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923Y1 -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4923Y1 KR200394923Y1 KR20-2005-0016290U KR20050016290U KR200394923Y1 KR 200394923 Y1 KR200394923 Y1 KR 200394923Y1 KR 20050016290 U KR20050016290 U KR 20050016290U KR 200394923 Y1 KR200394923 Y1 KR 2003949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wer crane
- fixing
- frame
- mast
- fix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2
- 239000002965 ro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3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below, e.g. by floors of build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the side, e.g. by walls of build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Abstract
본 고안은 타워크레인 마스트기둥의 외면에 조립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타워크레인마스트의 외면에 볼트를 이용하여 밀착할 수 있는 각각의 고정부와, 건축물의 외벽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의 양측에 부착시킨 브래킷과, 지면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사방으로 부착시킨 각각의 브래킷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워크레인마스트의 체결너트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형성시킨 각각의 클램프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워크레인이 태풍 등의 외력에 넘어지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벽체에 고정시키기거나 지면과 고정을 시키고, 상기 고정장치가 하방으로 미끄러지는 현상 또는 추락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타워크레인의 마스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워크레인은 고층 건축물의 축조에 이용되며 작업수화물을 용이하게 작업자가 원하는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립구조체로서, 수직부재인 마스트를 바닥에 고정시키고 순차적으로 마스트를 연장하여 타워크레인 본체를 상승시키는 고정타입과, 골조의 상승축조에 따라 마스트 및 타워크레인 본체가 들려져 올라가는 클라이밍타입이 대표적이다.
위에서 고정타입은 지반에 고정앵커를 콘크리트 블록으로 고정시키고 타워크레인을 설치하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건물의 골조가 상승축조 됨에 따라 타워크레인의 수직부재인 마스트를 연장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서 고층으로 갈수록 풍력 등의 외력에 견딜 수 있는 힘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의 일정한 높이의 위치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상기 구조물과 지반에 설치시킨 고정앵커를 와이어로프로서 사방으로 연결하여 크레인의 마스트를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하며, 또 타워크레인을 건축물의 가까이에 근접하여 사용할 때 타워크레인과 건축물의 외벽 사이에 고정수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타워크레인의 고정수단은 강철빔 등을 사각틀의 형상으로 현장에서 맞춤형태로 가공한 후 타워크레인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여서 설치하고, 상기 고정수단과 지반을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과 타워크레인의 마스트기둥의 일정부분에 브래킷을 부착하여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매번의 공사 시 마다 현장에서 임시로 제작하여 설치하게 됨으로서 자재의 손실과 제작에 따르는 인력의 낭비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며, 상기한 타워크레인의 마스트기둥의 일정부분에 브래킷을 부착하여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 또한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타워크레인의 마스트기둥이 휨에 의한 변형이오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의 등록특허 제 10-0365636호의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이하 "선행기술 "이라함 )가 있다. 이에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타워크레인 마스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양측에 건축물의 외벽과의 고정을 위한 제1 고정대와, 상기 본체의 외측구석부에 지면과의 고정을 위한 다수의 제2 고정대와, 상기 본체의 내부면에 구석부 양측으로 다수개 형성되어져 고정나사와 상기 고정나사의 일측끝 부분에 부착된 지지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본체의 외측구석부에 지면과의 고정을 위한 다수의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 내부에 형성되어진 고정나사와 상기 고정나사의 일측끝 부분에 부착된 지지편으로 마스트의 기둥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고정대를 이용하여 지면과 와이어로프로서 고정시켜 타워크레인을 지탱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편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이 마스트의 기둥에 밀착만 시킨 상태에서 지면에서부터 와이어로프로 사방에서 아랫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는 상태가 됨으로서 상기 본체프레임이 상기 마스트의 기둥에서 미끌림현상이 발생되어 지면으로 추락할 우려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본체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 후 또는 작업도중 상기 본체프레임에 문제가 발생될 때 본체가 쉽게 분리가 되지 않아 작업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참고적으로서 상기한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의 사용방법은 벽체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방법과 지면과의 고정을 위한 고정방법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으며 작업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이 되는 것이다. 이는 타워크레인과 건축물과의 거리에 따라서 선택되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공사 시 타워크레인을 사용함에 있어서 풍력이나 외력 등의 재해가 발생하여도 타워크레인이 쓰러지지 않도록 구성시킨 타워크레인의 마스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가 풍력이나 외력에 의하여 하부의 인장력으로부터 상기 고정장치가 하방으로 미끄러지거나 추락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타워크레인의 마스트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타워크레인 마스트기둥의 외면에 조립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타워크레인마스트기둥의 외면에 볼트를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는 각각의 고정부와, 건축물의 외벽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의 양측에 부착시킨 브래킷과, 지면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사방으로 부착시킨 각각의 브래킷이 구성된 타워크레인의 마스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워크레인마스트의 체결너트의 상면중앙부에 걸쳐지도록 형성시킨 각각의 클램프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레임은 분리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려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 고정장치는 타워크레인 마스트기둥(200a)의 외면에 조립될 수 있도록 각각의 프레임(10,20,30)들이 서로 조립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며, 타워크레인마스트기둥의 외면에, 조정볼트(B)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각각의 고정부(13,14,24,25,26,34,35,36)와, 건축물(300)의 외벽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30)의 일 측 끝단에 부착시킨 브래킷(50,51)과, 지면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30)의 하부에 바깥방향으로 부착시킨 각각의 브래킷(20b,20c,30b,30c)과, 상기 프레임(10,20,30)들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워크레인마스트(200)의 체결너트(201)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형성시킨 각각의 클램프(11,12,21,22,23,31,32,33)들로서 구성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10,20,30)들은 "H"빔 또는 챤넬로서 구성되며, 크레인마스트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양측 가장자리의 내측과 또 다른 프레임(20,30)의 내측 각 모서리부와 타 측 가장자리에 크레인마스트기둥(200a)의 외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형성하여 조정볼트(B)를 사용하여 크레인마스트기둥(200a)의 외면과 밀착되게 하며, 상기 프레임(10,20,30)의 상부 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크레인마스트의 조립용너트(201)의 상단측에 위치하여 상기 크레인마스트의 조립용너트(201)의 상면 중앙부에 걸쳐질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20,30)의 내측방향으로 다수의 클램프(11,12,21,22,23,31,32,33)를 구성시킨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H"빔으로 형성되는 프레임(20,30)들은 플랜지(40,41)와 체결볼트(42) 및 체결너트(43)로서 체결시켜 조립되고, 상기 프레임(20,30)과 챤넬로서 형성되는 프레임(10)은 각각의 체결핀(60,61)을 이용하여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편의 구성은 본 고안의 고정장치를 타워크레인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때 상기 보강판에 체결된 조정볼트(B)를 후진시켜 고정편에 형성된 볼트삽입홈(15b,28b,38b)에서 조정볼트(B)를 해체시키고 각 브래킷(15a,28a,38a,16a,29a,39a)과 체결볼트(90)를 힌지로 하여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10a,10b,20a,30a 는 핀구멍. 27,37은 보강대 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는 미끌림방지를 위하여 구성시킨 다수개의 클램프에 의하여 어떠한 풍력이나 외력에서도 본고안의 고정장치는 하방으로 미끄러지거나 추락될 위험이 없는 것으로서 타워크레인의 사용 시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가 있는 것이며, 각각의 프레임들이 쉽게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시켜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평면에서 표현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 ; 프레임 11,12,21,22,23,31,32,33 ; 클램프
40,41 ; 플랜지 60,61 ; 체결핀
200a ; 타워크레인마스트 기둥 201 ; 타워크레인마스트의 조립용 너트
1 : 타워크레인
Claims (5)
- 타워크레인 마스트기둥의 외면에 조립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타워크레인마스트의 외면에 볼트를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는 각각의 고정부(13,14,24,25,26,34,35,36)와, 건축물의 외벽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의 양측에 부착시킨 브래킷(50,51)과, 지면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사방으로 부착시킨 각각의 브래킷(20a,20b,30a,30b)이 구성된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에 있어서,상기 고정장치(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워크레인마스트(200)의 조립용너트(201)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형성시킨 다수개의 클램프(11,12,21,22,23,31,32,33)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100)는 플랜지(40,41)와 핀구멍(10a,10b,20a,30a)이 형성되어 있는 3개의 프레임(10,20,30)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20,30)들은 체결핀(60,61)과 체결볼트(42) 및 체결너트(43)로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보강판과 고정편 및 조정볼트로서 구성되며, 상기 고정편과 보강판은 각각의 브래킷과 체결볼트/너트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보강판에 체결된 조정볼트를 후진시켜 고정편에 형성된 볼트삽입홈에서 조정볼트를 해체시킬 때, 각 브래킷과 체결볼트를 힌지로 하여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6290U KR200394923Y1 (ko) | 2005-06-08 | 2005-06-08 |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6290U KR200394923Y1 (ko) | 2005-06-08 | 2005-06-08 |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4923Y1 true KR200394923Y1 (ko) | 2005-09-07 |
Family
ID=4369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6290U KR200394923Y1 (ko) | 2005-06-08 | 2005-06-08 |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492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553U (ko) * | 2015-04-06 | 2016-10-14 | 홍득표 | 타워크레인용 고정프레임 |
KR102451479B1 (ko) | 2021-08-09 | 2022-10-07 | 조항경 | 타워크레인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 안전 시스템 및 체결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
-
2005
- 2005-06-08 KR KR20-2005-0016290U patent/KR20039492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553U (ko) * | 2015-04-06 | 2016-10-14 | 홍득표 | 타워크레인용 고정프레임 |
KR200482504Y1 (ko) * | 2015-04-06 | 2017-02-02 | 홍득표 | 타워크레인용 고정프레임 |
KR102451479B1 (ko) | 2021-08-09 | 2022-10-07 | 조항경 | 타워크레인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 안전 시스템 및 체결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4465B1 (ko)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
KR100665718B1 (ko) | 타워크레인 벽체지지용 보강장치 | |
KR20110013661A (ko) |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 |
JP4203441B2 (ja) |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装置及びその構築方法 | |
CZ2018310A3 (cs) | Skládaná sestava ocelové konstrukce pro zdvihací zařízení | |
KR20110014341A (ko) |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 |
KR200388758Y1 (ko) | 타워크레인의 고정앵커 구조 | |
KR200394923Y1 (ko) |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 |
US10704253B1 (en) | Floor plate for a multi-story building | |
AU201125068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vement of objects between spaced-apart locations | |
CA3137574A1 (en) | Vertical slip form construction system with multi-function plat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therewith | |
KR200417902Y1 (ko) |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 |
JP4654075B2 (ja) |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受け梁構造 | |
KR102102214B1 (ko) |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 |
KR200195457Y1 (ko)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
KR100427751B1 (ko) |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 |
KR100788000B1 (ko) |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60272B1 (ko) |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 |
KR20090067925A (ko) | 수평 강선을 이용한 아웃리거 보강구조 | |
KR20090067927A (ko) | 수직 강선을 이용한 아웃리거 보강구조 | |
KR100740945B1 (ko) | 건축 구조물 안전 계단 설치구조 | |
KR102272030B1 (ko) | 통기형 실외용 승강기 프레임 구조물 | |
JPH1088786A (ja) | 柱状構造物用足場 | |
CN210340110U (zh) | 一种大跨度装配式双t板吊装结构 | |
KR20090064775A (ko) | 발코니 확장형 윌타이 브라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