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661A -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661A
KR20110013661A KR1020090071228A KR20090071228A KR20110013661A KR 20110013661 A KR20110013661 A KR 20110013661A KR 1020090071228 A KR1020090071228 A KR 1020090071228A KR 20090071228 A KR20090071228 A KR 20090071228A KR 20110013661 A KR20110013661 A KR 20110013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crane
fixed support
tower
fixed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륜
Original Assignee
김기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륜 filed Critical 김기륜
Priority to KR1020090071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3661A/ko
Publication of KR2011001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6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the side, e.g. by walls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 시공시 사용되는 타워크레인의 자립고(自立高)이상에서의 수평유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풍력 및 하중에 의해 비틀림변형을 최소화하고, 크레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쓰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 및 설치가 쉽고 간편한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90071228
타워크레인, 타워마스트, 캐빈, 자립고, 고정지지체

Description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TOWER CTANE WALL BRACING}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 시공시 사용되는 타워크레인의 자립고(自立高)이상에서의 수평유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풍력 및 하중에 의해 비틀림변형을 최소화하고, 크레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쓰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 및 설치가 쉽고 간편한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워크레인은 고층건물의 건설현장에서 건설자재나 작업수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건설자재나 작업수화물을 높이 들어올리는 것이가능하고, 그 작업범위가 넓기때문에 특히, 대도시의 밀집된 고층 건축물의 공사시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사용되고 있는타워크레인은 각 구성부품들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보통 고층건물을 지을때 축조되는 건물의 높이와 비례하여 상기 타워크레인의 높이도 상승하도록 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상기 타워크레인은 타워크레 인 섹션(Tower crane section)을 적층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그 높이가 높아지게 되는 바, 상기 타워크레인 섹션은 지면에 대해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타워마스트(mast)와 이들 타워마스트를 트러스(truss)구조로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복수개의 보강바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타워크레인은 작업높이가 높은 철골구조물로써, 풍속이나 외기의 영향에 따라 일시적으로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되거나, 타워크레인이 스스로 서있을 수 있는 높이인 자립고(自立高)의 높이를 벗어나면 하중을 골고루 분산하게 되지못함으로 인하여 한부분으로 쏠림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타워크레인이 일측으로 붕괴되는 대형재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타워크레인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상기 타워 마스트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별도의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되었는 바, 통상적으로 이러한 수단으로 건축물 등의 벽체에 지지하는 월 브레이싱(wall bracing)과, 와이어 로프(wire rope)를 이용하여 건물 또는독립기초에 지지하는 로프브레이싱(rope breacing)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벽체에 타워크레인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각종 건설규제에 따른 시험을 거쳐안전성을 입증하도록 하고, 와이어로프에 지지시킬 경우에는 전용 지지프레임을 사용하여 그 설치각도를 수평면에서 60°이내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타워크레인 지지방법 중 벽체를 이용한 지지방법인 월 브레이싱(wall bracing)은 타워크레인의 양측으로 벽체를 건설해야 함에 따라시설비가 증가되어 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그 대체적인 방법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공되는 건물의 측벽에 지지구를 연결하는 방식이 현재 주로사용되고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의 측벽 지지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타워크레인(1)의 타워 마스트(10)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석부 양측으로 상기 타워 마스트(10)와 수평됨과 고정됨을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과 건물 벽체를 연결하여 상기 타워크레인(1)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고정지지대(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20)에는 상기 고정지지대(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부(22)가 마련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는 타워 마트스(10)에 상기 프레임(20)을 고정시킨 후 고정지지대(30)를 이용하여 건물을 통해 상기 타워크레인(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에 사용되는 고정지지대(30)는 건물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타워 마스트(10)를 연결하기 위해 현장에서 건물 과 타워 마스트(10) 간의 거리를 측정한 후 절단기구를 이용하여 절단한 다음 다시 건설현장으로 이송하여 프레임(20)과 건물을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공사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워 마스트(10)와 건물간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한 후 고정지지대(30)를 제작하였다고는 하나, 미세하게 오차가 발생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지상에서 고층으로 갈수록 그 오차가 증가하여 나중에는 타워크레인(1) 자체가 건물에 대해 기울어지게 불안정 결합되어 안전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 타워 마스트(10)의 외주면 설치된 프레임(20)에 마련된 결합공(22)과 고정지지대(3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공을 일치시킨 후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공(22)을 나사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와 해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타워 마스트(10)와 건물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고정지지대(30)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타워크레인(1)의 철거후 다른 공사현장에서의 재활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재료비의 증가를 가져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 건물 시공시 사용되는 타워크레인의 자립고(自立高) 이상에서의 수평유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크레인이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전체적인 공사기간 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크레인 해체후 다른 공사현장에서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타워 마스트에 설치되어 상기 타워크레인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타워 마스트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프레임과 일단이 나사결합되고, 타단이 건물 벽체에 고정되는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는 일단에 상기 프레임과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공이 형성되고, 타단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조절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의 조절나사공에 결합되는 것으로, 길이재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 양 끝단에 각각 왼나 사산과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부, 일단이 상기 조절부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조절나사공이 내측 함몰되게 형성되고, 타단에 건물의 벽체와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와 결합되어 고정지지체의 전체적인 길이를 신장 또는 축소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양 끝단에 상기 마감부의 플랜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왼나사산과 오른나사산 사이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기 조절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파지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상기 마감부 및 연장부의 일측에는 막대형상의 안전바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는 타워크레인의 타워 마스트 외주면을 감싸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건물은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고정지지체를 구비하되,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는 선택적으로 조절부를 회 전시켜 고정지지체의 전체적인 길이를 신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레임과 건물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아무곳에나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재활용이 가능하며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고정지지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는 현장에서 바로바로 전체적인 길이를 신장축소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프레임과 건물간의 거리를 측정한 후 절단하지 않아도 됨으로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가 프레임과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의 안전바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100)는 타워크레인(1)의 타워 마스트(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20)과 건물의 측벽을 연결하여 상기 타워크레인(1)이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 구조를 간단히하여 쉽고 간편하게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100)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타워크레인(1)의 타워 마스트(10)를 감싸도록 위치된 프레임(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축조되는 건물의 측벽에 연결되는 것으로, 크게 고정부(110)와, 조절부(120), 마감부(130), 그리고, 연장부(14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는 일단에 상기 타워크레인(1)의 타워 마스트(10) 외주면에 설치되는 프레임(20)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공(112a)이 형성되고, 타단에 후술하는 조절부(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조절나사공(114)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10)는 일단에 상기 프레임(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편(112)이 돌출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프레임(2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브라켓(22)과 결합될 수 있도록 얇은 판 형상으로 결합편(112)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편(112)의 중앙부에는 나사공(112a)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타단은 조절부(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되게 조절나사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편(112)과 결합되는 프레임(20)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 형상의 결합편(112)과 대응되는 브라켓(22)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브라켓(22)에는 상기 결합편(112)에 형성된 나사공(112a)과 동일한 나사공(22a)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편(112) 및 브라켓(22)에 형성된 나사공(112a,122a)을 일치시킨 후 나사(S)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고정부(110)가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110)의 타단과 결합되는 조절부(12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재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 양 측에 각각 왼나사산과 오른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왼나사산과 오른나사산 사이에 직교하게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파지봉(1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왼나사산 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부(120)의 양 끝단 중 어느 일단은 상기 고정부(110)와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마감부(130)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이와 결합되는 고정부(110) 및 마감부(130)도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상기 왼나사산과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부(120) 상에는 각각 상기 고정부(110) 또는 마감부(130)와 결합되어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부재(124)가 마련된다.
상기 잠금부재(124)는 상기 조절부(120) 상에 각각 결합되어 파지봉(122)을 통해 고정지지체(100)의 길이를 조정한 후 더 이상의 길이 조정이 불가하도록 각각 고정부(110) 또는 마감부(130)와 접촉되도록 하여 조절부(1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절부(120)의 타단에 결합되는 마감부(130)는 상기 고정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조절나사공(114)과 동일하게 상기 마감부(130)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조절나사공(134)이 형성되며, 타단은 건물의 벽체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나사(S)가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공(132a)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플랜지(132)가 마련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마감부(130)의 플랜지(132)가 형성된 타단에 연장부(140)를 더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설치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감부(130)의 플랜지(132)와 동일하게 연장부(140)의 양 말단에 플랜지부(142)를 형성시켜 이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택적으로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감부(130) 및 연장부(140)에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막대형상의 안전바(150)가 설치된다. 상기 안전바(150)는 경우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마감부(130) 및 연장부(140) 등을 밟고 올라가 작업을 수행할 경우 도 3 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기립된 후 와이어(Y)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바(150)의 양 단에는 각각 나사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152)이 형성된 어느 한 안전바(150)의 일측에는 고정공(154)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전바(150)는 작업자가 고층에서 작업을 수행할 경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상기 마감부(130) 및 연장부(140)의 일측에 볼트(S)에 의해 양단이 고정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안전바(150)를 사용할 경우에는 양 단을 고정시키고 있는 볼트(S) 중 어느 하나를 분리한 후 상기 안전바(150)를 회전시킨 다음 다시 분리해 낸 볼트(S)를 고정공(154)에 삽입하여 회전시킨 안전바(150)를 고정시킨다. 이후, 안전바(150)의 상단에 와이어(Y)를 연결한 후 로프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와 와이어(Y)를 연결함으로써, 작업자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된 안전바(150)의 고정공(154)이 위치하는 마감부(130) 및 연장부(140) 상에는 상기 고정공(154)과 대응되는 체결공(130a,140a)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공(154)과 체결공(130a,140a)을 일치시킨 다음 상기 고정공(154)과 체결공(130a,140a)에 볼트(S)를 삽입하여 안전바(15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의 조립순서 및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타워크레인(1)의 타워 마스트(10) 외주면에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20)을 감싸도록 설치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100)의 고정부(110), 조절부(120), 마감부(130), 연장부(140)를 조립한 후 상기 프레임(20)의 브라켓(22)에 형성된 나사공(22a)과 고정부(110)의 결합편(112)에 형성된 나사공(112a)을 일치시킨 후 나사(S)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조립한다.
이후, 고정부(110)와 마감부(130)를 연결하고 있는 조절부(120)의 파지봉(122)을 회전시켜 타워 마스트(10)와 건물 간의 거리만큼 고정지지체(100)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킨 다음, 연장부(140)의 말단에 형성된 플랜지(142)를 건물의 벽체에 고정시켜 타워크레인(1)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건물의 층수가 올라갈 때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타워 마스트(10)를 견고히 고정시킴으로써, 타워 크레인(1)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쓰러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 고정지지체(100)는 전체적인 길이를 자유롭게 신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다른 공사현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프레임 및 건물의 벽체에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고, 건물과 타워크레인 간의 거리를 측정하지 않고도 바로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지지체(100)를 재사용할 수 있어 타워크레인(1) 설치시 소요되는 고정지지체(100)의 원자재 값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인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의 기술은 매우 단순하나, 그 기술적 효과는 매우 크다는 점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장점은 매우 명확하다 할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의 측벽 지지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보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가 프레임과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체의 안전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타워크레인 10 : 타워 마스트
20 : 프레임 22 : 브라켓
22a : 나사공 100 : 고정지지체
110 : 고정부 112 : 결합편
112a : 나사공 114 : 조절나사공
120 : 조절부 122 : 파지봉
124 : 잠금부재 130 : 마감부
132: 플랜지 132a : 결합공
134 : 조절나사공 140 : 연장부
142 : 플랜지 S : 나사

Claims (4)

  1. 타워크레인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타워 마스트에 설치되어 상기 타워크레인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타워 마스트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프레임과 일단이 나사결합되고, 타단이 건물 벽체에 고정되는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는:
    일단에 상기 프레임과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공이 형성되고, 타단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조절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의 조절나사공에 결합되는 것으로, 길이재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 양 끝단에 각각 왼나사산과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부;
    일단이 상기 조절부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조절나사공이 내측 함몰되게 형성되고, 타단에 건물의 벽체와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와 결합되어 고정지지체의 전체적인 길이를 신장 또는 축소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양 끝단에 상기 마감부의 플랜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왼나사산과 오른나사산 사이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기 조절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파지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 및 연장부의 일측에는 막대형상의 안전바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KR1020090071228A 2009-08-03 2009-08-03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Ceased KR20110013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28A KR20110013661A (ko) 2009-08-03 2009-08-03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28A KR20110013661A (ko) 2009-08-03 2009-08-03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61A true KR20110013661A (ko) 2011-02-10

Family

ID=4377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228A Ceased KR20110013661A (ko) 2009-08-03 2009-08-03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3661A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3603A (zh) * 2013-05-19 2013-08-21 上海庞源机械租赁股份有限公司 用于塔式起重机的组合式附墙拉杆
CN103935913A (zh) * 2014-04-22 2014-07-23 广西大学 一种主动控制的塔式起重器柔性附着装置
CN104925681A (zh) * 2015-05-18 2015-09-23 中核华兴达丰机械工程有限公司 塔式起重机用模块化组合式附墙撑杆
CN104944297A (zh) * 2015-06-26 2015-09-30 上海绿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可调节附墙撑杆及其安装方法
CN105000482A (zh) * 2015-08-02 2015-10-28 周兆弟 带行走机构的塔吊
CN105000483A (zh) * 2015-08-02 2015-10-28 周兆弟 用于塔吊支撑的支撑杆系统
CN105000481A (zh) * 2015-08-02 2015-10-28 周兆弟 带有支撑杆的塔吊
CN105060136A (zh) * 2015-08-02 2015-11-18 周兆弟 用于塔吊的支撑横梁的轴向偏差消除机构
CN105060135A (zh) * 2015-08-02 2015-11-18 周兆弟 塔吊
CN105819353A (zh) * 2016-05-14 2016-08-03 温州中宏建筑设备有限公司 一种分体组合式塔吊附墙架及其安装方法
WO2017020540A1 (zh) * 2015-08-02 2017-02-09 周兆弟 用于塔吊支撑的支撑杆系统
US9851049B1 (en) 2016-08-29 2017-12-26 John Rene Spronken Crane tie arm adjustment
CN109987531A (zh) * 2017-12-31 2019-07-09 广东庞源工程机械租赁有限公司 一种内套式万能塔机调节拉杆
CN110143529A (zh) * 2019-05-20 2019-08-20 山东中建众力设备租赁有限公司 一种变截面桁架式塔式起重机超长附着施工方法
USD874082S1 (en) 2016-08-29 2020-01-28 John Rene Spronken Crane tie-arm
CN111173832A (zh) * 2018-11-10 2020-05-19 广东庞源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设备维修用临时替代支撑的机构
CN114060221A (zh) * 2021-11-11 2022-02-18 江苏亨通蓝德海洋工程有限公司 利用浮式船舶进行海上风机安装的机舱吊装及对接方法
CN114394541A (zh) * 2022-01-21 2022-04-26 湖南中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双重安全保护装置的塔机标准节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3603A (zh) * 2013-05-19 2013-08-21 上海庞源机械租赁股份有限公司 用于塔式起重机的组合式附墙拉杆
CN103935913A (zh) * 2014-04-22 2014-07-23 广西大学 一种主动控制的塔式起重器柔性附着装置
CN104925681A (zh) * 2015-05-18 2015-09-23 中核华兴达丰机械工程有限公司 塔式起重机用模块化组合式附墙撑杆
CN104944297A (zh) * 2015-06-26 2015-09-30 上海绿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可调节附墙撑杆及其安装方法
WO2017020540A1 (zh) * 2015-08-02 2017-02-09 周兆弟 用于塔吊支撑的支撑杆系统
CN105060135B (zh) * 2015-08-02 2017-06-23 周兆弟 塔吊
CN105000481A (zh) * 2015-08-02 2015-10-28 周兆弟 带有支撑杆的塔吊
CN105060136A (zh) * 2015-08-02 2015-11-18 周兆弟 用于塔吊的支撑横梁的轴向偏差消除机构
CN105060135A (zh) * 2015-08-02 2015-11-18 周兆弟 塔吊
CN105000483A (zh) * 2015-08-02 2015-10-28 周兆弟 用于塔吊支撑的支撑杆系统
WO2017020539A1 (zh) * 2015-08-02 2017-02-09 周兆弟 带行走机构的塔吊
WO2017020538A1 (zh) * 2015-08-02 2017-02-09 周兆弟 塔吊
CN105000482A (zh) * 2015-08-02 2015-10-28 周兆弟 带行走机构的塔吊
CN105819353A (zh) * 2016-05-14 2016-08-03 温州中宏建筑设备有限公司 一种分体组合式塔吊附墙架及其安装方法
US9851049B1 (en) 2016-08-29 2017-12-26 John Rene Spronken Crane tie arm adjustment
USD874082S1 (en) 2016-08-29 2020-01-28 John Rene Spronken Crane tie-arm
CN109987531A (zh) * 2017-12-31 2019-07-09 广东庞源工程机械租赁有限公司 一种内套式万能塔机调节拉杆
CN111173832A (zh) * 2018-11-10 2020-05-19 广东庞源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设备维修用临时替代支撑的机构
CN111173832B (zh) * 2018-11-10 2023-12-19 广东庞源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设备维修用临时替代支撑的机构
CN110143529A (zh) * 2019-05-20 2019-08-20 山东中建众力设备租赁有限公司 一种变截面桁架式塔式起重机超长附着施工方法
CN114060221A (zh) * 2021-11-11 2022-02-18 江苏亨通蓝德海洋工程有限公司 利用浮式船舶进行海上风机安装的机舱吊装及对接方法
CN114060221B (zh) * 2021-11-11 2024-02-06 江苏亨通蓝德海洋工程有限公司 利用浮式船舶进行海上风机安装的机舱吊装及对接方法
CN114394541A (zh) * 2022-01-21 2022-04-26 湖南中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双重安全保护装置的塔机标准节
CN114394541B (zh) * 2022-01-21 2024-11-22 湖南中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双重安全保护装置的塔机标准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3661A (ko)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US9004443B2 (en) Early-stripping formwork system for concreting of constructions comprising beams, slab and columns
CN203783102U (zh) 一种外挑式移动脚手架
KR102276051B1 (ko) 시스템비계
KR100924652B1 (ko) 허니콤부재를 이용한 토건용 거푸집 패널
CN113175091B (zh) 一种全装配式预应力框架索系组合结构
CN113931313A (zh) 超高层核心筒水平结构施工方法
KR20110014341A (ko)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KR100634465B1 (ko)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KR101260272B1 (ko)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CN207063497U (zh) 一种可用于建筑工程特殊部位的高处作业吊篮悬挂装置
CN210976063U (zh) 一种组合式防连续倒塌钢框架
CN101906870A (zh) 悬挑脚手架
CN210067523U (zh) 一种伞形地库顶板回顶加固装置
CN219034132U (zh) 一种多层全装配建筑施工临边防护系统
CN109898820B (zh) 装配式建筑外防护架及装配式建筑施工方法
CN218912364U (zh) 一种装配式钢立柱支撑结构
CN103628692A (zh) 一种楼面梁安装支架及使用施工方法
CN217998156U (zh) 一种塔吊装配式可周转拉杆连接结构
KR200394923Y1 (ko)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CN111042508A (zh) 一种高空超长悬挑支撑构件及其施工方法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CN220645265U (zh) 一种钢屋盖结构提升装置的安装节点
CN219808575U (zh) 一种钢结构和混凝土组合结构
CN219316499U (zh) 一种用于装配式结构预制墙板的斜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2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1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3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2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204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111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5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1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