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689B1 -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 - Google Patents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689B1
KR101511689B1 KR20130088630A KR20130088630A KR101511689B1 KR 101511689 B1 KR101511689 B1 KR 101511689B1 KR 20130088630 A KR20130088630 A KR 20130088630A KR 20130088630 A KR20130088630 A KR 20130088630A KR 101511689 B1 KR101511689 B1 KR 101511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land
receiving groove
bridge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8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734A (ko
Inventor
김대령
Original Assignee
김대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령 filed Critical 김대령
Priority to KR20130088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6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에 부유되는 부잔교 본체와 육상을 상호 연결하는 도교에 관한 것으로서, 부잔교 본체로부터 육상까지 연장된 길이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난간과, 육상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하방으로 인입된 원통형 수용홈을 갖는 지지 유니트와, 지지 유니트의 수용홈에 삽입되어 수용홈을 중심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베이스 플레이트의 육상으로 연장된 부분의 저면에 설치된 구속 유니트를 구비하고, 구속 유니트는 수용홈에 인입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허용될 수 있게 원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이 수용홈 보다 돌출되게 설치된 구속봉부와, 구속봉부의 상면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 사이에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속봉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을 허용하는 상하 유동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인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에 의하면, 별도의 해체작업 없이 부잔교 본체에 안착된 부분을 육상 방향으로 인양하는 과정에 의해 육상으로의 인양작업이 가능하고, 육상에 구속된 부분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에 의해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대형 태풍발생시 안전한 곳으로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foot bridge of floating pier}
본 발명은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육상으로의 인양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는 선박의 접안 및 하역용으로 수상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이러한 부잔교는 특히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해상에서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항만시설의 일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잔교의 수상에 설치되는 본체와 육상을 상호 연결하여 통로를 제공하는 도교는 통상 육상에 일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부잔교의 본체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파랑 또는 바람의 영향에 의한 도교의 파손을 억제하기 위해 도교를 다수의 도교 분할체로 분할하고, 도교 분할체 상호간의 길이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며, 좌우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가 국내 등록특허 제10-126314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도교는 육상의 항만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대형급 태풍이 부는 경우 파손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육상으로 도교를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는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는 수상에 부유되는 부잔교 본체와 육상을 상호 연결하는 도교에 있어서, 상기 부잔교 본체로부터 육상까지 연장된 길이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난간과; 육상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하방으로 인입된 원통형 수용홈을 갖는 지지 유니트와; 상기 지지 유니트의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홈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육상으로 연장된 부분의 저면에 설치된 구속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구속 유니트는 상기 수용홈에 인입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허용될 수 있게 원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수용홈 보다 돌출되게 설치된 구속봉부와; 상기 구속봉부의 상면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구속봉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을 허용하는 상하 유동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 유동부는 상기 구속봉부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브라켓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사이까지 연장된 연장부분과; 상기 연장부분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관통되게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의 상기 구속봉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지지되게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분의 상하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가이드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과, 상기 수직부분의 종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수평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속봉부의 하단에는 영구자석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 유니트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에 감응하는 금속소재로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 유니트의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내측면에는 자력에 감응하는 금속소재로 코팅된 금속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에 의하면, 별도의 해체작업 없이 부잔교 본체에 안착된 부분을 육상 방향으로 인양하는 과정에 의해 육상으로의 인양작업이 가능하고, 육상에 구속된 부분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에 의해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대형 태풍발생시 안전한 곳으로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교가 적용된 부잔교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잔교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육상에 설치된 도교부분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교가 적용된 부잔교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잔교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육상에 설치된 도교부분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교(100)는 수상에 부유되는 부잔교 본체(200)와 육상(300)을 상호 연결하여 이동 통로를 제공한다.
도교(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난간(130), 지지 유니트(150), 구속유니트(170)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부잔교 본체(200)로부터 육상(300)까지 연장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단에는 수위 변동에 따라 회동되면서 부잔교 본체(200) 및 육상(300)과의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의 통로를 형성하는 회동판(114)이 형성되어 있다.
난간(13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 유니트(150)는 육상(300)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하방으로 인입된 원통형 수용홈(15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지지 유니트(150)는 육상(300)에 매설되며 원통형 수용홈(152)이 형성된 통형체(153)와 통형체(153)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분(155)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유니트(150)는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항만을 형성하는 육상(300)의 지지기반체에 매입되게 설치하고, 플랜지 부분(155)에 형성된 결합홀을 통해 볼트로 지지기반체에 고정되게 설치하면 된다.
구속 유니트(170)는 지지 유니트(150)의 수용홈(152)에 삽입되어 수용홈(152)을 중심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육상(300)으로 연장된 부분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구속 유니트(170)는 구속봉부(172)와, 상하 유동부로 되어 있다.
구속봉부(172)는 지지유니트(150)의 수용홈(152)에 인입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허용될 수 있게 원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이 수용홈(152) 보다 돌출될 수 있게 수용홈(152)의 깊이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속봉부(172)의 하단에는 영구자석(173)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 유니트(150)는 영구자석(173)의 자력에 감응하는 금속소재로 형성되거나, 지지 유니트(150)의 수용홈(152)을 형성하는 내측면에는 자력에 감응하는 금속소재로 코팅된 금속층이 형성되면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구속봉부(172)가 지지유니트(15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구속봉부(172)에 마련된 영구자석(173)과 지지유니트(150) 사이에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구속봉부(172)의 지지유니트(150)와의 밀착결합력이 형성되어 자력보다 작은 외력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인가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좌우 이동은 억제되어 일정크기 이하의 외력에 의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좌우방향에 대한 유동을 억제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하 유동부는 구속봉부(172)의 상면과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저면 사이에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구속봉부(17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하 유동부는 제1 및 제2브라켓(174)(175)과, 연장부분(177)과 회동가이드핀(178)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브라켓(174)(175)은 구속봉부(172)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브라켓(174)(175)의 구속봉부(17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후술되는 회동가이드핀(178)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분(177)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제1 및 제2 브라켓(174)(175) 사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분(177)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177a)과, 수직부분(177a)의 종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회동가이드핀(178)이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수평부분(177b)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연장부분(177)은 수직부분(177a)만으로 회동가이드핀(178)에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동가이드핀(178)은 제1 및 제2브라켓(174)(175)에 형성된 장착홀을 통해 지지되게 설치되며, 연장부분(177)의 수평부분(177b)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관통되게 삽입되어 연장부분(177)의 상하 회동을 허용하면서 연장부분(177)을 지지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육상(300)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양측단에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좌우 회동범위를 일정범위로 제한하도록 육상(300)에 설치된 걸이구(310)에 착탈할 수 있게 종단에 고리를 갖는 쇠사슬(3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도교(100)는 육상(300)에 설치된 지지유니트(130)에 구속봉부(172)가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타측이 부잔교 본체(200)에 안착하면 설치가 완료되고, 대형 태풍 발생시 육상으로 인양하여 파손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해체작업없이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지지유니트(130)로부터 구속봉부(172)가 분리되게 상방으로 인양하여 원하는 육상(300) 위치로 이송시키면 된다.
110: 베이스 플레이트 130: 난간
150: 지지 유니트 170: 구속유니트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수상에 부유되는 부잔교 본체와 육상을 상호 연결하는 도교에 있어서,
    상기 부잔교 본체로부터 육상까지 연장된 길이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난간과;
    육상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하방으로 인입된 원통형 수용홈을 갖는 지지 유니트와;
    상기 지지 유니트의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홈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육상으로 연장된 부분의 저면에 설치된 구속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구속 유니트는 상기 수용홈에 인입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허용될 수 있게 원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수용홈 보다 돌출되게 설치된 구속봉부와;
    상기 구속봉부의 상면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구속봉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을 허용하는 상하 유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속봉부의 하단에는 영구자석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 유니트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에 감응하는 금속소재로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 유니트의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내측면에는 자력에 감응하는 금속소재로 코팅된 금속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
KR20130088630A 2013-07-26 2013-07-26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 KR101511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630A KR101511689B1 (ko) 2013-07-26 2013-07-26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630A KR101511689B1 (ko) 2013-07-26 2013-07-26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734A KR20150012734A (ko) 2015-02-04
KR101511689B1 true KR101511689B1 (ko) 2015-04-10

Family

ID=5248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8630A KR101511689B1 (ko) 2013-07-26 2013-07-26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6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893A (ko) 2017-03-06 2018-09-14 윤택영 고강도 콘크리트 폰툰을 포함한 선박 계류장치
KR102184752B1 (ko) 2019-08-08 2020-12-02 (주)대력에프에이에스 부유구조물용 도교
KR20230075296A (ko) 2021-11-22 2023-05-31 유금범 갱웨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0013U (ko) * 1978-09-02 1980-03-14
JP2003300627A (ja) 2002-04-10 2003-10-21 Hitachi Zosen Corp バリアフリースロー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0013U (ko) * 1978-09-02 1980-03-14
JP2003300627A (ja) 2002-04-10 2003-10-21 Hitachi Zosen Corp バリアフリースロー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893A (ko) 2017-03-06 2018-09-14 윤택영 고강도 콘크리트 폰툰을 포함한 선박 계류장치
KR102184752B1 (ko) 2019-08-08 2020-12-02 (주)대력에프에이에스 부유구조물용 도교
KR20230075296A (ko) 2021-11-22 2023-05-31 유금범 갱웨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734A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9303A1 (en) Foundation Construction Platform Used In a Beach or Offshore Areas
NL2005755C2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PT1228310E (pt) Método e sistema para instalação e transporte de uma central de energia eólica no mar
KR101511689B1 (ko)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
RU2011148504A (ru) Система швартовки для арктического плавучего средства
KR101555362B1 (ko) 부유 구조물
AU2016420308B2 (en) Caisson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caisson block structure
JP5690116B2 (ja) 水流発電設備
CN208167744U (zh) 一种用于水上浮动作业平台下放桩基钢护筒的起吊装置
CN101806053B (zh) 自升式钻井平台悬臂梁的整体安装方法
CN109720512A (zh) 海洋平台及其登乘舷梯
KR20150054240A (ko) 함선 설치구조
TWI570047B (zh)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Disassembling Method of Giant Crane Crane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KR102053499B1 (ko) 마찰력을 증대시킨 케이슨의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CN110593191B (zh) 自适应水位变化的浮码头活动钢引桥楼梯踏步调平系统
KR101165417B1 (ko) 부유체에 연결가능한 부교형 육교
US20130074758A1 (en) Anchoring apparatus for wave energy converters
KR101793231B1 (ko) 파력저항이 저감된 이동형 수상 구조물
KR102376885B1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US20040159276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self-floating deck structure onto a buoyant substructure
KR101658615B1 (ko)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
JP2016211337A (ja) 河床に設置される魚道
JP5875795B2 (ja) 浮体用連絡橋の昇降支持構造
NL2011779C2 (nl) Werkwijze voor het behandelen van een paal, alsmede werkwijze daarv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