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180A -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 Google Patents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180A
KR20180057180A KR1020160155514A KR20160155514A KR20180057180A KR 20180057180 A KR20180057180 A KR 20180057180A KR 1020160155514 A KR1020160155514 A KR 1020160155514A KR 20160155514 A KR20160155514 A KR 20160155514A KR 20180057180 A KR20180057180 A KR 20180057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auxiliary
coupled
connecting plate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262B1 (ko
Inventor
서경식
서지영
서승권
Original Assignee
서경식
서지영
(주)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식, 서지영, (주)핸스 filed Critical 서경식
Priority to KR1020160155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2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 및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어 인접한 버팀보, 잭, 띠장, 측벽, 또는 중간말뚝과 같은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의 내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강관의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결합강도가 우수하고, 축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버팀보, 잭, 띠장, 측벽, 중간말뚝 등과 같은 다양한 타 부재와 견고하고, 안정적이면서도 쉽게 결합하고, 또한 타 부재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용이하게 결합하며, 그 결합되는 각도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본 실시예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지반 굴착 후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고, 흙막이 벽체 사이에 설치하여 토압을 지지하는 강관 버팀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토압을 지지하는 강관 버팀보 이외 가설교량의 가설벤트 등과 같이 강관을 이용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다양한 구조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반 굴착시에는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고, 흙막이 벽체에 띠장을 수평으로 설치한 후, 띠장에 버팀보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잭을 먼저 설치한 후 잭에 버팀보를 설치하여 토압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의 버팀보로 이전에는 H형강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축강성의 우수성 등으로 인하여 원형강관이나 사각강관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원형강관이나 사각강관의 경우 그 폐합단면으로 인하여 인접한 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인접한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내부 공간으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주로 강관의 외측에서 용접 또는 볼트 결합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를 부가한 후 용접 또는 볼트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여전히 결합이 용이하지 아니하며, 결합을 하더라도 충분한 결합강도를 확보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강관과 강관을 서로 맞대어 결합하는 경우, 얇은 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축력이 가해지므로 충분한 축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축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마주하는 강관이 서로 어긋나거나 경사지게 되는 경우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하게 되고, 이 부위에서 국부적으로 파손이 발생하거나, 나아가 버팀보 자체가 붕괴에 이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5472호의 "강관의 결합방법"이 개시되어 있다(도 5a 내지 도 5c 참조). 이 종래개술은 복수의 체결공(111)이 형성된 결합판(110)을 준비하는 결합판 준비단계; 결합하고자 하는 양측 강관(100)의 단부에 상기 결합판(110)을 결합하는 결합판 결합단계; 상기 양측 강관(100)에 각각 트임부(120)를 형성하는 트임부 형성단계; 상기 트임부(120)를 통해 상기 양측 강관(100)의 결합판(110)의 체결공(111)에 체결구(200)를 결합하는 체결구 결합단계; 상기 양측 강관(100)의 트임부(120)를 폐쇄하는 트임부 폐쇄단계;를 포함하는 강관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결합판(110)이 강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용접 결합되는 것으로서 결합판(110)과 강관(100)의 결합부위가 취약하여 큰 축하중과 함께 휨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관(100)에 형성된 트임부(120)로 인하여 강관의 강도가 훼손되어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합판(110)을 이용하여 강관(100)과 직선방향으로 타 부재와 연결할 수 있을 뿐, 경사 방향으로 타 부재와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하다.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45472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과, 상기 강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보조결합부재 등을 포함함으로써, 결합강도가 우수하고, 축하중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버팀보, 잭, 띠장, 측벽, 중간말뚝 등과 같은 다양한 타 부재와 신속하고, 견고하며,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 부재와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이 가능한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 및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어 인접한 버팀보, 잭, 띠장, 측벽, 또는 중간말뚝과 같은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의 내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강관의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바는, 상기 연결판의 중심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바는, 3개 또는 4개로 구성되고, 각 지지바는 상기 연결판의 중심 이외의 지점에서 다른 2개와 서로 교차하며, 중앙에 정다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합구는 상기 강관의 테두리 내에 형성되며, 상기 강관의 단부 근처에 상기 강관 내부와 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의 테두리에는 보강링이 결합되며, 상기 체결홀을 통해 상기 결합구에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홀을 밀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강재,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홀을 밀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테두리에 나사가 형성된 원형의 강재이며, 상기 보강링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체결홀을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링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합구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관의 단부 근처에 구비되는 인상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상구는 상기 강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 상기 강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삽입핀, 상기 삽입핀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강관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2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판의 양측에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타 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판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보조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2연결판과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판, 상기 한 쌍의 힌지판에 결합되는 보조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연결판에는 복수의 보조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연결판에 방사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보조플랜지, 상기 복수의 보조플랜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보조절개홈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보조강관, 상기 보조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보조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과, 상기 강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보조결합부재 등을 포함함으로써, 결합강도가 우수하고, 축하중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버팀보, 잭, 띠장, 측벽, 중간말뚝 등과 같은 다양한 타 부재와 신속하고, 견고하며,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 부재와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버팀보 중 원형 강관과 원형 연결판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확대도, 및 연결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버팀보 중 원형 강관과 사각 연결판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확대도, 및 연결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버팀보 중 사각 강관과 사각 연결판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확대도, 및 연결도이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관 버팀보에 제2연결판, 보조결합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확대도, 및 연결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토압을 지지하는 강관 버팀보 이외 가설교량의 가설벤트 등과 같이 강관을 이용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다양한 구조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토압을 지지하는 강관 버팀보를 상정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이하, 편의상 '버팀보'라고 칭할 수 있다)는, 강관(10)과, 상기 강관(10)의 양측 단부 각각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20)를 이용하여 인접한 타 부재와 볼트 등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타 부재란 인접한 버팀보, 잭, 띠장, 측벽, 중간말뚝 등을 의미하며, 이하 동일하다. 또한, 이하에서 내측은 강관(10)의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외측은 그 반대쪽을 의미한다.
강관(10)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이며, 그 단면을 원형,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강관(10)은 종래에 버팀보로 널리 사용되어온 H형강에 비해 휨강성이 우수하여 버팀보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관(10)은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이 기존의 규격화되어 생산되는 강관(10), 즉 원형강관, 사각강관 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결합부재(20)는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강관(10)의 단부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연결판(21)과, 상기 연결판(21)의 내측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바(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21)은 강관(10)의 단부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며, 이 연결판(21)에 의해 버팀보가 인접한 타 부재와 볼트 등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버팀보가 인접한 타 부재와의 연결시 강관(10)의 얇은 단부가 아닌 넓은 면적의 연결판(21)이 접하여 결합됨으로써, 강관(10)을 직접 결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강관(10) 단부의 국부적 파손, 나아가 버팀보의 붕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판(21)은 원형,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강관(10)의 형상이 사각형 형상이거나, 또는 연결판(21)이 사각형 형상인 경우 보관 시 버팀보가 구르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결판(21)이 강관(10)에 용접 등으로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결합부재(20)가 분실될 염려가 없고,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다.
또한, 연결판(21)에는 관통 구멍인 결합구(24)가 복수개 형성되어, 인접한 타 부재와 볼트 등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구(24)는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장공은 타 부재의 종류 및 형상, 결합구(24)의 제작오차, 버팀보와 타 부재의 시공오차 등에 관계없이 버팀보를 타 부재에 용이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연결판(21)의 내측에 복수의 지지바(23)가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이 복수의 지지바(23)는 강관(10)의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바(23)는 연결판(21)에 결합되어 연결판(21)의 휨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결합부재(2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바(23)는 강관(10)의 절개홈에 삽입된 후 매우 넓은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 즉 절개홈의 전체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됨으로써, 결합부재(20)를 강관(10)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다. 아울러, 연결판(21)과 지지바(23)를 통해 강관(10)에 전해지는 축하중이 절개홈 전체에서 수용함으로써, 축하중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연결판(21)의 내측에 지지바(23)가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연결판(21)이 강관(1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지지바(23)가 강관(10)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용접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결국 결합부재(20)가 강관(10)과 견고히 결합되고 동시에 강관(10) 단부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팀보가 인접한 타 부재와 견고히 결합될 수 있고, 또한 버팀보에 작용하는 축하중과 휨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바(23)는 연결판(21)의 중심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연결판(21)의 중심 이외의 지점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23)가 연결판(21)의 중심 이외의 지점에서 교차되는 경우, 복수의 지지바(23)는 중앙에는 정다각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바(23)는 결합구(24)에 더 근접함으로써 연결판(21)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강관(10)의 단부 근처에는 강관(10)의 내부와 통하는 체결홀(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체결홀(30)을 이용하여 연결판(21)의 결합구(24)에 볼트 등을 체결함으로써, 버팀보를 인접한 타 부재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체결홀(30)의 테두리에는 체결홀(30)로 인한 강도의 훼손을 보완하기 위해 보강링(31)을 용접 등으로 더 결합할 수 있다. 이 체결홀(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연결판(4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하 2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홀(30)에는 체결홀(30)을 밀폐하는 덮개(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덮개(33)는 빗물, 이물질 등이 체결홀(30)을 통해 강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강관(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덮개(33)는 보강링(31)에 끼워지거나 체결될 수 있으며, 강재, 고무,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33)를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체결홀(30)에 덮개(33)를 용이하게 끼워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덮개(33)를 강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체결홀(3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추가의 장점이 있다.
특히, 덮개(33)는 테두리에 나사가 형성된 원형의 강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링(31)의 내측에도 나사를 형성하고, 덮개(33)를 보강링(31)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덮개(33)는 체결홀(30)을 밀폐함과 동시에 보강링(31)을 보강함으로써, 체결홀(30)로 인한 강도의 저하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버팀보는 강관(10)을 가로지르는 제2연결판(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강관(10)을 관통하는 관통구, 즉 강관(10)을 직경방향(횡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제2연결판(40)을 삽입하여 양측으로 돌출되게 한 후 용접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 제2연결판(40)은 양측에 타 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힌지공(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제2연결판(40)의 위치는 버팀보의 사용 목적에 맞게 강관(10)의 단부 또는 단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연결판(40) 양측의 힌지공(41)은 버팀보를 양측에서 경사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버팀보의 축력을 넓게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공(41)을 이용하여 버팀보를 강관(10)의 직경방향으로 즉, 횡방향으로 인접한 타 부재와 결합함으로써 버팀보를 횡방향으로 잘 지지하고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버팀보는 제2연결판(4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보조결합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보조결합부재(50)는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2연결판(40)과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판(51)과, 상기 한 쌍의 힌지판(51)에 결합되는 보조연결판(5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보조연결판(53)에는 복수의 보조결합구(54)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타 부재와 볼트 등으로 신속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보조결합구(54)의 일부 또는 전부는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연결판(53)에는 방사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보조플랜지(56)가 용접 등으로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보조플랜지(56)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보조절개홈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보조강관(57)과, 상기 보조강관(57)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보조결합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강관(10)과 보조강관(57)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강관(10)의 축력을 넓게 확대하여 용이하게 지지하거나, 또는 강관(10)을 횡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강관(10)의 양측 단부 근처에는 강관(10)의 인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인상구(70)를 구비할 수 있다. 인상구(70)는 강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71)와, 강관(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구(73)와, 상기 삽입구(73)를 통해 너트(71)에 결합되는 것으로 나사가 형성된 삽인핀(74)과, 상기 삽인핀(74)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7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상구(70)는 필요없는 경우에 제거하거나,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인상구(70)는 너트(71)가 없거나, 너트(71)와 삽인핀(74) 모두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인상구(70)를 링(76)만으로 구성하여 강관(10)의 외측에 용접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인상구(70)를 강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혀져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강관(10)의 단부에 체결홀(3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인상구(70)를 강관(10)의 단부 근처이면서 체결홀(30)의 근처에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는 체결홀(30)을 통해 인상구(70)의 체결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인상구(70)를 필요한 경우에만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체결홀(30)을 통해 강관(10)의 내부에서 너트(71)를 잡고, 링(76)을 회전시킬 수 있어 인상구(70)를 용이하게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강관
20: 결합부재
21: 연결판
23: 지지바
24: 결합구
30: 체결홀
31: 보강링
33: 덮개
40: 제2연결판
41: 힌지공
50: 보조결합부재
51: 힌지판
53: 보조연결판
54: 보조결합구
56: 보조플랜지
57: 보조강관
60: 제2보조결합부재
70: 인상구
71: 너트
73: 삽입구
74: 삽입핀
76: 링

Claims (12)

  1.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 및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어 인접한 버팀보, 잭, 띠장, 측벽, 또는 중간말뚝과 같은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의 내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강관의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는,
    상기 연결판의 중심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는,
    3개 또는 4개로 구성되고, 각 지지바는 상기 연결판의 중심 이외의 지점에서 다른 2개와 서로 교차하며, 중앙에 정다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구는 상기 강관의 테두리 내에 형성되며,
    상기 강관의 단부 근처에 상기 강관 내부와 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의 테두리에는 보강링이 결합되며,
    상기 체결홀을 통해 상기 결합구에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을 밀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강재,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을 밀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테두리에 나사가 형성된 원형의 강재이며, 상기 보강링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체결홀을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링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구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단부 근처에 구비되는 인상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상구는 상기 강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 상기 강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삽입핀, 상기 삽입핀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강관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2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판의 양측에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타 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판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보조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2연결판과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판, 상기 한 쌍의 힌지판에 결합되는 보조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결판에는 복수의 보조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결판에 방사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보조플랜지, 상기 복수의 보조플랜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보조절개홈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보조강관, 상기 보조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보조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20160155514A 2016-11-22 2016-11-22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869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514A KR101869262B1 (ko) 2016-11-22 2016-11-22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514A KR101869262B1 (ko) 2016-11-22 2016-11-22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180A true KR20180057180A (ko) 2018-05-30
KR101869262B1 KR101869262B1 (ko) 2018-06-20

Family

ID=6230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514A KR101869262B1 (ko) 2016-11-22 2016-11-22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2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816A (ja) * 2001-05-25 2002-12-04 Yoshida Kouzou Design:Kk 定着装置及び防護柵
KR200414056Y1 (ko) * 2005-12-29 2006-04-14 (주)핸스건설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KR100673497B1 (ko) * 2006-04-14 2007-01-24 (주)핸스건설 유압전달장치
US20130074440A1 (en) * 2011-03-29 2013-03-28 Cameron John Black Geometric connecting assembly and method for braced frame connections
KR20140145472A (ko) 2013-06-13 2014-12-23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강관의 결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826B1 (ko) * 2009-04-09 2010-02-02 서승권 사선버팀보 연결 지지장치
KR101417507B1 (ko) * 2012-12-24 2014-07-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관 접합 구조물
KR101735790B1 (ko) * 2015-02-17 2017-05-17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하수관거의 악취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816A (ja) * 2001-05-25 2002-12-04 Yoshida Kouzou Design:Kk 定着装置及び防護柵
KR200414056Y1 (ko) * 2005-12-29 2006-04-14 (주)핸스건설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KR100673497B1 (ko) * 2006-04-14 2007-01-24 (주)핸스건설 유압전달장치
US20130074440A1 (en) * 2011-03-29 2013-03-28 Cameron John Black Geometric connecting assembly and method for braced frame connections
KR20140145472A (ko) 2013-06-13 2014-12-23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강관의 결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262B1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965B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101687005B1 (ko) 흙막이용 l형강 합성 버팀보 구조물
KR101354857B1 (ko) 중립축에 대칭되는 강관파이프 단면을 갖는 버팀보
KR101357775B1 (ko)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KR200399887Y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101914674B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869262B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0958426B1 (ko) 버팀보용 고정장치
AU2019444153B2 (en) Strut connector
KR101915013B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670941B1 (ko) 강관버팀보 횡밴드
KR102037513B1 (ko) 흙막이 구조물용 띠장과 버팀보의 체결구조
KR101325383B1 (ko) 강관 버팀보 연결 구조
JP4386804B2 (ja) 既設鉄塔の耐震補強構造
KR101807825B1 (ko) 철근 커플러
KR102611776B1 (ko)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KR102171986B1 (ko) 좌굴과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버팀보 어셈블리
KR101914679B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200399885Y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0399886Y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101915014B1 (ko)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286570B1 (ko) 지보 연결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용 지보 어셈블리
KR200382590Y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장치
KR100626810B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0399888Y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