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481B1 - 차수 범위 확장이 가능한 차수막 - Google Patents
차수 범위 확장이 가능한 차수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7481B1 KR102657481B1 KR1020240012922A KR20240012922A KR102657481B1 KR 102657481 B1 KR102657481 B1 KR 102657481B1 KR 1020240012922 A KR1020240012922 A KR 1020240012922A KR 20240012922 A KR20240012922 A KR 20240012922A KR 102657481 B1 KR102657481 B1 KR 1026574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convex
- water
- support
- auxiliary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35000006506 Brasenia schreberi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4
- 244000267222 Brasenia schreberi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본체부 및 본체부를 후면에서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를 포함하는 차수막이며, 본체부는 다른 본체부와 횡방향으로 횡결합될 수 있고, 본체부는,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면, 지지면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차수면, 지지면과 차수면을 연결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면을 포함하고, 차수면의 후면에는 지지 다리부를 삽입할 수 있는 지지 다리부 삽입구가 형성되는 차수막에 관한 것이다. 이 때 연결면(13)의 좌측 단부에는 제1 본체 결합부가 형성되고, 연결면의 우측 단부에는 제2 본체 결합부가 형성되며, 하나의 본체부의 제1 본체 결합부는 다른 본체부의 제2 본체 결합부 내에 횡방향으로 삽입되며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수 범위 확장이 가능한 차수막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여러 개의 유닛을 사용 범위 또는 규모에 적절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홍수 등에도 견고하게 버틸 수 있는 차수막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에 의한 기후 변화에 따라 여름철 집중 호우가 내리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릴 경우, 하수 용량을 초과하여 하수로로부터 물이 역류하거나 강이 범람하는 등의 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실제로 최근 몇 년 동안 여름마다 집중 호우가 내려 도시 곳곳에서 건물 지하가 물에 잠기거나 도로가 물에 잠겨 물적 피해 뿐만 아니라 인적 피해도 야기하여 큰 사회적 이슈가 된 적이 있다. 특히 평지가 적고 산지 및 언덕이 많은 우리나라 특성 상, 고지대와 저지대의 차이가 심하여 저지대에서 수해를 입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위험에 대응하고자, 아파트나 상가 빌딩 등의 건물에 있어서 1층에 차수막을 설치하는 곳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차수막은 몸체의 폭이 수 미터에 이르며 금속으로 제작되고 있는 바, 중량이 매우 커서 여성이나 노약자가 장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각종 자동화 기계가 수반되어 작동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설치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고가 장비로 이루어진 차수막의 경우 고가 아파트 단지나 도시 중심지의 고급 빌딩 등에서는 무리 없이 설치 및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운영비가 넉넉하지 못한 빌딩이나 저가 주택 등에 있어서는 현실적으로 설치 및 운영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폭우로 인한 수해 피해는 빈부를 가리지 않으므로, 보다 저렴하면서도 설치 및 이용이 간단한 차수막에 대한 수요는 최근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 유닛을 여러 개 설치하여 범위 또는 규모에 적절하게 결합하여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설치 방법이 간단한 차수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면서도 수해 피해를 막기에 적절한 견고한 구조를 갖는 차수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은, 하나 이상의 본체부와 본체부를 후면에서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다른 본체부와 횡방향으로 횡결합될 수 있고, 본체부는,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면, 지지면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차수면, 지지면과 차수면을 연결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면을 포함하고, 차수면의 후면에는 지지 다리부를 삽입할 수 있는 지지 다리부 삽입구가 형성되고, 연결면의 좌측 단부에는, 제1 본체 결합부가 형성되고, 연결면의 우측 단부에는, 제2 본체 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나의 본체부의 제1 본체 결합부는 다른 본체부의 제2 본체 결합부 내에 횡방향으로 삽입되며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지지면, 차수면, 연결면의 전면에는, 지지면의 전단부에서부터 차수면의 상단부까지 연결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볼록부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좌측 볼록부, 중앙 볼록부, 우측 볼록부를 포함하고, 볼록부는, 제1 본체 결합부와 제2 본체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고, 지지면, 차수면, 연결면의 후면에 있어서 볼록부의 반대편의 위치에는, 볼록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좌측 오목부, 중앙 오목부, 우측 오목부를 포함하고, 지지 다리부는, 차수면의 후면의 상단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일단이 지지 다리부 삽입구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좌측' 및 '우측'은, 도 1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은 보조판을 더 포함하고, 본체부는 차수면의 상단부측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보조판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단 보조판의 하단부에는 상단 보조판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단 보조판 결합 돌출부가 보조판 결합구에 삽입되면서 상단 보조판이 상기 본체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상단 보조판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단 보조판 결합 돌출부는 상단 보조판의 양측단에 형성된 한 쌍의 외측 돌출부와, 한 쌍의 외측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내측 돌출부를 포함하고, 내측 돌출부의 폭은 외측 돌출부의 폭의 두 배이고, 한 쌍의 내측 돌출부는 각각, 하나의 본체부의 좌측 볼록부에 형성된 보조판 결합구 및 다른 하나의 본체부의 우측 볼록부에 형성된 보조판 결합구와 결합하고, 한 쌍의 외측 돌출부는 각각, 하나의 본체부의 중앙 볼록부에 형성된 보조판 결합구와 다른 하나의 본체부의 중앙 볼록부에 형성된 보조판 결합구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은 하단 보조판을 더 포함하고, 하단 보조판은 지지면의 후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4개의 볼록 경사부를 포함하고, 볼록 경사부는 한 쌍의 내측 볼록 경사부와 한 쌍의 외측 볼록 경사부를 포함하고, 내측 볼록 경사부의 폭은 외측 볼록 경사부의 폭의 두 배이고, 한 쌍의 내측 볼록 경사부는 각각, 하나의 본체부의 좌측 오목부 및 다른 하나의 본체부의 우측 오목부와 결합하고, 한 쌍의 외측 볼록 경사부는 각각, 하나의 본체부의 중앙 오목부 및 다른 하나의 본체부의 중앙 오목부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본체부의 우측 단부의 후면부에는 전면부측으로 오목한 단차부가 형성되고, 두 개의 본체부가 결합할 때, 하나의 본체부의 좌측 단부가 다른 본체부의 우측 단부의 단차부의 오목한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제1 본체 결합부는 탄성 볼록부를 포함하고, 탄성 볼록부는 일 단부가 자유 단부로 형성되고, 타 단부가 고정부로 형성되어 고정부의 탄성으로 인해 자유 단부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고, 제2 본체 결합부는 그 후면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를 포함하고, 결합 오목부는 탄성 볼록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본체부가 횡결합할 때, 하나의 본체부의 탄성 볼록부가 다른 하나의 본체부의 결합 오목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지지 다리부는 그 외주면에 지지 다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고정 돌기는 지지 다리부의 외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 형성되고, 지지 다리부 삽입구는 고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4개의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지지 다리부는 지면 측 단부에 형성된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길이 조절부는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지지 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제1 본체 결합부는 제1 상단 s자 연결부, 제1 호형 곡면부, 제1 평면부, 제1 하단 s자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2 본체 결합부는 제2 상단 s자 연결부, 제2 호형 곡면부, 제2 평면부, 제2 하단 s자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1 상단 s자 연결부 및 제2 상단 s자 연결부는 차수면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제1 하단 s자 연결부 및 제2 하단 s자 연결부는 지지면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제1 상단 s자 연결부, 제2 상단 s자 연결부, 제1 하단 s자 연결부, 제2 하단 s자 연결부는 모두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양 곡면 사이가 평면으로 형성되며, 평면 부분이 차수면 측에서 지지면 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제1 호형 곡면부는 제1 상단 s자 연결부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볼록한 호 형상을 갖고, 제2 호형 곡면부는 제2 상단 s자 연결부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볼록한 호 형상을 갖고, 제1 평면부는 제1 호형 곡면부와 제1 하단 s자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며 지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1 평면부에는 탄성 볼록부가 형성되고, 제2 평면부는 제2 호형 곡면부와 제2 하단 s자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며 지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2 평면부의 후면에는 결합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유닛을 여러 개 설치하여 범위 또는 규모에 적절하게 결합하여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설치 방법이 간단한 차수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면서도 수해 피해를 막기에 적절한 견고한 구조를 갖는 차수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의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D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본체부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상단 보조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하단 보조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D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본체부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상단 보조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하단 보조판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의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은 하나 이상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를 후면에서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체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보조판(30)과 본체부(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보조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체부(10), 상단 보조판(30) 및 하단 보조판(4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0)는 다른 본체부(10)와 횡방향으로 횡결합될 수 있다. 차수막이 사용되는 장소의 넓이나 폭에 따라서 본체부(10)를 여러 개 횡결합하여 필요한 범위에 알맞은 차수막을 손쉽게 만들 수 있다. 플라스틱 등의 가벼운 소재로 제작된 본체부(10) 하나를 단위 유닛으로 하여 필요한 만큼 여러 개를 결합해 사용함으로써, 가용성이 높고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차수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0)는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면(11), 지지면(11)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차수면(12), 그리고 지지면(11)과 차수면(12)을 연결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면(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면(11), 차수면(12) 및 연결면(13)의 전면에는, 지지면(11)의 전단부에서부터 차수면(12)의 상단부까지 연결되는 볼록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면'이라 함은 지지면(11), 차수면(12) 및 연결면(13)의 도 1에서 보이는 측의 면을 의미한다. 볼록부(14)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좌측 볼록부(141), 중앙 볼록부(142), 우측 볼록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면(11), 차수면(12) 및 연결면(13)의 후면에 있어서 볼록부(14)의 반대편의 위치에는, 볼록부(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후면'이라 함은 지지면(11), 차수면(12) 및 연결면(13)의 도 2에서 보이는 측의 면을 의미한다. 오목부(15)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좌측 오목부(151), 중앙 오목부(152), 우측 오목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의 지지면(11)과 차수면(12)이 평평한 평면으로만 형성될 경우 제품의 구조적 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차수막은 범람하여 건물 등으로 흘러 들어오는 막대한 양의 물을 막아야 하기 때문에, 구조적인 강도가 매우 중요하다. 구조적인 강도가 떨어질 경우 범람하는 물의 막대한 수압으로 인해 파손될 위험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면(11) 및 차수면(12)에 걸쳐 볼록부(14) 및 오목부(15)로 형성된 울퉁불퉁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평면에 비하여 보다 높은 강도의 구조를 갖게 되고, 범람하는 물을 차단하는 차수막의 기능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면(13)의 좌측 단부에는 제1 본체 결합부(100)가 형성되고, 연결면(13)의 우측 단부에는 제2 본체 결합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본체부(10)의 제1 본체 결합부(100)는 다른 본체부(10)의 제2 본체 결합부(200) 내에 횡방향으로 삽입되며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본체부(10)와 인접하는 다른 본체부(10)는 각각의 제1 본체 결합부(100)와 제2 본체 결합부(200)가 서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횡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볼록부(14)는 제1 본체 결합부(100)와 제2 본체 결합부(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수면(12)의 후면에는 지지 다리부(20)를 삽입할 수 있는 지지 다리부 삽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다리부(20)의 일단이 지지 다리 삽입구(12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지지 다리부(20)와 본체부(10)의 결합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지지 다리부(20)는 차수면(12)의 후면의 상단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일단이 지지 다리부 삽입구(121)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의 상단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형태로 본체부(10)를 지지하므로, 범람하는 물에 의한 막대한 수압에도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다리부(20)는 그 외주면에 지지 다리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정 돌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돌기(21)는 지지 다리부(20)의 외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 다리부 삽입구(121)는 고정 돌기(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 돌기(2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4개의 고정 홈(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돌기(21)와 고정 홈(121a)의 결합구조로 인해 지지 다리부(20)가 본체부(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범람하는 물의 막대한 압력에도 지지 다리부(20)가 본체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다리부(20)는 지면 측 단부에 형성된 길이 조절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길이 조절부(22)는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지지 다리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수막을 설치하는 장소가 항상 평평한 지면이라는 보장은 없다. 때로는 경사면에 설치하거나, 지면이 고르지 못하여 차수막의 일 측단과 타 측단에서 지지 다리부(20)가 지지하는 지면의 높이가 다를 수 있다. 차수막이 범람하는 물의 막대한 수압에 안정적으로 버티기 위해서는 지지 다리부(20)가 후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차수막이 설치되는 장소의 지면이 평평하지 않은 불균일한 지면이어서 지지 다리부(20) 중 일부가 지면에 닿지 못하고 공중에 뜨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차수막의 안정성에 큰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다양한 지면 형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가용성이 높은 차수막에 대한 수요는 매우 크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다리부(20)에 포함되는 길이 조절부(22)를 이용하여 각각의 지지 다리부(20)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차수막이 설치되는 지면 형태에 꼭 맞게 각각의 지지 다리부(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지지 다리부(20)가 모두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조작 가능하다. 또한,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식의 간단한 조작으로 지지 다리부(20)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라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고하여 본체부(10)의 제1 본체 결합부(100)와 제2 본체 결합부(200)의 구조 및 본체부(10)간의 결합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본체부(1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D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본체부(10)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제1 본체 결합부(100)는 제1 상단 s자 연결부(101), 제1 호형 곡면부(102), 제1 평면부(103), 제1 하단 s자 연결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본체 결합부(200)는 제2 상단 s자 연결부(201), 제2 호형 곡면부(202), 제2 평면부(203), 제2 하단 s자 연결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단 s자 연결부(101) 및 제2 상단 s자 연결부(201)는 차수면(12)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제1 하단 s자 연결부(104) 및 제2 하단 s자 연결부(204)는 지지면(11)의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단 s자 연결부(101), 제2 상단 s자 연결부(201), 제1 하단 s자 연결부(104), 제2 하단 s자 연결부(204)는 모두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단의 곡면들을 잇는 사이 부분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평면 부분은 차수면(12) 측에서 지지면(11) 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호형 곡면부(102)는 제1 상단 s자 연결부(101)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볼록한 호 형상을 갖고, 제2 호형 곡면부(202)는 제2 상단 s자 연결부(201)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볼록한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호형 곡면부(102) 및 제2 호형 곡면부(202)의 호 형상은, 예컨대 대략 중심각 90°의 호 형상일 수 있고, 제1 호형 곡면부(102) 및 제2 호형 곡면부(202)의 지지면(11) 측 단부는 지지면(11)과 평행하고, 차수면(12)측 단부는 차수면(12)과 평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본체 결합부(100) 및 제2 본체 결합부(200)에 있어서 제1 상단 s자 연결부(101), 제2 상단 s자 연결부(201), 제1 하단 s자 연결부(104), 제2 하단 s자 연결부(204)는 모두 s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 부분의 평면 부분이 차수면(12) 측에서 지지면(11) 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구조로 인하여, 범람하는 물에 의한 수압을 받아도 보다 안정적으로 그 수압을 버틸 수 있고, 또한 본체부(10)와 본체부(10) 사이의 결합부라고 하더라도 수압에 버티는 강도가 우수하여 안정적인 차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평면부(103)는 제1 호형 곡면부(102)와 제1 하단 s자 연결부(104) 사이에 연결되며 지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평면부(103)에는 탄성 볼록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볼록부(105)는 일 단부가 자유 단부로 형성되고 타 단부가 고정부로 형성되어, 고정부의 탄성으로 인해 자유 단부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평면부(203)는 제2 호형 곡면부(202)와 제2 하단 s자 연결부(204) 사이에 연결되며 지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평면부(203)의 후면에는 결합 오목부(205)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오목부(205)는 탄성 볼록부(10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본체부(10)가 횡결합할 때, 하나의 본체부(10)의 탄성 볼록부(105)가 다른 본체부(10)의 결합 오목부(205)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서로 인접하는 본체부(10)가 횡결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본체부(10)의 제1 본체 결합부(100)가 그 좌측에 인접한 본체부(10)의 제2 본체 결합부(200) 내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본체 결합부(100)의 탄성 볼록부(105)는 제2 본체 결합부(200)의 후면과 접촉하게 되는데, 탄성 볼록부(105)의 좌측 단부가 자유 단부로 형성되므로 제2 본체 결합부(200)의 후면과 접촉할 때 아래 방향으로 눌리면서 삽입되고, 제2 본체 결합부(200)의 결합 오목부(205)에 대응하는 공간에 도달하면 탄성 볼록부(105)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면서 결합 오목부(205)의 오목한 공간 내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간편한 방식으로 인접한 본체부(10)끼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0)의 우측 단부의 후면부에는 전면부측으로 오목한 단차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본체부(10)가 결합할 때 하나의 본체부(10)의 좌측 단부가 다른 본체부(10)의 우측 단부의 단차부(17)의 오목한 공간 내로 삽입되어 서로 간섭하는 부분이 없이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상단 보조판(3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본체부(10)는 차수면(12)의 상단부측에 있어서의 볼록부(14)의 단부에 형성되는 보조판 결합구(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단 보조판(30)의 하단부에는 상단 보조판 결합 돌출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보조판 결합 돌출부(36)가 보조판 결합구(16)에 삽입되면서 상단 보조판(30)이 본체부(1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단 보조판(30)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단 보조판 결합 돌출부(36)는 상단 보조판(30)의 양측단에 형성된 한 쌍의 외측 돌출부(362)와, 한 쌍의 외측 돌출부(362)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내측 돌출부(36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 돌출부(361)의 폭은 외측 돌출부(362)의 폭의 두 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내측 돌출부(361)는 각각 하나의 본체부(10)의 좌측 볼록부(141)에 형성된 보조판 결합구(16) 및 다른 하나의 본체부(10)의 우측 볼록부(143)에 형성된 보조판 결합구(16)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외측 돌출부(362)는 각각 하나의 본체부(10)의 중앙 볼록부(142)에 형성된 보조판 결합구(16)와 다른 하나의 본체부(10)의 중앙 볼록부(142)에 형성된 보조판 결합구(16)와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상단 보조판(30)이 두 개의 인접한 본체부(10)에 걸쳐 결합되므로, 본체부(10)의 결합은 제1 본체 결합부(100)와 제2 본체 결합부(200)에 의한 결합력뿐만 아니라 상단 보조판(30)에 의한 결합력까지 갖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범람 수위가 높아질 경우 상단 보조판(30)을 설치하여 차수 가능한 수위를 높이면서도, 높아지는 수위에 따른 수압 증가에 대응하여 상단 보조판(30)에 의한 본체부(10)끼리의 결합력 상승 효과도 제공하여 보다 안정적인 차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하단 보조판(4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에 있어서, 하단 보조판(40)은 본체부(10)의 지지면(11)의 전단부 후면에 결합되어, 본체부(10) 아래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단 보조판(40)은 지지면(11)의 후면에 형성된 오목부(15)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4개의 볼록 경사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볼록 경사부(45)는 한 쌍의 내측 볼록 경사부(451)와 한 쌍의 외측 볼록 경사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내측 볼록 경사부(451)의 폭은 외측 볼록 경사부(452)의 폭의 두 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내측 볼록 경사부(451)는 각각 하나의 본체부(10)의 좌측 오목부(151) 및 다른 하나의 본체부(10)의 우측 오목부(153)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외측 볼록 경사부(452)는 각각 하나의 본체부(10)의 중앙 오목부(152) 및 다른 하나의 본체부(10)의 중앙 오목부(152)와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하단 보조판(40)이 두 개의 인접한 본체부(10)에 걸쳐 결합되므로, 본체부(10)의 결합은 제1 본체 결합부(100)와 제2 본체 결합부(200)에 의한 결합력뿐만 아니라 하단 보조판(40)에 의한 결합력까지 갖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지면이 평평하지 않고 굴곡지는 등의 형태일 경우 본체부(10) 아래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하단 보조판(40)에 의한 본체부(10)끼리의 결합력 상승 효과도 제공하여 보다 안정적인 차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본체부
11: 지지면
12: 차수면
13: 연결면
14: 볼록부
15: 오목부
100: 제1 본체 결합부
200: 제2 본체 결합부
20: 지지 다리부
30: 상단 보조판
40: 하단 보조판
11: 지지면
12: 차수면
13: 연결면
14: 볼록부
15: 오목부
100: 제1 본체 결합부
200: 제2 본체 결합부
20: 지지 다리부
30: 상단 보조판
40: 하단 보조판
Claims (7)
- 하나 이상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를 후면에서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20)와 상단 보조판(30)을 포함하는 차수막이며,
상기 본체부(10)는 다른 본체부(10)와 횡방향으로 횡결합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0)는,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면(11),
상기 지지면(11)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차수면(12),
상기 지지면(11)과 상기 차수면(12)을 연결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면(13), 및
상기 차수면(12)의 상단부측에 있어서의 볼록부(14)의 단부에 형성되는 보조판 결합구(16)를 포함하고,
상기 차수면(12)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 다리부(20)를 삽입할 수 있는 지지 다리부 삽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면(13)의 좌측 단부에는, 제1 본체 결합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면(13)의 우측 단부에는, 제2 본체 결합부(200)가 형성되고,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제1 본체 결합부(100)는 다른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제2 본체 결합부(200) 내에 횡방향으로 삽입되며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11), 상기 차수면(12), 상기 연결면(13)의 전면에는, 상기 지지면(11)의 전단부에서부터 상기 차수면(12)의 상단부까지 연결되는 볼록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14)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좌측 볼록부(141), 중앙 볼록부(142), 우측 볼록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14)는, 상기 제1 본체 결합부(100)와 상기 제2 본체 결합부(20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11), 상기 차수면(12), 상기 연결면(13)의 후면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14)의 반대편의 위치에는, 상기 볼록부(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5)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좌측 오목부(151), 중앙 오목부(152), 우측 오목부(15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다리부(20)는, 상기 차수면(12)의 후면의 상단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 다리부 삽입구(121)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상단 보조판(30)의 하단부에는 상단 보조판 결합 돌출부(36)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보조판 결합 돌출부(36)가 상기 보조판 결합구(16)에 삽입되면서, 상기 상단 보조판(30)이 상기 본체부(10)와 결합되는,
차수막.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보조판(30)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 보조판 결합 돌출부(36)는, 상기 상단 보조판(30)의 양측단에 형성된 한 쌍의 외측 돌출부(362)와, 한 쌍의 상기 외측 돌출부(362)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내측 돌출부(361)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돌출부(361)의 폭은, 상기 외측 돌출부(362)의 폭의 두 배이고,
한 쌍의 상기 내측 돌출부(361)는 각각,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좌측 볼록부(141)에 형성된 상기 보조판 결합구(16) 및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우측 볼록부(143)에 형성된 상기 보조판 결합구(16)와 결합하고,
한 쌍의 상기 외측 돌출부(362)는 각각,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중앙 볼록부(142)에 형성된 상기 보조판 결합구(16)와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중앙 볼록부(142)에 형성된 상기 보조판 결합구(16)와 결합하는,
차수막. - 하나 이상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를 후면에서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20)와 하단 보조판(40)을 포함하는 차수막이며,
상기 본체부(10)는 다른 본체부(10)와 횡방향으로 횡결합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0)는,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면(11),
상기 지지면(11)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차수면(12),
상기 지지면(11)과 상기 차수면(12)을 연결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면(13)을 포함하고,
상기 차수면(12)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 다리부(20)를 삽입할 수 있는 지지 다리부 삽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면(13)의 좌측 단부에는, 제1 본체 결합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면(13)의 우측 단부에는, 제2 본체 결합부(200)가 형성되고,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제1 본체 결합부(100)는 다른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제2 본체 결합부(200) 내에 횡방향으로 삽입되며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11), 상기 차수면(12), 상기 연결면(13)의 전면에는, 상기 지지면(11)의 전단부에서부터 상기 차수면(12)의 상단부까지 연결되는 볼록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14)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좌측 볼록부(141), 중앙 볼록부(142), 우측 볼록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14)는, 상기 제1 본체 결합부(100)와 상기 제2 본체 결합부(20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11), 상기 차수면(12), 상기 연결면(13)의 후면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14)의 반대편의 위치에는, 상기 볼록부(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5)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좌측 오목부(151), 중앙 오목부(152), 우측 오목부(15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다리부(20)는, 상기 차수면(12)의 후면의 상단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 다리부 삽입구(121)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하단 보조판(40)은, 상기 지지면(11)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15)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4개의 볼록 경사부(45)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 경사부(45)는, 한 쌍의 내측 볼록 경사부(451)와 한 쌍의 외측 볼록 경사부(452)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볼록 경사부(451)의 폭은, 상기 외측 볼록 경사부(452)의 폭의 두 배이고,
한 쌍의 상기 내측 볼록 경사부(451)는 각각,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좌측 오목부(151) 및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우측 오목부(153)와 결합하고,
한 쌍의 상기 외측 볼록 경사부(452)는 각각,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중앙 오목부(152) 및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중앙 오목부(152)와 결합하는,
차수막. - 하나 이상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를 후면에서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20)를 포함하는 차수막이며,
상기 본체부(10)는 다른 본체부(10)와 횡방향으로 횡결합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0)는,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면(11),
상기 지지면(11)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차수면(12),
상기 지지면(11)과 상기 차수면(12)을 연결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면(13)을 포함하고,
상기 차수면(12)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 다리부(20)를 삽입할 수 있는 지지 다리부 삽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면(13)의 좌측 단부에는, 제1 본체 결합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면(13)의 우측 단부에는, 제2 본체 결합부(200)가 형성되고,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제1 본체 결합부(100)는 다른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제2 본체 결합부(200) 내에 횡방향으로 삽입되며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11), 상기 차수면(12), 상기 연결면(13)의 전면에는, 상기 지지면(11)의 전단부에서부터 상기 차수면(12)의 상단부까지 연결되는 볼록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14)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좌측 볼록부(141), 중앙 볼록부(142), 우측 볼록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14)는, 상기 제1 본체 결합부(100)와 상기 제2 본체 결합부(20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11), 상기 차수면(12), 상기 연결면(13)의 후면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14)의 반대편의 위치에는, 상기 볼록부(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5)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좌측 오목부(151), 중앙 오목부(152), 우측 오목부(15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다리부(20)는, 상기 차수면(12)의 후면의 상단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 다리부 삽입구(121)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10)의 우측 단부에 있어서, 후면부에는 전면부측으로 오목한 단차부(17)가 형성되고,
두 개의 상기 본체부(10)가 결합할 때,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좌측 단부가 다른 상기 본체부(10)의 우측 단부의 상기 단차부(17)의 오목한 공간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1 본체 결합부(100)는, 탄성 볼록부(105)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볼록부(105)는, 일 단부가 자유 단부로 형성되고, 타 단부가 고정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탄성으로 인해 자유 단부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제2 본체 결합부(200)는, 그 후면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205)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오목부(205)는, 상기 탄성 볼록부(10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상기 본체부(10)가 횡결합할 때,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탄성 볼록부(105)가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결합 오목부(205)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차수막.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부(20)는, 그 외주면에 상기 지지 다리부(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정 돌기(21)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돌기(21)는, 상기 지지 다리부(20)의 외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다리부 삽입구(121)는, 상기 고정 돌기(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돌기(2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4개의 고정 홈(121a)을 포함하는,
차수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12922A KR102657481B1 (ko) | 2024-01-29 | 2024-01-29 | 차수 범위 확장이 가능한 차수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12922A KR102657481B1 (ko) | 2024-01-29 | 2024-01-29 | 차수 범위 확장이 가능한 차수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7481B1 true KR102657481B1 (ko) | 2024-04-12 |
Family
ID=9067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12922A KR102657481B1 (ko) | 2024-01-29 | 2024-01-29 | 차수 범위 확장이 가능한 차수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748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7211B1 (ko) * | 2024-05-02 | 2024-10-15 | 이로란 | 전방위 수밀이 가능한 차수판 조립체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23061A (ko) * | 2012-08-16 | 2014-02-26 | 디지엘시스템(주) | 다용도 파이프 |
KR101709274B1 (ko) | 2016-07-20 | 2017-02-22 | (주)태평양기술산업 |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
KR20190063034A (ko) * | 2017-11-29 | 2019-06-07 | 주식회사 우노 | 도심형 홍수 임시 차수막 및 설치공법 |
KR20200056645A (ko) * | 2018-11-15 | 2020-05-25 | 홍도찬 | 차수벽 |
KR102208068B1 (ko) | 2018-12-05 | 2021-01-26 | 주식회사 케이씨씨 | 시공이 용이한 차수벽의 프레임 구조 |
KR20210117910A (ko) | 2019-10-25 | 2021-09-29 | 박기주 | 지반 굴착기를 이용한 지반 천공과 차수벽 동시에 시공하는 차수벽설치장치 및 차수벽설치방법 |
KR20230119797A (ko) | 2022-02-08 | 2023-08-16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지반 모니터링이 가능한 차수막 장치 |
-
2024
- 2024-01-29 KR KR1020240012922A patent/KR1026574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23061A (ko) * | 2012-08-16 | 2014-02-26 | 디지엘시스템(주) | 다용도 파이프 |
KR101709274B1 (ko) | 2016-07-20 | 2017-02-22 | (주)태평양기술산업 |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
KR20190063034A (ko) * | 2017-11-29 | 2019-06-07 | 주식회사 우노 | 도심형 홍수 임시 차수막 및 설치공법 |
KR20200056645A (ko) * | 2018-11-15 | 2020-05-25 | 홍도찬 | 차수벽 |
KR102208068B1 (ko) | 2018-12-05 | 2021-01-26 | 주식회사 케이씨씨 | 시공이 용이한 차수벽의 프레임 구조 |
KR20210117910A (ko) | 2019-10-25 | 2021-09-29 | 박기주 | 지반 굴착기를 이용한 지반 천공과 차수벽 동시에 시공하는 차수벽설치장치 및 차수벽설치방법 |
KR20230119797A (ko) | 2022-02-08 | 2023-08-16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지반 모니터링이 가능한 차수막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7211B1 (ko) * | 2024-05-02 | 2024-10-15 | 이로란 | 전방위 수밀이 가능한 차수판 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57481B1 (ko) | 차수 범위 확장이 가능한 차수막 | |
KR102717211B1 (ko) | 전방위 수밀이 가능한 차수판 조립체 | |
US20220316203A1 (en) | Joint structure for column material and column base fitting | |
CN204959686U (zh) | 一种嵌扣式防洪装置 | |
CN208792676U (zh) | 一种弹性拼装地板 | |
KR102029234B1 (ko) | 방음터널용 기와형 지붕구조 | |
KR101937191B1 (ko) | 조립식 하우스 | |
CN211007099U (zh) | 防渗水建筑结构 | |
TWM620395U (zh) | 太陽能模組防水支架及包括其之太陽能模組防水裝置 | |
CN211949374U (zh) | 一种卫生间排水防渗结构 | |
US10968618B1 (en) | Sump system | |
KR200440364Y1 (ko) | 플라스틱관의 연결구 및 지지대 | |
CN210374136U (zh) | 一种室外换热系统及空调系统 | |
CN218970200U (zh) | 一种地漏组件 | |
CN211622410U (zh) | 一种固定悬浮式运动地板结构 | |
CN108692117A (zh) | 生活污水处理的排水管连接结构 | |
KR101771449B1 (ko) |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 |
CN206844569U (zh) | 一种带有定位基板的塑料地板 | |
CN216789435U (zh) | 一种给排水工程用管道固定装置 | |
CN206752651U (zh) | 一种雨水收集箱及雨水收集系统 | |
CN214941756U (zh) | 一种房屋导水槽 | |
CN215888093U (zh) | 一种水利工程用防洪墙 | |
KR102090681B1 (ko) | 도심형 홍수 임시 차수막 및 설치공법 | |
KR101857859B1 (ko) | 컬럼 일체형 억세스 플로어 | |
CN218562880U (zh) | 一种架空地板总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