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497B1 - 유압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497B1
KR100673497B1 KR1020060034207A KR20060034207A KR100673497B1 KR 100673497 B1 KR100673497 B1 KR 100673497B1 KR 1020060034207 A KR1020060034207 A KR 1020060034207A KR 20060034207 A KR20060034207 A KR 20060034207A KR 100673497 B1 KR100673497 B1 KR 10067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main body
brace
ro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권
김석환
Original Assignee
(주)핸스건설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핸스건설,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핸스건설
Priority to KR102006003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76Drilling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양 측벽에 구비되는 지지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 측벽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버팀보에 유압램장치로 측벽방향의 힘을 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압전달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유압램장치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버팀보에 전달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버팀보의 상대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버팀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버팀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되지 아니한 다른 버팀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전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압전달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Oil Pressure}
도 1은 굴착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흙막이 가시설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유압전달장치의 일예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압전달장치를 이용하여 버팀보에 압력을 가한 후 회전체를 이동시켜 그 압력을 유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전달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압전달장치의 결합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전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유압전달장치의 제1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이동부재
30 : 제1고정부재 40 : 제2고정부재
100 : 버팀보 102 : 띠장
150 : 유압램장치
본 발명은 유압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공사에 있어서 굴착된 공간의 측벽이 토압에 의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가시설의 일 구성요소인 버팀보에 유압램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측벽방향의 힘을 가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버팀보의 단면형상이나 크기 등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유압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굴착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흙막이 가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흙막이 가시설물의 양 측벽에는 상기 흙막이 가시설물의 아래위방향으로 박힌 측면파일(101)과 상기 굴착현장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측면파일(101)과 결합된 띠장(102)과 상기 측벽 근처의 흙이 상기 굴착현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토류판(103) 등의 지지체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가 토압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체들 사이에 버팀보(100)가 설치되며, 상기 버팀보(100)를 보강하기 위해 중앙파일(104)들이 상기 버팀보(100)에 결합된다.
유압전달장치는 유압램장치(150)에서 발생한 유압을 상기 버팀보(100)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와 이동부재(2)와 제1고정부재(3)과 제2고정부재(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1)는 상기 유압램장치(150)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부분이다.
상기 이동부재(2)는 버팀보(100)에 상기 유압램장치(150)에 의한 가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버팀보(100)에 상기 측벽방향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 체(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2)에는 회전체(5)가 마련되어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램장치(150)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2)에 힘을 가하여 상기 이동부재(2)와 그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버팀보(100)를 측벽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5)를 회전시켜서 상기 회전체(5)를 본체(1)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버팀보(100)에 의한 힘에 의 상기 이동부재(2)가 상기 본체(1)방향으로 다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3)는 일단부가 상기 이동부재(2)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버팀보(100)에 결합된다.
상기 제2고정부(4)는 상기 본체(1)에 고정된 채로 상기 본체(1)를 상기 지지체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유압전달장치는 상기 제1부재(3)가 상기 이동부재(2)에 고정되어 있고, 서로 분리가 불가능하므로, 버팀보(100)의 단면의 형상이나 단면의 크기에 맞추어 별도의 유압전달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버팀보의 단면형상이나 그 크기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유압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굴착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양 측벽에 구비되는 지지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 기 양 측벽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버팀보에 유압램장치로 측벽방향의 힘을 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압전달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유압램장치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버팀보에 전달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버팀보의 상대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버팀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버팀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되지 아니한 다른 버팀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전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에는 봉형상으로 형성된 제1봉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내주면을 가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에, 그 이동부재의 제1봉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체와, 상기 걸림체를 상기 이동부재의 제1봉부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의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체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이동부재가 결합되는 도중에 상기 걸림체가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주면에 의해 눌려서 상기 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이동부재의 제1봉부 내로 몰입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결합이 완료된 후 상기 걸림체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봉부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재에 대한 이동부재의 분리가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팀보는 원형의 강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버팀보의 일단부 내로 삽입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가 상기 버팀보의 일단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버팀보의 일단면에 걸리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부재의 체결부를 상기 버팀보에 결합시키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팀보는 그 일단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원형의 강관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버팀보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와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에는 봉형상으로 형성된 제2봉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내주면을 가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제2봉부에, 그 본체의 제2봉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체와, 상기 걸림체를 상기 본체의 제2봉부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의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체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와 본체가 결합되는 도중에 상기 걸림체가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주면에 의해 눌려서 상기 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본체의 제2봉부 내로 몰입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와 본체의 결합이 완료된 후 상기 걸림체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봉부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재에 대한 본체의 분리가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을 서로 연결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연결판과,
상기 유압램장치가 놓여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제2고정부재측의 측판에 고정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 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전달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압전달장치의 결합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전달장치는 굴착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양 측벽에 구비되는 측면파일(101), 띠장(102), 토류판(103) 등의 지지체 사이에 설치되는 버팀보(100)에 상기 측벽방향의 힘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지지체를 구성하는 측면파일(101), 띠장(102), 토류판(103)은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각각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압전달장치는 본체(10)와, 이동부재(20)와, 제1고정부재(30)와 제2고정부재(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10)는 유압램장치(150)를 그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것으로서, 측판(11)과, 연결판(12)과 보강판(13)과 받침대(14)와 수나사부(15)와 이동부재 체결구(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측판(11)은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이 마련되어 있으며, 한 쌍의 측판 중 하나의 측판은 이동부재(20)와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측판은 제2고정부재(40)와 결합된다.
상기 연결판(12)은 상기 측판(11)을 서로 연결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강판(13)은 상기 연결판(12)과 상기 측판(11)을 서로 연결하여 본체(10)가 구조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14)는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판(11) 중 제2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측판(11)에 고정되어, 캔틸레버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 위에 상기 유압램장치(150)가 놓여짐으로써 상기 본체(10)가 상기 유압램장치(150)를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대(14)는 한 쌍이 구비되어 있으나, 그 수와 길이, 단면의 크기 등은 본체(10)의 크기나 유압램장치(150)의 규격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측판(11)과 연결판(12), 보강판(13) 서로간의 연결은 용접에 의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14)의 일단부 역시 측판(11)에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 이동부재 체결구(16)는 상기 한 쌍의 측판(11) 중 이동부재(20)와 연결되는 쪽의 측판(11)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 체결구(16)를 통하여 이동부재(20)가 상기 본체(11)에 접근되는 방향 및 상기 본체(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유압램장치(150)에 의한 유압을 상기 버팀보(100)에 전달하는 부재로서, 상기 본체(10)와 상기 버팀보(100) 사이의 상대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20)는 수나사부(21)과 플렌지(22)와 회전부재(2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나사부(21)는 이동부재(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렌지(22)는 상기 수나사부(21)의 본체(11)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그 플랜지부(22)의 외경이 상기 본체(10)의 이동부재 체결구(16)의 직경보다 커서 플랜지부(22)가 이동부재 체결구(16)에 걸림으로써, 상기 이동부재(20)가 상기 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부재(23)는 그 내주에 상기 수나사부(21)에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21)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10)로 접근하는 방향 및 상기 본체(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재(23)는, 상기 유압램장치(150)의 유압이 이동부재(20)를 통하여 제1고정부재(30)를 거쳐 버팀보(100)에 전달되면서 그 압력에 의해 이동부재(20)가 제1고정부재(30)쪽으로 움직이게 된 때에, 상기 유압램장치(150)에 의해 압력을 받게 된 버팀보(100)에서 발생하는 복원력 또는 상기 버팀보(100)가 지탱하고 있는 측벽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다시 이동부재(20)가 본체(10)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게 되는 자세한 메커니즘은 종래의 유압전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30)는 상기 이동부재(20)와 상기 버팀보(1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재(20)와 상기 버팀보(100)에 대하여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30)는 암나사부(31)와 체결부(32)와 걸림부(33)와 나사(34)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1고정부재는 상기 버팀보(100)가 원형이 강관인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암나사부(31)는 상기 이동부재(20)의 수나사부(21)에 체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20)의 수나사부(21)가 상기 제1고정부재(30)의 암나사부(3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20)와 상기 제1고정부재(30)가 서로 결합되며, 상기 수나사부(21)를 상기 암나사부(31)부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20)와 상기 제1고정부재(30)가 서로 분리된다.
상기 체결부(32)는 상기 원형의 강관으로 이루어진 버팀보(100)내로 삽입되며, 상기 체결부(32)가 상기 버팀보(100)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34)에 의해 상기 버팀보(1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32)는 직각삼각형과 유사한 형태의 네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변 중 하나의 변은 상기 버팀보(100)의 내주면에 접하고, 나머지 하나의 변은 상기 걸림부(33)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32)의 상기 버팀보(100)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에는 적절한 수의 나사홈(3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32)의 형상과 그 갯수는 현장의 상황이나 버팀보(100)의 단면 크기 등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3)는 상기 체결부(32)가 상기 버팀보(100)의 일단부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버팀보(100)의 일단면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버팀보(100)의 외경과 그 직경이 동일한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림부(33)의 크기와 형상은 상기 버팀보(100)의 직경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다만 재료의 효율적인 사용측면에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걸림부(33)를 상기 버팀보(10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팀보(100)와 상기 체결부(32)를 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부(32)에 형성된 나사홈(36)에 체결될 수 있는 나사부를 가진다. 상기 제1고정부재(30)와 상기 버팀보(100)의 나사결합을 위해 상기 버팀보(100)의 상기 체결부(32)의 나사홈(36)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체결공을 형성해야 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40)는 상기 본체(10)를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이동부재(20)에 고정되지 아니한 다른 버팀보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2고정부재(40)는 상기 본체(10)를 주로 상기 지지체중 띠장(102)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버팀보(100)가 긴 경우에 동축적으로 배치된 한 쌍 또는 그 이상의 버팀보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를 이동부재(20)에 의해 고정되지 아니한 다른 버팀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제2고정부재(40)는 네 귀퉁이에 볼트체결공(42)을 가진 사각판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본체(10)를 지지체의 일부인 띠장(102)에 연결시키는데 적합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본체(10)가 다른 버팀보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그 버팀보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버팀보의 형상이 원형강관인 경우 상술한 제1고정부재(3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재(40)에는 상기 본체(10)의 측판(11)에 형성된 수나사부(15)에 체결되는 암나사부(44)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15)와 암나사부(41)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2고정부재(40)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상기 수나사부(15)를 상기 암나사부(41)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재(40)가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는 측판(11)과 연결판(12), 보강판(13) 등 복수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강판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그 절단된 강판을 적절히 배치하여 용접시켜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본체(10)의 형성이 가능하다. 종래의 유압전달장치에 있어서 본체(1)는 주물에 의해 형성해야 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주물틀이 필요하게 되어, 몇가지 규격화 된 본체만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그 제조단가도 비쌌던 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본체(10)는 몇몇개의 강판을 조합하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 및 단면을 가지는 버팀보에 대응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제작이 가능이 용이한 장점이 발생한다.
상기 본체(10)는 그 내부에 유압램장치(150)을 수용한다. 상기 유압램장치(150)는 받침대(14)에 의해 받쳐진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데, 유압램장치의 무게는 그다지 무겁지 않아서, 상기 받침대(14)가 캔틸레버의 형태로 상기 본체(10)의 측판(11) 중의 제2고정부재(40)측의 측판에 고정되어 있어도 충분히 유압램장치를 받칠 수 있다.
이동부재(20)는 유압램장치(150)에 의한 유압을 제1고정부재(30)를 통하여 버팀보(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버팀보(100)는 굴착공사의 양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그 양 측벽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이를 위해서는 양 측벽사이에 그 측벽들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면서 설치 될 것이 요구되는데, 상기 유압램장치(150)에 의해 그러한 압력이 가해지고, 상기 이동부재(20)가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면서 유압램장치(150)에 의한 유압을 버팀보(100)에 전달하게 된다.
제1고정부재(30)는 상기 이동부재(20)와 상기 버팀보(100)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상기 버팀보(100)는 굴착공사의 가시설물에 사용되고, 종국적으로는 해체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고정부재(30)는 상기 버팀보(1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1고정부재(30)와 상기 버팀보(100)는 나사결합을 하고 있으므로, 가시설물의 철거시에는 제1고정부재(30)와 버팀보(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는 상기 이동부재(2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다양한 형상의 버팀보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다. 종래에는 이동부재와 제1고정부재가 서로 고정되어 있어서, 버팀보의 단면형상이 바뀌거나 단면크기가 바뀌면 유압전달장치 전체를 교체해서 사용했어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제1고정부재(30)가 이동부재(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버팀보(100)의 단면형상이나 크기에 대응되는 제1고정부재(30)만을 적절히 교체함으로써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2고정부재(40)는 상기 본체(10)를 띠장(102)나 버팀보(10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재(10)와 서로 연결되지 아니한 버팀보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종래의 유압전달장치에 있어 제2고정부재(4)는 일반적으로 사각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본체(1)에 고정되어 있어서 이동부재(2)에 의해 연결되지 아니한 다른 버팀보의 단면형상이 H빔이나 I빔인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한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2고정부재(40) 역시 상기 본체(10)로부터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버팀보의 단면형상이나 단면크기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 5에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가지는 부분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며,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앞선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설명이 그대로 혹은 적절하게 변형되어 적용된다. 또한 대응되는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술적 역할을 하는 구성을 가리키도록 표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압전달장치 역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유압전달장치와 마찬가지로, 제1고정부재(230)는 버팀보(100)에 결합되고, 제2고정부재(240)는 띠장(102)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앞선 실시예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이동부재(220)와 제1고정부재(230)간의 결합 및 본체(210)와 제2고정부재(240)간의 결합방식이다. 그런데 상기 본체(210)와 제2고정부재(240)간의 결합방식은 상기 이동부재(220)와 제1고정부재(230)간의 결합방식과 동일하므로, 이동부재(220)와 제1고정부재(230)간의 결합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재(220)에는 봉형상으로 형성된 제1봉부(2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봉부(224)의 직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체(225)와 상기 걸림체(225)를 상기 제1봉부(224)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가 압하는 스프링(226)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부재(230)는 내주면을 가지는 결합부(235)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235)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체(225)에 대응되는 걸림홈(2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동부재(220)와 제1고정부재(230)의 분리 및 결합은 다음과 같은 메카니즘에 의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230)과 이동부재(22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1고정부재(230)의 결합부(235)의 내주면이 상기 제1봉부(224)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제1고정부재(230)를 상기 이동부재(220)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걸림체(225)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235)의 내주면에 의해 눌려서 상기 스프링(226)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제1봉부(224)내로 몰입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230)가 계속해서 사기 이동부재(220)쪽으로 계속해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체(225)가 상기 스프링(22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봉부(224)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230)의 결합부(235)에 형성된 걸림홈(236)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재(230)와 상기 이동부재(220)가 서로 결합되게 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20)의 분리가 억제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230)와 상기 이동부재(220)의 분리는 상기 제1고정부재(230)와 상기 이동부재(220)의 결합의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상기 본체(210)와 제2고정부재(240) 역시 상기 제1고정부재(230)와 상기 이동부재(220)간의 결합 및 분리와 동일한 메카니즘에 의한다. 다만 본체(210)에 제2봉부(215)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제2봉부(215)에 걸림체(216)와 스프링(217)가 마 련되어 있고, 제2고정부재(240)에 결합부(243)과 걸림홈(244)가 구비되어 있는 점정도만 다른점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체에 유압램장치가 수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동부재에 유압램장치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서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와 이동부재를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어 판단할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본체를 이동부재로 사용하고, 그 실시예에서의 이동부재를 본체로 사용하여, 이동부재에 유압램장치를 수용하는 실시예도 가능한 것이다.
상기에서는 제1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결합 및 분리가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스프링, 걸림체, 걸림홈 등의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제1고정부재와 이동부재간의 분리가 가능한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상기에서는 이동부재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제1고정부재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고정부재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이동부재에 그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상기에서는 본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제2고정부재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상술한 구성에 한 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고정부재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본체에 그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상기에서는 버팀보가 원형의 강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고정부재가 체결부와 걸림부와 나사로 이루어져 버팀보와 제1고정부재가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보가 그 일단부에 암나사부(110)가 형성된 원형의 강관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버팀보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39)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실시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위배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버팀보가 H빔 또는 I빔의 형상인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2고정부재와 같이 네 귀퉁이에 볼트체결공이 있는 사각판의 형상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제2고정부재가 제1고정부재와 마찬가지로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버팀보와 버팀보를 서로 연결할 필요가 없이, 양 측벽사이에 하나의 버팀보만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2고정부재가 본체에 분리가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위배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는 본체가 측판, 연결판 및 보강판으로 구성되어 간단하게 강판을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본체가 상술한 구성을 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종래의 유압전달장치와 동일한 형상의 본체인 경우 에도 이동부재와 제1고정부재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유압전달장치로 구체화 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제1고정부재를 이동부재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버팀보의 단면형상이나 그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제1고정부재를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버팀보의 단면형상이나 그 크기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유압전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부재 역시 본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유압전달장치를 버팀보 사이에 설치하여 한 쌍의 버팀보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도 그 한 쌍의 버팀보의 단면 형상이나 그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한 장점을 아울러 가지고 있다.
또한 본체의 형상을 개량하여 종래에 있어 주물로 제작되어 그 제작단가가 비싼 단점을 극복하여 간단하게 철판을 용접하여 형성함으로써 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8)

  1. 굴착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양 측벽에 구비되는 지지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 측벽이 토압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버팀보에 유압램장치로 측벽방향의 힘을 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압전달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유압램장치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버팀보에 전달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버팀보의 상대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버팀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버팀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되지 아니한 다른 버팀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전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전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봉형상으로 형성된 제1봉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내주면을 가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에, 그 이동부재의 제1봉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체와, 상기 걸림체를 상기 이동부재의 제1봉부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의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체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이동부재가 결합되는 도중에 상기 걸림체가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주면에 의해 눌려서 상기 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이동부재의 제1봉부 내로 몰입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결합이 완료된 후 상기 걸림체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봉부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재에 대한 이동부재의 분리가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전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보는 원형의 강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버팀보의 일단부 내로 삽입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가 상기 버팀보의 일단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버팀보의 일단면에 걸리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부재의 체결부를 상기 버팀보에 결합시키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전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보는 그 일단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원형의 강관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버팀보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전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와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전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봉형상으로 형성된 제2봉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내주면을 가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제2봉부에, 그 본체의 제2봉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체와, 상기 걸림체를 상기 본체의 제2봉부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의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체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와 본체가 결합되는 도중에 상기 걸림체가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주면에 의해 눌려서 상기 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본체의 제2봉부 내로 몰입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와 본체의 결합이 완료된 후 상기 걸림체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봉부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재에 대한 본체의 분리가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전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을 서로 연결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연결판과,
    상기 유압램장치가 놓여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제2고정부재측의 측판에 고정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전달장치.
KR1020060034207A 2006-04-14 2006-04-14 유압전달장치 KR10067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207A KR100673497B1 (ko) 2006-04-14 2006-04-14 유압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207A KR100673497B1 (ko) 2006-04-14 2006-04-14 유압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497B1 true KR100673497B1 (ko) 2007-01-24

Family

ID=3801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207A KR100673497B1 (ko) 2006-04-14 2006-04-14 유압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49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640B1 (ko) 2007-10-15 2008-06-26 이태영 실린더식 하중잭
CN104032751A (zh) * 2014-06-09 2014-09-10 河海大学 一种消除温差影响的基坑内支撑梁
KR20180057180A (ko) * 2016-11-22 2018-05-30 서경식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20180078782A (ko) * 2016-12-30 2018-07-10 서경식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914679B1 (ko) * 2016-11-11 2018-11-12 서경식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CN110424400A (zh) * 2019-07-02 2019-11-08 浙江工业大学 一种用于型钢组合支撑的保力装置
CN115450226A (zh) * 2022-10-10 2022-12-09 苏州中恒通路桥股份有限公司 基坑施工的支护结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745U (ko) 1986-05-15 1987-11-26
KR940026896U (ko) * 1993-05-20 1994-12-09 H-빔 버팀잭
KR200157975Y1 (ko) 1996-12-21 1999-10-01 오성남 프리로딩잭
KR20010057975A (ko) * 1999-12-23 2001-07-05 이구택 구조용 형강
KR20040012812A (ko) * 2001-06-26 2004-02-11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L2 디렉토리를 이용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의 가-저장촉진 방법 및 장치
KR20050075314A (ko) * 2005-04-29 2005-07-20 이선애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0412812Y1 (ko) 2005-12-29 2006-03-31 (주)핸스건설 사보강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745U (ko) 1986-05-15 1987-11-26
KR940026896U (ko) * 1993-05-20 1994-12-09 H-빔 버팀잭
KR200157975Y1 (ko) 1996-12-21 1999-10-01 오성남 프리로딩잭
KR20010057975A (ko) * 1999-12-23 2001-07-05 이구택 구조용 형강
KR20040012812A (ko) * 2001-06-26 2004-02-11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L2 디렉토리를 이용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의 가-저장촉진 방법 및 장치
KR20050075314A (ko) * 2005-04-29 2005-07-20 이선애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0412812Y1 (ko) 2005-12-29 2006-03-31 (주)핸스건설 사보강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579750000
2004128120000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640B1 (ko) 2007-10-15 2008-06-26 이태영 실린더식 하중잭
CN104032751A (zh) * 2014-06-09 2014-09-10 河海大学 一种消除温差影响的基坑内支撑梁
CN104032751B (zh) * 2014-06-09 2015-11-18 河海大学 一种消除温差影响的基坑内支撑梁
KR101914679B1 (ko) * 2016-11-11 2018-11-12 서경식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20180057180A (ko) * 2016-11-22 2018-05-30 서경식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869262B1 (ko) * 2016-11-22 2018-06-20 서경식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20180078782A (ko) * 2016-12-30 2018-07-10 서경식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CN110424400A (zh) * 2019-07-02 2019-11-08 浙江工业大学 一种用于型钢组合支撑的保力装置
CN115450226A (zh) * 2022-10-10 2022-12-09 苏州中恒通路桥股份有限公司 基坑施工的支护结构
CN115450226B (zh) * 2022-10-10 2023-09-01 苏州中恒通路桥股份有限公司 基坑施工的支护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497B1 (ko) 유압전달장치
RU2495219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US4570896A (en) Slide action inside corner form
KR101117546B1 (ko)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JP2007092496A (ja) 掘削溝用多辺枠体土留
KR101289149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AU2019444153B2 (en) Strut connector
JP6448683B2 (ja) スラブ支持装置及び建物の解体方法
US5704657A (en) Flexible joint for a culvert
AU2019230746B2 (en) Cover band of steel pipe strut connector, steel pipe strut connector having same, and steel pipe strut assembly
KR100261775B1 (ko) 무지주역타설 거푸집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정착구, 커플러, 커넥터, 거푸집 지지틀 및 유압승강기
JP3725271B2 (ja) 配管設備の接続構造
KR101502772B1 (ko) 압축력을 받는 부재와 부재의 연결재
KR102266931B1 (ko) 지하 흙막이 공사용 강관 버팀보 이음장치
KR100874720B1 (ko) 유압식 스크류 잭
KR101281050B1 (ko) 건축용 배관 연결구
KR101194410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US5879032A (en) Flexible joint for a culvert
GB2166774A (en) Telescopic waling parts
JP4353532B2 (ja) マンホール構造体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074264B1 (ko) 콘크리트 하수관로의 연결구조
KR101958142B1 (ko) 콘크리트 제품의 상호 연결 부재
KR101359173B1 (ko) 흙막이벽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구조
JP2013174103A (ja) ハット型鋼矢板およびハット型鋼矢板を用いた構造体
KR200213262Y1 (ko) 분리 및 보관이 용이한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