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800A -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 Google Patents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800A
KR20110047800A KR1020090104570A KR20090104570A KR20110047800A KR 20110047800 A KR20110047800 A KR 20110047800A KR 1020090104570 A KR1020090104570 A KR 1020090104570A KR 20090104570 A KR20090104570 A KR 20090104570A KR 20110047800 A KR20110047800 A KR 20110047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upper member
gabions
leg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140B1 (ko
Inventor
길인환
Original Assignee
(주)남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남영산업 filed Critical (주)남영산업
Priority to KR1020090104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1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빈 통 형상을 취하며, 외주면에는 철망 또는 외주면에 홀이 타공되어 있는 원통체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골재가 개구부 이하의 높이로 채워져 있으며, 수중 바닥에 하부가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고 일정 간격으로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돌망태와; 상기 돌망태 내부의 골재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시트와; 상기 차단시트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은 상기 개구부 높이에 해당하거나 개구부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돌망태의 외주면 철망과 연결된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고,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내부에 골재가 채워진 돌망태를 하천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돌망태의 상부에 콘크리트 재질의 상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하천의 물이 돌망태를 관통하여 통과하도록 하여 하천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줄어들어 다리가 수중으로 침몰하는 현상, 우천에 의해 떠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돌망태 내부에 채워진 골재와 콘크리트 재질의 상부부재 사이에 차단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골재 틈으로 흘러 골재 틈을 메우는 것을 방지하여 골재 사이의 틈이 적정하게 유지되며, 콘크리트 재질의 상부부재 내부에는 돌망태의 철망과 고정되는 보강재를 설치함으로써 사람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 도 상부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저부는 돌망태 하부의 수중 바닥에 박혀 있는 말뚝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유량 및 유속이 증가했을 경우에도 돌망태가 떠내려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강재는 굴곡진 단면 형태를 갖거나 일자형의 망이 가로, 세로 교차하는 형태를 갖는 금속망을 일단 또는 다단으로 층을 이루어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철근 배관 없이 시공하여 시공이 간편해지고, 돌망태의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커버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외관을 세련되 보이도록 하고, 철망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징검 다리, 돌망태, 콘크리트, 철망

Description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Steping stones using stone net bag}
본 발명은, 유속 또는 유량의 증가시에도 잘 떠내려가지 않도록 한,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에 관한 것이다.
돌다리라 함은 돌을 소재로 하여 시공설치되는 다리를 말하는 것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한 공법이 개발되기 이전 옛날 부터 하천이나 강 또는 연못 등을 건너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사용되었던 것이며, 크게 두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하나는 돌을 소정의 크기로 가공형성하여 마치 블럭을 쌓듯이 조립시공하는 돌다리(주로 대궐이나 대형사찰, 또는 고관대작의 사택 내부에 있는 연못 등에 설치 시공됨)와, 크기와 형태가 불규칙한 자연그대로의 큰 돌을 이용하여 비교적 수심이 깊지않은 하천이나 강 등에 설치함으로서 사람이나 가축 등이 건널수 있게 한 돌다리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한 전자의 경우와 같이 돌을 일정한 형태로 가공하여 이를 블럭을 쌓듯이 조립시공한 돌다리의 경우는 주로 궁이나 큰 절, 그리고 대형의 고관대작집 내 에 위치한 연못등에 주로 설치시공되었던 다리로서 현재 오래된 사찰이나 궁궐 등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하천이나 강 등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가축 들이 건널 수 있도록 된, 징검 다리 라고 불리는 돌다리는 자연 그대로의 돌을 선별 이용한 것으로서, 현재 남아있는 돌다리는 몇군데 없다.
다시 말하면, 자연석 그대로를 이용하여 시공된 돌다리는 세월이 흐르는 과정에서 태풍과 홍수등에 의해 대부분 떠내려갔거나 또는 콘크리트 다리로 대체된 상태인데다가 통상 돌다리는 차량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로 폭을 넓게 한다거나 수심이 깊은 곳에 설치구성하기 힘들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남아있는 것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편, 그 옛날 주로 걷거나 소나 말을 타고 건너던 다리대신에 토목건축기술의 발달로 하천이나 강에 대형의 교각이 설치시공되어 각종 물류 및 차량의 통행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또, 산업화와 과학화에 의해 인간생활의 모든 부분이 풍요로워진 반면 자연환경은 상기한 산업화와 과학화가 이루어진 만큼 파괴되었다 하더라도 과언이 아니며, 따라서 근자에 와서는 점차 메말라 가는 인간정서의 고취와 인간성 회복을 위한 일환으로 자연과의 조화 및 자연으로의 복귀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도심을 관통하여 흐르는 강이나 하천 주변으로 조깅이나 산책을 위한 산책로를 다수 설치함으로써 간격이 큰 대형 교량 외에 하천을 건너기 위한 징검 다리와 같은 소형 교량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도 1에 도시된 '징검다리'(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3469호)에는 하천의 저면에 소정 깊이만큼 박힌 베이스 및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사람이 딛고 건너는 암석을 포함하는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아울러, '자연석 돌다리'(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1632호)에는 다리기둥용 돌은 다리상판용 돌의 크기와 모양에 의해 설치간격을 설정한뒤, 하천바닥에 앵커볼트로 고정설치하며, 상단 양측에는 설치고정하고자 하는 다리상판용 돌의 양 끝 모양을 감안하여 안착부 또는 결합홈을 선택 형성하여 구성하고, 다리상판용 돌은 가급적 넓은 형태의 것으로 구비하여 양 끝단부가 상기한 안착부 또는 결합홈에 안착되거나 끼워진 상태에서 앵커볼트로서 다리기둥용 돌과 결합고정하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기둥부재가 자연석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저속의 물의 흐름에도 기둥부재 주변의 흙이 패이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기둥부재가 가라앉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연적인 물의 흐름을 기둥부재가 방해하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우천이나 홍수 등이 발생할 경우 물의 유속이 강해질 경우 기둥이 떠내려가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골재가 채워진 돌망태를 하천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돌망태의 상부에 콘크리트 재질의 상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하천의 물이 돌망태를 관통하여 통과하도록 하여 하천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다리가 수중으로 침몰하는 현상, 우천에 의해 떠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또, 돌망태 내부에 채워진 골재와 콘크리트 재질의 상부부재 사이에 차단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골재 틈으로 흘러 골재 틈을 메우는 것을 방지하여 골재 사이의 틈이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재질의 상부부재 내부에는 돌망태의 철망과 고정되는 보강재를 설치함으로써 사람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상부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상부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저부는 돌망태 하부의 수중 바닥에 박혀 있는 말뚝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유량 및 유속이 증가했을 경우에도 돌망태가 떠내려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또, 보강재는 굴곡진 단면 형태를 갖는 금속망을 일단 또는 다단으로 층을 이루어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철근 배관 없이 시공하여 시공의 간편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돌망태의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커버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외관을 세련되 보이도록 하고, 철망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빈 통 형상을 취하며, 외주면에는 철망 또는 외주면에 홀이 타공되어 있는 원통체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골재가 개구부 이하의 높이로 채워져 있으며, 수중 바닥에 하부가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고 일정 간격으로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돌망태와; 상기 돌망태 내부의 골재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시트와; 상기 차단시트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은 상기 개구부 높이에 해당하거나 개구부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돌망태의 외주면 철망과 연결된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고,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하부가 상기 돌망태의 하부를 관통하여 수중 바닥에 박혀 있고, 상부는 상기 상부부재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말뚝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보강재는 굴곡진 단면 형태를 갖는 금속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보강재는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설치되되,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돌망태의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커버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내부에 골재가 채워진 돌망태를 하천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돌망태의 상부에 콘크리트 재질의 상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하천의 물이 돌망태를 관통하여 통과하도록 하여 하천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다리가 수중으로 침몰하는 현상, 우천에 의해 떠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돌망태 내부에 채워진 골재와 콘크리트 재질의 상부부재 사이에 차단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골재 틈으로 흘러 골재 틈을 메우는 것을 방지하여 골재 사이의 틈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재질의 상부부재 내부에는 돌망태의 철망과 고정되는 보강재를 설치함으로써 사람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상부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부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저부는 돌망태 하부의 수중 바닥에 박혀 있는 말뚝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유량 및 유속이 증가했을 경우에도 돌망태가 떠내려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보강재는 굴곡진 단면 형태를 갖는 금속망을 일단 또는 다단으로 층을 이루어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철근 배관 없이 시공하여 시공이 간편해진다.
아울러, 돌망태의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된 커버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외관을 세련되 보이도록 하고, 철망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다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다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다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말뚝이 추가 구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커버부재가 추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다리는 크게, 돌망태(10), 차단시트(20), 상부부재(30)로 구성된다.
돌망태(10)는 철망(11) 또는 외주면에 홀이 타공되어 있는 원통체 및 골재(12)로 이루어진다.
철망(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빈 통 형상을 취한다.
철망(11)의 재질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합성수지나 부식 방지 처리된 금속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원통형으로 형성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 튜브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철망(11)의 형태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의 발명자가 창작한 디자인등록공보에 공개된 육각, 사각, 능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돌망태 철망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다.
원통체는 도 5나 도 6에 도시된 형상과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홀이 타공되어 있는 형태를 취한다.
이때, 원통체는 도면과 달리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
골재(12)는 철망(11)의 개구부를 통해 철망(11) 내부에 일정한 높이로 채워져 있되, 도시된 것처럼 철망(11) 전체 높이의 1/2 ~ 2/3 정도의 높이까지 채워진다.
이러한 돌망태(10)는 도시된 것처럼 하부가 수중 바닥(60)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고 일정 간격으로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차단시트(20)는 돌망태(10) 내부의 골재(12)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일반적인 천이나 부직포, 비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성능이 보장된 천이나 합성수지 시트 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부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시트(20)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 면은 상기 개구부 높이에 해당하거나 개구부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돌망태(10)의 외주면 철망(11)과 연결된 보강재(31)가 설치되어 있고,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부재(30)는 보행자들이 본 발명의 징검다리를 건널 때 보행자의 하중을 직접 지탱하는 부분이다.
상부부재(30) 형성을 위해 돌망태(10)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보강 철근을 돌망태(10)의 철망(11) 내측으로 배근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보강 철근을 배근하는 것은 작업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굴곡진 단면 형태를 갖는 금속망이나, 일자형이면서 평면에서 봤을 때 격자 나 다각형 형태로 교차되는 형태를 갖는 금속망으로 보강재(31)를 구성하여 돌망태(10) 내부에 보강재(31)를 삽입한 후 돌망태(10) 둘레의 철망(11)과 보강재(31)를 철선으로 간편하게 결속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의 보강재(31)는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설치되되,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 설치함으로써 상부부재(3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자형 평면을 갖는 것보다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굴곡진 단면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도 3의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망태(10) 내부의 골재(12) 사이 틈으로 수면(61) 하부의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천의 물이 돌망태(10)를 관통하여 통과하도록 하여 하천 물의 흐름에 대한 다리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다리가 수중으로 침몰하는 현상, 우천에 의해 떠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돌망태(10) 내부에 채워진 골재(12)와 콘크리트 재질의 상부부재(30) 사이에 차단시트(20)를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골재(12) 틈으로 흘러 골재(12) 틈을 메우는 것을 방지하여 골재(12) 사이의 틈이 적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콘크리트 재질의 상부부재(30) 내부에는 돌망태(10)의 철망(11)과 고정되는 보강재(31)를 설치함으로써 사람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상부부재(3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돌망태(10)의 하부를 수중 지반에 삽입한 정도로는 폭우나 홍수시 유속의 증가가 클 경우 떠내려가지는 않더라도 기울어지거나 밀려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4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말뚝(40)은 하부가 상기 돌망태(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수중 바닥(60)에 박혀 있고, 상부는 상기 상부부재(3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말뚝(40)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은 수중에 직접 말뚝(40)을 습식 시공한 다음 돌망태(10) 및 차단시트(20)를 설치하고, 그 위에 상부부재(30)를 시공하는 방법을 적용하거나, 건식으로 기 제작된 말뚝(40)을 하천 바닥(60)에 삽입한 이후에 상부부재(30) 형성시 말뚝(40)과 상부부재(30)를 일체화시키면 된다.
일체화시키는 방법은 상부부재(30)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하거나, 말뚝(40)에 보강철근 등을 삽입한 상태에서 형성하고, 보강철근 일부를 말뚝(40) 밖으로 돌출시켜 시공한 다음 돌출된 보강철근과 상부부재(30) 형성을 위한 보강재(31) 또는 돌망태(10)의 철망(11)을 상호 연결시켜 시공하면 된다.
이처럼 말뚝(40)을 형성하게 되면 홍수가 발생하거나 유속의 증가가 매우 크더라도 물에 떠내려가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돌망태(10)를 구성하고 있는 철망(11)에는 이끼, 수중식물 등이 달라붙기 좋은 조건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이끼나 수중식물 등이 달라붙게 되면 철망(11) 내부로 물이 통과하는 비율이 줄어들게 되고 이는 종래의 다리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돌망태(10)의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51)이 형성된 커버부재(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재(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부재(3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부재(50)의 장점을 적용하여 돌망태(10)의 구조를 단순히 철 망(11) 형태로 형성하는 대신 도시된 커버부재(50)의 형상과 같이 철판이나 합성수지판을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외주면에 홀을 타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철망(11) 대신 사용된 원통체는 도면과 달리 상부가 뚫려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철망(11)은 철판이나 합성수지판에 홀을 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보강재(31)를 상부부재(30) 내부에 다수 설치한다 하더라도 상부부재(30)를 지지하는 골재(12)가 균일한 면을 이루지 못하고, 골재(12) 사이의 틈이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상부부재(30)에 보행자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질 때 상부부재(30)에 크랙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차단시트(20) 상부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폰지와 같은 충격흡수부재를 설치하게 되면 충격을 고루 분산시켜주는 효과를 얻어 상부부재(30)의 파손을 보다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징검다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징검 다리에 말뚝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징검 다리에 커버부재가 추가로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징검다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돌망태 11 : 철망
12 : 골재 20 : 차단시트
30 : 상부부재 31 : 보강재
40 : 말뚝 50 : 커버부재
51 : 투수홀 60 : 바닥
61 : 수면

Claims (5)

  1. 징검 다리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빈 통 형상을 취하며, 외주면에는 철망(11) 또는 외주면에 홀이 타공되어 있는 원통체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골재(12)가 개구부 이하의 높이로 채워져 있으며, 수중 바닥(60)에 하부가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고 일정 간격으로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돌망태(10)와;
    상기 돌망태(10) 내부의 골재(12)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시트(20)와;
    상기 차단시트(20)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은 상기 개구부 높이에 해당하거나 개구부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돌망태(10)의 외주면 철망(11)과 연결된 보강재(31)가 설치되어 있고,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하부가 상기 돌망태(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수중 바닥(60)에 박혀 있고, 상부는 상기 상부부재(3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말뚝(40)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1)는 굴곡진 단면 형태를 갖는 금속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1)는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설치되되,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10)의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51)이 형성된 커버부재(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KR1020090104570A 2009-10-30 2009-10-30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KR101059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570A KR101059140B1 (ko) 2009-10-30 2009-10-30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570A KR101059140B1 (ko) 2009-10-30 2009-10-30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800A true KR20110047800A (ko) 2011-05-09
KR101059140B1 KR101059140B1 (ko) 2011-08-25

Family

ID=4423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570A KR101059140B1 (ko) 2009-10-30 2009-10-30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725A (ko) * 2012-10-29 2014-05-09 수생태복원(주) 여울블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06B1 (ko) * 2011-11-17 2013-11-13 이대영 개비온
KR101338949B1 (ko) * 2011-11-30 2013-12-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체형 필터를 내장한 징검다리 형태의 자연형 하천 여울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496Y1 (ko) 2002-02-04 2002-05-04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하천용 징검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725A (ko) * 2012-10-29 2014-05-09 수생태복원(주) 여울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140B1 (ko)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471B1 (ko)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JP5157710B2 (ja) 堤防の補強構造
KR100913772B1 (ko) 자연형 하천의 생태 어도보
KR101059140B1 (ko)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KR20090012167A (ko) 토목섬유를 이용한 계단형 낙차공/보의 개량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JP2002112626A (ja) 植物育成ブロック構築構造
KR20050019569A (ko) 돌망태 옹벽을 이용한 생태하천의 인공어초 구조물
CN108166451B (zh) 江河边岸仿土毯式立体消能护坡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KR200438205Y1 (ko) 계단형의 친수성 호안 블록 구조물
KR100510884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JP2005282287A (ja) 水路式魚道ブロック
JP3357641B2 (ja) 護岸ブロック
KR100451983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200327410Y1 (ko) 호안블록의 체결장치
KR200274521Y1 (ko) 제방 경사면 보강블록
CN211646256U (zh) 河道的护岸结构
KR100992377B1 (ko)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럭
KR200342365Y1 (ko) 꺽쇠를 이용한 유속 감쇠형 호안 구조물
KR200340945Y1 (ko) 투수콘 호안블록
KR200410822Y1 (ko)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JP4056522B2 (ja) 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KR20090000363U (ko) 어소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