(43)가 지지콘크리트(10)와 인접하여 설치된 신호등 철주(5)에 맞닿은 상태로 더 이상 선회하지 않고 압축되면서 길이가 줄어들어 신축형 안전난간(40)은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조를 이루며, 이와 반대로, 상기 차수겸용 도로판(30)이 하부로 선회작동할 때에는 탄성부재(45)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가로바(43)가 원상태로 인장되면서 길이가 늘어남으로써 일반 보행자의 보행이나 자전거의 통행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지지콘크리트(10)와 인접하여 자동차도로(2) 및 전도식 자전거도로(B)에 조명을 동시에 가하는 가로등 철주(5)가 설치됨으로써 야간에도 자전거도로의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평상시 차수겸용 도로판(30)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도 장마철에는 수위증가에 따른 유수력에 의해 자동스윙 받침대(130)가 자동으로 스윙 작동하면서 지지콘크리트(10)의 내부로 수납됨으로써 각종 이물질이 상기 자동스윙 받침대(130)에 걸리면서 하천의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거나 경관을 훼손하는 불상사를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도로판 받침수단(100)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한 도로판 받침수단(100)은 지지콘크리트(10)를 타설함에 있어 장마철 수위증가시 자동스윙 받침대(130)를 수납하기 위한 받침대 수납부(110)가 하천(3) 쪽으로 개방되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수납부(110)의 바닥면에는 자동스윙 받침대(13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121)이 내설된 바이어스 회전지지대(120)가 매설된다.
이때 상기 바이어스 회전지지대(120)은 도 6과 같이 하천(3)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처럼 상기 바이어스 회전지지대(120)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이유는 장마철 수위증가에 따른 유수력에 의해 도 7과 같이 스윙 작동하여 받침대 수납부(110)에 수납되어있던 자동스윙 받침대(130)는 편하중축(131)이 바이어스 회전지지대(120)에 의해 항상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동스윙 받침대(130)의 하중이 하천(3) 쪽으로 집중하면서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스윙하면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자동스윙 받침대(130)는 저면 일측에 편하중축(131)이 하천(3)의 반대반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편하중축(131)의 하단에 형성된 회전돌기(132)는 바이어스 회전지지대(120)의 베어링(121)을 관통하여 끼움 설치됨으로써 장마철이 끝나면서 수위가 저하되어 상기 자동스윙 받침대(130)에 더 이상의 유수력이 작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자동스윙 받침대(130)가 스윙 작동하면서 제자리로 복귀하여 차수겸용 도로판(30)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편하중축(131)은 도 6과 같이 바이어스 회전지지대(120)와 직교상태를 이루도록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자동스윙 받침대(130)의 하중이 편하중축(131)의 타측으로 더욱 집중함에 따라 자동스윙 받침대(130)가 지지콘크리트(10)에 수납된 후 원상태로 더욱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스윙 받침대(130)의 저면에는 수압판(135)이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장마철 수위증가시 상기 수압판(135)에 유수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더욱 원활하게 스윙 작동하면서 받침대 수납부(110)로 수납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B: 전도식 자전거도로 1: 하천제방
2: 자동차도로 3: 하천
10: 지지콘크리트 11: 케이싱
12: 지하공 13: 지지파일
14: 채움콘크리트 20: 매설앙카판
30: 차수겸용 도로판 32: 받침경사면
33: 안착면 35: 고정파일
40: 신축형 안전난간 41: 고정 수직바
43: 상부 가로바 44: 이동 수직바
45: 탄성부재 100: 도로판 받침수단
110: 받침대 수납부 120: 바이어스 회전지지대
130: 자동스윙 받침대 131: 편하중축

Claims (8)

  1. 하천제방(1)의 상단에 타설된 지지콘크리트(10)와;
    상기 지지콘크리트(10)에 등간격으로 매설된 다수의 매설 앙카판(20)과;
    상기 매설 앙카판(20)의 선단에 회동축(31)을 매개로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하천(3)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된 차수겸용 도로판(30)과;
    상기 차수겸용 도로판(30)의 일측 상단에 다수의 고정 수직바(41)가 등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고정 수직바(41)의 상부 외측에는 상부 가로바(43)의 하단에 부착된 다수의 이동 수직바(44)가 각각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되 상기 고정 수직바(41) 및 이동 수직바(44)의 내부에는 탄성부재(45)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이동 수직바(44)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44a)은 고정 수직바(41)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41a)에 걸리면서 이탈방지되는 신축형 안전난간(40)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지지콘크리트(1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한 쌍의 케이싱(11)이 상하를 관통하여 지지콘크리트(10)와 일체화 매설되고, 상기 케이싱(11)은 지하에 천공된 지하공(12)의 상측 내경에 밀착하도록 삽입 설치되며, 상기 지하공(12)의 내부에는 지지파일(13)이 삽입 설치된 상태로 채움콘크리트(14)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지지콘크리트(10) 및 매설 앙카판(20)의 상부 선단 모서리에는 받침경사면(32)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경사면(32)에는 차수겸용 도로판(30)의 하부 선단 모서리에 형성된 안착면(33)이 밀착상태로 안착되어 하향으로 꺾이지 않고 안정적인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4. 제 1항에 있어서,
    차수겸용 도로판(30)은 부력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하천의 수위증가에 따른 부력에 의해 상부로 선회하면서 지지콘크리트(10)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파일(35)에 밀착된 상태로 기립되어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며, 상기 차수겸용 도로판(30)은 하천의 수위저하시 부력이 약해지면서 하부로 선회하여 수평상태로 자전거도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5. 제 1항에 있어서,
    신축형 안전난간(40)은 차수겸용 도로판(30)의 상부 선회작동시 상부 가로바(43)가 신호등 철주(5)에 맞닿은 상태로 압축되면서 길이가 줄어들고, 상기 차수겸용 도로판(30)의 하부 선회작동시 탄성부재(45)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인장되면서 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6. 제 1항에 있어서,
    지지콘크리트(10)에는 평상시 차수겸용 도로판(30)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도 장마철의 수위증가시 유수력에 의해 자동스윙 받침대(130)가 스윙 작동하면서 지지콘크리트(10)의 내부로 수납되는 도로판 받침수단(100)이 추가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도로판 받침수단(100)은, 하천(3) 쪽으로 개방되게 지지콘크리트(10)에 함몰 형성된 받침대 수납부(110)와;
    상기 받침대 수납부(110)의 저면에 하천(3)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매설된 바이어스 회전지지대(120)와;
    저면 일측에 하천(3)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편하중축(131)의 회전돌기(132)가 상기 바이어스 회전지지대(120)에 회전가능하게 끼움 결합된 자동스윙 받침대(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7. 제 6항에 있어서,
    편하중축(131)은 바이어스 회전지지대(120)와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 되어 전체적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8. 제 6항에 있어서,
    자동스윙 받침대(130)의 저면에는 유수력을 집중적으로 받아 받침대 수납부(110)로 스윙 작동이 원활하게 하는 수압판(135)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KR1020100041285A 2010-05-03 2010-05-03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KR100992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285A KR100992906B1 (ko) 2010-05-03 2010-05-03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285A KR100992906B1 (ko) 2010-05-03 2010-05-03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906B1 true KR100992906B1 (ko) 2010-11-09

Family

ID=4340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285A KR100992906B1 (ko) 2010-05-03 2010-05-03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9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610B1 (ko) 2011-03-07 2011-08-31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무빙 월
KR101176067B1 (ko) 2012-02-16 2012-08-24 주식회사 건화 경관개선용 홍수방지 무빙월
KR101220902B1 (ko) 2012-09-25 2013-01-11 지케이엔지니어링(주)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KR101514959B1 (ko) * 2014-05-19 2015-07-03 (주)에스엔비 침수방지용 홍수벽
CN105803894A (zh) * 2016-05-04 2016-07-27 亿利生态修复股份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雨水调蓄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817Y1 (ko) * 2003-12-30 2004-03-27 성 세 조 용이하게 교체 조립할 수 있는 다리 난간
KR100629725B1 (ko) 2004-12-10 2006-09-28 (주)케이지엔지니어링 하천 제방용 월류 방지장치
KR100865369B1 (ko) * 2008-06-13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817Y1 (ko) * 2003-12-30 2004-03-27 성 세 조 용이하게 교체 조립할 수 있는 다리 난간
KR100629725B1 (ko) 2004-12-10 2006-09-28 (주)케이지엔지니어링 하천 제방용 월류 방지장치
KR100865369B1 (ko) * 2008-06-13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610B1 (ko) 2011-03-07 2011-08-31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무빙 월
KR101176067B1 (ko) 2012-02-16 2012-08-24 주식회사 건화 경관개선용 홍수방지 무빙월
KR101220902B1 (ko) 2012-09-25 2013-01-11 지케이엔지니어링(주)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KR101514959B1 (ko) * 2014-05-19 2015-07-03 (주)에스엔비 침수방지용 홍수벽
CN105803894A (zh) * 2016-05-04 2016-07-27 亿利生态修复股份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雨水调蓄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906B1 (ko) 하천 범람방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도로
KR100939173B1 (ko) 홍수, 가뭄, 지구 온난화, 사막화, 해수면 상승 방지 및 토양지하수 복원을 위한 초고속 투수성 블록 도로포장 시스템과 그 시공 방법
KR101709274B1 (ko)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GB2426026A (en) Automatic buoyant flood barrier
US8011855B2 (en) Roadway-levee
EP2875187A1 (en) A device for protecting buildings against floods and high water
KR100865370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1220902B1 (ko) 범람방지용 차단판을 갖는 다목적 도로
KR101005531B1 (ko)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JP2003027855A (ja) フロート形防水装置
KR100865369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FR2940985A1 (fr) Ralentisseurs routiers comportant des caissons a portes articulees reliees a des verins hydrauliques, fonctionnant par enfoncement au passage des vehicules
JP2013083144A (ja) 液状化防止構造
KR100895043B1 (ko) 견고성이 보강된 도로용 조립식 보도블럭
JP4973898B1 (ja) 浸水防止構造
FR2989701A1 (fr) Dispositif de poteau telescopique de signalisation routiere.
KR101799853B1 (ko) 도시의 물 순환계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이용되는 가로수 보호 트렌치
KR102252272B1 (ko)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JPH09100559A (ja) 液体貯槽
GB2371584A (en) Sectioned flood defence barrier
JP2004003238A (ja) 高潮防止用水門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CN215906569U (zh) 节地型匝道连接部排水系统
CN219862163U (zh) 一种市政道路防渗结构
KR101821293B1 (ko) 무동력 다목적 방호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