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050B1 - 건축용 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건축용 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050B1
KR101281050B1 KR1020120003127A KR20120003127A KR101281050B1 KR 101281050 B1 KR101281050 B1 KR 101281050B1 KR 1020120003127 A KR1020120003127 A KR 1020120003127A KR 20120003127 A KR20120003127 A KR 20120003127A KR 101281050 B1 KR101281050 B1 KR 10128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elastic member
pipe
insertion groov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휘우
Original Assignee
대한주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주물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주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는, 중앙부에 직경이 증가되어 형성된 환상의 삽입홈과, 삽입홈의 외측으로 직경이 증가되어 형성된 환상의 변형흡수공간과, 양 끝단에는 내주면의 직경이 외측방향으로 커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면과, 외측방향으로 결합구멍이 구비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중공의 슬리브와, 슬리브의 삽입홈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슬리브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슬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변곡점을 구비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한 링 형상의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경사면에 탄성부재가 슬리브의 삽입홈으로 변형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이격하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리브의 양측에는 슬리브의 플랜지와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와, 슬리브의 테이퍼면에 배치되고 고정부재에 의하여 압착되어 배관을 지지하고, 기밀을 유지하는 링 형상의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에 따르면, 계절 및 기후의 변화, 지진 등과 같은 자연적 요인과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변형 현상으로 고층의 콘크리트 건축물에 설치된 배관의 변형 및 이동에 의한 파손으로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형 현상으로 인한 배관 누수의 유지보수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배관 연결구{COUPLING FOR CONSTRUCTION PIPES}
본 발명은 건축용 배관의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에 사용되는 배관을 보호하기 위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건설된 건축물은 계절의 변화, 지진 등과 같은 자연적 요인과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에 따라 수직부재 즉 벽체 및 기둥 등이 오랜 시일에 거쳐 양생 및 응고 되며, 천천히 변형하는 크리프(Creep)와 건조수축(Shrinkage)과 같은 현상이 장기간을 통하여 일어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건축물에 설치되는 종래의 배관은 주철관, PVC관 등의 이형관으로 중공의 수직관(1) 일측으로 직경이 증가되어 형성된 삽입부(2)를 구비하고, 삽입부(2)의 내주면에는 받침턱(3)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형관을 연속적으로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2)의 받침턱(3)에 안착되도록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과거의 콘크리트 건축물은 건축물의 높이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그 변형의 폭이 크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배관으로도 건축물의 변형에 따른 배관의 변형 및 이동에 의한 파손으로 발생되는 누수 등과 같은 문제점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에는 인구의 증가와 산업화에 따른 주거공간 및 사무실 등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요구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20층~30층 이상의 주거용 아파트 뿐만 아니라 8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들의 건설이 계획되는 등 건축물들의 고층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고층화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에 의하여 크리프와 건조수축현상에 따른 변형의 폭이 크게 증가하고, 계절의 변화 지진 등과 같은 자연적 요인에 의하여 고층의 콘크리트 건축물에 설치된 배관의 변형 및 파손에 의한 누수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고층의 콘크리트 건축물에 계절 및 기후의 변화, 지진 등과 같은 자연적 요인과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고층의 콘크리트 건축물의 변형 현상에 의하여 고층 콘크리트 건축물에 설치되는 배관의 변형 및 이동에 의한 파손으로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층 콘크리트 건축물의 변형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배관의 변형 및 이동에 의한 파손으로 발생되는 배관의 누수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축용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는, 중앙부에 직경이 증가되어 형성된 환상의 삽입홈을 구비하는 중공의 슬리브와, 슬리브의 삽입홈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슬리브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고, 경사면은 슬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변곡점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경사면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배관 연결구는, 연결되는 배관의 끝단부가 각각 탄성부재의 경사면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편에 지지되고, 고층의 콘크리트 건축물의 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배관의 변형 및 이동에 의한 하중을 슬리브의 삽입홈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변형으로 흡수하여 배관의 변형 및 이동에 의한 파손으로 발생되는 배관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리브의 삽입홈은 외측으로 직경이 증가되어 형성된 환상의 변형흡수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지지편은 탄성부재가 슬리브의 삽입홈으로 변형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이격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슬리브의 양 끝단에는 내주면의 직경이 외측방향으로 커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면과, 외측방향으로 결합구멍이 구비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슬리브의 플랜지와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슬리브의 플랜지와 대응하는 플랜지 및 결합구멍이 구비되고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도록 삽입구멍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슬리브의 테이퍼면에 배치되고 고정부재에 의하여 압착되어배관을 지지하고, 기밀을 유지하는 링 형상의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에 따르면, 계절 및 기후의 변화, 지진 등과 같은 자연적 요인과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변형 현상에 의한 고층의 콘크리트 건축물에 설치된 배관의 변형 및 이동에 의한 파손으로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는 고층의 콘크리트 건축물에 발생되는 변형 현상에 의한 배관의 변형 및 이동에 따른 파손으로 발생되는 배관 누수의 유지보수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배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배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100)는 슬리브(10)와 슬리브(10)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30), 탄성부재(30)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편을 포함한다. 슬리브(10)는 중앙부에 직경이 증가되어 형성되는 환상의 삽입홈(11)을 구비하고, 삽입홈(11)에는 외측으로 직경이 증가되어 형성된 변형흡수공간(16)을 포함한다. 또한, 슬리브(10)의 양 끝단에는 내주면 직경이 외측방향으로 커지는 테이퍼면(17, 18)과 외측방향으로 결합구멍(12, 13)이 구비되도록 플랜지(14, 15)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10)는 주조에 의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 하나, 다른 제조방법으로 제작할 수 도 있다.
탄성부재(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리브(10)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설치되어 있다. 탄성부재(30)는 내주면에 슬리브(1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경사면(33, 33')이 구비되며, 경사면(33, 33')은 슬리브(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변곡점을 구비한다. 탄성부재(30)은 합성수지 및 고무 등 탄성을 가질 수 있는 재질로 생성된다.
복수의 지지편(50)은 탄성부재(3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이격하게 배치하여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편(50)은 배관(P)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철 등과 같은 금속재로 생성된다. 또한, 복수의 지지편(50)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이유는, 탄성부재(30)가 슬리브(10)의 삽입홈(11)으로 삽입 시 변형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탄성부재(30)의 경사면(33, 33')이 변곡점을 가지는 이유는 경사면(33, 33')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편(50)에 의하여 배관(P)의 연결 시 배관의 끝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탄성부재(30) 내주면에 슬리브(1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슬리브(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변곡점을 구비하는 경사면(33, 33')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변곡점을 구비하는 경사면(33, 33')으로 도시된 형상 이외에 슬리브(1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돌출되어 배관(P)들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슬리브(10)의 양 측에는 삽입된 배관(P)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재(20, 20')가 볼트(60a)와 너트(60b)를 구비한 체결수단(60)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이 때 슬리브(10)의 양 끝단에 외측방향으로 내주면의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면(17, 18)에는 고정부재(20, 20')의 체결에 의하여 압착되어 배관(P)을 지지하고, 기밀을 유지하도록 링 형상의 기밀부재(40, 40')가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재(20, 20')는 슬리브(10)의 양 끝단에 외측방향으로 결합구멍(12, 13)을 구비한 플랜지(14, 15)와 대응하도록 플랜지(23, 23') 및 결합구멍(25, 25')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배관 연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리브(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배관(P)들은 끝단이 각각 탄성부재(30)의 경사면(33, 33')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편(50)에 의하여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되고, 슬리브(10)의 양측으로 체결수단(60)에 의하여 체결된 고정부재(20, 20')와 (고정부재(20, 20')의 체결에 의하여 압착되도록 슬리브(10)의 양 끝단의 테이퍼면(17, 18)에 배치된 기밀부재(40, 4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설치된 배관(P)들은 장기간을 통하여 계절 및 기후의 변화, 지진등과 같은 자연적 요인과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고층 콘크리트 건축물의 변형 현상에 의하여 배관(P)들이 변형 및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배관(P)들의 끝단을 지지하고 있는 복수의 지지편(50)에 배관(P)의 변형 및 이동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며, 복수의 지지편(50)이 고정된 탄성부재(30)는 삽입되어 있는 슬리브(10)의 삽입홈(11)에서 배관(P)의 변형 및 이동에 의한 하중을 흡수하도록 삽입홈(11)의 변형흡수공간(16)으로 돌출되는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30)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편(50)으로 가해지는 배관(P)의 변형 및 이동에 의한 하중을 탄성부재(30)의 변형으로 흡수하여 배관(P)의 변형 및 이동에 의한 파손으로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하고, 배관(P)의 변형 및 이동에 의한 파손을 발생하는 배관 누수의 따른 유지보수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10: 슬리브 11: 삽입홈 16: 변형흡수공간
20, 20': 고정부재 30: 탄성부재 40, 40': 기밀부재
50: 지지편 60: 체결수단 P: 배관
100: 건축용 배관 연결구

Claims (4)

  1. 중앙부에 직경이 증가되어 형성된 환상의 삽입홈을 구비하는 중공의 슬리브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슬리브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은 슬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변곡점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경사면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삽입홈은 외측으로 직경이 증가되어 형성된 환상의 변형흡수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관 연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편은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슬리브의 삽입홈으로 변형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이격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관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양 끝단에는 내주면의 직경이 외측방향으로 커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면과, 외측방향으로 결합구멍이 구비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플랜지와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상기 슬리브의 플랜지와 대응하는 플랜지 및 결합구멍이 구비되고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도록 삽입구멍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슬리브의 테이퍼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의하여 압착되어 배관을 지지하고, 기밀을 유지하는 링 형상의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관 연결구.
KR1020120003127A 2012-01-10 2012-01-10 건축용 배관 연결구 KR10128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127A KR101281050B1 (ko) 2012-01-10 2012-01-10 건축용 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127A KR101281050B1 (ko) 2012-01-10 2012-01-10 건축용 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050B1 true KR101281050B1 (ko) 2013-07-01

Family

ID=4899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127A KR101281050B1 (ko) 2012-01-10 2012-01-10 건축용 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0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87B1 (ko) * 2018-01-09 2018-05-18 반태행 로터리 조인트
KR20200072459A (ko) 2020-06-12 2020-06-22 (주)시스템배관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661A (ja) * 1994-10-20 1996-05-17 Yano Giken Kk 管接続構造
KR0127052Y1 (ko) * 1994-06-16 1998-11-02 전성원 튜브 연결구
KR100917120B1 (ko) 2007-08-21 2009-09-11 박내열 파이프용 커플러
JP2010159784A (ja) 2009-01-06 2010-07-2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配管接続構造および配管接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052Y1 (ko) * 1994-06-16 1998-11-02 전성원 튜브 연결구
JPH08121661A (ja) * 1994-10-20 1996-05-17 Yano Giken Kk 管接続構造
KR100917120B1 (ko) 2007-08-21 2009-09-11 박내열 파이프용 커플러
JP2010159784A (ja) 2009-01-06 2010-07-2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配管接続構造および配管接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87B1 (ko) * 2018-01-09 2018-05-18 반태행 로터리 조인트
KR20200072459A (ko) 2020-06-12 2020-06-22 (주)시스템배관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5964B2 (en) Duct coupler for post-tensioned concrete member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101956018B1 (ko) 배관 내부 보수장치
KR101289149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KR101281050B1 (ko) 건축용 배관 연결구
CN108691555B (zh) 断层破碎带段抗震隧道管道连接件
EP4001542A1 (en) Bayonet duct coupler assembly
KR100673497B1 (ko) 유압전달장치
KR101427240B1 (ko) 이중 마루 내진 보강장치
KR101403271B1 (ko)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와 이를 사용한 버팀보 및 버팀보 시공법
JP2015090199A (ja) 吊り下げ式支持装置用座屈防止具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40087869A (ko) 신축 이음관
KR102128485B1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KR20180020692A (ko) 배관용 내진 고무링 조립체
KR100731631B1 (ko) 건물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KR101232026B1 (ko) 로드 프레임 조인트 유닛
KR20160069582A (ko) 접합노드 및, 이를 구비하는 지붕시스템
KR101359159B1 (ko) 흙막이벽 지지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 지지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구조
KR20130029322A (ko) 관거용 시일재
KR100696402B1 (ko) 내진형 관 연결구
KR100938978B1 (ko) 비좌굴가새 및 이에 의한 비좌굴가새 유닛
KR101117961B1 (ko) 지지대 고정부재를 갖는 플라스틱 패널 물탱크
KR102418253B1 (ko) 구조물 고정을 위한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제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내진 커플러 제조 방법
KR102274283B1 (ko) 건축설비용 슬리브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