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473B1 -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473B1
KR101650473B1 KR1020160045765A KR20160045765A KR101650473B1 KR 101650473 B1 KR101650473 B1 KR 101650473B1 KR 1020160045765 A KR1020160045765 A KR 1020160045765A KR 20160045765 A KR20160045765 A KR 20160045765A KR 101650473 B1 KR101650473 B1 KR 101650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underground pipe
support member
bracke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Priority to KR102016004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 배전 등을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관의 상하 좌우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동시에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지중관의 휨 발생시 지중관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는 지중관을 지지하는 지중관지지부재가 브라켓에 지중관의 휨 방향에 대응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지중관이 받는 응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지중관의 손상을 억제하여 지중관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Apparatus spacing underground pipes for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
본 발명은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 배전 등을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관의 상하 좌우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동시에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지중관의 휨 발생시 지중관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 배전 등을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중관은 좌우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고, 그 간격이 계속적으로 유지되어야 지중관의 처짐 등으로 인한 지중관의 손상을 방지하고 도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지중관은 내부에 송배전용케이블이 내설되어 송배전용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송배전용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종래의 지중관 설치는 목재 합판체 소정간격으로 지중관 인입공간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하부에 소정 높이로 모래를 채운 후 지중관을 배설하고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지중관의 간격을 잡아준 후 되메움을 하고 스페이서는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은 스페이서를 시공시만 사용하고 시공후에는 제거되므로 되메움시 지중관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기 어렵고 경사지나 지하수 침출이 되는 곳에 시공할 결우 관재 사이의 되메움재인 모래가 쉽게 유출되었으며, 시공시 수직방향으로는 지중관의 간격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중관 매설시 지중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스를 함께 매설하는 방안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7420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8972호에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간격유지장치는 지중관의 자중이나 토압 등의 외력에 의해 지중관의 휨 발생을 억제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지중관이 간격유지장치에 의해 지지되면서 지중관의 피복이나 외주면이 간격유지장치에 의해 손상될 우려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9370호 : 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943호 : 지중 배전관로 간격유지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이 자중이나 토압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해 휨 발생시 지중관의 휨 방향에 대응되게 움직이면서 지중관을 지지하여 지중관의 외주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재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는 다수의 지중관이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중관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하좌우로 상호 결합가능하게 상부와 일측부에 각각 돌출형성된 제1 및 제2더브테일부와, 하부와 타측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더브테일부에 대응되게 인입형성된 제1 및 제2더브테일홈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지중관을 지지하는 지중관지지부재가 상기 지중관이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굽어지는 방향에 대응되게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브라켓과; 상호 결합된 다수의 상기 브라켓 중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어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중관 지지부재는 상기 지중관이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중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중관관통공의 관통방향을 따라 양단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호형곡률을 갖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호 결합되어 격자모양을 이룰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관통형성되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와, 각 코너부에 인입형성된 코너인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지중관지지부재가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에 안착이 용이하도록 분리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더브테일부와 상기 제1 및 제2더브테일홈은 상호 슬라이딩 결합가능하게 상기 브라켓의 각 코너부에 인입형성된 상기 코너인입홈까지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중관지지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양측면에 대해 돌출형성되게 연장되고 양단부의 외경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게 외주면이 호형곡률을 가져 상기 지중관의 굽힘이나 회전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에 가이드 되어 상기 지중관의 유동에 대응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양단에서 상기 지중관관통공 관통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에 대해 멀어지게 각각 연장되되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중관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 상부와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에 각각 이격되게 상기 지지부재몸체의 양단에서 상기 지중관관통공 관통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에 대해 멀어지게 각각 연장되되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의 연장된 길이보다 짧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중관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 하부와 각각 접촉되는 제3 및 제4탄성지지부와,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어 상기 지중관관통공에 관통장착된 상기 지중관 신축 또는 휨발생 시 상기 지지부재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의 마찰을 줄여 상기 지중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볼플렌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는 지중관을 지지하는 지중관지지부재가 브라켓에 지중관의 휨 방향에 대응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지중관이 받는 응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지중관의 손상을 억제하여 지중관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지중관지지부재가 장착된 브라켓에 대한 정단면도이고,
도 4은 도 1의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가 지중관 휨 발생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에 대한 일부사시도이고,
도 6는 도 3의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에 대한 일부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에 대한 일부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는 다수의 지중관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지중관이 상호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며,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지중관 휨 발생시 간격유지장치에 의해 지중관의 외주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1)는 다수의 지중관(3)이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중관(3)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하좌우로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브라켓(10)과, 관통되는 지중관(3)을 지지하며 지중관(3)의 휨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브라켓(10)에 장착되는 지중관지지부재(20)와,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10) 중 하부에 위치하는 브라켓(10)에 장착되어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10)을 지지하는 받침대(31,36)를 구비한다.
다수의 브라켓(10)은 각각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좌우로 상호 결합되어 격자모양을 이룰 수 있도록 상부와 일측부에 각각 돌출형성된 제1 및 제2더브테일부(13,14)와, 하부와 타측부에 각각 제1 및 제2더브테일부(13,14)에 대응되게 인입형성된 제1 및 제2더브테일홈(15,16)이 각각 형성된다. 브라켓(10)은 내측에 관통되는 지중관(3)을 지지하는 지중관지지부재(20)가 지중관(3)이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굽어지는 방향에 대응되게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브라켓(10)은 도 2를 참조하면, 후술되는 지중관지지부재(2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분리구조를 갖는데,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제1브라켓몸체(11)와 제2브라켓몸체(12)이 구비된다. 제1 및 제2브라켓몸체(11,12)는 다수의 볼트너트결합부(18)를 통해 상호 볼트결합 된다. 브라켓(10)은 종단면 방향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도시된 예와 다르게 횡단면 방향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게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10)은 제1브라켓몸체(11)와 제2브라켓몸체(12)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제1더브테일부(13), 제2더브테일부(14), 제1더브테일홈(15), 제2더브테일홈(16),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7), 코너인입홈(19)이 형성된다.
제1더브테일부(13)는 브라켓(10)의 상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브라켓몸체(11)의 상부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13a)와, 제2브라켓몸체(12)의 상부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13b)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제1결합돌기(13a)는 도 2를 참조하면, 제2브라켓몸체(12)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제1브라켓몸체(11)의 타측면에 인접한 제1브라켓몸체(11)의 상단에 형성된다. 제1결합돌기(13a)는 제1브라켓몸체(11)의 상면(a)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1브라켓몸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연장형성되되 상단은 제1브라켓몸체(11)의 일측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결합돌기(13b)는 제1브라켓 몸체(11)의 타측면과 접촉되는 제2브라켓몸체(12)의 일측면에 인접한 제2브라켓몸체(12)의 상단에 형성된다. 제2결합돌기(13b)는 제1결합돌기(13a)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1결합돌기(13a)와 접촉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2결합돌기(13a, 13b)는 후술되는 코너인입홈(19)까지 각각 연장형성된다.
제2더브테일부(14)는 브라켓(10)의 일측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브라켓몸체(11)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3결합돌기(14a)와, 제1브라켓몸체(11)의 일측부에 대응되는 제2브라켓몸체(12)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4결합돌기(14b)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제3결합돌기(14a)는 도 1를 참조하면, 제2브라켓몸체(12)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제1브라켓몸체(11)의 타측면에 인접한 제1브라켓몸체(11)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3결합돌기(14a)는 브라켓(10)의 내측에 장착되는 지중관지지부재(2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브라켓몸체(11)의 일측부에 돌출형성되되 제1브라켓몸체의 일측부의 연장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형성되고 단부가 제1브라켓몸체(11)의 일측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제4결합돌기(14b)는 제1브라켓 몸체(11)의 타측면과 접촉되는 제2브라켓몸체(12)의 일측면에 인접한 제2브라켓몸체(12)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4결합돌기(14b)는 제3결합돌기(14a)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3결합돌기(14a)와 함께 제2더브테일부(14)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3 및 제4결합돌기(14a, 14b)는 후술되는 코너인입홈(19)까지 각각 연장형성된다.
제1더브테일홈(15)은 브라켓(10)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 및 제2결합돌기(13a, 13b)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1 및 제2브라켓몸체(11,12)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인입부(15a, 15b)에 의해 형성된다. 제2더브테일홈(16)은 브라켓(10)의 타측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3 및 제4결합돌기(14a, 14b)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1 및 제2브라켓몸체(11,12)의 타측부에 각각 형성된 제3 및 제4인입부(16a, 16b)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더브테일부(13,14)는 제1 및 제2더브테일홈(15,16)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더브테일홈은 제1 및 제2더브테일부와 슬라이딩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더브테일부에 각각 대응되게 코너인입홈까지 연장형성된다.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7)는 브라켓(10)의 내측에 후술되는 지중관지지부재(2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관통형성되어 지중관 지지부재(2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부분이다.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7)는 제1브라켓몸체(11)의 내측에 제2브라켓몸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브라켓몸체관통공(17a)과, 제2브라켓몸체(12)의 제1브라켓몸체관통공(17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브라켓몸체관통공(17a)에 대칭되게 관통형성된 제2브라켓몸체관통공(17b)이 상호 마주보게 위치되면서 형성된다. 제1브라켓몸체관통공(17a)은 제2브라켓몸체(12) 방향으로 갈수록 제1브라켓몸체(11)의 내경이 확장되게 관통형성되되 제1브라켓몸체의 내주면이 횡단면상 호형곡률이 형성되게 형성된다. 제2브라켓몸체관통공(17b)은 제1브라켓몸체관통공(17a)에 대칭되게 제2브라켓몸체(12)에 형성된다.
코너인입홈(19)은 브라켓(10)의 각 모서리 즉 코너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인접하는 브라켓이 결합시 제1더브테일부가 제1더브테일홈에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제2더브테일부가 제2더브테일홈에 슬라이딩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코너인입홈(19)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브라켓몸체(11)와 제2브라켓몸체(12)에 상호 대응되는 모서리부분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인입형성된 제3 및 제4인입부(19a,19b)에 의해 형성된다.
브라켓(10)의 하부 양측 모서리에 형성된 코너인입홈(19)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브라켓몸체(11,12)에는 후술되는 받침대(31,36)과 볼트 결합 될 수 있도록 받침대결합공(19c)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지중관지지부재(20)는 브라켓(10)의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7)에 장착되되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지중관(3)이 휘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지중관이 휨 발생시 지중관간격유지장치(1)에 대한 지중관(3)의 응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지중관지지부재(20)는 지중관(3)이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중관(3) 외경에 대응되는 지중관관통공(22)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지중관관통공(22)의 관통방향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되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7)의 호형곡률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지중관지지부재(20)는 브라켓(10)의 양측면에 대해 돌출형성되게 형성되고 양단부의 외경이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7)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게 외주면이 호형곡률을 가져 지중관(3)의 굽힘이나 회전시 지중관지지부재(20)의 외주면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17)에 가이드 되어 지중관(3)의 유동에 대응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받침대는 도 1을 참조하면, 격자형태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 중 하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을 지지한다. 받침대는 지중관(3)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으로, 상호 결합된 브라켓 중 하부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받침대(31)와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받침대(36)로 구분된다.
제1 및 제2받침대(31,36)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데, 횡단면이 "L"자 형태로 형성되고 지중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메인받침부(32, 37)와, 제1 및 제2메인받침부(32, 37)의 연장된 길이의 중간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브라켓(10)의 하부에 형성된 코너인입홈(19)에 인입되는 제1 및 제2브라켓결합부(33,34), 제3 및 제4브라켓 결합부(38,39)를 구비한다. 제1 및 제3브라켓결합부(33,38)는 제1브라켓몸체(11)에 접촉되어 볼트결합되며, 제2 및 제4브라켓결합부(34,39)는 제2브라켓몸체(12)에 접촉되어 볼트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중관 간격유지장치(1)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지중관에 토압이 가중되거나 외력이 가해지면, 지중관(3)이 하방으로 휘어질 수 있다. 지중관이 하방으로 휘어질 때, 브라켓(10)에 장착된 지중관지지부재(20)가 지중관(3)이 휘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지중관지지부재가 회동되면서 지중관(3)에 발생되는 응력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브라켓(10)에 대한 지중관의 굽힘정도를 완화할 수 있으며 브라켓(10)의 외주면에 발생될 수 있는 마찰을 최소화 함으로써 지중관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의 구조에서 제1 내지 제4탄성지지부재(41,42,43,44)를 더 구비한다.
제1 내지 제4탄성지지부재는 지중관의 휨 발생을 억제하면서 휘어진 지중관이 원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재(41, 42)는 지중관지지부재(20)의 양단에서 지중관관통공(22) 관통방향으로 브라켓(10)에 대해 멀어지게 각각 연장된다.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재(41, 42)는 지중관(3)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어 지중관관통공(22)을 관통한 지중관(3)의 외주면 상부와 각각 밀착된다.
제3 및 제4탄성지지부재(43, 44)는 제1 및 제2탄성지지부(41,42)에 각각 이격되게 지중관지지부재(20)의 양단에서 지중관관통공(22) 관통방향으로 브라켓에 대해 멀어지게 각각 연장형성된다. 제3 및 제4탄성지지부재(43,44)는 지중관(3)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지중관관통공(22)을 관통한 지중관(3)의 외주면 하부와 각각 밀착된다. 제3 및 제4탄성지지부재(43,44)는 제1 및 제2탄성지지부(41, 42)의 연장된 길이보다 짧게 연장형성된다. 이는 지중관의 휨 발생시 제3내지 제4탄서지지부재에 의해 지중관에 발생되는 응력을 줄이기 위함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 간격유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의 구조에서 다수의 볼플렌지(50)를 더 구비한다.
다수의 볼플렌지(50)는 지중관지지부재(2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다. 볼플렌지(50)는 지중관관통공(22)에 관통장착된 지중관(3)이 신축되거나 휘어질때 지중관지지부재(20)의 내주면과 지중관(3)의 외주면의 마찰을 줄여 지중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지중관지지부재(20)는 볼플렌지가 장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인입된 볼플렌지결합홈(23)이 형성된다. 볼플렌지(50)는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중관지지부재(20)의 볼플렌지결합홈(23)에 나사결합되는 플렌지몸체부(52)와, 플렌지몸체부(52)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프링(미도시)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플렌지몸체부(52)의 단부에 일부 돌출되게 장착되는 볼(51)을 구비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는 지중관을 지지하는 지중관지지부재가 브라켓에 지중관의 휨 방향에 대응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지중관이 받는 응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지중관의 손상을 억제하여 지중관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는 도면에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3 : 지중관
10 : 브라켓 11 : 제1브라켓몸체
12 : 제2브라켓몸체 13 : 제1더브테일부
14 : 제2더브테일부 15 : 제1더브테일홈
16 : 제2더브테일홈 17 :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
18 : 볼트너트결합부 19 : 코너인입홈
20 : 지중관지지부재 31 : 제1받침대
36 : 제2받침대 41 : 제1탄성지지부
42 : 제2탄성지지부 43 : 제3탄성지지부
44 : 제4탄성지지부 50 : 볼플렌지

Claims (2)

  1. 다수의 지중관이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중관을 지지하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에 있어서,
    상하좌우로 상호 결합가능하게 상부와 일측부에 각각 돌출형성된 제1 및 제2더브테일부와, 하부와 타측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더브테일부에 대응되게 인입형성된 제1 및 제2더브테일홈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지중관을 지지하는 지중관지지부재가 상기 지중관이 토압이나 외력에 의해 굽어지는 방향에 대응되게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브라켓과;
    상호 결합된 다수의 상기 브라켓 중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어 상호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중관 지지부재는
    상기 지중관이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중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중관관통공의 관통방향을 따라 양단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호형곡률을 갖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호 결합되어 격자모양을 이룰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관통형성되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와, 각 코너부에 인입형성된 코너인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중관지지부재가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에 안착이 용이하도록 분리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더브테일부와 상기 제1 및 제2더브테일홈은 상호 슬라이딩 결합가능하게 상기 브라켓의 각 코너부에 인입형성된 상기 코너인입홈까지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중관지지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양측면에 대해 돌출형성되게 연장되고 양단부의 외경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게 외주면이 호형곡률을 가져 상기 지중관의 굽힘이나 회전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안착부에 가이드 되어 상기 지중관의 유동에 대응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양단에서 상기 지중관관통공 관통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에 대해 멀어지게 각각 연장되되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중관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 상부와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에 각각 이격되게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양단에서 상기 지중관관통공 관통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에 대해 멀어지게 각각 연장되되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의 연장된 길이보다 짧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중관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 하부와 각각 접촉되는 제3 및 제4탄성지지부와;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어 상기 지중관관통공에 관통장착된 상기 지중관 신축 또는 휨 발생 시 상기 지중관지지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지중관의 외주면의 마찰을 줄여 상기 지중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볼플렌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2. 삭제
KR1020160045765A 2016-04-14 2016-04-14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KR10165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765A KR101650473B1 (ko) 2016-04-14 2016-04-14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765A KR101650473B1 (ko) 2016-04-14 2016-04-14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473B1 true KR101650473B1 (ko) 2016-08-23

Family

ID=56875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765A KR101650473B1 (ko) 2016-04-14 2016-04-14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47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467B1 (ko) * 2017-02-22 2017-05-26 주식회사 양일테크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보존장치
KR101740466B1 (ko) * 2017-02-22 2017-05-26 주식회사 양일테크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KR101771450B1 (ko) * 2017-05-04 2017-08-25 (주)아현건설 지중관 변형 완화기능을 갖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KR101771449B1 (ko) * 2017-05-02 2017-08-25 (주)아현건설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KR101779746B1 (ko) * 2017-05-11 2017-09-19 배용찬 송배전 케이블 클리트
KR101828501B1 (ko) * 2017-04-26 2018-02-12 (주)영종합기술단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KR101856035B1 (ko) 2017-10-24 2018-05-10 정경근 내진 기능을 갖춘 수처리 원격자동제어 시스템
KR102217572B1 (ko) 2020-07-29 2021-02-19 (주)대경기술 지중 배전관로의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8116A (ja) * 2004-07-28 2006-02-09 Mirai Ind Co Ltd 配管材固定具
KR100704995B1 (ko) * 2007-01-31 2007-04-09 (주)주원이엔지 송전탑에 설치되는 애자 고정대
KR100853672B1 (ko) * 2008-03-05 2008-08-25 (주)영종합기술단 지중선로 보호구
KR100918943B1 (ko) 2009-05-13 2009-09-25 (주)신영전력기술단 지중 배전관로 간격유지장치
KR101019370B1 (ko) 2010-12-16 2011-03-07 (유)남양기술단 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8116A (ja) * 2004-07-28 2006-02-09 Mirai Ind Co Ltd 配管材固定具
KR100704995B1 (ko) * 2007-01-31 2007-04-09 (주)주원이엔지 송전탑에 설치되는 애자 고정대
KR100853672B1 (ko) * 2008-03-05 2008-08-25 (주)영종합기술단 지중선로 보호구
KR100918943B1 (ko) 2009-05-13 2009-09-25 (주)신영전력기술단 지중 배전관로 간격유지장치
KR101019370B1 (ko) 2010-12-16 2011-03-07 (유)남양기술단 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467B1 (ko) * 2017-02-22 2017-05-26 주식회사 양일테크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보존장치
KR101740466B1 (ko) * 2017-02-22 2017-05-26 주식회사 양일테크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KR101828501B1 (ko) * 2017-04-26 2018-02-12 (주)영종합기술단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KR101771449B1 (ko) * 2017-05-02 2017-08-25 (주)아현건설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KR101771450B1 (ko) * 2017-05-04 2017-08-25 (주)아현건설 지중관 변형 완화기능을 갖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KR101779746B1 (ko) * 2017-05-11 2017-09-19 배용찬 송배전 케이블 클리트
KR101856035B1 (ko) 2017-10-24 2018-05-10 정경근 내진 기능을 갖춘 수처리 원격자동제어 시스템
KR102217572B1 (ko) 2020-07-29 2021-02-19 (주)대경기술 지중 배전관로의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473B1 (ko)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KR101329440B1 (ko)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KR100957234B1 (ko) 지중케이블 보호관
KR101587272B1 (ko)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1702990B1 (ko) 내진설계 및 안전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KR101594161B1 (ko)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KR101828501B1 (ko)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CN105324538A (zh) 具有可调节高度及倾斜度的检修孔盖的检修孔
KR20120140318A (ko) 에이치 형강용 가변 스티프너 잭
KR102360277B1 (ko) 감진 누출방지 배수 지하구조
KR101740466B1 (ko)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CN108691555B (zh) 断层破碎带段抗震隧道管道连接件
KR101034653B1 (ko) 관로 보호대
KR100637353B1 (ko)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
JP2016153655A (ja) 配管の固定装置
KR101740467B1 (ko)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보존장치
KR101771450B1 (ko) 지중관 변형 완화기능을 갖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CN105570539A (zh) 管线保护结构的施工方法
US20210032830A1 (en) Cover band of steel pipe strut connector, steel pipe strut connector having same, and steel pipe strut assembly
KR20150010421A (ko) 캡빔 구조체
KR101326860B1 (ko) 송전, 변전, 배전용 케이블의 보호 구조물
KR101771449B1 (ko) 지중관 굴절 방지기능이 있는 송배전용 지중관 지지장치
KR101693219B1 (ko) 밸브 받침장치
KR101281050B1 (ko) 건축용 배관 연결구
KR102110577B1 (ko) 내진 흙막이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