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449B1 -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449B1
KR101771449B1 KR1020170056168A KR20170056168A KR101771449B1 KR 101771449 B1 KR101771449 B1 KR 101771449B1 KR 1020170056168 A KR1020170056168 A KR 1020170056168A KR 20170056168 A KR20170056168 A KR 20170056168A KR 101771449 B1 KR101771449 B1 KR 101771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pipe
underground
bracket
ba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주)아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현건설 filed Critical (주)아현건설
Priority to KR102017005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 배전 등을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관의 상하 좌우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동시에 토압이나 지반 침하 등의 외력에 의한 지중관 휨 발생 시 휨 정도를 줄일 수 있는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는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지중관 휨 발생 시 휨 발생 방향에 의해 회동되는 지중관 지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따라 지중관지지부재의 전후방측의 지중관이 지중관 지지부재의 회동각도에 대응되게 올라가거나 하향되어 지중관의 굽힘정도가 완화되어 지중관의 굴절을 방지되므로 지중관의 손상 억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Device supporting the underground pipes with preventing bending underground pipes for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
본 발명은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 배전 등을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관의 상하 좌우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동시에 토압이나 지반 침하 등의 외력에 의한 지중관 휨 발생 시 휨 정도를 줄일 수 있는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 배전 등을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중관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고, 그 간격이 계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지중관의 처짐 등으로 인한 지중관의 손상을 방지하고 도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지중관은 내부에 다수의 송배전용케이블이 내설되어 송배전용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송배전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종래의 지중관 설치는 목재 합판체 소정간격으로 지중관 인입공간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하부에 소정 높이로 모래를 채운후 지중관을 배설하고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지중관의 간격을 잡아준 후 되메움 하고 스페이서는 제거된다.
이러한 기술은 스페이서를 시공시만 사용하고 시공 후에는 제거되므로 되메움시 지중케이블관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기 어렵고 경사지나 지하수 침출이 되는 곳에 사용할 경우 관재 사이의 되메운재인 모래가 쉽게 유찰되었으며, 시공시 수직 방향으로는 지중관의 간격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중관 매설시 지중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함께 매설하는 방안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7420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8972호에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간격유지장치는 지중관의 자중이나 토압 등의 외력에 의해 지중관의 휨 발생시, 지중관이 간격유지장치에 의해 지지되면서 지중관의 피복이나 외주면이 간격유지장치에 의해 손상될 우려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0473호에는 지중관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지중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지상에 전신주 설치가 감소되면서 지중에 케이블 매설이 증가함에 따라, 케이블을 보호하는 지중관의 손상 방지 및 송배전율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7420호 :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8972호 : 공동주택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이 자중이나 토압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해 하향으로 휨 발생시 지중관의 휨 방향에 대응되게 회동 될 수 있으며, 회동 지지되는 지중관의 전·후방 측을 지중관이 회동되는 방향에 대응되게 상향 또는 하향되게 당기거나 눌러 지중관의 꺽임 정도를 줄일 수 있고, 지반 침하 시에도 지중관의 굽힘 정도를 완화 시킬 수 있는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는 다수의 지중관이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중관을 지지하는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에 있어서,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에 상기 지중관 연장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와 상기 제1관통부에 의해 형성된 내주면에서 상하방으로 각각 인입된 제1 및 제2인입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제1관통부를 관통하는 상기 지중관을 지지하는 지중관지지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및 제2인입홈에 장착되되 상기 제1관통부로 돌출되어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굽어지는 상기 지중관에 대응되게 상기 지중관지지부재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토압이나 지반 침하 등의 외력에 대해 상기 지중관의 휨 정도를 줄일 수 있는 승강지지유닛이 각각 마련되는 다수의 브라켓 유닛과;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에 대해 전·후방측에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전·후방측의 상기 지중관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거나 하방으로 당겨 토압이나 외력에 의한 상기 지중관의 굴절을 방지하는 지중관굴절방지유닛;을 한다.
상기 지중관지지부재는 내측으로 상기 지중관이 관통 지지될 수 있도록 관통된 지중관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중관지지공의 관통방향을 따라 양단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호형곡률을 갖게 형성되되 양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승강지지부재의 양측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게 연장되고, 양단부의 외경이 상기 제1승강지지부재의 하면과 상기 제2승강지지부재의 상면이 이루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지중관이 굽힘이나 회전시 외주면이 상기 제1승강지지부재의 하면과 상기 제2승강지지부재의 상면에 가이드외어 상기 지중관의 유동에 대응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회동본체와, 상기 회동본체의 양단에서 상기 지중관지지공 관통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에 대해 멀어지게 각각 연장되되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사익 지중관지지공을 관통한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 상부와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에 각각 이격되게 상기 회동본체의 양단에서 상기 지중관지지공 관통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에 대해 멀어지게 각각 연장되되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이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의 연장된 길이보다 짧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중관지지공을 관통한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 하부와 각각 접촉되는 제3 및 제4탄성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중관굴절방지유닛은 상호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 중 상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지중관 연장방향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지지바와, 상기 다수의 브라켓유닛에 대해 상기 지중관 연장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측에 위치되게 일측이 상기 제1지지바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지지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중관의 상방에서 상기 지중관을 덮는 상판과, 상기 제1 탄성지지부에 대해 전방 방향 또는 제2 탄성지지부에 대해 후방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호 결합된 상기 다수의 브라켓 유닛 중 상부측의 상기 지중관을 각각 파지하는 다수의 제1클램프와, 일단부가 상기 제1클램프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가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1클램프 사이의 상기 상판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동바와, 상기 제1탄성지지부 또는 제2탄성지지부에서 상기 제1클램프에 인접한 위치의 상기 제1회동바로 연장되되 연장된 단부가 상기 제1회동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에 따라 상기 제1회동바를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올리는 제1가압바를 구비하는 상부지중관굴절방지부와; 상호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 중 하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지중관 연장방향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된 제3 및 제4지지바와, 상기 다수의 브라켓유닛에 대해 상기 지중관 연장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측에 위치되게 일측이 상기 제3지지바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4지지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중관의 하방에서 상기 지중관을 덮는 하판과, 상기 제3 탄성지지부에 대해 전방 방향 또는 제4 탄성지지부에 대해 후방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호 결합된 상기 다수의 브라켓 유닛 중 하부측의 상기 지중관을 각각 파지하는 다수의 제2클램프와, 일단부가 상기 제2클램프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가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2클램프 사이의 상기 하판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회동바와, 상기 제3탄성지지부 또는 제4탄성지지부에서 상기 제2클램프에 인접한 위치의 상기 제2회동바로 연장되되 연장된 단부가 상기 제2회동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에 따라 상기 제2회동바를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올리는 제2가압바를 구비하는 하부지중관굴절방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는 일측이 상기 제1클램프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1클램프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클램프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에 따라 상기 제1클램프 또는 제2클램프 승하강 시 대응되는 상방 또는 하방의 상기 지중관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하간격유지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는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지중관 휨 발생 시 휨 발생 방향에 의해 회동되는 지중관 지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따라 지중관지지부재의 전후방측의 지중관이 지중관 지지부재의 회동각도에 대응되게 올라가거나 하향되어 지중관의 굽힘정도가 완화되어 지중관의 굴절을 방지되므로 지중관의 손상 억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관 굴정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는 상하간격유지바에 의해 지중관 지지부재 회동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의 지중관이 상하로 이동될 때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하는 지중관들의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송배전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에 대한 일부 절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브라켓유닛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브라켓몸체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2브라켓몸체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지중관지지부재 회동에 따른 지중관굴절방지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지반 침하시 승강지지유닛의 작동상태에 대한 측단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에 대한 일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 지중관지지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는 다수의 지중관 길이방향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지중관이 상호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며,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지중관 휨 발생시 지지장치에 의해 지중관의 외주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는 다수의 지중관(3)이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중관(3)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되며 다수의 지중관(3)을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브라켓유닛(100)과, 다수의 브라켓유닛(100)에 대해 지중관 연장방향의 전·후방측에서 브라켓유닛에 의해 회동되는 지중관에 대응되게 브라켓유닛(100)의 전·후방측의 지중관(3)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거나 하방으로 당겨 토압이나 외력에 의한 지중관의 굴절을 방지하는 지중관굴절방지유닛(500);을 구비한다.
다수의 브라켓유닛(100)은 각각 브라켓(110)과, 지중관지지부재(150)와, 승강지지유닛(130)을 각각 구비한다.
브라켓(11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가 상하좌우로 상호 결합되어 격자모양을 이룰수 있도록, 상부와 일측부에 각각 돌출형성된 제1 및 제2더브테일부(113,114)와, 하부와 타측부에 각각 제1 및 제2더브테일부(113,114)에 대응되게 인입형성된 제 및 제2더브테일홈(115,116)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110)은 내측에 지중관(3) 연장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112)와, 제1관통부(112)에 의해 형성된 내주면에서 상하방으로 상호 대응되게 각각 인입된 제1 및 제2인입홈(117,118)이 각각 형성된다.
브라켓(110)은 후술되는 승강지지유닛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분리구조를 갖는데,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제1브라켓몸체(110a)와 제2브라켓몸체(110b)가 상호 볼트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브라켓(110)은 종 방향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도시된 예와다르게 횡 방향으로 분리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110)은 제1브라켓몸체(110a)와 제2브라켓몸체(110b)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제1더브테일부(113), 제2더브테일부(114), 제1더브테일홈(115), 제2더브테일홈(116), 제1관통부(112), 제1인입홈(117), 제2인입홈(118), 코너인입홈(119)이 형성된다.
제1더브테일부(113)는 브라켓(110)의 상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브라켓몸체(110a)의 상부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113a)와, 제2브라켓몸체(110b)의 상부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113b)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제1결합돌기(113a)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제1브라켓몸체(110a)의 타측면에 인접한 제1브라켓몸체(110a)의 상단에 형성된다. 제1결합돌기(113a)는 제1브라켓몸체(110a)의 상면(A)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1브라켓몸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연장형성되되 상단은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결합돌기(113b)는 제1브라켓 몸체(110a)의 타측면과 접촉되는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에 인접한 제2브라켓몸체(110b)의 상단에 형성된다. 제2결합돌기(113b)는 제1결합돌기(113a)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1결합돌기(113a)와 접촉된다. 도 1 및 도 4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2결합돌기(113a, 113b)는 후술되는 코너인입홈(119)까지 각각 연장형성된다.
제2더브테일부(114)는 브라켓(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3결합돌기(114a)와,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부에 대응되는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4결합돌기(114b)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제3결합돌기(114a)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제1브라켓몸체(110a)의 타측면에 인접한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3결합돌기(114a)는 브라켓(110)의 내측에 장착되는 지중관지지부재(15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부에 돌출형성되되 제1브라켓몸체의 일측부의 연장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형성되고 단부가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제4결합돌기(114b)는 제1브라켓 몸체(110a)의 타측면과 접촉되는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에 인접한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4결합돌기(114b)는 제3결합돌기(114a)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3결합돌기(114a)와 함께 제2더브테일부(114)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4을 참조하면, 제 3 및 제4결합돌기(114a, 114b)는 후술되는 코너인입홈(119)까지 각각 연장형성된다.
제1더브테일홈(115)은 브라켓(110)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 및 제2결합돌기(113a, 113b)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1 및 제2브라켓몸체(110a,110b)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인입부(115a, 115b)에 의해 형성된다. 제2더브테일홈(116)은 브라켓(110)의 타측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3 및 제4결합돌기(114a, 114b)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1 및 제2브라켓몸체(110a,110b)의 타측부에 각각 형성된 제3 및 제4인입부(116a,116b)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더브테일부(113,114)는 제1 및 제2더브테일홈(115,116)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더브테일홈(115)과 제2더브테일홈(116)은 제1더브테일부(113)과 제2더브테일부(114)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 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더브테일부(113,114)에 각각 대응되게 코너인입홈(119)까지 연장형성된다.
제1관통부(112)는 브라켓(110)의 내측에 지중관(3)의 연장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것으로서, 제1 및 제2브라켓몸체 각 내측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된 제1 및 제2관통공(112a,112b)이 연통되어 형성된다
한편, 브라켓(100)의 제1관통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좌우측 내주면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인입되어 후술되는 승강지지유닛(130)의 제1 및 승강지지부재(131,135)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121,124)가 형성된다.
제1 승강가이드부(121)는 제1 및 제2승강지지부재(131,135)의 좌측단부가 수용되는 부분이며, 제2승강가이드부(124)는 제1 및 제2승강지지부재(131,135)의 우측단부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제1승강가이드부(121)는 제1브라켓몸체(110a)의 좌측 내주면에서 제2브라켓몸체(110b)에 인접한 측이 좌측 방향으로 인입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인입부(122)와, 제2브라켓몸체(110b)의 좌측내주면에서 제1브라켓몸체(110a)에 인접한 측에 제1가이드인입부(122)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2가이드인입부(123)가 상호 접하면서 형성된다.
제2승강가이드부(124)는 제1브라켓몸체(110a)의 우측 내주면에서 제2브라켓몸체에 인접한 측이 우측방향으로 인입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3가이드인입부(125)와, 제2브라켓몸체의 우측내주면에서 제1브라켓몸체에 인접한 측에 제3가이드인입부(125)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4가이드인입부(126)가 상호 접하면서 형성된다.
제1인입홈(117)은 제1관통부(112)에 의해 형성된 내주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되되 제1관통부(112)의 관통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인입홈(117)은 제1관통공(112a)의 상방의 제1브라켓몸체(110a)의 타측면에서 제1브라켓몸체(110a)의 일측면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1관통공(112a)의 관통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승강가이드부(121)와 제2승강가이드부(124)의 이격거리 보다 길게 연장되는 제1브라켓몸체상부인입부(117a)와, 제2관통공(112b)의 상방의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에서 제2브라켓몸체(110b)의 타측면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1브라켓몸체인입부(117a)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된 제2브라켓몸체상부인입부(117c)가 상호 접하면서 형성된다.
제1 및 제2브라켓몸체상부인입부(117a,117c)는 제1관통부(112) 관통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하단부에서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어 후술되는 제1탄성부재(141)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이탈방지턱(117b,117d)이 각각 형성된다.
제2인입홈(118)은 제1관통부에 의해 형성된 내주면에서 하방으로 인입되되 제1관통부(112)의 관통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인입홈(118)은 제1관통공(112a)의 하방의 제1브라켓몸체(110a)의 타측면에서 제1브라켓몸체의 일측면(110a)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1관통공(112)의 관통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승강가이드부(121)와 제2승강가이드부(124)의 이격거리보다 길게 연장되는 제1브라켓몸체하부인입부(118a)와, 제2관통공(112b)의 하방의 제2브라켓몸체(110b)의 일측면에서 제2브라켓몸체(110b)의 타측면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1브라켓몸체하부인입부(118a)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된 제2브라켓몸체하부인입부(118c)가 상호 접하면서 형성된다.
제1 및 제2브라켓몸체하부인입부(118a,118c)는 제1관통부(112) 관통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상단부에서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어 후술되는 제2탄성부재(145)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3 및 제4이탈방지턱(118b,118d)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및 제2인입홈(117, 118)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며,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121,124)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승강지지유닛(130)은 브라켓(110)의 제1 및 제2인입홈(117,118)에 장착되되 제1관통부(112)로 돌출되어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굽어지는 지중관에 대응되게 후술되는 지중관지지부재(15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지반 침하 시 지중관지지부재(15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승강지지유닛(130)은 제1승강지지부재(131)와, 제2승강지지부재(135)와, 제1탄성부재(141)와, 제2탄성부재(145)를 구비한다.
제1승강지지부재(131)는 상부가 제1인입홈(117)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가 제1관통부(112)로 돌출되되 하면이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외주면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가져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상면과 접촉된다.
제1승강지지부재(131)는 상부가 제1인입홈(117)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관통부(112)로 돌출되며 좌우측 단부가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121,124)에 수용되는 제1인입홈장착부(132)와, 제1인입홈장착부(132)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되되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는 제1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33)를 구비한다.
제2승강지지부재(135)는 하부가 제2인입홈(118)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가 제1관통부(112)로 돌출되되 상면이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외주면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가져 지중관지지부재(150)의 하면과 접촉된다.
제2승강지지부재(135)는 제1승강지지부재(131)와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 하부가 제2인입홈(118)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가 제1관통부(112)로 돌출되며 좌우측단부가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121,124)에 수용되는 제2인입홈장착부(136)와, 제2인입홈장착부(136)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인입되되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는 제2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37)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승강지지부재(131,135)는 제1 및 제2인입홈(117,118)의 형상과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121,124)에 대응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지중관지지부재(150)가 회동되게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으면, 제1 및 제2인입홈(117,118)의 인입된 형상과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121,124)이 인입된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탄성부재(141)은 제1인입홈(117)에 수용되어 제1승강지지부재(13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볼록한 판 스프링이 적용된다. 제2탄성부재(145)는 제2인입홈(118)에 수용되어 제2승강지지부재(135)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상방으로 볼록한 판 스프링이 적용된다. 제1 및 제2탄성부재(141,145)는 지중관지지부재의 승강이 용이하도록 제1 및 제2인입홈(117,118)의 좌우 연장된 길이보다 짧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너인입홈(119)은 브라켓(110)의 각 모서리 즉 코너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인접하는 브라켓(110)이 결합시 제1더브테일부(113)가 제1더브테일홈(115)에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제2더브테일부(114)가 제2더브테일홈(116)에 슬라이딩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코너인입홈(119)은 도 1, 도 3 및 도4를 참조하면, 제1브라켓몸체(110a)와 제2브라켓몸체(110b)에 상호 대응되는 모서리부분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인입형성된 제3 및제4인입부(119a,119b)에 의해 형성된다.
브라켓(11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코너인입홈(119)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브라켓몸체(110a,110b)에는 후술되는 제1 내지 제4 지지바(610,620,630,640)와 볼트 결합 될 수 있도록 지지대결합공(119c)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지중관지지부재(150)는 제1 및 제2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33,137)에 상부와 하부가 각각 지지되게 장착되되,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지중관(3)이 휘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지중관이 휨 발생시 지중관간격유지장치(1)에 대한 지중관(3)의 응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지중관지지부재(150)는 제1관통부(12)에서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부재(131,135)에 지지되어 내측으로 관통되는 지중관(3)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회동본체(151)와, 제1 및 제2탄성지지부(153,154)와, 제3 및 제4탄성지지부(155,156)와, 다수의 볼플렌지(158)를 구비한다.
회동본체(151)는 지중관(3)이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중관(3) 외경에 대응되는 지중관지지공(152)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지중관지지공(152)의 관통방향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되 제1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33)의 하면과, 제2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37)의 상면의 호형곡률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본체(151)는 제1 및 제2승강지지부재(131,135)의 양측면에 대해 돌출형성되게 형성되고 양단부의 외경이 제1승강지지부재(131)의 하면과 제2승강지지부재(135)의 상면이 이루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게 외주면이 호형곡률을 가져 지중관(3)의 굽힘이나 회전시 외주면이 제1승강지지부재(131)의 하면과 제2승강지지부재(135)의 상면에 가이드 되어 지중관(3)의 유동에 대응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탄성지지부(153, 154)는 회동본체(151)의 양단에서 지중관지지공(152) 관통방향으로 브라켓(110)에 대해 멀어지게 각각 연장된다. 제1 및 제2탄성지지부(153, 154)는 지중관(3)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어 지중관지지공(22)을 관통한 지중관(3)의 외주면 상부와 각각 밀착된다.
제3 및 제4탄성지지부(155, 156)는 제1 및 제2탄성지지부(153,154)에 각각 이격되게 회동본체(151)의 양단에서 지중관지지공(152) 관통방향으로 브라켓에 대해 멀어지게 각각 연장형성된다. 제3 및 제4탄성지지부(153,154)는 지중관(3)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지중관지지공(152)을 관통한 지중관(3)의 외주면 하부와 각각 밀착된다. 제3 및 제4탄성지지부(155,156)는 제1 및 제2탄성지지부(153, 154)의 연장된 길이보다 짧게 연장형성된다. 이는 지중관의 휨 발생시 제3 내지 제4탄성지지부(155,156)에 의해 지중관에 발생되는 응력을 줄이기 위함이다.
다수의 볼플렌지(158)는 회동본체(151)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다. 볼플렌지(158)는 지중관지지공(152)에 관통장착된 지중관(3)이 신축되거나 휘어질 때 회동본체(151)의 내주면과 지중관(3)의 외주면의 마찰을 줄여 지중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회동본체(151)는 볼플렌지가 장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인입된 볼플렌지결합홈(151a)이 형성된다. 볼플렌지(158)는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볼플렌지결합홈(151a)에 나사결합되는 플렌지몸체부(158a)와, 플렌지몸체부(158a)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프링(미도시)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플렌지몸체부(158a)의 단부에 일 부 돌출되게 장착되는 볼(158b)을 구비한다.
지중관굴절방지유닛(500)은 지중관지지부재(150)에 대해 지중관(3) 연장방향의 전·후방측에서 지중관지지부재(150) 회동방향에 대응되게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전·후방측의 지중관(3)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거나 하방으로 당겨 지중관의 구부러짐을 완화함으로써 토압이나 외력에 의한 지중관(3)의 굴절을 방지한다.
지중관굴절방지유닛(500)은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 유닛 중 상부에 위치한 다수의 지중관의 구부러짐을 완화하는 상부지중관굴절방지부(600)와,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 유닛의 하부에 위치한 다수의 지중관(3)의 구부러짐을 완화하는 하부지중관굴절방지부(700)를 구비한다.
상부지중관굴절방지부(600)는 제1 및 제2지지바(610,620)와, 제1 및 제2상판(630,640)과, 복수 개의 제1 및 제2클램프(650,660)와, 제1 및 제2회동바(670,680)와, 제1 및 제2가압바(691,695)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지지바(610,620)는 지중관(3) 연장방향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되며, 격자형태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 유닛(100) 중 상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브라켓(110)의 모서리에 각 중심측이 장착된다.
제1지지바(610)는 지중관(3)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유닛(100) 중 상부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브라켓과(110)과 결합된다. 제2지지바(620)는 제1지지바(610)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 유닛 중 상부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브라켓(110)과 결합된다.
제1지지바(610)는 후술되는 제3지지바(710)와 상하방향으로 대칭된 구조를 가지며, 제2지지바(620)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대칭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2지지바(620)는 후술되는 제4지지바(720)와 상하방향으로 대칭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제1지지바(610)가 브라켓유닛(100)과 결합되는 구조는 후술되는 제4지지바(720)의 구조를 통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상판(630,640)은 브라켓유닛(100)을 중심으로 지중관 연장방향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지지바(610,620)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결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상판(630,640)은 제1 및 제2지지바(610,620)의 전방 또는 후방측 단부에서 브라켓(110)의 위치까지 동일길이 연장된 사각판 형상이다. 제1상판(630)은 일측이 제1지지바(610)의 전방측에 결합되며 타측이 제2지지바(620)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브라켓유닛(100)에 대해 전방측의 지중관(3)의 상방을 덮는다. 제2상판은 일측이 제1지지바(610)의 후방측에 결합되며 타측이 제2지지바(620)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브라켓유닛(100)에 대해 후방측의 지중관(3)의 상방을 덮는다.
제1클램프(650)는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 유닛 중 상부측의 지중관을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부(153)에 대해 전방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지중관(3)을 파지한다.
제2클램프(660)는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 유닛(100) 중 상부측의 지중관(3)을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지지부(154)에 대해 후방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지중관(3)을 파지한다.
제1 및 제2클램프(650,660)는 동일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지중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반고리 형상의 제1상부 및 제1하부클램프본체(651,654)를 각각 구비한다.
제1상부클램프본체(651)는 지중관(3)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써 양측 단부에 제1 및 제2플렌지부(652,653)가 형성되며, 제1하부클램프본체(654)는 지중관(3)의 하부를 덮는 것으로써 양측 단부에 제1 및 제2플렌지부(652,653)에 각각 접하며 볼트 결합되는 제3 및 제4플렌지부(655,65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상부클램프본체(651)의 상단에는 후술되는 제1 또는 제2회동바(670,680)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을 위한 제1상부클램프본체(651)의 외주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제1 지지바(610)와 제2지지바(620)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1 및 제2힌지리브(658,659)를 구비하는 제1힌지결합부(657)가 형성된다.
또한, 제1힌지결합부(657)는 제 1 및 제2힌지리브(658,659)사이에 위치되는 후술되는 제1회동바(670) 또는 제2회동바(680)의 일단부와 함께 제1 및 제2힌지리브(658,659)를 관통하는 제1힌지축(671)을 구비한다.
제1회동바(670)는 일단부가 제1클램프(650)의 상단에 형성된 제1힌지결합부(657)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가 브라켓(110)과 제1클램프(650) 사이의 제1상판(630)의 하면에 형성된 제2힌지결합부(63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힌지결합부(631)는 제1상판(630)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며 제1 지지바(610)와 제2지지바(620)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3 및 제4힌지리브(미도시,633)를 구비한다.
또한, 제2힌지결합부(631)는 제 3 및 제4힌지리브(미도시,633)사이에 위치되는 후술되는 제1회동바(670)의 타단부와 함께 제3 및 제4힌지리브(미도시,633)를 관통하는 제2힌지축(634)을 구비한다.
제2회동바(680)는 일단부가 제2클램프(660)의 상단에 형성된 제1힌지결합부(657)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가 브라켓(110)과 제2클램프(536) 사이의 제2상판(640)의 하면에 형성된 제3힌지결합부(64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2클램프(660)의 제1힌지결합부(657)는 제1 및 제2 힌지리브(535a,535b)사이에 위치되는 제2회동바(680)의 일단부와 함께 제1 및 제2힌지리브(658,659)를 관통하는 제1회동바힌지축(671)을 구비한다.
제3힌지결합부(641)는 제2힌지결합부(52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가압바(691)는 일측이 제1탄성지지부(153)에 고정되며 타측이 제1클램프(650)에 인접한 위치의 제1회동바(670)로 연장되며, 제1가압바(691)의 타측 단부가 제1회동바(67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중관지지부재(150) 회동에 따라 제1회동바(670)를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밀어올린다.
제1가압바(691)의 타측은 제1회동바(670)의 폭 만큼 인입되되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제1회동바(670)의 측부가 인입되어 힌지결합될 수 있는 제1회동바결합홈(692)이 형성된다.
제2가압바(695)는 일측이 제2탄성지지부(154)에 고정되며 타측이 제1클램프(650)에 인접한 위치의 제2회동바(680)로 연장되며, 제2가압바(695)의 타측 단부가 제2회동바(68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중관지지부재(150) 회동에 따라 제2회동바(680)를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밀어올린다.
제2가압바(695)의 타측은 제2회동바(680)의 폭 만큼 인입되되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제2회동바(680)의 측부가 인입되어 힌지 결합 될 수 있는 제2회동바결합홈(696)이 형성된다.
하부지중관굴절방지부(700)는 제3 및 제4지지바(710,720)와, 제1 및 제2하판(730,740)과, 복수 개의 제3 및 제4클램프(750,760)와, 제3 및 제4회동바(770,780)와, 제3 및 제4가압바(791,795)를 구비한다.
제3 및 제4지지바(791,795)는 지중관(3) 연장방향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되며, 격자형태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 유닛(100) 중 하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브라켓(110)의 모서리에 각 중심측이 장착된다.
제3지지바(710)는 지중관(3)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유닛(100) 중 하부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브라켓과(110)과 결합된다. 제4지지바(720)는 제3지지바(710)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 유닛 중 하부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브라켓(110)과 결합된다.
제4지지바(720)는 도 5를 참조하면, 지중관(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4메인지지부(721)와, 제4메인지지부(721)에서 브라켓(110)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브라켓 유닛(100)과 결합되는 제4브라켓결합부(725)를 구비한다.
제4메인지지부(721)는 횡단면이 "┙"인 형태로, 지중관(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722)와, 수평부의 일측 단부를 따라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수직부(723)를 구비한다.
제4브라켓결합부(725)는 제4메인지지부(721)의 중심측에 형성되어 브라켓유닛(100)과 결합된다. 제4브라켓결합부(725)는 코너인입홈(119)에 삽입되게 제4메인지지부(72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7 및 제8결합리브(726, 727)를 각각 구비한다.
제3지지바(710)는 제4메인지지부(720)에 지중관(3)을 중심으로 지중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대칭된 '┖' 형태로서, 지중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3메인지지부(711)와, 제3메인지지부(711)에 형성되되 제4지지바(720)의 제4브라켓결합부(725)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제3브라켓결합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제3브라켓결합부는 제3메인지지부(711)의 중심측에 형성되어 브라켓유닛과 결합된다. 제3브라켓결합부는 코너인입홈(119)에 삽입되게 제3메인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제7 및 제8결합리브(726,727)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5 및 제6결합리브(미도시)를 각각 구비한다.
제1 및 제2 하판(730,740)은 브라켓유닛(100)을 중심으로 지중관 연장방향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지지바(710,720)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결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하판(730,740)은 제3 및 제4지지바(710,720)의 전방 또는 후방측 단부에서 브라켓(110)의 위치까지 동일길이 연장된 사각판 형상이다. 제1하판(730)은 일측이 제3지지바(710)의 전방측에 결합되며 타측이 제4지지바(720)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브라켓유닛(100)에 대해 전방측의 지중관(3)의 하방을 덮는다. 제2하판(740)은 일측이 제3지지바(710)의 후방측에 결합되며 타측이 제4지지바(720)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브라켓유닛(100)에 대해 후방측의 지중관(3)의 하방을 덮는다.
제3클램프(750)는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 유닛 중 하부측의 지중관을 탄성지지하는 제3 탄성지지부(155)에 대해 전방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지중관(3)을 파지한다.
제4클램프(760)는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 유닛(100) 중 상부측의 지중관(3)을 탄성지지하는 제4 탄성지지부(156)에 대해 후방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지중관(3)을 파지한다.
제3 및 제4클램프(750,760)는 동일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지중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반고리 형상의 제2 상부 및 하부클램프본체(751,754)를 각각 구비한다.
제2상부클램프본체(751)는 지중관(3)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써 양측 단부에 제5 및 제6플렌지부(752,753)가 형성되며, 제2하부클램프본체(754)는 지중관(3)의 하부를 덮는 것으로써 양측 단부에 제5 및 제6플렌지부(752,753)에 각각 접하며 볼트결합되는 제7 및 제8플렌지부(755,75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하부클램프본체(754)의 하단에는 후술되는 제3 또는 제4회동바(770,780)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을 위한 제2하부클램프본체(754)의 외주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며 제3 지지바(710)와 제4지지바(720)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7 및 제8힌지리브(미도시,759)를 구비하는 제4힌지결합부(757)가 형성된다.
또한, 제4힌지결합부(757)는 제 7 및 제8힌지리브(미도시,759)사이에 위치되는 후술되는 제3회동바(770) 또는 제4회동바(780)의 일단부와 함께 제7 및 제8힌지리브(미도시,759)를 관통하는 제3힌지축(771)을 구비한다.
제3회동바(770)는 일단부가 제3클램프(581)의 하단에 형성된 제4힌지결합부(757)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가 브라켓(110)과 제3클램프(750) 사이의 제1하판(740)의 상면에 형성된 제5힌지결합부(73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5힌지결합부(731)는 제1하판(571)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제3 지지바(710)와 제4지지바(720)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9 및 제10힌지리브(미도시,733)를 구비한다.
또한, 제5힌지결합부(731)는 제 9 및 제10힌지리브(미도시,733)사이에 위치되는 제3회동바(770)의 타단부와 함께 제9 및 제10힌지리브(미도시,733)를 관통하는 제4힌지축(734)을 구비한다.
제4회동바(780)는 일단부가 제4클램프(760)의 하단에 형성된 제4힌지결합부(757)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가 브라켓(110)과 제4클램프(760) 사이의 제2하판(740)의 상면에 형성된 제6힌지결합부(74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제6힌지결합부(741)는 제5힌지결합부(73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가압바(791)는 일측이 제3탄성지지부(155)에 고정되며 타측이 제3클램프(750)에 인접한 위치의 제3회동바(770)로 연장되며, 제3가압바(791)의 타측 단부가 제3회동바(6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중관지지부재(150) 회동에 따라 제3회동바(770)를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밀어올린다.
제3가압바(791)의 타측은 제3회동바(770)의 폭 만큼 인입되되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제3회동바(770)의 측부가 인입되어 힌지 결합 될 수 있는 제3힌지결합홈(792)이 형성된다.
제4가압바(795)는 일측이 제4탄성지지부(156)에 고정되며 타측이 제4클램프(760)에 인접한 위치의 제4회동바(780)로 연장되며, 제4가압바(795)의 타측 단부가 제4회동바(78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중관지지부재(150) 회동에 따라 제4회동바(780)를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밀어올린다.
제4가압바(795)의 타측은 제4회동바(780)의 폭 만큼 인입되되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제4회동바(780)의 측부가 인입되어 힌지결합 될 수 있는 제4힌지결합홈(796)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 굴절방지기능이 있는 지중관지지장치는 상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일측이 제1상판(630)과 결합되고 타측이 제1하판(730)과 결합되어 토압이 가해지는 제1상판(630)을 지지하여 제1상판(630)과 제1하판(73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복수 개의 제1상판지지바(910)와, 상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일측이 제2상판(640)과 결합되고 타측이 제2하판(740)과 결합되어 토압이 가해지는 제2상판(640)을 지지하여 제2상판(640)과 제2하판(74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복수 개의 제2상판지지바(92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상판지지바(9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판(630)과 제1하판(730)의 가장자리측에 각각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것과 다르게 각 가장자리측에 다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상판지지바(920)도 제2상판(640)과 제2하판(740)의 가장자리측에 각각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것과 다르게 각 가장자리측에 다수 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지지장치(1)는 제1 및 제2상판과, 제1하판 및 제2하판이 각각 상호 분리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1 및 제2상판이 하나로 일체로 형성되어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의 상방에서 설치된 구조가 적용될 수 도 있으며, 제1 및 제2하판이 하나로 일체로 형성되어 제3지지바와 제4지지바의 하방에서 결합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예로서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상하좌우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유닛들 중 상부에 위치하는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제1탄성지지부(153)가 상향되고 제2탄성지지부(154)가 하향되게 회동시, 제1탄성지지부(153)에 연결된 제1가압바(691)의 타단부가 상향되면서 제1회동바(670)의 일측부가 상향되게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1회동바(670)의 일측부와 결합된 제1클램프(650)가 상승되면서 브라켓유닛(100)에 대해 전방에 위치되어 제1클램프(650)에 파지된 지중관도 상승되게 된다. 반대로 제2탄성지지부(154)가 하향되면서 제2가압부(695)의 타단부가 하향되면서 제2회동바(680)의 일측부가 하향되게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2회동바(680)의 일측부와 결합된 제2클램프(660)가 하강되면서 브라켓유닛(100)의 후방에 위치되어 제2클램프(660)에 파지된 지중관도 하향되게 된다.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상하좌우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유닛들 중 하부에 위치하는 지중관지지부재(150)의 제3탄성지지부(155)가 상향되고 제4탄성지지부(156)가 하향되게 회동시, 제3탄성지지부(155)에 연결된 제3가압바(791)의 타단부가 상향되면서 제3회동바(770)의 일측부가 상향되게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3회동바(770)의 일측부와 결합된 제3클램프(750)가 상승되면서 브라켓유닛(100)에 대해 전방에 위치되어 제3클램프(750)에 파지된 지중관도 상승되게 된다. 반대로 제4탄성지지부(156)가 하향되면서, 제4가압부(795)의 타단부가 하향되면서 제4회동바(780)의 일측부가 하향되게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4회동바(780)의 일측부와 결합된 제4클램프(760)가 하강되면서 브라켓유닛(100)의 후방에 위치되어 제4클램프(760)에 파지된 지중관도 하향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1)는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지중관 휨 발생 시 휨 발생 방향에 의해 회동되는 지중관 지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따라 지중관지지부재의 전후방측의 지중관이 지중관 지지부재의 회동각도에 대응되게 올라가거나 하향되어 지중관의 굽힘정도가 완화되어 지중관의 굴절을 방지되므로 지중관의 손상 억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1)는 도 6를 참조하면, 승강지지유닛에 의해 지중관이 상하방향으로 탄성있게 지지되므로, 지반 침하시 제2탄성부재(145)는 이완되고, 제1탄성부재(141)가 수축되면서 지반의 침하된 깊이보다 적게 침하될 수 있어 지중관의 휨 정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1)는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지중관 휨 발생 시 휨발생 방향에 의해 회동되는 지중관 지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따라 지중관지지부재의 전후방측의 지중관을 올리거나 내려 지중관의 굽힘정도를 완화하여 지중관의 굴절을 방지되므로 지중관의 손상 억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로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1)에 복수 개의 제1 및 제2상하간격유지바(811,815)와, 제1상하간격유지바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제6힌지결합부(820)와, 제1상하간격유지바의 타측과 힌지결합되는 제7힌지결합부(830)와, 제2상하간격유지바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제8힌지결합부(840)와, 제2상하간격유지바의 타측과 힌지결합되는 제9힌지결합부(850)를 더 구비한다.
제1상하간격유지바(8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이 제1클램프(650)의 하단에 형성된 제6힌지결합부(8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제1클램프(650)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3클램프(750)의 상단에 형성된 제7힌지결합부(8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상하간격유지바(81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이 제3클램프(660)의 하단에 형성된 제8힌지결합부(84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제3클램프(66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4클램프(760)의 상단에 형성된 제9힌지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및 제2상하간격유지바(610)는 지중관지지부재(150) 회동에 따라 제 내지 제4 클램프(650,660,670,680) 승하강 시 대응되는 상방 또는 하방의 지중관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2)는 제1클램프(650) 하강시 대응되는 제3클램프(750)가 제1상하간격유지바(811)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므로 제1클램프(650)와 제3클램프(750) 간의 간격이 유지되어 상하방의 지중관(3)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2)는 제2클램프(660) 하강시 대응되는 제4클램프(760)가 제2상하간격유지바(815)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므로 제2클램프(660)와 제4클램프(760) 간의 간격이 유지되어 상하방의 지중관(3)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 굴정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2)는 제1 및 제2상하간격유지바에 의해 지중관 지지부재 회동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의 지중관(3)이 상하로 이동될 때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하는 지중관들의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송배전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는 도면에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100 : 브라켓 유닛 110 : 브라켓
130 : 승강지지유닛 131 : 제1승강지지부재
135 : 제2승강지지부재 141 : 제1탄성부재
145 : 제2탄성부재 150 : 지중관지지부재
500 : 지중관굴절방지유닛 600 : 상부지중관굴절방지부
610 : 제1지지바 620 : 제2지지바
630 : 제1상판 640 : 제2상판
650 : 제1클램프 660 : 제2클램프
670 : 제1회동바 680 : 제2회동바
691 : 제1가압바 695 : 제2가압바
700 : 하부지중관굴절방지부 710 : 제3지지바
720 : 제4지지바 730 : 제1하판
740 : 제2하판 750 : 제3클램프
760 : 제4클램프 770 : 제3회동바
780 : 제4회동바 791 : 제3가압바
795 : 제4가압바

Claims (3)

  1. 다수의 지중관이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중관을 지지하는 송배전용 지중관지지장치에 있어서,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에 상기 지중관 연장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와 상기 제1관통부에 의해 형성된 내주면에서 상하방으로 각각 인입된 제1 및 제2인입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제1관통부를 관통하는 상기 지중관을 지지하는 지중관지지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및 제2인입홈에 장착되되 상기 제1관통부로 돌출되어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굽어지는 상기 지중관에 대응되게 상기 지중관지지부재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토압이나 지반 침하 등의 외력에 대해 상기 지중관의 휨 정도를 줄일 수 있는 승강지지유닛이 각각 마련되는 다수의 브라켓 유닛과;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에 대해 전·후방측에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전·후방측의 상기 지중관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거나 하방으로 당겨 토압이나 외력에 의한 상기 지중관의 굴절을 방지하는 지중관굴절방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지중관지지부재는
    내측으로 상기 지중관이 관통 지지될 수 있도록 관통된 지중관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중관지지공의 관통방향을 따라 양단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호형곡률을 갖게 형성되되 양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승강지지부재의 양측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게 연장되고, 양단부의 외경이 상기 제1승강지지부재의 하면과 상기 제2승강지지부재의 상면이 이루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지중관이 굽힘이나 회전시 외주면이 상기 제1승강지지부재의 하면과 상기 제2승강지지부재의 상면에 가이드외어 상기 지중관의 유동에 대응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회동본체와,
    상기 회동본체의 양단에서 상기 지중관지지공 관통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에 대해 멀어지게 각각 연장되되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사익 지중관지지공을 관통한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 상부와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에 각각 이격되게 상기 회동본체의 양단에서 상기 지중관지지공 관통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에 대해 멀어지게 각각 연장되되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이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의 연장된 길이보다 짧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중관지지공을 관통한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 하부와 각각 접촉되는 제3 및 제4탄성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중관굴절방지유닛은
    상호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 중 상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지중관 연장방향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지지바와, 상기 다수의 브라켓유닛에 대해 상기 지중관 연장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측에 위치되게 일측이 상기 제1지지바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지지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중관의 상방에서 상기 지중관을 덮는 상판과, 상기 제1 탄성지지부에 대해 전방 방향 또는 제2 탄성지지부에 대해 후방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호 결합된 상기 다수의 브라켓 유닛 중 상부측의 상기 지중관을 각각 파지하는 다수의 제1클램프와, 일단부가 상기 제1클램프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가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1클램프 사이의 상기 상판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동바와, 상기 제1탄성지지부 또는 제2탄성지지부에서 상기 제1클램프에 인접한 위치의 상기 제1회동바로 연장되되 연장된 단부가 상기 제1회동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에 따라 상기 제1회동바를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올리는 제1가압바를 구비하는 상부지중관굴절방지부와;
    상호 결합된 상기 브라켓 유닛 중 하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지중관 연장방향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된 제3 및 제4지지바와, 상기 다수의 브라켓유닛에 대해 상기 지중관 연장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측에 위치되게 일측이 상기 제3지지바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4지지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중관의 하방에서 상기 지중관을 덮는 하판과, 상기 제3 탄성지지부에 대해 전방 방향 또는 제4 탄성지지부에 대해 후방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호 결합된 상기 다수의 브라켓 유닛 중 하부측의 상기 지중관을 각각 파지하는 다수의 제2클램프와, 일단부가 상기 제2클램프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가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2클램프 사이의 상기 하판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회동바와, 상기 제3탄성지지부 또는 제4탄성지지부에서 상기 제2클램프에 인접한 위치의 상기 제2회동바로 연장되되 연장된 단부가 상기 제2회동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에 따라 상기 제2회동바를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올리는 제2가압바를 구비하는 하부지중관굴절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1클램프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1클램프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클램프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 회동에 따라 상기 제1클램프 또는 제2클램프 승하강 시 대응되는 상방 또는 하방의 상기 지중관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하간격유지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 굴절 방지 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KR1020170056168A 2017-05-02 2017-05-02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KR101771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168A KR101771449B1 (ko) 2017-05-02 2017-05-02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168A KR101771449B1 (ko) 2017-05-02 2017-05-02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449B1 true KR101771449B1 (ko) 2017-08-25

Family

ID=5976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168A KR101771449B1 (ko) 2017-05-02 2017-05-02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296B1 (ko) * 2020-03-09 2020-09-11 (주)다산기술단 공동주택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224A (ja) * 2006-11-10 2008-05-29 Chubu Electric Power Co Inc 単心ケーブルの拘束および引き戻し用装置
KR101356388B1 (ko) * 2013-10-25 2014-01-28 김규현 송배전 케이블의 회수와 내진구조를 갖는 지중 전력구용 보호장치
KR101650473B1 (ko) * 2016-04-14 2016-08-2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224A (ja) * 2006-11-10 2008-05-29 Chubu Electric Power Co Inc 単心ケーブルの拘束および引き戻し用装置
KR101356388B1 (ko) * 2013-10-25 2014-01-28 김규현 송배전 케이블의 회수와 내진구조를 갖는 지중 전력구용 보호장치
KR101650473B1 (ko) * 2016-04-14 2016-08-2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296B1 (ko) * 2020-03-09 2020-09-11 (주)다산기술단 공동주택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473B1 (ko)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KR101486972B1 (ko)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US66550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column in an upright position
KR101828501B1 (ko)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KR101771449B1 (ko)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KR101740466B1 (ko)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CN213027394U (zh) 一种电缆保护管的安装装置
CN211368740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基坑支护结构
KR101740467B1 (ko)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보존장치
KR101771450B1 (ko) 지중관 변형 완화기능을 갖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CN209011140U (zh) 一种基坑边坡防护结构
KR102402664B1 (ko) 송배전용 지중관 변형완화장치
KR101038973B1 (ko)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파형관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CN210507466U (zh) 一种深埋工程用基坑支护结构
KR20120122504A (ko) 우수유입방지장치
CN113300274B (zh) 一种电缆铺设装置及其铺设方法
CN209509128U (zh) 一种防沉降的市政排水管道
CN213782843U (zh) 一种具有防沉降功能的配电间电缆沟
JP6524037B2 (ja) 止水板
KR200389267Y1 (ko) 박스형 흙막이 장치
KR102399211B1 (ko)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CN211141415U (zh) 一种可作导向的剪刀撑装置
CN216382857U (zh) 一种管道保护装置
KR101769733B1 (ko) 지중 송배전 선로용 파형관 고정장치
CN216515987U (zh) 一种管网加固用辅助固定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