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751B1 -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751B1
KR100427751B1 KR10-2002-0037962A KR20020037962A KR100427751B1 KR 100427751 B1 KR100427751 B1 KR 100427751B1 KR 20020037962 A KR20020037962 A KR 20020037962A KR 100427751 B1 KR100427751 B1 KR 10042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core
wall
support
tower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299A (ko
Inventor
정삼룡
한송수
이상헌
이계영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7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7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the side, e.g. by walls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아 선행공법에 의한 초고층 건축물 골조 축조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아를 중심으로 복수대의 타워크레인을 배치할 경우 장비간의 이격거리를 멀리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어느 한 대를 코아의 외벽에 안정적으로 설치시키며 조립 및 해제가 용이토록 하는 타워크레인의 외벽 설치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아의 외벽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지지 및 상승무게를 지탱시키도록 코아 외벽에 설치되는 써포트빔에 있어서, 코아벽에 수평적으로 설치되는 양측빔(30)(30'), 상기 양측빔(30)(30') 사이의 선단에 수평적으로 설치되는 전방빔(40)(40'), 일단이 양측빔(30)(30')의 선단에 타단이 코아벽에 수평적으로 설치되는 지지빔(50)(50'), 일단이 양측빔(30)(30')의 선단에 타단이 코아벽에 수직적으로 설치되는 지탱빔(60)(60'), 및 상기 지지빔(50)(50') 및 지탱빔(60)(60')의 인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빔 및 지탱빔에 개재 설치되는 스크류잭(53)(63)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An installation beam of tower-crane for an outer wall}
본 발명은 코아 선행공법에 의한 초고층 건축물 골조 축조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아를 중심으로 복수대의 타워크레인을 배치할 경우 장비간의 이격거리를 멀리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어느 한 대를 코아의 외벽에 안정적으로 설치시키며 조립 및 해제가 용이토록 하는 타워크레인의 외벽 설치빔에 관한 것이다.
타워크레인은 건설현장 등에서 작업수화물을 용이하게 작업자가 원하는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립구조체로서 작업환경에 따른 작업하중과 풍압과 같은 외부 하중조건들을 고려한 구조적 역학계산에 의거하여서 모멘트 등을 고려하여 작성된 하중표에 의해 적정한 작업수하물을 안전하게 승하강 및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타워크레인은 수직부재인 마스트가 바닥에 고정되어 순차적으로 연장 상승시키는 프리스탠딩타입(고정형)과 골조의 상승축조에 따라 마스트가 들려져 올라가는 클라이밍타입(상승형)을 포함하고, 트레이를 구비하여 지브가 수평적으로 회전하는 T타입과 지브가 상하 회동하는 러핑타입으로 분류된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T타입의 타워크레인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타워크레인(10)은 지반에 수직하게 세워진 마스트(11), 이 마스트(11)의 상부 선단부에서 카운트웨이트(12)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도록 된 수평대인 카운트지브(13) 및 후크블록(14)을 갖춘 메인지브(15), 상기 마스트(11)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구비된 스윙모터에 의해 짐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선회장치(16), 이 선회장치의 상부에서 운전석과 상기 카운트지브와 메인지브를 연결하여 지탱하는 켓트헤드(17), 상기 마스트의 소정위치에 배설되어 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유압상승장치(미도시) 등을 갖추고 있다.
한편 건축 골조 구축은 본골조(1)의 슬라브상에 엘리베이터나 계단 등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코아(2)가 선행 구축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타워크레인(10)은 상기 선행구축되는 코아(2)에 간섭받지 않도록 본골조(1) 외주부 슬라브를 통해 설치되기 보다는 코아(2)를 통해 설치되고 있고 초고층임을 감안하면 클라이밍타입(상승형)의 타워크레인이 설치되고 있다.
즉 코아 선행공법에 의한 초고층 건축물 골조축조에 있어서 타워크레인의 설치는 장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코아(2) 내부에 상승형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게 되고, 이 때 1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아(2) 내부의 여러 공간중에서 적정한 위치에 배치하게 되지만 2대 이상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코아(2) 내부에 2대 이상의 크레인을 배치하기에는 장비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고려하여 1대의 장비는 코아(2)에 나머지 장비는 본골조(1) 외주부 슬라브에 설치하게 되나, 그럴 경우 슬라브에 설치된 장비는 선행된 코아(2)에 의하여 작업범위가 한정됨으로 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코아(2) 바깥벽에 까치발 형태의 지지대(3)를 만들어 이 곳에 타워크레인을 배치함으로써 장비간의 이격거리를 멀게 할 수 있어서 코아에 장비를 복수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3)상에는 상승된 타워크레인을 지탱시킬 수 있는 콜라(COLLAR)(4)가 설치된다.
그런데 코아 내부의 여러 공간을 통해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지지는 코아의 주변벽을 쉽게 이용하여 설치되는 지지빔을 통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그 크레인을 들어올리더라도 안정적인 지탱이 가능한 반면에, 코아 외벽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은 단지 코아 외벽에 설치되는 지지빔에 의지하게 되는 까닭에 특히 타워크레인이 클라이밍타입(상승형)일 경우 그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시킬 수 없을 뿐만이 아니라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사용 후 해체작업이 쉽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아의 외벽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고, 상승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탱시킬 수 있으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게 되는 등으로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하는 타워크레인의 외벽 설치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벽 설치빔은 코아의 외벽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지지 및 상승무게를 지탱시키도록 코아 외벽에 설치되는 써포트빔에 있어서, 선단부의 양측 및 하단에 연결단이 형성되어 코아벽을 통해 수평적으로 설치되는 양측빔; 양단에 연결단이 형성되어 상기 양 수평빔의 대향하는 연결단을 통해 수평적으로 설치되는 전후방빔; 양단에 연결단이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양측빔 각각의 측벽에 형성된 연결단을 통해 연결되고 타단이 코아벽를 통해 수평적으로 힌지 설치되는 지지빔; 양단에 연결단이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양측빔 각각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단을 통해 연결되고 타단이 코아벽을 통해 수직적으로 힌지 설치되는 지탱빔; 및 상기 지지빔과 지탱빔의 수직각도와 수평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빔 및 지탱빔상에 개재 설치되는 스크류잭;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양측빔과 전방빔의 조립에 의해 사각체의 지지판이 형성되고, 그 지지판은 수평적으로 설치된 양 지지빔 및 수직적으로 설치된 양 지탱빔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스크류잭의 조절에 의해 그 지지 인장력이 최대한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조립 설치된 후에는 사각체의 지지판상에 콜라가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타워크레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코아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코아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 설치빔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 단면을 취한 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 앵커체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본골조 2: 코아
3: 지지대 4: 콜라
10: 타워크레인 20: (타워크레인)설치빔
30,30': 양측빔 31,32,33,41,51,52,61,62: 연결단
34: 고정판 40,40': 전후방빔
50,50': 지지빔 53,63: 스크류잭
54,64: 고정구 60,60': 지탱빔
70: 앵커체 71: 전면판
72: 후면판 73: 파이프
74: 볼트공 80: 연결핀
81: 볼트 82: 너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코아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빔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 단면을 취한 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 앵커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외벽 설치빔(20)은 코아(2)벽에 수평적으로 설치되는 양측빔(30)(30'), 상기 양측빔(30)(30') 사이의 선단에 수평적으로 설치되는 전후방빔(40)(40'), 일단이 양측빔(30)(30')의 선단에 타단이 코아벽에 수평적으로 설치되는 지지빔(50)(50'), 일단이 양측빔(30)(30')의 선단에 타단이 코아벽에 수직적으로 설치되는 지탱빔(60)(60'), 및 상기 양측빔(30)(30'), 지지빔(50)(50'), 지탱빔(60)(60')을 코아벽에 고정시키는 앵커체(70)를 포함한다.
양측빔(30)(30')은 선단 양측 및 하단에 연결단(31)(32)(33)이 형성되고 후단에 볼트공이 형성된 고정판(34)이 설치된다.
전후방빔(40)(40')은 상기 양측빔(30)(30')에 형성된 연결단(31)에 연결되도록 양단에 연결단(41)이 형성된다.
지지빔(50)(50')은 양단에 연결단(51)(52)이 형성되고 양분되어 그 양분체가 스크류잭(53)을 통해 연결되며 선단에 형성된 연결단(51)이 양측빔(30)(30')에 형성된 연결단(32)을 통해 연결되고 타단에 형성된 연결단(52)이 코아벽에 설치된 고정구(54)를 통해 수평적으로 연결된다.
지탱빔(60)(60')은 양단에 연결단(61)(62)이 형성되고 양분되어 그 양분체가 스크류잭(63)을 통해 연결되며 선단에 형성된 연결단(61)이 양측빔(30)(30')에 형성된 연결단(33)을 통해 연결되고 타단에 형성된 연결단(62)이 코아벽에 설치된 고정구(64)를 통해 수직적으로 연결된다.
앵커체(70)는 도 6에서와 같이 코아의 내벽 및 외벽에 일치되도록 전면판(71)과 후면판(72)이 파이프(73)에 의해 이격 연결되고, 전후면을 관통시키도록 다수의 볼트공(74)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설치빔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빔은 다양한 구조형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H빔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80"은 연결핀이고, "81"은 볼트이며, "82"는 너트이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앵커체(70)는 코아(2)의 구축단계에서 설치되어 콘크리트에 매설된다.
다음으로 소정간격으로 매설된 상기 앵커체(70)를 통해 본 발명의 설치빔(20)이 설치된다.
즉 양측빔(30)(30')의 끝단을 코아벽에 노출 설치된 앵커체(70)에 맞대이고 볼트(81) 및 너트(82)를 사용하여 수평적으로 설치시키고, 전후방 사이를 전후방빔(40)(40')으로 마감 조립시킴으로써 수평의 사각체가 완성된다.
상기 전후방빔(40)(40')은 그 양단에 형성된 연결단(41)이 양측빔(30)(30')에 형성된 연결단(31)으로 결합되어 연결핀(80)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양측빔(30)(30')과 전후방빔(40)(40')으로 이루어진 수평의 사각체를 수평 및 수직적으로 지지시키도록 수평의 지지빔(50)(50')과 수직의 지탱빔(60)(60')이 설치된다.
즉 지지빔(50)(5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단(51)을 양측빔(30)(30')에 형성된 연결단(32)에 결합시켜 연결핀(80)으로 연결시키고, 타측에 형성된 연결단(52)을 코아벽에 설치된 고정구(54)에 결합시켜 연결핀(80)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스크류잭(53)을 조절하여 강력한 인장력이 발휘되도록 한다.
또한 지탱빔(60)(60') 역시 일측에 형성된 연결단(61)을 양측빔(30)(30')에형성된 연결단(33)에 결합시켜 연결핀(80)으로 연결시키고, 타측에 형성된 연결단(62)을 코아벽에 설치된 고정구(64)에 결합시켜 연결핀(80)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스크류잭(63)을 조절하여 강력한 인장력이 발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양측빔(30)(30')과 전후방빔(40)(40')으로 이루어진 수평의 사각체는 수평의 지지빔(50)(50')과 수직의 지탱빔(60)(60')에 의해 한 쪽으로 쏠리거나 그 수평상태를 변형시키거나 주저앉게 되는 등의 요인이 발생하지 않는 견고한 안정성을 유지한다.
상기 지지빔(50)(50') 및 지탱빔(60)(60')을 코아벽에 설치시키는 고정구(54)(64)는 양측빔(30)(30')를 설치시키는 것과 같은 앵커체(70)를 통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설치빔(20)의 설치가 완성되면 양측빔(30)(30')과 전후방빔(40)(40')으로 이루어진 수평의 사각체상에 콜라(COLLAR)(4)가 설치된다.
한편 코아(2)의 계속적인 상승구축에 따라 타워크레인(10) 역시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유압상승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타워크레인(10)을 상승시킨 후 다음 단계로 설치된 설치빔(20)으로 인양시켜 그 설치빔에 설치된 콜라(4)상에 안착시키고, 타워크레인을 상승시켜 홀로된 하방의 설치빔(20)을 해체시켜 맨 상방으로 재설치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의 외벽 설치빔은 강력한 인장력이 발휘되도록 조립구성되는 것에 의해, 코아의 외벽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고, 상승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탱시킬 수 있으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게 되는 등으로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

  1. 코아의 외벽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지지 및 상승무게를 지탱시키도록 코아 외벽에 설치되는 써포트빔에 있어서,
    코아벽에 수평적으로 설치되는 양측빔(30)(30'), 상기 양측빔(30)(30') 사이의 선단에 수평적으로 설치되는 전방빔(40)(40'), 일단이 양측빔(30)(30')의 선단에 타단이 코아벽에 수평적으로 설치되는 지지빔(50)(50'), 일단이 양측빔(30)(30')의 선단에 타단이 코아벽에 수직적으로 설치되는 지탱빔(60)(60'), 및 상기 지지빔(50)(50') 및 지탱빔(60)(60')의 인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빔 및 지탱빔에 개재 설치되는 스크류잭(53)(63)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외벽 설치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빔(30)(30')은 선단 양측 및 하단에 연결단(31)(32)(33)이 형성되고 후단에 볼트공이 형성된 고정판(34)이 설치되며; 전후방빔(40)(40')은 상기 양측빔(30)(30')에 형성된 연결단(31)에 힌지 연결되도록 양단에 연결단(41)이 형성되며; 지지빔(50)(50')은 양단에 연결단(51)(52)이 형성되고 양분되어 그 양분체가 스크류잭(53)을 통해 연결되며 선단에 형성된 연결단(51)이 양측빔(30)(30')에 형성된 연결단(32)을 통해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형성된 연결단(52)이 코아벽에 설치된 고정구(54)를 통해 수평적으로 힌지 연결되며; 지탱빔(60)(60')은 양단에 연결단(61)(62)이 형성되고 양분되어 그 양분체가스크류잭(63)을 통해 연결되며 선단에 형성된 연결단(61)이 양측빔(30)(30')에 형성된 연결단(33)을 통해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형성된 연결단(62)이 코아벽에 설치된 고정구(64)를 통해 수직적으로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외벽 설치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빔(30)(30'), 지지빔(50)(50'), 지탱빔(60)(60')를 코아벽에 고정시키도록 코아의 내벽 및 외벽에 일치되는 전면판(71)과 후면판(72)이 파이프(73)에 의해 이격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73)를 관통시키도록 다수의 볼트공(74)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에 형성된 앵커체(70)가 코아벽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외벽 설치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빔(30)(30'), 전후방빔(40)(40'), 지지빔(50)(50'), 및 지탱빔(60)(60')은 H빔과 같은 구조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외벽 설치빔.
KR10-2002-0037962A 2002-07-02 2002-07-02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KR10042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962A KR100427751B1 (ko) 2002-07-02 2002-07-02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962A KR100427751B1 (ko) 2002-07-02 2002-07-02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299A KR20040003299A (ko) 2004-01-13
KR100427751B1 true KR100427751B1 (ko) 2004-04-28

Family

ID=3731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962A KR100427751B1 (ko) 2002-07-02 2002-07-02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7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26B1 (ko) 2010-06-29 2012-08-08 세계정밀 주식회사 적재기
KR101819166B1 (ko) 2017-05-30 2018-01-17 박무수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5912A (zh) * 2014-04-16 2014-07-23 浙江虎霸建设机械有限公司 塔式起重机的组合式附着框装置
JP6953161B2 (ja) * 2017-03-31 2021-10-27 株式会社北川鉄工所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のマスト、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および建築物の工法
CN114671358B (zh) * 2022-03-03 2024-05-24 中核华兴达丰机械工程有限公司 塔吊附着安拆起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1183U (ko) * 1980-10-15 1982-04-30
JPS61203696U (ko) * 1985-06-11 1986-12-22
JPH04350096A (ja) * 1991-05-24 1992-12-04 Ohbayashi Corp クライミング式タワークレーンの据付方法
KR20010092835A (ko) * 2000-03-27 2001-10-27 동정태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1183U (ko) * 1980-10-15 1982-04-30
JPS61203696U (ko) * 1985-06-11 1986-12-22
JPH04350096A (ja) * 1991-05-24 1992-12-04 Ohbayashi Corp クライミング式タワークレーンの据付方法
KR20010092835A (ko) * 2000-03-27 2001-10-27 동정태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26B1 (ko) 2010-06-29 2012-08-08 세계정밀 주식회사 적재기
KR101819166B1 (ko) 2017-05-30 2018-01-17 박무수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299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8005C (en) Hoisting platform system
KR100634465B1 (ko)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KR100665718B1 (ko) 타워크레인 벽체지지용 보강장치
KR19990072014A (ko) 위에서지면으로건축물을건설하는리프트업공법
CN211772901U (zh) 一种空间异型钢箱拱肋安装装置
CN105692470A (zh) 内爬式塔吊及其操作方法
CN115492399A (zh) 一种从下到上安装调整吊挂钢结构的施工方法
KR100427751B1 (ko)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CN107816209B (zh) 跨外两侧抬吊安装大型钢桁架屋盖施工工艺
JP2909413B2 (ja) 建物外壁材の吊込み装置
JP2018135190A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架台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
CN208845309U (zh) 塔筒的支撑平台及风力发电机组
CN2915808Y (zh) 钢管组装结构电梯井道架
CN109797964A (zh) 一种集成塔吊的顶升平台系统
JP2006347721A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受け梁構造
JPH09195497A (ja) 昇降足場
JP4027170B2 (ja) 外部足場装置及び外部足場装置の施工方法
KR200394923Y1 (ko)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JPH1088786A (ja) 柱状構造物用足場
CN219044810U (zh) 一种井道内简易物料提升装置
CN214885646U (zh) 一种料台拉结连接件
JP5196214B2 (ja) クレーンのフロアクライミングシステム及びクレーンのフロアクライミング方法
CN220133647U (zh) 一种用于气象领域的轻质易用观测塔
JP7253909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フロアクライミング工法
CN220247551U (zh) 一种爬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