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353B1 -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 - Google Patents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353B1
KR100637353B1 KR1020060033532A KR20060033532A KR100637353B1 KR 100637353 B1 KR100637353 B1 KR 100637353B1 KR 1020060033532 A KR1020060033532 A KR 1020060033532A KR 20060033532 A KR20060033532 A KR 20060033532A KR 100637353 B1 KR100637353 B1 KR 10063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upply
pedestal
suppor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경
정광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6003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된 상태로 구비되는 상하수도용 배관이 지진이나 지층의 함몰 및 진동에 적절히 견디도록 하는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진장치는 상하수도용 배관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반원형의 배관받이와; 상기 배관받이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의 양측에 하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관받이의 양측에 이격된 상태로 돌설되는 한 쌍의 측면받침대가 구비되는 받침부와; 상기 배관받이의 양측 및 하부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받침대 및 측면받침대의 내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스프링고정캡이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고정캡의 사이에 각각 스프링이 구비되는 완충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내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배관의 내진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지진 및 진동과 지층의 함몰로 인한 배관의 파손이 적절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상하수도, 배관, 내진, 진동방지

Description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Aseismatic apparatus of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s}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관받이
11 : 커버 12 : 밀착부 13 : 걸림턱
20 : 받침부
21 : 받침대 22 : 측면받침대 23 : 보조스프링
30 : 완충부
31 : 스프링고정캡 32 : 스프링
본 발명은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된 상태로 구비되는 상하수도용 배관이 지진이나 지층의 함몰 및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처음의 시공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용 배관은 지면의 하부로 매립되어 설치되고, 다수개로 이음부에 의해 결합되어 배수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상하수도용 배관은 지면의 하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지반이 함몰되거나 지진 및 지반의 진동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손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천재지변에 해당하는 지진이 아니더라도 주변 공사나 발파작업에 따라 연약지반이 함몰되거나 진동되어 배관의 일측으로 강한 외력을 받아 파손되거나 배관 자체가 크랙되어 배수되는 물이 세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외력에 의해 파손된 배관은 매립되어 있으므로, 그 파손된 부위나 위치를 찾기가 매우 곤란하여 교체 및 보수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된 상태로 구비되는 상하수도용 배관이 지진이나 지층의 함몰 및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처음 시공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장치의 설치 시에 그 내부로 흙 등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가해지는 진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면받침대를 고정하여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하수도용 배관의 하부를 감싸는 상태로 구비되는 반원형의 배관받이와; 상기 배관받이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의 양측에 하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관받이의 양측에 이격된 상태로 돌설되는 한 쌍의 측면받침대가 구비되는 받침부와; 상기 배관받이의 양측 및 하부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받침대 및 측면받침대의 내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스프링고정캡이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고정캡의 사이에 각각 스프링이 구비되는 완충부와; 상기 상하수도용 배관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상기 배관받이와 측면받침대의 사이를 폐쇄하도록 밀착부를 갖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받침대가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의 양단에 상기 측면받침대의 외측면과 맞닿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받침대의 내측면과 상기 받침대의 상면의 사이에 경사지게 보조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내진장치는 상하수도용 배관(2)을 지지하는 배관받이(10)와, 상기 배관받이(10)를 둘러싸는 받침부(20)와, 상기 배관받이(10)와 받침부(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30)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관받이(10)는 상하수도용 배관(2)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2)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밀착부(12)를 갖는 커버(11)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20)는 배관받이(10)의 하부로 이격된 받침대(21)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21)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부로 돌설된 한 쌍의 측면받침대(22)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30)는 배관받이(10)의 양측면 및 하부면과 받침대(21)의 상면 및 측면받침대(22)의 내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게 스프링고정캡(31)이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고정캡(31)의 사이로 스프링(32)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20)는 완충부(30)를 사이에 두고 배관받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받침부(20)의 측면받침대(22)는 받침대(21)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완충부(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배관받이(10)의 양측면을 완충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측면받침대(22)는 그 외측면으로 진입되는 흙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을 지지하여 이 외력에 의해 각도이동되면서 완충부(30)에 의해 외력이 상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30)는 배관받이(10)와 받침부(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좌우로 가해지는 외력을 상쇄함으로써, 진동이나 지진 함몰 등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상하수도용 배관(2)이 변형 즉 상하수도용 배관(2)의 설치 및 시공상태의 변형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커버(11)는 설치시에 배관받이(10)와 측면받침대(22)의 사이로 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상부에서 하부로 가해지는 외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커버(11)에 형성되는 밀착부(12)는 상기 커버(11)가 상하수도용 배관(2)의 상부에 적절히 밀착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내진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상하수도용 배관(2)에 가해지는 외력을 상쇄하여 상하수도용 배관(2)이 내진성(耐震性) 즉 진동이나 지진 등의 외력을 원활히 견뎌내는 힘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관(2)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처음 시공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의 하부로 매립되는 상하수도용 배관(2)을 배관받이(10)가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배관(2)의 상부에 커버(11)가 재치되고, 이 상태에서 스프링(32)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배관받침의 하부와 양측으로 상호 힌지 결합된 받침대(21)와 측면받침대(22)가 구비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2)을 설치할 부위의 지반을 굴착한 다음에 상기 받침대(21)와 측면받침대(22)를 설치한 상태에서 스프링(32)을 사이에 두고 배관받이(10)를 설치하고, 상기 배관받이(10)의 설치가 완료되면 그 상면으로 상기 배관(2)을 설치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배관(2)의 상부로 커버(11)를 덮은 후에 상기 커버(11)의 상면으로 파낸 흙을 채워 설치를 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내진장치에 의해 상하수도용 배관(2)이 설치된 상태에서 매립된 상기 배관(2)의 일측으로 외력에 의해 흙이 진입되면 자연스럽게 측면받침대(22)가 각도이동되면서 스프링(32)이 가압되고, 그에 따라 가해지는 외력이 상쇄되어 상기 배관(2)이 처음 시공된 상태로 장기간 유지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내진장치는 상하수도용 배관(2)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커버(11)의 양단에 측면받침대(22)의 외측면과 맞닿는 걸림턱(13)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받침대(22)의 내측면과 받침대(21)의 상면의 사이에 경사지게 보조스프링(23)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3)은 받침대(21)에 힌지결합된 측면받침대(22)의 각도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측면받침대(22)가 내측으로만 각도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스프링(23)은 받침대(21)에 힌지결합된 측면받침대(2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턱(13)과 보조스프링(23)에 의해 본 내진장치의 매립시에 측면받침대(22)가 적절히 지지되어 매설 및 시공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립된 상태로 구비되는 상하수도용 배관이 지진이나 지층의 함몰 및 진동 등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처음 시공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장치의 설치 시에 그 내부로 흙 등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가해지는 진동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상하수도용 배관이 지진 등에 적절히 견딜 수 있게 되고 지진 및 진동과 지층의 함몰로 인한 배관의 파손이 적절히 방지되며 설치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면서 진동 방지 기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받침대를 고정하여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매립 및 배관의 설치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삭제
  2. 상하수도용 배관의 하부를 감싸는 상태로 구비되는 반원형의 배관받이(10)와;
    상기 배관받이(10)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받침대(21)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21)의 양측에 하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관받이(10)의 양측에 이격된 상태로 돌설되는 한 쌍의 측면받침대(22)가 구비되는 받침부(20)와;
    상기 배관받이(10)의 양측 및 하부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받침대(21) 및 측면받침대(22)의 내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스프링고정캡(31)이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고정캡(31)의 사이에 각각 스프링(32)이 구비되는 완충부(30)와;
    상기 상하수도용 배관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상기 배관받이(10)와 측면받침대(22)의 사이를 폐쇄하도록 밀착부(12)를 갖는 커버(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받침대(22)가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11)의 양단에 상기 측면받침대(22)의 외측면과 맞닿는 걸림턱(13)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받침대(22)의 내측면과 상기 받침대(21)의 상면의 사이에 경사지게 보조스프링(2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
KR1020060033532A 2006-04-13 2006-04-13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 KR10063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32A KR100637353B1 (ko) 2006-04-13 2006-04-13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32A KR100637353B1 (ko) 2006-04-13 2006-04-13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353B1 true KR100637353B1 (ko) 2006-10-23

Family

ID=3762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532A KR100637353B1 (ko) 2006-04-13 2006-04-13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3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719B1 (ko) 2009-10-16 2010-04-27 대영이엔씨(주) 철근 콘크리트 수로교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에폭시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를 이용한 수로교 시공공법
KR101610347B1 (ko) * 2014-07-11 2016-04-07 윤장섭 내진구조의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KR101702990B1 (ko) 2016-05-30 2017-02-10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내진설계 및 안전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KR101810618B1 (ko) 2017-10-27 2018-01-25 정경근 내진기능을 갖춘 자동제어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967656B1 (ko) * 2018-10-10 2019-08-13 민경국 물과 공기압을 이용하여 배관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관세척장치가 포함된 배관 세척시스템
KR102136066B1 (ko) * 2020-02-10 2020-07-21 김정환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102320664B1 (ko) * 2020-07-30 2021-11-01 양충재 상하수도관 내외부 보강시설 설치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6321A (ja) 1982-04-06 1983-10-15 Yoshiyasu Ogino 建築用耐震基礎
KR200409783Y1 (ko) 2005-11-21 2006-03-03 (주)화신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6321A (ja) 1982-04-06 1983-10-15 Yoshiyasu Ogino 建築用耐震基礎
KR200409783Y1 (ko) 2005-11-21 2006-03-03 (주)화신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719B1 (ko) 2009-10-16 2010-04-27 대영이엔씨(주) 철근 콘크리트 수로교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에폭시 도복장 강관 받침부재를 이용한 수로교 시공공법
KR101610347B1 (ko) * 2014-07-11 2016-04-07 윤장섭 내진구조의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KR101702990B1 (ko) 2016-05-30 2017-02-10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내진설계 및 안전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KR101810618B1 (ko) 2017-10-27 2018-01-25 정경근 내진기능을 갖춘 자동제어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967656B1 (ko) * 2018-10-10 2019-08-13 민경국 물과 공기압을 이용하여 배관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관세척장치가 포함된 배관 세척시스템
KR102136066B1 (ko) * 2020-02-10 2020-07-21 김정환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102320664B1 (ko) * 2020-07-30 2021-11-01 양충재 상하수도관 내외부 보강시설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353B1 (ko) 상하수도용 배관의 내진장치
KR101702990B1 (ko) 내진설계 및 안전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KR100957234B1 (ko) 지중케이블 보호관
KR20160061290A (ko)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장치
KR101481817B1 (ko) 침하방지를 위한 하수도관 지지구조
KR100697824B1 (ko) 공동주택의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선로 보호장치
KR200426197Y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상하수도용 배관
KR101570523B1 (ko) 송전 지중관 고정장치구조
KR100672009B1 (ko) 상수도관 접합부 고정 장치구조
KR101898619B1 (ko) 내진기능을 갖는 물탱크의 클램핑장치
KR100723013B1 (ko) 지중매설물 안전점검 및 진단구조
KR102503890B1 (ko) 상하수도관로의 침하방지 및 내진 구조
KR102156736B1 (ko) 산업단지 철탑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앙카 장치
KR100676681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2451296B1 (ko)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상하수도관 고정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948599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헹거장치
KR100751573B1 (ko) 연약지반 기초보강용 상수도 관거 받침장치
KR20160003375U (ko) 경사진 천장에 설치가 용이한 배관용 내진장치
KR200409783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593172B1 (ko) 상수도관의 보호구조물
KR101548170B1 (ko) 내진완충용 패드가 구비된 조립식 pc암거
KR101377017B1 (ko) 흄관 받침부재, 수로 형성부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538981B1 (ko)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KR20080105208A (ko)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06776Y1 (ko) 연약지반 상하수도관 침하방지용 방석매트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