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835A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92835A KR20010092835A KR1020000015476A KR20000015476A KR20010092835A KR 20010092835 A KR20010092835 A KR 20010092835A KR 1020000015476 A KR1020000015476 A KR 1020000015476A KR 20000015476 A KR20000015476 A KR 20000015476A KR 20010092835 A KR20010092835 A KR 200100928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wer crane
- frame
- fixed
- fixing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166—Simple cranes with jibs which may be fixed or can slew or l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워크레인의 자립고(自立高) 이상에서의 쓰러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축진행에 따라 높이를 달리 하도록 고정, 지지하는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가로대(220)와 세로대(2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타워크레인(200)의 몸체부 외주면이 관통되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면에 구석부 양측으로 다수개 형성되어져 관통되어지는 타워크레인(200)의 몸체부에 정확히 수평됨과 고정됨을 조절하여서 되는 고정지지부(20)와/ 상기 프레임(10) 외부 일측면의 양측에 구비되어져 주변 벽체의 일면에 고정하여서 되는 지지대(50)를 결합하기 위한 핀홈(310)을 마련한 제1고정대(30)와/ 상기 프레임(10)의 외측 구석부에 다수개 마련하여 지면에 고정 연결되는 와이어로프(60)가 걸림 하기 위한 핀홈(410)을 마련하여서 되는 제2고정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대와 제2고정대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핀홈에 지지대와 와이어로프를 핀과 고리 등을 이용하여서 간단히 고정 및 지지하여서 상기 타워크레인의 흔들림 및 쓰러짐 등을 예방하여서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시 반복적으로 사용가능하여서 조립시간 및 내구성의 상승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워크레인의 자립고(自立高) 이상에서의 쓰러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축진행에 따라 높이를 달리 하도록 고정, 지지하는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선, 일반적인 타워크레인(200)은 4개로 기둥을 이루는 세로대(210)와 트러스구조를 이루어 지탱하는 다수의 가로대(220)에 의해 세움 하여서 상측부에 구비된 붐의 후크를 조종하여서 무거운 건자재를 일정높이와 거리로 이송하는데 쓰이는 것이다.
이때, 지상에 고정되어져 있는 타워크레인(200)일 경우 일정이상의 높이로 세움 되어질 경우 풍력 등의 흔들림으로 쓰러지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쓰러짐을 해결하고 건물내부에 위치하는 타워크레인(200)의 일정높이를 연장하는 클라이밍(Climbing)작업 시에도 고정 및 지지하여서 되는 보강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종래의 일반적인 보강장치의 설치구조에 대해서 ‘도5a’,‘도5b’그리고, ‘도5c’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5a’는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는 타워크레인(200)을 보인 것으로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지는 곳 등에 위치시켜 놓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도5b’는 건축물과 상당한 거리를 두어서 지지할 곳이 없는 곳에 위치시키고자 할 때에 지상의 고정지주(61)와 가로대(220) 및 세로대(210)의 일측을 와이어로프(60) 등을 이용하여 묶거나 고정 설치하여서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5c’는 건축물에 근접되어져 상기 건축물의 측면에 고정하여서 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도5a’에서 사용되어지는 종래의 일반적인 보강장치를 ‘도6’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반적인 보강장치(500)는 강철빔(H-BEAM) 등을 타워크레인(200)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가공한 후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여서 되는 현장에서 맞춤형태로 가공하여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강장치(500)는 현장에서 임시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매회 동일작업을 하여서 발생하는 가공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과 동시에, 현장에서 맞춤 하여서 가공하므로 설치작업 시에 오차변수를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다수개의 강철빔 등을 고공에서 용접으로 붙힘하여서 발생하는 가공상의 어려움과 함께, 충격 및 반복하중에 따르는 파괴 및 분해됨이 쉽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타워크레인(200)을 설치 및 이동할 때에도 매번 보강장치(500)를 제작해야만 함으로 자재비 및 설치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5b’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고정구조는 타워크레인(200)의 가로대(220) 및 세로대(210)에 직접 연결하여서 사용하는 것으로 타워크레인(200)을 지탱하고 있는 가로대(220) 및 세로대(210)의 휨에 따르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현장에서 가공하여서 설치한 보강장치(50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용접부의 갈라짐 현상 등이 발생하여서 재사용 시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워크레인이 쓰러지는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축진행에 따라 높이를 달리 하도록 고정, 지지하는 규격화 및 반복 사용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특히, 타워크레인이 설치되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구성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측면도.
도 5a, 도 5b, 도 5c는 종래 발명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측면도.
도 6은 종래 발명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프레임 20-고정지지부 30-제1고정대
31-핀홈 40-제2고정대 41-핀홈
50-지지대 60-와이어로프 61-고정지주
70-거더 100-보강장치
따라서, 본 발명에 가장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를 ‘도1’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로대(220)와 세로대(2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타워크레인(200)의 몸체부 외주면이 관통되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면에 구석부 양측으로 다수개 형성되어져 관통되어지는 타워크레인(200)의 몸체부에 정확히 수평됨과 고정됨을 조절하여서 되는 고정지지부(20)와,
상기 프레임(10) 외부 일측면의 양측에 구비되어져 주변 벽체의 일면에 고정하여서 되는 지지대(50)를 결합하기 위한 핀홈(310)을 마련한 제1고정대(30)와,
상기 프레임(10)의 외측 구석부에 다수개 마련하여 지면에 고정 연결되는 와이어로프(60)가 걸림 하기 위한 핀홈(410)을 마련하여서 되는 제2고정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부(20)와 제1고정대(30) 그리고 제2고정대(40)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지지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면으로 나선에 의해 관통되어져 상기 타워크레인(200)의 몸체부로의 길이를 조절하여서 되는 고정나사(21)와,
상기 고정나사(21)의 일측끝부분에 고정되어져 상기 타워크레인(200)의 몸체부를 이루는 세로대(210)의 양측면부와 밀착하여서 고정되어지기 위한 지지편(2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대(30)는 상기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지지대(50)의 일측에 구비된 핀이 상기 핀홈(31)에 평행하게 관통하여서 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고정대(40) 역시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핀홈(41)이 평행하게 이루어진 형상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가 설치되어지는 구성 및 과정에 대해서 ‘도2’,‘도3’그리고 ‘도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는 주변의 벽체에 고정되는 지지대(50)를 상기 제1고정대(30)에 연결하고, 지면과 고정되어져 있는 와이어로프(60)를 제2고정대(40)에 연결한 구성을 갖는 보강장치(100)를 사시도로서 보인 것이다.
또한, ‘도3’은 설치되어져 있는 상태의 평면을 보인 것이며, ‘도4’는 설치되어져 있는 모습의 측면을 보인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장치(100)를 타워크레인(200)의 몸체의 외주면에 놓여지도록 한 이후에 일정높이에서 수평됨을 맞추면 되는 것이다.
그 이후에는 내측에 다수 개 구비되어 있는 고정나사(21)를 조절하여서 상기 타워크레인(200)의 몸체를 이루는 세로대(210)에 지지편(22)이 밀착되어지도록 지지하여서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립을 넘어서는 높이를 갖는 타워크레인(200)을 설치할 경우에는 주변에 벽체가 있을 경우에는 제1고정대(30)에 상기 지지대(50)를 고정하여서 사용하고,
주변에 지지할 곳이 없는 경우에는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지주(61)와 연결된 와이어로프(60)를 제2고정대(40)에 연결하여서 타워크레인(200)을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두가지의 방법을 병행하여서 도시된 도면과 같이 구성하여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건물 내부에 설치하여서 타워크레인(200)의 일정높이를 연장하는 클라이밍(Climbing)작업을 하고자 할 시에도 간단히 건물의 프레임에 걸쳐서 되는 강철빔인 거더(70)를 하부에 지지하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에 따르는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프레임(10)은 종래에 현장에서 간단히 용접으로 설치하던 것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설치 시의 조립시간 및 내구성을 높이고 오차와 변형 및 갈라짐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고정대(20)와 제2고정대(30)는 프레임(10)에 일체로 형성되어져 상기 핀홈(31)(41)에 지지대(50)와 와이어로프(60)를 핀과 고리 등을 이용하여서 간단히 고정 및 지지하여서 상기 타워크레인(200)의 흔들림 및 쓰러짐 등을 예방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는 종래에 현장에서 간단히 용접으로 설치하던 것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설치 시의 조립시간 및 내구성을 높이고 오차와 변형 및 갈라짐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고정대와 제2고정대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핀홈에 지지대와 와이어로프를 핀과 고리 등을 이용하여서 간단히 고정 및 지지하여서상기 타워크레인의 흔들림 및 쓰러짐 등을 예방하여서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시 반복적으로 사용가능하여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 가로대(220)와 세로대(2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타워크레인(200)의 몸체부 외주면이 관통되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10)과,상기 프레임(10)의 내부면에 구석부 양측으로 다수개 형성되어져 관통되어지는 타워크레인(200)의 몸체부에 정확히 수평됨과 고정됨을 조절하여서 되는 고정지지부(20)와,상기 프레임(10) 외부 일측면의 양측에 구비되어져 주변 벽체의 일면에 고정하여서 되는 지지대(50)를 결합하기 위한 핀홈(310)을 마련한 제1고정대(30)와,상기 프레임(10)의 외측 구석부에 다수개 마련하여 지면에 고정 연결되는 와이어로프(60)가 걸림 하기 위한 핀홈(410)을 마련하여서 되는 제2고정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지지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면으로 나선에 의해 관통되어져 상기 타워크레인(200)의 몸체부로의 길이를 조절하여서 되는 고정나사(21)와,상기 고정나사(21)의 일측끝부분에 고정되어져 상기 타워크레인(200)의 몸체부를 이루는 세로대(210)의 양측면부와 밀착하여서 고정되어지기 위한 지지편(2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8624U KR200195457Y1 (ko) | 2000-03-27 | 2000-03-27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KR1020000015476A KR100365636B1 (ko) | 2000-03-27 | 2000-03-27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15476A KR100365636B1 (ko) | 2000-03-27 | 2000-03-27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8624U Division KR200195457Y1 (ko) | 2000-03-27 | 2000-03-27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92835A true KR20010092835A (ko) | 2001-10-27 |
KR100365636B1 KR100365636B1 (ko) | 2002-12-31 |
Family
ID=196587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8624U KR200195457Y1 (ko) | 2000-03-27 | 2000-03-27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KR1020000015476A KR100365636B1 (ko) | 2000-03-27 | 2000-03-27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8624U KR200195457Y1 (ko) | 2000-03-27 | 2000-03-27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0195457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7751B1 (ko) * | 2002-07-02 | 2004-04-28 | 삼성물산 주식회사 |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
KR100668593B1 (ko) * | 2006-03-16 | 2007-01-16 | (주)프로테크 |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
KR20210153970A (ko) * | 2020-06-11 | 2021-12-20 | 손성우 |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4465B1 (ko) * | 2005-04-02 | 2006-10-13 | 주식회사 아이엘엔지니어링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
2000
- 2000-03-27 KR KR2020000008624U patent/KR20019545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3-27 KR KR1020000015476A patent/KR10036563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7751B1 (ko) * | 2002-07-02 | 2004-04-28 | 삼성물산 주식회사 |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
KR100668593B1 (ko) * | 2006-03-16 | 2007-01-16 | (주)프로테크 |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
KR20210153970A (ko) * | 2020-06-11 | 2021-12-20 | 손성우 |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5457Y1 (ko) | 2000-09-01 |
KR100365636B1 (ko) | 2002-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654571B1 (en) | Zone module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structure construction | |
KR20110014341A (ko) |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 |
JP2909413B2 (ja) | 建物外壁材の吊込み装置 | |
KR200195457Y1 (ko) |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 |
JP6508958B2 (ja) |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 |
JPH09302919A (ja) | 柱状体用移動足場 | |
JP6814717B2 (ja) | 水平部材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建物躯体の構築方法 | |
JP6508959B2 (ja) |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 |
JPH06323503A (ja) | 大型吊下げ式ボイラの組立方法 | |
JP2018091098A (ja) | 仮設支柱および屋根架構の構築方法 | |
JP2010208859A (ja) | タワークレーン用架台、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方法、タワークレーン用架台の取付構造 | |
JP2005178940A (ja) | タワークレーン用架台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方法 | |
JP2006249742A (ja) | 鉄筋篭建て起こし方法 | |
JP7253909B2 (ja) | タワークレーンのフロアクライミング工法 | |
JP2001122587A (ja) | 壁継ぎ | |
AU646920B2 (en) | A tripod | |
CN212002173U (zh) | 高空环梁作业操作平台 | |
KR200267717Y1 (ko) |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 |
CN117386155A (zh) | 一种斜钢柱安装方法 | |
JPH04203079A (ja) | 柱体とその組立方法 | |
JPH0978836A (ja) | 壁・梁一体組鉄筋と、それを使用した型枠の形成方法 | |
JP2022165430A (ja) | 外付け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を用いた鉄塔建設工法 | |
CN206917241U (zh) | 高空作业移动式行车 | |
JP2024147950A (ja) |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の昇降用支持構台 | |
KR960004047B1 (ko) | 건설 현장 자재 적재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21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