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135B1 - 유동형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유동형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135B1
KR101342135B1 KR1020110143985A KR20110143985A KR101342135B1 KR 101342135 B1 KR101342135 B1 KR 101342135B1 KR 1020110143985 A KR1020110143985 A KR 1020110143985A KR 20110143985 A KR20110143985 A KR 20110143985A KR 101342135 B1 KR101342135 B1 KR 10134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mber
support
flow rate
fixing
upper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584A (ko
Inventor
성택룡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3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1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인 유동형 안전난간의 일 실시예는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상에 장착되는 지지하우징;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토록 보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하우징과 샤프트에 의해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주부재; 및 상기 지지하우징과 지주부재간에 연계되고, 상기 지주부재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하우징에 구비된 제1 고정홀과 상기 지주부재에 구비된 제2 고정홀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고정블럭; 및 상기 지지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블럭에 제공된 체결홀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블럭를 상기 지지하우징상에 고정토록 제공되는 체결바;를 포함하는 유동형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강가 등에 설치되어 하천의 범람시 강한 유속에 대응하여 유동하여 파손이 방지되고, 유속 저감시에는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복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형 안전난간{Movable safety rail}
본 발명은 유동형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강가 등에 설치되어 하천의 범람시 강한 유속에 대응하여 유동하여 파손이 방지되고, 유속 저감시에는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토록 구성된 유동형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평상시에는 보행자가 교량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사람이 기대는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그러나, 장마철이나 폭우 등으로 인해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난간 위쪽에 이를 정도가 되면 물이 범람하여 강한 유속으로 이 난간을 지나가기 때문에 지주가 견디지 못하고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일이 자주 있어왔다. 이 때문에 각급 지자체에서는 홍수나 장마철 이후에 잦은 지주 교체작업에 비용과 시간을 들여오고 있으며, 다시 보수하는데 걸리는 시간 때문에 그 사이에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에는 종래의 안전난간이 도시되어 있으며, 하천의 범람하여 유속(7)이 강하게 안전난간을 관통하여 지나가게 되면 안전난간의 지주(1)가 물의 하중을 이겨내지 못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거나 파단되어 버린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번호 실2000-0019071에 개재된 기존의 제안 기술인 유동형 안전난간은 항상 힌지와 스프링 등으로 탄성거동을 하게 해 두었는데, 이럴 경우 문제 발생전의 일반 사용환경에서 사람의 보호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태풍이나 장마가 아닌 때에 사람이 기대거나 해도 회전 탄성거동을 하게 됨으로써 난간의 본래 기능인 보행자 보호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해안가나 부둣가 등에 설치되어 하천의 범람시에 유속에 대응하여 유동하여 파손이 방지되고, 유속 저감시에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토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유동형 안전난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유동형 안전난간의 일 실시예는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상에 장착되는 지지하우징;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토록 보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하우징과 샤프트에 의해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주부재; 및 상기 지지하우징과 지주부재간에 연계되고, 상기 지주부재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하우징에 구비된 제1 고정홀과 상기 지주부재에 구비된 제2 고정홀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고정블럭; 및 상기 지지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블럭에 제공된 체결홀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블럭를 상기 지지하우징상에 고정토록 제공되는 체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지지하우징과 지주부재간에 연계되고, 상기 지주부재에 인가되는 유속 저감시, 상기 지주부재를 원위치로 복귀토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하우징상에서 유속 방향측 내면에 장착되는 제1 지지축과 상기 지주부재상에서 유속 방향측 일면에 장착되는 제2 지지축 및 상기 제1,2 지지축과 연계되어 상기 지주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고리형 코일스프링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부재가 유속에 의해 뉘어질 때, 지면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토록 충격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유동형 안전난간의 다른 실시예는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상에 장착되는 하부지주부재와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토록 보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지주부재와 힌지부재에 의해 연계되어 유속에 대응하여 유동토록 제공되는 상부지주부재 및 상기 하부지주부재와 상부지주부재간에 연계되고 상기 상부지주부재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지주부재의 하단 돌출부에 구비된 제1 고정홀과 상기 하부지주부재의 상단 돌출부에 구비된 제2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더하여, 유속에 의해 상기 상부지주부재가 유동될 때 상기 상부지주부재와 하부지주부재에 유입되는 유체를 배출토록 상기 상부지주부재의 상단 일측과 상기 하부지주부재의 하단 일측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배출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주부재과 하부지주부재의 유체가 흐르는 방향측 내면에 연계되고, 유속 저감시 상기 상부지주부재를 원위치로 복귀토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상부지주부재에 구비된 제1 지지축과 상기 하부지주부재에서 상기 제1지지축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지지축 및 상기 제1,2 지지축간에 연계되어 상기 상부지주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고리형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부재는 유속의 저항을 감소토록 평단면이 원형이거나 유체가 흐르는 방향측이 유선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는 유속의 저항에 대응하여 유동하는 로프이거나 유속의 저항을 극복 가능한 강도를 가진 원형의 강관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유동형 안전난간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강가 등에 설치되어 하천의 범람시 유속이 강하게 흐르는 경우에는 유속에 대응하여 유속방향으로 이동토록 하여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주부재는 유선형 내지 원형으로 구성하여 유속으로 받는 하중을 감소토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속이 감소된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을 통해 다시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하고 고정시킴으로써, 다시 일으켜 세우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안전난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천 범람에 의해 휘어진 안전난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첫번째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두번째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발명이 유속에 의해 유속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강가 등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명이 유속에 의해 유속방향으로 회전하며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첫번째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두번째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발명이 유속에 의해 유속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
도 11은 강가 등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발명이 유속에 의해 유속방향으로 회전하며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유동형 안전난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강가 등에 설치되어 하천의 범람시 강한 유속에 대응하여 유동하여 파손이 방지되고, 유속 저감시에는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토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첫번째 형상을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두번째 형상을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발명이 유속에 의해 유속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그리고, 도 6은 강가 등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명이 유속에 의해 유속방향으로 회전하며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유동형 안전난간은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150)상에 장착되는 지지하우징(130)과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토록 보호부재(12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하우징(130)과 샤프트(180)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주부재(110) 및 상기 지지하우징(130)과 지주부재(110)간에 연계되고, 상기 지주부재(110)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고정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150)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지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지면은 강가나 해안가, 부둣가 등의 경계로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0)는 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네 개의 모서리에 체결구에 의해 지면에 고정된다. 다만, 상기 베이스(15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등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150)의 상부에는 ㄷ 자형의 평면도를 가지는 지지하우징(130)이 장착된다. 상기 지지하우징(130)은 사각 기둥의 형상을 가지지만, 일면이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개방된 부분은 하천의 범람시 물이 유동하는 방향이 될 것이며, 이는 상기 지주부재(110)가 뉘어지며 회동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반대로 상기 지지하우징(130)의 개방된 일면의 반대측면은 하천의 범람시 물이 유동하는 반대방향을 바라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면은 첫번째 형상처럼 사각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아니면 유속에 의한 저항을 감소되게 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하우징(130)에는 두 개의 홀이 유속방향에 나란히 놓이는 양면에 구비된다. 우선 하부에 제공된 홀은 샤프트(180)에 의해 상기 지주부재(11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하우징(130)과 상기 지주부재(110)는 상기 샤프트(180)에 의해 연결되어 일정 간격을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하우징(130)의 상단에 제공된 홀은 평상시 상기 지주부재(110)의 유동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고정블럭(171)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블럭(171)을 상기 지주부재(110)에 구비된 제2 고정홀(115)과 상기 지지하우징(130)에 제공된 제1 고정홀(135)간에 삽입 연결하여 보행자가 난간에 기대더라도, 보행자의 하중을 견디어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고정블럭(171)의 일단에는 원형의 체결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블럭(171)이 상기 제1,2 고정홀에 삽입된 후 ㄱ 자형의 체결바(172)를 끼워 고정토록 한다.
그리고, 하천의 범람이 예상되거나 범람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블럭(171)을 해체하여 상기 지지부가 상기 지지하우징(130)과 연계된 샤프트(180)에 의해 유속에 대응하여 유동토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주부재(110)는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하우징(130)에 샤프트(180)에 의해 연결되고 일정 간격을 회동토록 제공된다. 상기 지주부재(110)는 상기 지주부재(110)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보호부재(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120)는 유속에 의해 휘거나 파단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강관일 수 있으며, 아니면 유속에 대응하여 유동할 수 있는 로프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주부재(110)의 형상은 유속이 흐르는 방향측에서 유속의 의한 저항을 감소토록 유선형일 수 있으며, 아니면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유속 방향측 상기 지주부재(110)의 일면과 상기 지지하우징(130)의 일면에는 상기 지지하우징(130)과 지주부재(110)간에 연계되고, 상기 지주부재(110)에 인가되는 유속 저감시, 상기 지주부재(110)를 원위치로 복귀토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지지하우징(130)상에서 유속 방향측 내면에 장착되는 제1 지지축(142)과 상기 지주부재(110)상에서 유속 방향측 일면에 장착되는 제2 지지축(146) 및 상기 제1,2 지지축과 연계되어 상기 지주부재(11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고리형 코일스프링(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천이 범람하여 물이 내륙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 유속의 저항에 의해 상기 지주부재(110)는 유속반대방향으로 뉘어지게 된다. 그 후 범람이 잠잠해지고 물의 유속이 낮아지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140)에 의해 다시 상기 지주부재(11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14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지주부재(110)가 뉘어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다시 원위치로 일으켜 세우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150)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주부재(110)가 유속에 의해 뉘어질 때, 지면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토록 충격방지부재(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방지부재(160)는 상기 베이스(150)상에서 상기 지지부가 뉘어지는 측에 장착된다. 상기 충격방지부재(160)는 상기 베이스(150)상에 구비된 돌출블럭(165)과 상기 돌출블럭(165) 상단에 제공되는 고무 재질의 완충제(16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부재(110)가 강한 유속으로 인해 완전히 뉘어지더라도 지면과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에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첫번째 형상이 강가에 설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하천의 범람이 예상되는 경우에 작업자는 미리 상기 고정부재(170)를 제거해 놓게 된다.
이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이 범람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170)가 제거된 상기 지주부재(110)는 유속의 저항에 의해 유속반대방향으로 뉘어지게 된다. 상기 지주부재(110)는 유속에 대응하여 뉘어지는 정도가 결정될 것이며, 유속의 저항을 상기 지주부재(110)의 유선형 또는 원형의 형상으로도 적게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지주부재(110)가 뉘어지면서 더욱 저항을 감소시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첫번째 형상을 나타낸 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두번째 형상을 나타낸 도이고, 도 10은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발명이 유속에 의해 유속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강가 등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발명이 유속에 의해 유속방향으로 회전하며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8 내지 도 10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유동형 안전난간의 다른 실시예는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250)상에 장착되는 하부지주부재(230)와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토록 보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지주부재(230)와 힌지부재(290)에 의해 연계되어 유속에 대응하여 유동토록 제공되는 상부지주부재(210) 및 상기 하부지주부재(230)와 상부지주부재(210)간에 연계되고 상기 상부지주부재(210)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고정수단(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250)는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250)의 상단에는 하부지주부재(230)가 고정되어 제공된다. 상기 하부지주부재(230)와 힌지부재(290)에 의해 상기 상부지주부재(210)가 연결된다. 상기 흰지부재는 유속이 흐르는 반대방향측에 제공되어 유속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지주부재(210)가 유동토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재(290)가 위치하는 측의 반대측, 즉 물이 유동하는 방향측에는 고정수단(270)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270)은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의 하단 돌출부에 구비된 제1 고정홀과 상기 하부지주부재(230)의 상단 돌출부에 구비된 제2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바(2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하천의 범람이 예상되면 상기 고정바(275)를 상기 제1,2 고정홀에서 분리해 놓으면 된다. 상기 고정바(275)는 ㄱ자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바(275)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에 연결된 쇠줄에 의해 분실을 방지토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속에 의해 상기 상부지주부재(210)가 유동될 때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와 하부지주부재(230)에 유입되는 유체를 배출토록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의 상단 일측과 상기 하부지주부재(230)의 하단 일측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배출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의 상단에는 하나 이상의 유체배출구(213)가 구비된다. 작업자가 하천의 범람을 예상하고 상기 고정바(275)를 분리해 놓은 상태에서, 이제 하천이 범람하여 강물이 유입되면 상기 상부지주부재(210)는 유속의 저항에 의해 유속반대방향으로 뉘어지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지주부재(210)는 내부가 비어있으므로 물은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내부에 유입된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에 잔류하게 되면, 상기 상부지주부재(210)는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유속의 저항을 받게 되면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에 유체배출구(213)를 가공하여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지주부재(230)의 하단에도 유체배출구(233)를 가공하여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주부재는 유속의 저항을 감소토록 평단면이 원형인 첫번째 형상이거나 유체가 흐르는 방향측이 유선형인 두번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는 유속의 저항에 대응하여 유동하는 로프이거나 유속의 저항을 극복 가능한 강도를 가진 원형의 강관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지주부재(210)과 하부지주부재(230)의 유체가 흐르는 방향측 내면에 연계되고, 유속 저감시 상기 상부지주부재(210)를 원위치로 복귀토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240)은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에 구비된 제1 지지축(242) 상기 하부지주부재(230)에서 상기 제1 지지축(242)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지지축(246) 및 상기 제1,2 지지축간에 연계되어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고리형 코일스프링(2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지지축은 유속이 흐르는 방향측에 장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고정부재(170)가 위치하는 부분의 내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1,2 지지축에 상기 고리형의 코일스프링(243)이 체결되어 상기 상부지주부재(210)가 유속의 저항에 의해 뒤로 뉘어지는 경우에, 그 후 유속이 감소하는 경우 다시 원위치로 복귀토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1에는 강가 등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첫번째 형상이 설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작업자는 이제 하천의 범람이 예상되면, 상기 고정바(275)를 분리하여 놓는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275)는 쇠줄에 의해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에 연결되어 있어 분실의 염려는 없다.
이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이 범람하면 물의 유속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지주부재(210)가 뒤로 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에 침투된 물은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의 유체배출구(213)를 통해 다시 배출된다.
그 후 하천의 범람이 잠잠해져 유속이 감소된 경우에는 상기 탄성수단(240)이 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상부지주부재(210)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유동형 안전난간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10...지주부재 120...보호부재
130...지지하우징 140...탄성부재
150,250...베이스 160...충격방지부재
170...고정부재 180...샤프트
210...상부지주부재 230...하부지주부재
240...탄성수단 270...고정수단
290...힌지부재

Claims (12)

  1.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150)상에 장착되는 지지하우징(130);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토록 보호부재(12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하우징(130)과 샤프트(180)에 의해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주부재(110); 및
    상기 지지하우징(130)과 지주부재(110)간에 연계되고, 상기 지주부재(110)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고정부재(17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170)는,
    상기 지지하우징(130)에 구비된 제1 고정홀(135)과 상기 지주부재(110)에 구비된 제2 고정홀(115)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고정블럭(171); 및
    상기 지지하우징(130)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블럭(171)에 제공된 체결홀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블럭(171)를 상기 지지하우징(130)상에 고정토록 제공되는 체결바(1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전난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하우징(130)과 지주부재(110)간에 연계되고, 상기 지주부재(110)에 인가되는 유속 저감시, 상기 지주부재(110)를 원위치로 복귀토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전난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지지하우징(130)상에서 유속 방향측 내면에 장착되는 제1 지지축(142);
    상기 지주부재(110)상에서 유속 방향측 일면에 장착되는 제2 지지축(146); 및
    상기 제1,2 지지축(142,146)과 연계되어 상기 지주부재(11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고리형 코일스프링(1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전난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50)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주부재(110)가 유속에 의해 뉘어질 때, 지면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토록 충격방지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전난간.
  6.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250)상에 장착되는 하부지주부재(230);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토록 보호부재(220)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지주부재(230)와 힌지부재(290)에 의해 연계되어 유속에 대응하여 유동토록 제공되는 상부지주부재(210); 및
    상기 하부지주부재(230)와 상부지주부재(210)간에 연계되고 상기 상부지주부재(210)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고정수단(27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270)은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의 하단 돌출부에 구비된 제1 고정홀과 상기 하부지주부재(230)의 상단 돌출부에 구비된 제2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바(2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전난간.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유속에 의해 상기 상부지주부재(210)가 유동될 때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와 하부지주부재(230)에 유입되는 유체를 배출토록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의 상단 일측과 상기 하부지주부재(230)의 하단 일측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배출구(213,2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전난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주부재(210)과 하부지주부재(230)의 유체가 흐르는 방향측 내면에 연계되고, 유속 저감시 상기 상부지주부재(210)를 원위치로 복귀토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전난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240)은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에 구비된 제1 지지축(242);
    상기 하부지주부재(230)에서 상기 제1 지지축(242)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지지축(246); 및
    상기 제1,2 지지축(242,246)간에 연계되어 상기 상부지주부재(21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고리형 코일스프링(2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전난간.
  11.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는 유속의 저항을 감소토록 평단면이 원형이거나 유체가 흐르는 방향측이 유선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전난간.
  12.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유속의 저항에 대응하여 유동하는 로프이거나 유속의 저항을 극복 가능한 강도를 가진 원형의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전난간.
KR1020110143985A 2011-12-27 2011-12-27 유동형 안전난간 KR101342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985A KR101342135B1 (ko) 2011-12-27 2011-12-27 유동형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985A KR101342135B1 (ko) 2011-12-27 2011-12-27 유동형 안전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584A KR20130075584A (ko) 2013-07-05
KR101342135B1 true KR101342135B1 (ko) 2013-12-13

Family

ID=4898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985A KR101342135B1 (ko) 2011-12-27 2011-12-27 유동형 안전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1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779A (ko) * 2014-11-24 2016-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장치
KR20160064744A (ko)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방향조절이 가능한 난간대를 갖는 안전 난간
CN111501529A (zh) * 2020-05-15 2020-08-07 中水电四局南方(珠海)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防撞的保护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553834B1 (ko) * 2022-05-06 2023-07-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범람 방지용 물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79023B1 (ko) 2023-04-25 2023-09-15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보행로가 확보되고 완충기능을 가지는 난간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7366A (zh) * 2018-09-03 2018-11-23 杜鑫 一种桥梁防撞护栏
CN112195758B (zh) * 2020-10-25 2022-04-19 无锡天工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桥梁中部防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769B2 (ja) * 1988-04-08 1994-06-08 建設省近畿地方建設局長 堤防における転落防止用柵
KR100780930B1 (ko) 2006-06-23 2007-12-03 (주) 케이 이엔씨 조망가능한 방풍시설
KR101028110B1 (ko) * 2010-10-26 2011-04-08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무빙가드
KR101083318B1 (ko) * 2011-03-25 2011-11-15 최석헌 자동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769B2 (ja) * 1988-04-08 1994-06-08 建設省近畿地方建設局長 堤防における転落防止用柵
KR100780930B1 (ko) 2006-06-23 2007-12-03 (주) 케이 이엔씨 조망가능한 방풍시설
KR101028110B1 (ko) * 2010-10-26 2011-04-08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무빙가드
KR101083318B1 (ko) * 2011-03-25 2011-11-15 최석헌 자동난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779A (ko) * 2014-11-24 2016-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장치
KR101701961B1 (ko) * 2014-11-24 2017-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장치
KR20160064744A (ko)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방향조절이 가능한 난간대를 갖는 안전 난간
CN111501529A (zh) * 2020-05-15 2020-08-07 中水电四局南方(珠海)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防撞的保护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553834B1 (ko) * 2022-05-06 2023-07-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범람 방지용 물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79023B1 (ko) 2023-04-25 2023-09-15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보행로가 확보되고 완충기능을 가지는 난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584A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135B1 (ko) 유동형 안전난간
KR100743478B1 (ko) 하천 교각의 세굴방지 구조물
KR200480751Y1 (ko) 맨홀 추락 방지장치
KR101083318B1 (ko) 자동난간
KR102019236B1 (ko) 낙석 방지 구조체
KR100871417B1 (ko) 자동 전도 난간
KR20090098554A (ko) 교각 기초 구조물의 세굴방지대
KR101514959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KR20170104773A (ko) 교각기둥 보호장치
KR101186612B1 (ko) 차수판
CN204661073U (zh) 防冲顶安全装置
JP4652993B2 (ja) 水制工及びその設置構造
KR20120032785A (ko) 부력식 자동도복난간
KR20120065306A (ko)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US7063484B2 (en) Boat barrier attachment for log and debris booms
JP3181060U (ja) タンクの滑動防止装置
JP5123784B2 (ja) マンホール浮上抑制装置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202697B1 (ko) 오탁방지막 구조물
KR101127624B1 (ko)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KR100591195B1 (ko) 교량 우물통 기초의 세굴방지대
JP6285117B2 (ja) 可搬式排水ポンプ
CN210975501U (zh) 一种市政工程用桥梁防护装置
KR100684173B1 (ko) 교량 점검용 자켓
KR101254891B1 (ko) 시설물 고정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