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976B1 -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 Google Patents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976B1
KR102516976B1 KR1020220075936A KR20220075936A KR102516976B1 KR 102516976 B1 KR102516976 B1 KR 102516976B1 KR 1020220075936 A KR1020220075936 A KR 1020220075936A KR 20220075936 A KR20220075936 A KR 20220075936A KR 102516976 B1 KR102516976 B1 KR 102516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te
transparent
river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용하
박흥식
Original Assignee
박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식 filed Critical 박흥식
Priority to KR102022007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6Temporary dy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지주들; 상기 지주들 사이에 결합되는 차수판프레임; 상기 차수판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방을 넘는 하천수를 차단하는 투명차수판; 및 상기 하천의 하천수위가 높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을 따라 흐르게 되면 하천수의 흐름에 의해 각회전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을 커버하여 보호하고, 하천수위가 낮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 아래로 흐르게 되면 원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의 보호를 해제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하천 제방에 설치되어 하천수(강물)가 제방을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개방감이나 시인성이 우수하다. 또한, 홍수시 하천수에 휩쓸려오는 나무 등의 부유물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FLOOD OVERFLOW PREVENTION WALL}
본 발명은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 하천의 양쪽으로 홍수시 강물의 범람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위하여 제방을 축조한다. 제방은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주민들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들어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후로 평균 이상의 기록적인 폭우가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과거의 강수량을 기준으로 시공된 하천 제방들은 높이가 낮아 하천이 범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기존 제방들의 범람을 막기 위하여 제방을 새로 신축할 경우 시공 기간이 오래 걸리고 시공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기존 제방에 별도의 홍수 방어벽을 설치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3079호(2020.05.18. 공개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제방에 설치된 홍수 방어벽에 의해 시야를 가리게 되어 개방감이나 시인성이 떨어지며 홍수시 강물에 휩쓸려오는 나무 등의 부유물체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하천, 강, 계곡, 등에 설치되어 하천수(강물)가 홍수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개방감이나 시인성이 우수한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홍수시 하천수(강물)에 휩쓸려오는 나무 등의 부유물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천의 제방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지주들; 상기 지주들 사이에 결합되는 차수판프레임; 상기 차수판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방을 넘는 하천수를 차단하는 투명차수판; 및 상기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을 따라 흐르게 되면 하천수의 흐름에 의해 각회전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을 커버하여 보호하고, 하천 수위가 낮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 아래로 흐르게 되면 원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의 보호를 해제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을 포함하는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이 제공된다.
상기 차수판보호유닛은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상하단부에 각각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 개의 상,하부 핀부재들과, 상기 상,하부 핀부재의 한쪽 단부에 상하단부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과, 상기 상부 핀부재들의 각 다른 한쪽 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바와, 상기 하부 핀부재들의 각 다른 한쪽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바와, 상기 상부 연결바 또는 하부 연결바의 한쪽 단을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을 상기 투명차수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핀부재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한쪽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일측에 관통되어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핀부와, 상기 링크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 연결바에 연결되는 제2 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수판보호유닛은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들과,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상기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과,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에 각각 구비되어 탄성력으로 차수판보호블레이드를 투명차수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는 단위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수판보호유닛은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들과,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상기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과,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에 각각 인접하게 상기 하부블레이드지지바에 구비되어 하천 수위가 높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으로 흐를 경우 하천수의 유동력에 의해 차수판보호블레이드가 상기 투명차수판과 평행하도록 각회전하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각회전하게 안내하고 하천 수위가 낮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으로 흐르지 않는 경우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각회전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캠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천 제방에 지주들, 차수판프레임, 투명차수판, 차수판보호유닛을 설치하여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하천 제방 높이보다 높아지게 될 경우 강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투명차수판에 의해 개방감이나 시인성이 우수하여 경관을 훼손시키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수판보호유닛의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이 투명차수판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투명차수판을 커버하게 되므로 강물에 휩쓸려오는 부유물체가 충돌시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이 충격을 흡수하여 투명차수판의 파손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이 강물의 수압을 지지하게 되어 투명차수판과 함께 이중으로 강물의 수압을 지지하게 되어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수판보호유닛의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은 강물의 유동력과 탄성력 또는 자중에 의해 작동하여 투명차수판을 보호하거나 그 보호를 해제하게 되므로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을 움직이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없게 되어 구성 및 작동이 간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을 구성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의 상부 핀부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을 구성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의 차수판보호블레이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을 구성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의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의 일실시예는, 지주(10), 차수판프레임(20), 투명차수판(30), 차수판보호유닛(40)을 포함한다.
지주(10)는 하천 제방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제방에 콘크리트기초(50)를 시공하고 그 콘크리트기초(50)에 지주(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기초(50)는 제방을 따라 균일한 폭과 길이를 갖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기초(50)의 상면에 콘크리트기초(50)를 따라 지주(10)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10)는 양쪽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결합홈들이 구비된다. 지주(10)의 일예로, 지주(10)는 횡단면 형상이 에이치 형상인 에이치 형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수판프레임(20)은 지주(10)들 사이에 결합된다. 차수판프레임(20)의 일예로, 차수판프레임(20)은 사각 형상으로, 상하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상,하측 지지막대(21)(22)와, 그 상,하측 지지막대(21)(22)의 길이 방향 양단을 각각 서로 연결하는 좌,우측 지지막대(23)(24)를 포함한다.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지지막대들은 각각 45도로 절단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측 지지막대(23)(24)의 길이는 지주(10)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이 것이 바람직하고, 상,하측 지지막대(21)(22)의 길이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지주(10)들 사이의 거리와 상응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좌,우측 지지막대의 내측에는 투명차수판(30)의 테두리부분이 결합되는 내측 결합홈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다.
차수판프레임(20)은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지주(10) 사이에 결합된다. 즉, 차수판프레임(20)의 좌측 지지막대(23)가 지주(10)의 한쪽 결합홈에 결합되고 그 차수판프레임(20)의 우측 지지막대(24)가 인접한 지주(10)의 한쪽 결합홈에 결합된다.
투명차수판(30)은 차수판프레임(20)에 결합된다. 투명차수판(30)은 투명한 강화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차수판(30)은 차수판프레임(20)의 내측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사각판 형상이며, 투명차수판(30)의 테두리부분이 차수판프레임(20)의 내측 결합홈에 결합된다. 투명차수판(30)은 복수 개의 단위투명차수판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차수판보호유닛(40)은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수위가 기존 제방을 넘어 투명차수판(30)까지 이르러 하천수가 투명차수판(30)을 따라 흐르게 되면 하천수의 흐름에 의해 접혀져 투명차수판(30)을 커버하여 보호하고 하천 수위가 낮아져 하천수가 투명차수판(30) 아래로 흐르게 되면 원위치로 이동하여 투명차수판(30)의 보호를 해제한다.
차수판보호유닛(40)의 제1 실시예로,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수판보호유닛(40)은 차수판프레임(20)의 상하단부에 각각 차수판프레임(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 개의 상,하부 핀부재(41)들과, 그 상,하부 핀부재(41)의 한쪽 단부에 상하단부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과, 상부 핀부재(41)들의 각 다른 한쪽 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바(43)와, 하부 핀부재(41)들의 각 다른 한쪽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바(44)와, 상부 연결바(43) 또는 하부 연결바(44)의 한쪽 단을 탄성력으로 당겨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을 투명차수판(3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는 스프링부재(45)를 포함한다.
차수판프레임(20)의 상측 지지막대(21)의 상단측면과 하측 지지막대(22)의 상단측면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균일한 폭과 두께를 갖도록 연장된 연장판부(1)가 구비되며, 그 상측 지지막대(21)의 연장판부(1)에 상부 핀부재(41)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연장판부(1)의 상면에 위치하고, 하측 지지막대(22)의 연장판부(1)에 하부 핀부재(41)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연장판부(1)의 하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부 핀부재(41)들과 하부 핀부재(41)들은 각각 서로 일대일 대응되도록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핀부재(41)의 일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핀부재(41)는 각각 설정된 길이를 갖는 링크부(2)와, 그 링크부(2)의 한쪽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 핀부(3)와, 링크부(2)의 다른 한쪽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 핀부(4)를 포함한다. 제1 핀부(3)는 링크부(20의 한쪽면에 제2 핀부(4)는 링크부(2)의 다른 한쪽면에 구비된다. 상부 핀부재(41)의 제1 핀부(3)는 연장판부(1)를 관통하여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의 일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고 제2 핀부(4)는 상부 연결바(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 핀부재도 상부 핀부재와 같은 방식으로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와 하부 연결바(44)를 연결한다.
차수판보호블레드(42)의 일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는 사각면적을 갖는 판부(5)와, 그 판부(5)의 수평 방향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결합축부(6)를 포함한다.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는 금속재질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부(5)는 물체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휘어진 곡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은 차수판프레임(20)의 수평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은 각각 결합축부(6)가 차수판프레임(20)의 상측 지지막대(21)의 연장판부(1)와 하측 지지막대(22)의 연장판부(1)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부 핀부재(41)의 제1 핀부(3)가 연장판부(1)를 관통하여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의 결합축부96)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하부 핀부재(41)의 제1 핀부(3)가 하측 지지막대(22)의 연장판부(1)를 관통하여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의 결합축부(6) 하단에 고정 결합된다. 한편,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의 결합축부(6) 상단에 핀부가 구비되고 상부 핀부재(41)에 핀구멍이 구비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부 연결바(43)는 일정 간격을 두고 핀구멍이 구비된다. 상부 연결바(43)는 차수판프레임(20)의 상측 지지막대(21)의 연장판부(1) 상측에 위치하며, 상부 연결바(43)의 핀구멍들에 각각 상부 핀부재(41)들의 제2 핀부(4)가 삽입된다. 상부 연결바943)를 차수판프레임(20)의 상측 지지막대(21) 길이 방향으로 왕복으로 움직이게 되면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이 각각 결합축부(6)를 축으로 하여 각회전하게 하게 되며, 상부 연결바(43)가 상부 핀부재941)와 수직이되도록 위치하게 되면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는 투명차수판(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고, 상부 연결바(43)가 한쪽 끝으로 최대 움직여 상부 핀부재(41)가 경사지게 위치하게 되면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는 투명차수판(30)과 평행하게 접혀져 투명차수판(30)을 커버하게 된다.
하부 연결바(44)는 일정 간격을 두고 핀구멍이 구비된다. 하부 연결바(44)는 차수판프레임(20)의 하측 지지막대(22)의 연장판부(1) 하측에 위치하며, 하부 연결바(44)의 핀구멍들에 각각 하부 핀부재(41)들의 제2 핀부(4)가 삽입된다. 하부 연결바(44)는 상부 연결바(43)와 함께 연동된다.
스프링부재(45)의 한쪽은 상부 연결바(43) 또는 하부 연결바(44)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차수판프레임(20) 또는 지주(10)에 연결된다. 스프링부재(45)는 압축코일스프링 또는 인장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스프링부재(45)가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 하천수가 유입되는 쪽에 위치하고, 인장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 하천수가 유출되는 쪽에 위치한다. 스프링부재(45)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가 투명차수판(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차수판보호유닛(40)의 제1 실시예는 하천의 수위가 낮아 하천수가 투명차수판(30)으로 흐르지 않을 경우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은 투명차수판(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투명차수판(30)의 개방감이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장기간 호우나 집중 호우 등으로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기존 제방을 넘어 투명차수판(30)에 이르게 되면 하천수의 흐름에 의한 유동력 및 수압에 의해 투명차수판(30)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이 각각 결합축부(6)를 축으로 하여 스프링부재(45)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각회전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차수판(30)에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어 투명차수판(30)을 커버하게 된다.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의 한쪽면에 투명차수판(30)을 통해 행인에게 알리도록 경고표시 또는 경고문구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천의 수위가 낮아져 하천수가 투명차수판(30) 아래로 흐르게 될 경우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에 작용하는 하천수에 의한 외력이 해제되어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이 스프링부재(4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하여 투명차수판(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차수판보호유닛(40)의 제2 실시예로, 도 9,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수판보호유닛(40)은 차수판프레임(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46)(47)들과, 차수판프레임(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46)(47)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과, 그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에 각각 구비되어 탄성력으로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를 투명차수판(3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는 단위스프링부재(48)를 포함한다.
상부 블레이드지지바(46)는 차수판프레임(20)의 상측 지지막대(21)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핀구멍들이 구비된다. 상부 블레이드지지바(46)는 차수판프레임(20)의 상측 지지막대(21)에 구비된다.
하부 블레이드지지바(47)는 차수판프레임(20)의 하측 지지막대(22)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핀구멍들이 구비된다. 하부 블레이드지지바(47)는 차수판프레임(20)의 하측 지지막대(22)에 구비된다. 상부 블레이드지지바(46)의 핀구멍들과 하부 블레이드지지바(47)의 핀구멍들은 서로 일대일 대응되게 위치한다.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46)(47)들은 각각 체결유닛에 의해 차수판프레임(20)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유닛의 일예로, 체결유닛은 복수 개의 볼트들과 복수 개의 너트들을 포함한다.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는 사각면적을 갖는 판부(5)와, 그 판부(5)의 수평 방향 한쪽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축부(6)를 포함한다.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는 금속재질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부(5)는 물체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휘어진 곡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결합축부(6)의 길이 방향 양단은 각각 핀형상으로 돌출된다.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는 그 결합축부(6)의 상측이 상부 블레이드지지바(46)의 핀구멍에 삽입되고 결합축부(6)의 하측이 하부 블레이드지지바(47)의 핀구멍에 삽입되도록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46)(47)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46)(47)들에 각각 핀구멍 대신 돌출된 핀이 구비되고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의 결합축부(6) 상하면에 핀홀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단위스프링부재(48)는 핑거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수판보호유닛(40)의 제2 실시예는 하천의 수위가 낮아 하천수가 투명차수판(30)으로 흐르지 않을 경우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은 투명차수판(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투명차수판(30)의 개방감이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장기간 호우나 집중 호우 등으로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기존 제방을 넘어 투명차수판(30)에 이르게 되면 하천수의 흐름에 의한 유동력 및 수압에 의해 투명차수판(30)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이 각각 결합축부(6)를 축으로 하여 단위스프링부재(48)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각회전하여 투명차수판(30)에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어 투명차수판(30)을 커버하게 된다. 하천의 수위가 낮아져 하천수가 투명차수판(30) 아래로 흐르게 될 경우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에 작용하는 하천수에 의한 외력이 해제되어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이 각각 단위스프링부재(48)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하여 투명차수판(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차수판보호유닛(40)의 제3 실시예로, 도 11,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수판보호유닛(40)은 차수판프레임(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46)(47)들과, 차수판프레임(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46)(47)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과,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에 각각 인접하게 하부블레이드지지바(47)에 구비되는 캠부재(49)를 포함한다.
상부 블레이드지지바(46)는 차수판프레임(20)의 상측 지지막대(21)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핀구멍들이 구비된다. 상부 블레이드지지바(46)는 차수판프레임(20)의 상측 지지막대(21)에 구비된다.
하부 블레이드지지바(47)는 차수판프레임(20)의 하측 지지막대(22)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핀구멍들이 구비된다. 하부 블레이드지지바(47)는 차수판프레임(20)의 하측 지지막대(22)에 구비된다. 상부 블레이드지지바(46)의 핀구멍들과 하부 블레이드지지바(47)의 핀구멍들은 서로 일대일 대응되게 위치한다.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46)(47)들은 각각 체결유닛에 의해 차수판프레임(2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유닛의 일예로, 체결유닛은 복수 개의 볼트들과 복수 개의 너트들을 포함한다.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는 사각면적을 갖는 판부(5)와, 그 판부(5)의 수평 방향 한쪽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축부(6)를 포함한다.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는 금속재질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부(5)는 물체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휘어진 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판부의 높이는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46)(47) 사이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작다. 결합축부(6)의 길이 방향 양단은 각각 핀형상으로 돌출된다.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는 그 결합축부(6)의 상측이 상부 블레이드지지바(46)의 핀구멍에 삽입되고 결합축부(6)의 하측이 하부 블레이드지지바(47)의 핀구멍에 삽입되도록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46)(47)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46)(47)들에 각각 핀구멍 대신 돌출된 핀이 구비되고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의 결합축부(6) 상하면에 핀홀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캠부재(49)의 일예로, 캠부재(49)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한쪽 모서리쪽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한다. 캠부재(49)는 경사면이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에 인접하도록 하부 블레이드지지바(47)의 상면에 구비된다.
차수판보호유닛(40)의 제3 실시예는 하천의 수위가 낮아 하천수가 투명차수판(30)으로 흐르지 않을 경우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은 투명차수판(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투명차수판(30)의 개방감이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장기간 호우나 집중 호우 등으로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기존 제방을 넘어 투명차수판(30)에 이르게 되면 하천수의 흐름에 의한 유동력 및 수압에 의해 투명차수판(30)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이 각각 결합축부(6)를 축으로 하여 각회전하되 캠부재(49)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각회전하여 투명차수판(30)에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어 투명차수판(30)을 커버하게 된다. 하천의 수위가 낮아져 하천수가 투명차수판(30) 아래로 흐르게 될 경우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에 작용하는 하천수에 의한 외력이 해제되어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의 자중에 의해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가 캠부재(49)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각회전하여 원위치인 투명차수판(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하천의 제방에 설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천 수위가 높지 않아 하천수가 하천의 제방을 따라 흐르는 상태에서 차수판보호유닛(40)의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42')들이 투명차수판(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투명차수판(30)의 개방감이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장기간의 호우나 집중 호우 등에 의한 홍수에 의해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강물, 즉 하천수가 기존 제방을 넘어 투명차수판(30)에 이르게 되면 강물의 흐름에 의한 유동력 및 수압에 의해 투명차수판(30)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차수판보호유닛(40)의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이 각각 각회전하여 투명차수판(30)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투명차수판(30)을 커버하게 된다. 차수판보호유닛(40)의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이 투명차수판(30)을 커버하여 보호함에 따라 강물에 휩쓸려 흘러가는 나무 등의 부유물체가 투명차수판(30)에 부딪히지 않고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42')들에 부딪히게 되며 그 충격을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42')들이 흡수하게 되어 투명차수판(3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호우가 그쳐 하천 수위가 점점 낮아져 강물이 투명차수판(30) 아래로 흐르게 되면 차수판보호유닛(40)의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에 작용하는 강물의 유동력 및 수압이 해제되어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42')들이 각각 원위치하여 투명차수판(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 제방에 지주(10)들, 차수판프레임(20), 투명차수판(30), 차수판보호유닛(40)을 설치하여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하천 제방 높이보다 높아지게 될 경우 강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투명차수판(30)에 의해 개방감이나 시인성이 우수하여 경관을 훼손시키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수판보호유닛(40)의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42')들이 투명차수판(30)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투명차수판(30)을 커버하게 되므로 강물에 휩쓸려오는 부유물체가 충돌시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들이 충격을 흡수하여 투명차수판(3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42')들이 강물의 수압을 지지하게 되어 투명차수판(30)과 함께 이중으로 강물의 수압을 지지하게 되어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수판보호유닛(40)의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42')들은 강물의 유동력과 탄성력 또는 자중에 의해 작동하여 투명차수판(30)을 보호하거나 그 보호를 해제하게 되므로 차수판보호블레이드(42)(42')들을 움직이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없게 되어 구성 및 작동이 간단하게 된다.
10; 지주 20; 차수판프레임
30; 투명차수판 40; 차수판보호유닛

Claims (5)

  1. 하천의 제방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지주들;
    상기 지주들 사이에 결합되는 차수판프레임;
    상기 차수판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방을 넘는 하천수를 차단하는 투명차수판; 및
    상기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을 따라 흐르게 되면 하천수의 흐름에 의해 각회전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을 커버하여 보호하고, 하천 수위가 낮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 아래로 흐르게 되면 원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의 보호를 해제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차수판보호유닛은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상하단부에 각각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 개의 상,하부 핀부재들과, 상기 상,하부 핀부재의 한쪽 단부에 상하단부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과, 상기 상부 핀부재들의 각 다른 한쪽 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바와, 상기 하부 핀부재들의 각 다른 한쪽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바와, 상기 상부 연결바 또는 하부 연결바의 한쪽 단을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을 상기 투명차수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은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을 따라 흐를 경우 하천수 유동에 의한 유동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각회전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으로 흐르지 않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투명차수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핀부재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한쪽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일측에 관통되어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핀부와, 상기 링크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 연결바에 연결되는 제2 핀부를 포함하는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4. 하천의 제방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지주들;
    상기 지주들 사이에 결합되는 차수판프레임;
    상기 차수판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방을 넘는 하천수를 차단하는 투명차수판; 및
    상기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을 따라 흐르게 되면 하천수의 흐름에 의해 각회전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을 커버하여 보호하고, 하천 수위가 낮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 아래로 흐르게 되면 원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의 보호를 해제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차수판보호유닛은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들과,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상기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과,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에 각각 구비되어 탄성력으로 차수판보호블레이드를 투명차수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는 단위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은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을 따라 흐를 경우 하천수 유동에 의한 유동력에 의해 상기 단위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각회전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을 따라 흐르지 않는 경우 상기 단위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투명차수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5. 하천의 제방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지주들;
    상기 지주들 사이에 결합되는 차수판프레임;
    상기 차수판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방을 넘는 하천수를 차단하는 투명차수판; 및
    상기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을 따라 흐르게 되면 하천수의 흐름에 의해 각회전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을 커버하여 보호하고, 하천 수위가 낮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 아래로 흐르게 되면 원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의 보호를 해제하는 차수판보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차수판보호유닛은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들과, 상기 차수판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상기 상,하부 블레이드지지바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과,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들에 각각 인접하게 상기 하부블레이드지지바에 구비되어 하천 수위가 높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으로 흐를 경우 하천수의 유동력에 의해 차수판보호블레이드가 상기 투명차수판과 평행하도록 각회전하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각회전하게 안내하고 하천 수위가 낮아져 하천수가 상기 투명차수판으로 흐르지 않는 경우 상기 차수판보호블레이드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각회전하여 상기 투명차수판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KR1020220075936A 2022-06-22 2022-06-22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KR102516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36A KR102516976B1 (ko) 2022-06-22 2022-06-22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36A KR102516976B1 (ko) 2022-06-22 2022-06-22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976B1 true KR102516976B1 (ko) 2023-04-03

Family

ID=8593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936A KR102516976B1 (ko) 2022-06-22 2022-06-22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9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74B1 (ko) * 2016-07-20 2017-02-22 (주)태평양기술산업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KR102162039B1 (ko) * 2020-05-19 2020-10-06 주식회사 그린월 전도식 월파방지벽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74B1 (ko) * 2016-07-20 2017-02-22 (주)태평양기술산업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KR102162039B1 (ko) * 2020-05-19 2020-10-06 주식회사 그린월 전도식 월파방지벽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15563T3 (es) Defensa contra inundaciones con accionamiento automático
JP5588567B2 (ja) 自動作動式の高潮障壁
EP0741205B1 (de) Hochwasserschutzsystem mit einem oder mehreren versenkbaren Wandelementen
US20070237585A1 (en) Water barrier device
ES2623530T3 (es) Dispositivo de retención
CN110670538B (zh) 泥石流沟谷生态工程防护系统
KR102048026B1 (ko) 방파벽 상단에 설치되는 월파 방지벽
EP3748085B1 (en) Flood barrier
KR101496954B1 (ko) 사방댐 구조물
CN111794138B (zh) 两翼式挡沙墙
KR102516976B1 (ko) 홍수 범람 방지용 차수벽
KR100582445B1 (ko) 도로나 철도부근 하천수의 월류방지 구조
KR101176067B1 (ko) 경관개선용 홍수방지 무빙월
KR102162039B1 (ko) 전도식 월파방지벽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1047150A (ja) 可搬式越水防止装置
KR100921392B1 (ko) 투시형 방파제 안전시설물
KR101605023B1 (ko) 다단식 홍수 방어벽
KR101399322B1 (ko) 동물과 식물의 도로침입을 차단하는 가드레일 보완 철제 구조물
JP2021110214A (ja) 洪水の自然災害を防止する堤防および堰堤等(以下堤防等)の越流抑止装置。
JP2566458B2 (ja) 可動堤防
KR102548870B1 (ko) 승하강식 월류방지벽
KR102544456B1 (ko) 유목차단기능을 갖는 홍수 방어벽
CN219710182U (zh) 一种坡面泥石流防治结构
KR102511690B1 (ko) 월파 방지용 차수도어
JP2015113698A (ja) 堤防の透視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