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410B1 -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 Google Patents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410B1
KR101194410B1 KR1020120064223A KR20120064223A KR101194410B1 KR 101194410 B1 KR101194410 B1 KR 101194410B1 KR 1020120064223 A KR1020120064223 A KR 1020120064223A KR 20120064223 A KR20120064223 A KR 20120064223A KR 101194410 B1 KR101194410 B1 KR 101194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upport
sub
nut
ma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문
Original Assignee
케이엠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엠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엠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2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devices to avoid accidental disengagement of the telescopic elements, e.g. during transport

Abstract

큰 힘을 주지 않고도 쉽고 정밀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결속구조를 갖도록, 본 발명은 일단에 제1받침대가 구비되어 연결되고 타단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의 메인지지프레임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일단부측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측에는 제2받침대가 구비되는 서브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외주에는 너트스패너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을 위한 외력을 전달받는 다각너트부가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supporting apparatus of structure and joint for thereof}
본 발명은 구조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큰 힘을 주지 않고도 쉽고 정밀하게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결속구조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토목 또는 건축 현장에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기까지 일반적으로 그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장치가 사용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이다. 이러한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는 공사현장에 다수 개 사용됨으로써, 공사중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과다한 상판 구조물의 압축하중을 균일한 분포하중으로 흡수시켜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할 경우에 상하층을 구획하는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슬래브를 시공하여야할 부분의 하부에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게 되는데, 그 시공과정에서 장선과 멍에와 같은 가설빔(Beam)들에 의해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고 상기 가설빔들의 하부를 파이프 서포트틀이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가설빔들의 지지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파이프 서포트는 일반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파이프 서포트를 바닥 슬래브 및 천정 슬래브에 설치하는 과정은 먼저 하부 서포트 부재에 상부 서포트 부재를 삽입하여 세운 다음 높낮이 조절부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부 서포트 부재에 끼워진 스톱핀을 밀어 올리게 됨에 따라 이와 연결된 상부 서포트 부재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서포트 부재 및 하부 서포트 부재가 천정 슬래브의 하부를 밀어 받치는 형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안정되게 받쳐 붕괴 등의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과정에서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파이프 서포트를 제작할 시에는 각종 구조물을 포함한 다리 등을 시공 또는 보수하고자 바닥면과 천정 또는 상판 사이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감안하여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핸들형 몸체부를 잡고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서포트 부재 및 하부 서포트 부재의 노출높이를 설정하여 다양한 높이에 맞게 설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파이프 서포트의 높낮이 조절부 자체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수개의 파이프 서포트 자체를 자동차 등에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또는 운반 도중을 포함한 현장 보관시 다른 파이프 서포트들을 포함하여 특정 물체들과 높낮이 조절부 부위가 부딪혀 높낮이 조절부의 나사산들이 마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 시멘트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부착 또는 고착되므로 인한 소손으로 차후 파이프 서포트들의 설치 및 분해 작업시 높낮이 조절부 자체가 회전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나사산이 마모되었거나 나사산 사이에 시멘트를 포함한 각종 미물질이 고착되어 높낮이 조절부 자체의 회전이 어려울 경우, 결국 사람들이 일일이 각종 공구를 이용하여 마모된 나사산을 재형성시키거나 이물질을 제거시켜주어야만 하므로 관리 및 보존에 따른 경비를 포함하여 설치 및 분해작업에 따른 경비가 불필요하게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 서포트의 사용수명이 짧음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상기 파이프 서포트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높낮이 조절부의 핸들형 몸체부를 상단으로 올려야하므로 나사산에 걸리는 하중으로 인하여 쉽게 돌아가지 않아 작업자가 장착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파이프 서포트는 건축, 토목 뿐만 아니라 조선설비 현장에서도 그 활용도가 높으므로 작동이 편리하면서 정밀한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서포트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등록실용 제20-01379760000호(1998.11.28)
본 발명은 큰 힘을 주지 않고도 쉽고 정밀하게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결속구조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단에 제1받침대가 구비되어 연결되고 타단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의 메인지지프레임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일단부측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측에는 제2받침대가 구비되는 서브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외주에는 너트스패너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을 위한 외력을 전달받는 다각너트부가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다각너트부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타단부측 외주에 구비되는 제1너트와,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수나사부의 끝단측 외주에 구비되는 제2너트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받침대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타단부측은 상호 분할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받침대의 하면에 접하는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타단부는 라운드지게 이루어진 앤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받침대의 하면에는 종방향으로 개구된 슬릿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걸림돌기가 돌설되어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타단부측 내주로 삽입되는 원통형 연결부가 연결되며,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타단부측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후크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단에 제1받침대가 구비되어 연결되고 타단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의 메인지지프레임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일단부측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측에는 제2받침대가 구비되는 서브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장치를 위한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타단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결합구가 형성된 제1연결관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연결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타단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제2연결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관부 및 상기 제2연결관부의 외주에는 너트스패너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을 위한 외력을 전달받는 다각너트부가 각각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연결관부는 상기 제1연결관부로부터 복수개로 분지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메인지지프레임 및 서브지지프레임에 구비된 다각너트부와 너트스패너의 체결면이 일체를 이룸으로써 다각너트부에 외력이 균일하므로 적용되므로 나사산부가 어긋나 회전되는 등의 문제점이 최소화되고 보다 정밀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둘째, 슬래브를 지지/고정하기 위해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제2받침대와 서브지지프레임이 상호 분할되어 체결되되, 걸림돌기와 걸림홀에 의해 후크 체결되어 서브지지프레임만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제2받침대가 슬래브받침에 밀착되어 고정되더라도 서브지지프레임은 회전되면서 승강이 가능하여 제2받침대가 상기 슬래브받침에 전해지는 힘이 수직방향으로 한정됨으로써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보다 정확하고 일정한 높이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에 체결되는 조인트에 있어, 상기 조인트에 형성되는 제2연결관부가 제1연결관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분지되어 형성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견고한 구조로 구조물 지지장치가 연결되므로 작업효율이 현저히 증가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다각너트부가 회전되는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a의 A-A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부가 슬래브에 고정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를 나타낸 정면투영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높이조절표시부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100)는 메인지지프레임(10), 서브지지프레임(20) 및 다각너트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의 일단에는 구조물의 천장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받침대(11)가 구비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일단과 상기 제1받침대(11)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13)가 연결되어 구비되고 그의 타단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타단에는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이 내삽되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일단부측 외주면에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2)와 대응되도록 수나사부(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타단에는 구조물의 천장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받침대(21)가 구비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타단과 상기 제2받침대(21)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23)가 연결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외주면에는 다각너트부(30)가 각각 연결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다각너트부(30)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타단부측 외주에 구비되는 제1너트(31)와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수나사부(22)의 끝단측 외주에 구비되는 제2너트(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너트(31)와 상기 제2너트(32)는 각각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과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억지끼움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다각너트부(3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이 승강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의 높낮이가 승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물 지지장치(100)는 각종 건축물의 거푸집 지지대, 건설용 작업대 또는 조선기자재 제조용 골격 설치를 위한 지지대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안전장치 및 지지/보조장치로 활용되게 된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너트부가 회전되는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a의 A-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공형의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타단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2)가 형성되되,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일단이 내삽되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일단부측 외주면에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2)와 대응되도록 수나사부(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과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은 나사체결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면에 각각 암나사부(12)와 수나사부(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외주면에는 다각너트부(30)가 각각 연결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다각너트부(30)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타단부측 외주에 구비되는 제1너트(31)와,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수나사부(22)의 끝단측 외주에 구비되는 제2너트(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다각너트부(3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이 승강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의 높낮이가 승강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연결된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에서 상기 다각너트부(30)를 너트스패너(40) 등의 보조도구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이 역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과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의 나선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각너트부(30)가 육각형상을 이루고 상기 다각너트부(3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상기 너트스패너(40)의 체결면(41)이 상기 다각너트부(30)에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을 위한 외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에 있어 작은 힘으로도 상기 다각너트부(3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다각너트부(30)와 상기 너트스패너(40)의 체결면(41)이 일치됨으로써 상기 다각너트부(30)에 전해지는 힘이 균일하므로 상기 나사산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최소화되고 보다 정밀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부가 슬래브에 고정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타단에는 구조물의 천장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받침대(21)가 구비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타단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23)가 구비되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보강리브(23)의 일단은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타단에 상호 분할되어 연결되는 상기 제2받침대(21) 하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받침대(21)에는 원통형 연결부(21a)가 구비되어 연결되되, 그의 일단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2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21b)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2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받침대(21)에 연결된 원통형 연결부(21a)가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타단부에 상호 분할되어 연결됨에 있어 상기 걸림돌기(21b)와 상기 걸림홈(24)의 후크 체결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걸림홈(24)은 상기 걸림돌기(21b)에 대응되는 위치에 링형상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원통형 연결부(21a)가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개구된 슬릿부(25)가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원통형 연결부(21a)는 상기 제2받침대(21) 외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타단에 체결되는데 있어, 상기 슬릿부(25)가 형성됨으로써 그 일단이 좁아지게 되므로 체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24)이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 타단 내주면을 둘러싼 링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지지대연결부(21a)가 후크 체결되되 상기 돌설된 걸림돌기(21b)가 상기 걸림홈(24)을 따라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래브(90) 하부에 슬래브받침(91)이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를 상기 슬래브받침(91) 하부에 설치함에 있어, 바닥면에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을 고정한 후 상기 다각너트부(3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이 승강하게 된다. 이처럼 승강된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타단에 상호 분할되어 연결된 상기 제2받침대(21)가 상기 슬래브받침(91)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받침대(21)는 상기 슬래브받침(91)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다각너트부(30)에 의해 전해지는 회전력은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원통형 연결부(21a)가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타단에 후크 체결되되, 상기 걸림돌기(21b)가 상기 링형상의 걸림홈(24)에 후크 체결되므로 상기 걸림돌기(21b)가 상기 걸림홈(24)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은 상기 제2받침대(21)에 간섭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전되여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외주에 너트스패너(4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을 위한 외력을 전달받는 제2너트(3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너트(32)에 고정된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은 회전되면서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되지만 상기 제2받침대(21)는 상기 슬래브받침(91)에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체결구조는 상기 슬래브(90)를 지지/고정하기 위해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상기 제2받침대(21)가 상기 슬래브받침(91)에 밀착되어 고정되더라도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은 회전되면서 승강이 가능하므로 제2받침대(21)로부터 상기 슬래브받침(91) 에 전해지는 힘이 수직방향으로 한정되어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를 설치함에 있어 보다 정확하고 일정한 높이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돌기(21b)와 상기 걸림홈(24)가 후크 체결되므로 상기 제2받침대(21)가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에서 이탈되어 분실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타단부 끝단에는 라운딩 가공된 앤드부(26)가 형성되어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이 회전됨에 있어 상기 제2받침대(21)에 전달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형 연결부(21a)가 구비된 상기 제2받침대(21)는 고정나사(92)에 의해 상기 슬래브받침(91)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단에 상기 암나사부(12)가 형성되되, 그의 일단에는 구조물의 천장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받침대(11)가 구비되어 연결되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타단에 상기 지지프레임이 내삽되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일단부측 외주면에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2)와 대응되도록 수나사부(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타단에는 구조물의 천장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받침대(21)가 구비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외주면에는 다각너트부(30)가 각각 연결되어 구비된다.
한편, 구조물의 슬래브(90)가 지지/고정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 사이에는 복수개의 파이프와 같은 연결부재를 체결되어 보강된다.
이를 위해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에 상기 연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해서 조인트(200,300)가 구비되어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조인트(200,300)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타단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도록 결합구(70)가 형성된 제1연결관부(50,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관부(50,15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타단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제2연결관부(60,160)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관부(50,150) 및 상기 제2연결관부(60,160)의 외주에는 상기 다각너트부(80,180)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다각너트부(80,180)는 각각 상기 제1연결관부(50,150)와 상기 제2연결관부(60,160)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억지끼움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관부(50,150) 및 제2연결관부(60,160) 내주면에는 암나사부(51,6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암나사부(51,61)에 지지프레임(95)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나사체결됨으로써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연결하여 보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물 지지장치(100)및 그를 위한 상기 조인트(200,300)는 각종 건축물의 거푸집 지지대, 건설용 작업대 또는 조선기자재 제조용 골격 설치를 위한 지지대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안전장치 및 지지/보조장치로 활용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제2연결관부(60,160)는 상기 제1연결관부(50,15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분지되어 형성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견고한 구조로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를 연결되므로 작업효율이 현저히 증가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향상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높이조절표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높이조절표시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에는 높이조절표시부(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표시부(14)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길이의 장공 형상을 이루는 슬롯부(14a)와, 상기 슬롯부(14a)가 형성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외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표시되는 눈금부(14b)가 포함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가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다각너트부(30)가 외력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은 회전하면서 승강하게 되고,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부(22) 역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의 상기 암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되어 승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표시부(14)를 통해 상기 수나사부(22)가 승강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다각너트부(30)가 회전됨에 따라 승강되어 변화된 위치값(La)을 상기 높이조절표시부(14)로부터 육안으로 확인되는 상기 수나사부(22)의 끝단이 승강되어 변화된 위치값(Lb)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표시부(14)를 통해 상기 수나사부(22)의 승강상태를 확인하면서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을 설정된 높이만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조물 지지장치(100)가 설치됨에 있어 보다 정밀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황에 따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에는 별도의 높이조절표시부(14)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서브지지프레임(20)의 수나사부(22) 일면을 평면으로 가공하여 눈금(미도시)을 표시하고 상기 다각너트부(30)가 회전됨에 있어, 상기 수나사부(22)가 승강됨에 따라 상기 암나사부(12)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눈금(미도시)을 확인하여 높이조절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메인지지프레임 11 : 제1받침대
12 : 암나사부 13, 23 : 보강리브
14 : 높이조절표시부 14a : 슬롯부
14b : 눈금부 20 : 서브지지프레임
21 : 제2받침대 21a : 원통형 연결부
21b : 걸림돌기 22 : 수나사부
24 : 걸림홈 25 : 슬릿부
26 : 앤드부 30, 80, 180 : 다각너트부
31 : 제1너트 32 : 제2너트
40 : 너트스패너 41 : 체결면
50, 150 : 제1연결관부 51, 61 :암나사부
60, 160 :제2연결관부 70 : 결합구
90 : 슬래브 91 : 슬래브받침
92 : 고정나사 95 : 지지프레임
100 : 구조물 지지장치 200, 300 : 구조물 지지장치 조인트

Claims (5)

  1. 일단에 제1받침대가 구비되어 연결되고 타단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의 메인지지프레임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일단부측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측에는 제2받침대가 구비되는 서브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외주에는 너트스패너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을 위한 외력을 전달받는 다각너트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받침대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타단부측은 상호 분할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받침대의 하면에 접하는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타단부는 라운드지게 이루어진 앤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받침대의 하면에는 종방향으로 개구된 슬릿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걸림돌기가 돌설되어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타단부측 내주로 삽입되는 원통형 연결부가 연결되며,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타단부측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후크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너트부는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타단부측 외주에 구비되는 제1너트와,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수나사부의 끝단측 외주에 구비되는 제2너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3. 삭제
  4. 일단에 제1받침대가 구비되어 연결되고 타단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의 메인지지프레임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일단부측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측에는 제2받침대가 구비되는 서브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장치를 위한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타단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결합구가 형성된 제1연결관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연결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타단 및 상기 서브지지프레임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제2연결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관부 및 상기 제2연결관부의 외주에는 너트스패너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을 위한 외력을 전달받는 다각너트부가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를 위한 조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부는 상기 제1연결관부로부터 복수개로 분지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를 위한 조인트.
KR1020120064223A 2012-06-15 2012-06-15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KR101194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223A KR101194410B1 (ko) 2012-06-15 2012-06-15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223A KR101194410B1 (ko) 2012-06-15 2012-06-15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410B1 true KR101194410B1 (ko) 2012-10-24

Family

ID=4728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223A KR101194410B1 (ko) 2012-06-15 2012-06-15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986B1 (ko) * 2020-12-18 2022-03-02 권오진 페이퍼 파이프 서포트
KR20220045844A (ko) * 2020-10-06 2022-04-13 김준영 토압분리형 보강토 교대용 파이프 서포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745A (ja) * 2004-11-22 2006-06-08 Hoshino Kikaku:Kk 天地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745A (ja) * 2004-11-22 2006-06-08 Hoshino Kikaku:Kk 天地支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844A (ko) * 2020-10-06 2022-04-13 김준영 토압분리형 보강토 교대용 파이프 서포트
KR102404204B1 (ko) * 2020-10-06 2022-06-02 김준영 토압분리형 보강토 교대용 파이프 서포트
KR102369986B1 (ko) * 2020-12-18 2022-03-02 권오진 페이퍼 파이프 서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9024A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CN112523495B (zh) 一种可单侧支设墙体模板的支架
KR20110013661A (ko)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US3797793A (en) Shoring scaffold and formwork support
KR101194410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KR101812230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KR102252089B1 (ko) 빔 인상장치
KR20140147642A (ko) 건축용 서포트
KR102497770B1 (ko)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JP6448683B2 (ja) スラブ支持装置及び建物の解体方法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102039439B1 (ko) 잭베이스 서포터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KR0140904B1 (ko)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KR101934520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시공용 거푸집 시스템 및 합벽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KR102011988B1 (ko) 트러스 거더 탈착식 데크플레이트
KR101260272B1 (ko)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KR102427444B1 (ko) 서포트 일체형 와플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0660426B1 (ko) 갱폼 추락방지구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JPH0536042Y2 (ko)
KR20000018037A (ko) 현수 거푸집공법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CN205804922U (zh) 一种新型预埋工具式脚手架连墙件
KR101796853B1 (ko) 서포트 길이 연장용 익스텐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