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272B1 -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 Google Patents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272B1
KR102252272B1 KR1020200138868A KR20200138868A KR102252272B1 KR 102252272 B1 KR102252272 B1 KR 102252272B1 KR 1020200138868 A KR1020200138868 A KR 1020200138868A KR 20200138868 A KR20200138868 A KR 20200138868A KR 102252272 B1 KR102252272 B1 KR 102252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water level
sidewalk
rainwater
lev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건
김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코
Priority to KR1020200138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2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using already existing parts of the sewer system for runoff-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구된 상부(10a)를 갖고 보도를 이루는 지중에 매설되는 저류조(10); 홈(21)과 상기 홈(21)의 바닥에 형성된 제1 투수홀(22)을 갖고 상기 저류조(10)의 개구된 상부(10a)를 덮는 덮개(20); 및 상기 홈(21)에 장입되며, 보행자가 보행하는 보도면을 형성하는 다공부재(30)를 포함하며, 보도에 내린 우수가 상기 다공부재(30) 및 상기 제1 투수홀(22)을 순차로 통과하여 상기 저류조(10)에 고여 저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천시 보도의 우수를 즉시 도로변 집수정으로 배수하지 않고 모아 저류하며, 도로변 집수정의 수위를 고려하며 저류된 우수를 배수함으로써, 도로변 집수정의 배수능력을 유지시켜 도심이나 도로, 보도의 침수를 방지하고, 나아가 하천 범람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RAINWATER PERMEANT AND STORAGE APPARATUS FOR SIDEWALK}
본 발명은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천시 보도의 우수를 저류하여 홍수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지반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구의 증가, 산업화 및 도시개발 등으로 인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블록 등과 같은 재료로 인공 포장되는 보도의 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포장된 보도 면적의 증가는 장마나 태풍, 집중호우시 홍수 피해의 원인을 제공한다.
즉, 포장된 보도에 내린 우수는 지면으로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배수로로 흘러들어 홍수조절 능력이 상실되는 원인을 제공하고, 그로 인해 도심이나 도로로 우수가 역류하거나 물빠짐이 없어 주택 등이 침수되고, 하천이 범람하는 원인이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9444호 등 많은 자료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보도에 투수블록을 시공하여 우수가 지면으로 흡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지면의 흡수 속도 보다 강수량이 많은 경우, 우수에 의해 투수블록의 기공이 막혀 일반 포장 보도와 동일한 문제가 야기되었고, 지면에 흡수된 우수가 침식작용을 일으켜 보도 또는 도로에 싱크홀이 형성되는 원인이 되었다.
근래에는 보도와 도로를 구획하는 경계블록과 인접하게 배수로가 형성되고, 그 배수로가 배관을 통해 도로변 집수정과 연결되어, 보도의 우수가 배수로를 통해 도로변 집수정으로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강수량이 도로변 집수정의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배수로 또는 도로변 집수정에서 우수가 역류하여 도로와 보도가 침수되고, 도심 저지대로 모여 주택 등이 침수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94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우천시 보도의 우수를 저류하여 홍수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지반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구된 상부(10a)를 갖고 보도를 이루는 지중에 매설되는 저류조(10); 홈(21)과 상기 홈(21)의 바닥에 형성된 제1 투수홀(22)을 갖고 상기 저류조(10)의 개구된 상부(10a)를 덮는 덮개(20); 및 상기 홈(21)에 장입되며, 보행자가 보행하는 보도면을 형성하는 다공부재(30)를 포함하며, 보도에 내린 우수가 상기 다공부재(30) 및 상기 제1 투수홀(22)을 순차로 통과하여 상기 저류조(10)에 고여 저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보도에 내린 우수가 투수되는 제2 투수홀(41)을 갖고 상기 홈(21)에 설치되어 상기 다공부재(30)를 덮는 보도판체(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부재(30)와 접하는 상기 보도판체(40)의 하부에는 우수의 이동로를 만드는 홈 형태의 물길패턴(4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투수홀(41)은 상기 물길패턴(4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도판체(40)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돌기들(4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투수홀(41)은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들(4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류조(10)에 저류된 우수가 도로변 집수조(50)로 배수되며, 상기 저류조(10)에 설치되어 저류되는 우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레벨센서(60)와, 상기 저류조(10)와 상기 도로변 집수조(50) 사이의 우수배출라인 중간에 설치되는 밸브(70)와, 상기 제2 수위레벨센서(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레벨센서(6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밸브(70)를 개방하여 상기 저류조(10)의 우수를 상기 도로변 집수조(50)로 보낼 수 있다.
상기 도로변 집수조(50)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로변 집수조(50)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레벨센서(51)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레벨센서(60)에서 감지신호가 없고 상기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밸브(70)를 차단하고, 상기 제1 수위레벨센서(60) 및 상기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없으면 상기 밸브(70)를 차단하고, 상기 제1 수위레벨센서(60) 및 상기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밸브(70)를 차단하고, 상기 제1 수위레벨센서(60)에서 감지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없으면 상기 밸브(70)를 개방하여 상기 저류조(10)의 우수를 상기 도로변 집수조(50)로 보낼 수 있다.
상기 저류조(10)에는 전력케이블용 지중관로(9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위레벨센서(60)(51), 상기 밸브(70)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중관로(90)에 매설된 전력케이블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저류조(10)는 격벽(11)을 통해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 분할되고, 그 구획 분활되는 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20) 및 상기 다공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류조(10)는 보도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보도의 길이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천시 보도의 우수를 즉시 도로변 집수정으로 배수하지 않고 모아 저류하며, 도로변 집수정의 수위를 고려하며 저류된 우수를 배수함으로써, 도로변 집수정의 배수능력을 유지시켜 도심이나 도로, 보도의 침수를 방지하고, 나아가 하천 범람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로 인한 침식작용으로 지반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싱크홀 등과 같은 땅 꺼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가 보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사시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저류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표시 A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표시 B부분 확대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는 개구된 상부(10a)를 갖는 저류조(10), 덮개(20), 다공부재(30)를 포함한다.
저류조(10)는 길이를 갖는 관로 형태를 이루어 보도를 이루는 지중에 매설되고, 덮개(20)는 저류조(10)의 개구된 상부(10a)를 덮으며, 다공부재(30)는 덮개(20)에 안착되어 보행자가 보행하는 보도면을 형성한다.
장마철이나 태풍, 집중호우 등 우기시 보도에 내리는 우수는 다공부재(30) 및 덮개(20)를 순차로 투수되어 저류조(10)에 모아져 저류되고, 저류조(10)는 저류된 우수를 즉시 배수하지 않고 가둬두어 도로변 집수정(50)의 배수능력을 유지시켜 도심이나 도로, 보도의 침수를 방지하고, 하천 범람을 예방한다.
보도와 도로를 구획하는 경계블록(1)을 따라 도로변에는 도로나 보도의 우수를 집수하여 하천 등으로 방류하는 집수정(50)이 매설된다. 저류조(10)는 우수배출라인을 형성하는 배관(110)을 통해 도로변 집수정(50)과 연결되며, 저류되는 보도의 우수를 배관(110)을 통해 즉시 도로변 집수정(50)으로 보내지 않고 가둬두어 도로변 배수정(50)의 배수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침수와 범람을 예방할 수 있다.
저류조(10)는 하나 이상의 격벽들(11)을 통해 공간들(S)로 구획 분할되고, 그 구획 분활되는 공간들(S)에 대응하여 덮개(20) 및 다공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격벽들(11)은 좁은 공간들(S)에서 덮개(20)와 다공부재(30)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저류조(10)가 다공부재(30) 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저류조(10)는 금속, 수지 또는 콘크리트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저류조(10)는 보도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그 폭 내에서 격벽들(11)이 서로 거리를 두고 입설되어 공간들(S)을 구획 분할하며, 이 때문에 저류조(10)는 하나의 모듈화가 된다.
따라서, 저류조(10)는 서로 단부를 포개며 보도의 길이를 따라 배열되는 것만으로 시공이 간단히 완료되며, 어느 모듈이 파손되거나 훼손되면 그 모듈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저류조(10)는 벽체의 내벽면들에, 격벽들(11)은 벽면들에 리브(12)를 각각 돌출 형성하여 보강하고 보행에 따른 하중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저류조(10)의 개구된 일단과 타단에는 저류조(10)와 동일한 재질의 막음부재(13)(14)가 각각 설치되어 저류된 우수를 가둔다. 막음부재(13)는 처음 배열된 저류조(10)의 일단을 막고, 막음부재(14)는 마지막 배열된 저류조(10)의 타단을 막음으로써, 배열된 전체 길이의 저류조(10)가 막혀 우수가 저류된다.
저류조(10)는 타단에 연결돌부(15)를 저류조(10)의 내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하여 돌출 형성하고, 그 연장돌부(15)를 일단 내부에 끼워 적치함으로써 보도의 길이를 따라 서로 포개져 배열되며, 격벽들(11)은 그 연장돌부(15)에 까지 연장 형성되고, 리브(12)는 그 연장돌부(15)와 동일면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며, 조류조(10)의 일단에 표개진 연장돌부(15)는 리브(12)와 동일면을 이룬다.
이때, 서로 포개지는 연장돌부(15)의 하부 및 저류조(10)의 일단에는 서로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홀을 각각 형성하여 보도의 길이를 따라 배열되는 저류조(10)의 포개진 구조를 견고히 할 수 있다.
연장돌부(15)가 형성된 저류조(10)의 타단을 막는 막음부재(14)는 연장돌부(15)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홈(14a)을 형성하여 그 끼움홈(14a)에 연장돌부(15)를 끼우며 고정 설치되고, 막음부재(13)는 저류조(10)의 일단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설치된다. 막음부재(13)는 상판부(13a)를 가져 저류조(10)의 개구된 상부(10a)의 일부를 덮어 막을 수 있다.
리브(12)는 저류조(10)의 벽체들 및 격벽들(11)로부터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며, 저류조(10)의 개구된 상부(10a)를 덮는 덮개(20)는 2개의 턱을 형성하여 하부턱(23a)이 리브(12)에 안치되고, 상부턱(23b)은 저류조(10)의 벽체들 및 격벽들(11)의 상부에 각각 안치되어, 2단으로 보행자의 하중을 지지하며, 움직이지 않게 저류조(10)의 개구된 상부(10a)를 안전하게 덮을 수 있다.
이때, 서로 접하는 리브(12)의 상부와 덮개(20)의 측부에는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고정홈(12a)과 고정돌기(24)를 각각 형성하여 저류조(10)의 개구된 상부(10a)를 덮는 덮개(20)가 저류조(10)의 길이를 따라 수평 이동 즉,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20)의 상부에는 홈(21)이 형성되고, 그 홈(21)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제1 투수홀(22)이 형성되며, 홈(21)에 다공부재(30)가 장입 설치된다. 우수는 다공부재(30) 및 제1 투수홀(22)을 순차로 통과하여 저류조(10)에 고여 저류된다. 덮개(20)는 금속, 수지 또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공부재(30)는 우수가 투수되는 수 많은 기공을 가지며, 예를 들면 자갈이나 모래 또는 용광로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슬래그 등과 같은 골재에 접착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공부재(30)의 기공 크기는 골재의 크기에 영향을 받으며, 접착제는 골재를 결합하는 바인더이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함이 좋다.
다공부재(30)는 블록 형태로 기 제조되어 덮개(20)의 홈(21)에 장입될 수 있고, 골재와 접착제가 혼합된 혼합물 상태에서 홈(21)에 부어져 그 자리에서 굳음으로써 홈(21)과 일체로 장입될 수 있다. 이는 접착제가 홈(21)과 단단히 결합되어 다공부재(30)가 홈(21)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가장 적합하다.
덮개(20)는 홈(21)에 다수개의 분할벽(25)을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하고, 그 분할벽들(25) 및 홈(21)의 벽면과 바닥으로부터 다수의 접합돌기들(26)을 돌출 형성하여, 그 분할벽들(25) 및 접합돌기들(26)를 통해 다공부재(30)를 형성하는 혼합물과의 접합면을 확장함으로써, 홈(21)에서 굳어진 다공부재(30)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더 견고히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홈(21)에는 보도판체(40)가 설치되어 다공부재(30)를 덮을 수 있다. 다공부재(30)는 울퉁불퉁 튀어나온 골재로 인해 보행자가 밞는 보도면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보행자가 넘어지면 다칠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어 충격 등으로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홈(21)을 보도판체(40)로 덮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다공부재(30)를 보호할 수 있다.
덮개(20)는 하부턱(23a)이 감싸는 홈(21)의 하부에 다공부재(30)를 장입하고, 그 하부턱(23a) 위로 덮개(20)의 상부와 동일면으로 보도판체(40)를 적치하여 다공부재(30)를 덮을 수 있다. 보도판체(40)는 금속, 수지 또는 콘크리트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덮개(20)의 상부와 보도판체(40)의 측부에는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고정홈(27)과 고정돌기(45)가 각각 형성되어, 다공부재(30)를 덮은 보도판체(40)가 보행자가 보행하는 동안 덮개(20)로부터 전후좌우로 수평 이동 즉, 밀림이 없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21)의 내부에 적치되어 다공부재(30)를 덮는 보도판체(40)는 우수가 투수되는 다수의 제2 투수홀(41)을 형성하여 우수를 다공부재(30)로 보낸다.
다공부재(30)와 접하는 보도판체(40)의 하부에는 다공부재(30)와의 사이에 우수 이동로를 만드는 홈 형태의 물길패턴(4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투수홀(41)은 물길패턴(42)에 형성된다(도 8 참조).
제2 투수홀(41)과 접하는 다공부재(30) 부위의 기공이 막혔을 경우, 물길패턴(42)은 제2 투수홀(41)을 통과한 우수를 기공이 열려 있는 다공부재(30)의 부위로 이동시켜 신속히 저류조(10)로 투수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물길패턴(42)이 형성되지 않고 제2 투수홀(41)과 접하는 다공부재(30) 부위의 기공이 막히면, 제2 투수홀(41)의 우수가 다공부재(30)를 통과하지 못하고 그대로 보도판체(40)를 따라 외부로 흘러, 일반 포장 보도 또는 투수블록이 포장된 보도와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공부재(30)와의 사이에 우수 이동로를 만드는 물길패턴(42)은 격자 형태, 격자 형태에 대각선을 넣은 형태, 물결 형태, 동심원 형태, 곡선이 어지럽게 뒤엉킨 행태 등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길패턴(42)은 투수 조건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한 팬턴으로 특정되지 않는다.
보도판체(40)의 상부에는 보행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돌기들(4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돌기들(43)이 만드는 보도판체(40)의 상부 패턴 즉, 문양은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한 패턴으로 특정되지 않으며, 제2 투수홀(41)은 미끄럼방지돌기들(43) 사이에 형성된다.
즉, 제2 투수홀(41)은 미끄럼방지돌기들(43)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형성되며, 우수는 미끄럼방지돌기들(43) 사이 사이의 홈을 따라 흐르다가 제2 투수홀(41)로 들어가 물길패턴(42)을 따라 이동하며 다공부재(30)로 투수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저류조(10)에 저류된 우수는 배관(110)을 통해 도로변 집수정(50)으로 배수된다. 저류조(10)는 도로변 집수정(50)과 대향하는 벽체에 배수공(17)을 형성하고, 그 벽체에 배수공(17)과 배관(11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8)를 설치하여 저류된 우수를 도로변 집수정(50)으로 배수한다.
격벽들(11)에는 그 격벽들(11)이 구획한 조류조(10)의 공간들(S)을 서로 연결하는 통공(11a)이 각각 형성되고, 그 통공들(11a)에 의해 공간들(S)에 저류된 우수가 동일 수위로 저류되고, 도로변 집수정(50)으로 배수시 각 공간들(S)에 저류된 우수는 통공들(11a)을 통과하여 배수공(17)과 연결되는 공간(S)으로 이동된다.
배수공(17)은 배열된 저류조들(10) 중 우수가 흘러 모이는 저류조(10)에 형성될 것이고, 예를 들면 경사진 보도를 따라 저류조(10)가 배열된 경우 배수공(17)은 경사면 하부를 이루는 저류조(10)에 형성될 것이다. 이처럼 배수공(17)은 배열된 저류조(10)의 구배를 고려하여 그 위치가 결정될 것이다.
배수공(17)은 그 하부가 저류조(10)의 바닥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저류된 우수가 남김없이 배수되도록 한다. 저류조(10)의 바닥 보다 배수공(17)의 하부가 높아 단차지면 그 단차진 만큼 우수가 배수되지 않고 고이기 때문에 차후 부패되어 악취가 날 수 있다.
연결부재(18)는 배관(110)과 배수공(17)을 연결하는 관부(18a)와 그 관부(18a)를 저류조(10)의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부(18b)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부(18b)는 ㄴ자 형태를 이루어 저류조(10)의 벽체와 하부에 밀착될 수 있으며, 그 밀착된 상태에서 볼팅되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저류조(10)에는 저류되는 우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레벨센서(60)가 설치되고, 배관(110)의 중간에는 밸브(70)가 설치되며, 제1 수위레벨센서(60) 및 밸브(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위레벨센서(60)는 배수공(17)을 갖는 공간(S)의 저류조(10) 벽체 또는 격벽(11)에 설치되어 저류되는 수위를 측정함이 바람직하다.
밸브(70)는 모터 등의 구동부가 작동하여 개폐되는 자동밸브일 수 있고, 제어부는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는 밸브(70)에 탑재되지 않고 별도의 제어반을 만들어 지상에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제1 수위레벨센서(6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밸브(70)의 구동부를 작동시켜 개방하여 저류조(10)의 우수를 도로변 집수조(50)로 보낸다.
도로변 집수조(50)에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로변 집수조(50)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레벨센서(51)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 수위레벨센서(60)에서 감지신호가 없고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밸브(70)를 차단하고, 제1 수위레벨센서(60) 및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모두 없으면 밸브(70)를 차단하고, 제1 수위레벨센서(60) 및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모두 전송되면 밸브(70)를 차단하고, 제1 수위레벨센서(60)에서 감지신호가 전송되고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없으면 밸브(70)를 개방하여 저류조(10)의 우수를 도로변 집수조(50)로 보낼 수 있다.
제1 수위레벨센서(60)에서 감지신호가 없고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전송되는 경우는 저류조(10)에는 우수가 저류될 수 있는 공간이 남아 있고, 도로변 집수정(50)에는 우수가 가득 찬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가 밸브(70)를 차단함으로써, 저류조(10)에 우수가 채워질 때까지 도로변 집수정(50)의 방류를 유도하여 그 배수능력을 유지시켜줌으로써, 도로변 집수정(50)의 역류로 인한 도심이나 도로의 침수가 방지된다.
제1 수위레벨센서(60) 및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모두 없는 것은 장마철이나 태풍, 집중호우가 없는 시기나 계절인 경우이므로, 제어부가 밸브(70)를 차단함으로써, 도로변 집수정(50)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보도로 올라오는 것이 방지된다.
제1 수위레벨센서(60) 및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모두 전송되는 경우는 장마철이나 태풍, 집중호우로 인해 저류조(10)의 저류능력과 도로변 집수정(50)의 집수능력이 초과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가 밸브(70)를 차단함으로써, 우수가 도로변 집수정(50)에서 보도로의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여 극심한 보도의 침수가 방지된다.
제1 수위레벨센서(60)에서 감지신호가 전송되고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없는 것은 저류조(10)에는 우수가 가득 차고, 도로변 집수정(50)은 여유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가 밸브(70)를 개방함으로써, 저류조(10)의 우수를 도로변 집수조(50)로 신속히 보내 보도 침수가 방지된다.
한편, 저류조(10)에는 전력케이블용 지중관로(90)가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지중관로(90)는 저류조(10) 성형시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지중관로(90)는 저류조(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지중관로(90)는 경계블록(1)과 이웃하며, 보도나 도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로등과 같은 조명기구 또는 신호등과 같은 교통안전표시구 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케이블이 매설되며, 제1 및 제2 수위레벨센서(60)(51), 밸브(70) 및 제어부가 지중관로(90)에 매설된 전력케이블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할 수 있다.
지중관로(90)는 전력케이블을 매설하는 관로부(91)와, 그 관로부(91)를 덮는 덮개부(9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천시 보도의 우수를 즉시 도로변 집수정으로 배수하지 않고 모아 저류하며, 도로변 집수정의 수위를 고려하며 저류된 우수를 배수함으로써, 도로변 집수정의 배수능력을 유지시켜 도심이나 도로, 보도의 침수를 방지하고, 나아가 하천 범람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로 인한 침식작용으로 지반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싱크홀 등과 같은 땅 꺼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저류조
10a: 개구된 상부 11: 격벽
12: 리브 13: 막음부재
13a: 상판부 14: 막음부재
14a: 끼움홈 15: 연결돌부
17: 배수공 18: 연결부재
18a: 관부 18b: 고정부
20: 덮개
21: 홈 22: 제1 투수홀
23a: 하부턱 23b: 상부턱
24: 고정돌기 25: 분할벽
26: 접합돌기 27: 고정홈
30: 다공부재
40: 보도판체
41: 제2 투수홀 42: 물길패턴
43: 미끄럼방지돌기 45: 고정돌기
50: 도로변 집수정 51: 제2 수위레벨센서
60: 제1 수위레벨센서 70: 밸브
90: 지중관로 110: 배관

Claims (9)

  1. 개구된 상부(10a)를 갖고 지중에 매설되는 저류조(10);
    홈(21)과 상기 홈(21)의 바닥에 형성된 제1 투수홀(22)을 갖고 상기 저류조(10)의 개구된 상부(10a)를 덮는 덮개(20); 및
    상기 홈(21)에 장입되는 다공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저류조(10)는 길이를 갖는 관로 형태를 이루어 보도를 이루는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덮개(20)의 홈(21)에는 상기 다공부재(30)를 덮어 보호하며 보행면을 형성하는 보도판체(40)가 설치되고,
    상기 보도판체(40)에는 제2 투수홀(41)이 형성되어, 보도에 내린 우수가 상기 제2 투수홀(41), 상기 다공부재(30) 및 상기 제1 투수홀(22)을 순차로 통과하여 상기 저류조(10)에 고여 저류되고,
    상기 다공부재(30)와 접하는 상기 보도판체(40)의 하부에는 우수의 이동로를 만드는 홈 형태의 물길패턴(4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투수홀(41)은 상기 물길패턴(42)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투수홀(41)을 통과한 우수가 상기 물길패턴(42)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다공부재(30)의 막히지 않은 부위를 통해 상기 다공부재(30)를 통과하여 상기 제1 투수홀(22)을 거쳐 상기 저류조(10)로 이동하고,
    상기 저류조(10)에 저류된 우수가 도로변 집수조(50)로 배수되고,
    상기 저류조(10)에 설치되어 저류되는 우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레벨센서(60)와, 상기 저류조(10)와 상기 도로변 집수조(50) 사이의 우수배출라인 중간에 설치되는 밸브(70)와, 상기 제1 수위레벨센서(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레벨센서(6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밸브(70)를 개방하여 상기 저류조(10)의 우수를 상기 도로변 집수조(50)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판체(40)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돌기들(4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투수홀(41)은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들(43)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변 집수조(50)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로변 집수조(50)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레벨센서(51)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레벨센서(60)에서 감지신호가 없고 상기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밸브(70)를 차단하고,
    상기 제1 수위레벨센서(60) 및 상기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없으면 상기 밸브(70)를 차단하고,
    상기 제1 수위레벨센서(60) 및 상기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밸브(70)를 차단하고,
    상기 제1 수위레벨센서(60)에서 감지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제2 수위레벨센서(51)에서 감지신호가 없으면 상기 밸브(70)를 개방하여 상기 저류조(10)의 우수를 상기 도로변 집수조(50)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10)에는 전력케이블용 지중관로(9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위레벨센서(60)(51), 상기 밸브(70)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중관로(90)에 매설된 전력케이블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10)는 격벽(11)을 통해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 분할되고, 그 구획 분활되는 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20) 및 상기 다공부재(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10)는 보도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보도의 길이를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KR1020200138868A 2020-10-26 2020-10-26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KR102252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868A KR102252272B1 (ko) 2020-10-26 2020-10-26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868A KR102252272B1 (ko) 2020-10-26 2020-10-26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272B1 true KR102252272B1 (ko) 2021-05-14

Family

ID=7591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868A KR102252272B1 (ko) 2020-10-26 2020-10-26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2410A (zh) * 2021-12-14 2022-03-25 镇江市规划勘测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海绵城市系统的道路蓄水结构及蓄水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215A (ko) * 2010-01-30 2011-08-05 엄재욱 분활식 보도블록
KR101509444B1 (ko) 2013-11-11 2015-04-09 주식회사 코뉴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틈새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1164B1 (ko) * 2016-04-11 2017-02-01 주식회사우리테크 도로용 다기능 합성수지블록
KR20180124286A (ko) * 2017-05-11 2018-11-21 이환규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JP2019035307A (ja) * 2017-08-22 2019-03-07 エバタ株式会社 雨水貯留浸透無電柱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215A (ko) * 2010-01-30 2011-08-05 엄재욱 분활식 보도블록
KR101509444B1 (ko) 2013-11-11 2015-04-09 주식회사 코뉴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틈새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1164B1 (ko) * 2016-04-11 2017-02-01 주식회사우리테크 도로용 다기능 합성수지블록
KR20180124286A (ko) * 2017-05-11 2018-11-21 이환규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JP2019035307A (ja) * 2017-08-22 2019-03-07 エバタ株式会社 雨水貯留浸透無電柱化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2410A (zh) * 2021-12-14 2022-03-25 镇江市规划勘测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海绵城市系统的道路蓄水结构及蓄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35884A (ja) 道路用流出抑制排水工
KR102252272B1 (ko) 보도용 모듈식 우수의 투수 및 저류장치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KR101788120B1 (ko) 우수용 저류 및 배수 시스템
KR101322622B1 (ko)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KR100487067B1 (ko) 누수파이프를 갖는 유역토양 저수능 증가장치
JP2008255757A (ja) 流出抑制街渠工
CN215977570U (zh) 一种城市道路排水系统
KR100984372B1 (ko)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JP2004052269A (ja) マンホールおよび下水管路
KR101030108B1 (ko) 도로 빗물받이의 악취차단장치
CN113550397A (zh) 一种道路蓄排水系统及道路的施工方法
KR20140098583A (ko) 홍수 저감 및 침투 증진을 위한 침투형 도로 시스템
JPS6022153Y2 (ja) 道路側溝からの雨水を貯留・潅水・浸透させる装置
JPH11286984A (ja) 多目的街渠構造
JP2002317486A (ja) 雨水流出抑制処理施設
KR200265463Y1 (ko)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맨홀
KR100590412B1 (ko) 도로용 배수처리시설 설치구조
KR101741014B1 (ko)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102370200B1 (ko)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KR102303697B1 (ko) 빗물순환 포장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레일형 빗물순환 포장 도로 구조
KR100647210B1 (ko) 경계석과 일체로 구성된 측구
JPH11286983A (ja) 多目的街渠構造
KR200194038Y1 (ko) 수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