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166B1 -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 Google Patents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166B1
KR101819166B1 KR1020170066705A KR20170066705A KR101819166B1 KR 101819166 B1 KR101819166 B1 KR 101819166B1 KR 1020170066705 A KR1020170066705 A KR 1020170066705A KR 20170066705 A KR20170066705 A KR 20170066705A KR 101819166 B1 KR101819166 B1 KR 101819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tower crane
bridge
p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수
Original Assignee
박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수 filed Critical 박무수
Priority to KR102017006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28Cranes on rails or on rail vehicles
    • B66C2700/035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nism to the crane mechanism

Abstract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이 개시된다. 본 장치는 일단은 교각의 일 측면의 상부에 부착되고, 타단은 타워크레인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일단은 교각의 일 측면의 하부에 부착되고, 타단은 제1 프레임과 결합되어 제1 프레임과 기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는 제2 프레임, 교각의 일 측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의 일단과 결합하여 교각의 상부에 부착하는 제1 지지대, 일단은 제1 지지대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제1 프레임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지지대, 및 일단은 제1 지지대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교각의 상부와 다른 면에 부착되는 제3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BRACKET FOR SUPPORTING TOWER CRANE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각의 측면에 고정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술의 발전과 대형 토목공사가 진행되면서, 교량건설에 있어서 타워 크레인(tower crane)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의 교량은 교각을 먼저 시공한 후 교각에 상판을 얹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대형 해상 크레인선(crane barge)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들어서 설치하는 인양 공법(lifting method)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대형 해상 크레인선은 육지가 아닌 선박에 고정되므로, 선박을 교량 시공현장에 고정시킬 계류장치의 설치 공간 확보에 관한 문제를 비롯하여 수심, 날씨, 해류 등 여러 가지 해상 작업조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공의 안정성, 시간, 비용 등의 측면에서 문제가 지적되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439935호에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에 관한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타워크레인 고정장치는 교각의 상면에 설치되므로, 주두부 상면까지 완공이 되어 있어야만 타워크레인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하면 주두부는 완공이 된 상태라야 타워크레인 고정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주두부가 완공되기 전에는 타워크레인의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각의 측면에 설치됨으로써, 교량공사의 기초단계에서도 설치할 수 있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은 일단은 교각의 일 측면의 상부에 부착되고, 타단은 타워크레인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일단은 교각의 일 측면의 하부에 부착되고, 타단은 제1 프레임과 결합되어 제1 프레임과 기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는 제2 프레임, 교각의 일 측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의 일단과 결합하여 교각의 상부에 부착하는 제1 지지대, 일단은 제1 지지대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제1 프레임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지지대, 및 일단은 제1 지지대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교각의 상부와 다른 면에 부착되는 제3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프레임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프레임은 복수의 연결바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지지대는 각각 한 쌍씩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는 제1 지지대에 형성된 홈 및 교각의 일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홈을 통과하는 강봉에 의해 교각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은 제2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홈 및 교각의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홈을 통과하는 강봉에 의해 교각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대의 타단은 교각의 상부와 동일한 높이이며, 상부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는 다른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과 이격되며, 교각에 부착되어 타워크레인의 밑면으로부터의 일정 높이에서 타워크레인을 홀딩하는 브레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교량공사의 기초단계에서 타워크레인을 설치함으로써, 주두부가 완공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교량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관한 입체도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관한 평면도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관한 평면도의 다른 예,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1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의 다양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관한 측면도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이 설치된 교각에 관한 측면도의 일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브레이스에 관한 평면도의 일 예,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및 브레이스가 설치된 교각에 관한 측면도의 일 예,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설치되는 레일에 관한 사시도의 일 예,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관한 평면도의 일 예,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설치되는 플랫폼에 관한 상부 및 하부 사시도의 일 예,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브레이스에 관한 평면도의 일 예,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이 설치된 교각에 관한 전체 사시도의 일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특정 도면에 해당 부호가 없더라도, 그 이전에 설명된 도면에 해당 부호가 있다면 이를 표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관한 입체도의 일 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관한 평면도의 일 예이다.
제1 프레임(140-1)의 일단은 교각(10)의 측면을 향하며, 타단은 교각(10)의 측면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향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프레임(140-1)의 일단은 교각(10)의 측면에 부착되며, 타단은 타워크레인(미도시)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base)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40-1)의 일단은 교각(10)의 측면에 직접 결합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지지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대(150)는 그 길이방향과 교각의 측면이 서로 평행하고, 지면 또는 수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40-1)의 일단은 앵커볼트 등 다양한 체결부재로써 제1 지지대(150)와 결합된다. 또한 제1 지지대(150)의 중심부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홀(hole)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교각(1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봉(190-1)이 제1 지지대(150)의 홀을 통과하여 교각(10)의 홈을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제1 프레임(140-1)과 교각(10)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150)의 바깥단과 제1 프레임(140-1)의 타단, 즉 바깥단은 제2 지지대(120-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대(120-1)의 일단은 제1 지지대(150)의 바깥단과 결합되고, 제2 지지대(120-1)의 타단은 제1 프레임(140-1)의 바깥단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대(110-1)의 일단은 제1 지지대(150)의 바깥단과 결합되고, 제3 지지대(110-1)의 타단은 앵커볼트(180-1)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부재를 통해 교각(10)의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지지대(110-1)의 타단과 결합되는 교각(10) 측면에서의 접선은 제1 지지대(150) 또는 제1 프레임(140-1)과 결합되는 교각(10) 측면에서의 접선과 일정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3 지지대(110-1)의 타단과 결합되는 교각(10)의 측면은 제1 지지대(150) 또는 제1 프레임(140-1)과 결합되는 교각(10)의 측면과 다른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3 지지대(110-1)의 타단과 결합되는 교각(10)의 지점은 제1 지지대(150) 또는 제1 프레임(140-1)과 결합되는 교각(10)의 지점과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교각(10)의 각각 다른 면에 구조물이 결합하게 되므로, 보다 많은 하중의 타워크레인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4 지지대(130-1)는 제1 지지대(150)와 제1 프레임(140-1)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4 지지대(130-1)의 일단은 제1 지지대(150) 중 강봉이 체결된 지점과 바깥단 사이의 지점, 바람직하게는 중간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제4 지지대(130-1)의 타단은 제1 프레임(150) 중 제1 지지대(150)와 연결된 지점과 바깥단 사이의 지점, 바람직하게는 중간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70-1)의 일단은 교각(10)의 측면을 향하며, 타단은 제1 프레임(140-1)의 바깥단과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140-1)과 제2 프레임(170-1)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70-1)의 일단이 부착되어 결합된 교각(10)의 측면은 제1 지지대(150) 또는 제1 프레임(140-1)과 결합되는 교각(10) 측면에 대하여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레임(170-1)은 타워크레인(미도시)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140-1)을 지지하므로, 보다 많은 하중의 타워크레인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70-1)의 일단은 교각(10)의 측면에 직접 결합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지지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지지대(150)를 통한 교각(10)과 제1 프레임(140-1)의 결합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5 지지대(160-1)는 제1 프레임(140-1) 및 제2 프레임(170-1)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 지지대(160-1)는 지면 또는 수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교각(1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 지지대(160-1)의 일단은 제1 프레임(140-1)의 상기 일단과 결합되고, 제5 지지대(160-1)의 타단은 제2 프레임(140-1)의 상기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5 지지대(160-1)는 제1 및 제2 프레임(140-1, 170-1)의 뒤틀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들과 삼각형의 형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6 지지대(172-1)는 제5 지지대(160-1)와 제1 지지대(15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6 지지대(172-1)의 일단은 제1 지지대(150) 중 강봉이 체결된 지점과 바깥단 사이의 지점, 바람직하게는 중간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제6 지지대(172-1)의 타단은 제5 지지대(160-1)의 중간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프레임(171-1)은 제5 지지대(160-1)와 제1 프레임(140-1)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3 프레임(171-1)의 일단은 제5 지지대(160-1)의 중간 지점에 결합되고, 제3 프레임(171-1)의 타단은 제1 프레임(150)의 중간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프레임(171-1)은 제2 프레임(170-1)에 가해지는 타워크레인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프레임(140-1, 170-1, 171-1)은 각각 하나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의 제1 프레임(140-1, 140-2), 좌측 및 우측의 제2 프레임(170-1, 170-2), 좌측 및 우측의 제3 프레임(171-1, 171-2)과 같이 한 쌍씩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내지 제6 지지대(120-1, 110-1, 130-1, 160-1, 172-1)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제1 지지대(150)의 경우도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한 쌍이 아니라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 쌍의 제1 내지 제3 프레임(140-1/140-2, 170-1/170-2, 171-1/171-2) 및 한 쌍의 제2 내지 제6 지지대(120-1/120-2, 110-1/110-2, 130-1/130-2, 160-1/160-2, 172-1/172-2)가 형성되는 경우 한 쌍의 제1 프레임(140-1, 140-2), 한 쌍의 제2 프레임(170-1, 170-2), 한 쌍의 제6 지지대(172-1, 172-2)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프레임(140-1, 140-2)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연결바(151-1, 151-2, 151-3)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연결바(151-1, 151-2, 151-3)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40-1, 140-2)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설명은 한 쌍의 제2 프레임(170-1, 170-2) 및 한 쌍의 제6 지지대(172-1, 172-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한 쌍의 제1 프레임(140-1, 140-2) 바깥단과 서로 평행한 제1 및 제2 연결바(151-1, 151-2)는 사각형의 타워크레인 받침대(P1)를 형성하게 되며, 타워크레인 받침대(P1)상에 타워크레인이 놓여지게 된다. 이 경우 타워크레인의 안전한 설치를 위해, 도 2와 같이 받침대(P1) 내부는 X자 형상의 연결바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서는 받침대(P1) 내부에 별도의 X자 형상의 연결바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관한 평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좌측 제2 지지대(120-1)의 바깥단은 우측 제1 프레임(140-2)의 바깥단과 연결되고, 우측 제2 지지대(120-2)의 바깥단은 좌측 제1 프레임(140-1)의 바깥단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받침대(P1) 내부는 한 쌍의 제2 지지대(120-1, 120-2)의 바깥단이 교차되어 X자 형상으로 되므로, 도 1 내지 도 2의 경우와 달리 별도의 연결바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며, 제1 및 제2 연결바(151-1, 151-2)만으로 사각형 내부에 X자 형상의 지지대가 있는 받침대(P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 프레임(140-1, 140-2)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의 형태는 다양하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1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의 다양한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프레임(140-1, 140-2) 사이에는 X자 형상의 연결바가 복수로 포함될 수 있다. 즉 X자 형상을 한 제4 연결바 결합체(141-1, 141-2) 및 이와 동일한 형상을 한 제5 연결바 결합체(142-1, 142-2)가 한 쌍의 제1 프레임(140-1, 140-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프레임(140-1, 140-2) 사이에는 일자 형상의 연결바가 복수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일자 형상을 한 제6 연결바(143-1) 및 제7 연결바(143-2)는 각각 상이한 위치에서 한 쌍의 제1 프레임(140-1, 140-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관한 측면도의 일 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이 설치된 교각에 관한 측면도의 일 예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100)은 교각(10)의 일 측면에서 결합되고, 교각(10)과 결합된 일 측면과 반대측상에 타워크레인(20)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주두부(미도시)상에 타워크레인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일 측면에 설치된 지지 브라켓(100)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면 또는 수면상으로 교각이 형성되어 있기만 한다면, 주두부가 건설되기 전인 교량건설의 초기 단계에라도 지지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타워크레인(20)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지지 브라켓(100)은 지지 브라켓(100)과 이격되어 교각(10)의 측면에 부착되는 브레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타워크레인(20)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100)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타워크레인(20)의 움직임을 홀딩(holding)하는 브레이스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브레이스에 관한 평면도의 일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지지대(230-1)의 일단은 교각(10)의 측면을 향하며, 타단은 교각(10)의 측면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향하고 있다. 따라서 제4 지지대(230-1)의 일단은 교각(10)의 측면에 부착되며, 타단은 타워크레인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홀더(holder, P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240)는 그 길이방향과 교각의 측면이 서로 평행하고, 지면 또는 수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지지대(230-1)의 일단은 앵커볼트 등 다양한 체결부재로써 제1 지지대(240)와 결합된다. 또한 제1 지지대(240)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홀(hole)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교각(1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봉(미도시)이 제1 지지대(240)의 홀을 통과하여 교각(10)의 홈을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제4 지지대(230-1)과 교각(10)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브레이스(200)는 타워크레인(20)을 떠받치는 장치가 아니라, 지지 브라켓(100)에 설치된 타워크레인(20)이 앞뒤 또는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지지 브라켓(100)에 가해지는 힘보다 훨씬 적은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스(200)와 교각(10)을 결합하는 체결 수단은 강봉(미도시)이 아니라 앵커볼트(280-1, 290-1)일 수 있다. 강봉 대신 앵커볼트(280-1, 290-1)에 의해 브레이스(200)와 교각(10)을 체결하므로, 비용 및 노력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지지대(240)의 바깥단과 제4 지지대(230-1)의 바깥단은 제2 지지대(220-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대(220-1)의 일단은 제1 지지대(240)의 바깥단과 결합되고, 제2 지지대(220-1)의 타단은 제4 지지대(230-1)의 바깥단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대(210-1)의 일단은 제1 지지대(240)의 바깥단과 결합되고, 제3 지지대(210-1)의 타단은 앵커볼트(280-1)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부재를 통해 교각(10)의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지지대(210-1)의 타단과 결합되는 교각(10) 측면에서의 접선은 제1 지지대(240) 또는 제4 지지대(230-1)와 결합되는 교각(10) 측면에서의 접선과 일정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3 지지대(210-1)의 타단과 결합되는 교각(10)의 측면은 제1 지지대(240) 또는 제4 지지대(230-1)와 결합되는 교각(10)의 측면과 다른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3 지지대(210-1)의 타단과 결합되는 교각(10)의 지점은 제1 지지대(240) 또는 제4 지지대(230-1)와 결합되는 교각(10)의 지점과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한편 제2 내지 제4 지지대(220-1, 210-1, 230-1)은 각각 하나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씩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지지대(240)의 경우도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한 쌍이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에 홀(hole, H)이 형성된 사각형의 구조물인 홀더(P2)가 제2 및 제4 지지대(220-1, 230-1)의 바깥단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지지대(220-1, 220-2)가 설치된 상태에서, 홀더(P2)의 인접하는 양 꼭지 부위는 한 쌍의 제2 지지대(220-1, 220-2)의 바깥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제4 지지대(230-1, 230-2)의 바깥단도 홀더(P2)의 인접하는 양 꼭지 부위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타워크레인(20)은 홀더(P2) 내부의 홀(H)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므로, 타워크레인(20)이 앞뒤, 좌우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및 브레이스가 설치된 교각에 관한 측면도의 일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7의 도면에 더하여 브레이스(200)는 교각(10)의 일 측면에서 결합된다. 타워크레인(20)은 설치된 브레이스(200)에 포함된 홀더(P2)의 홀(H)을 통과하여 설치된다. 이 경우 브레이스(200)는 교각(10)의 최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홀(H)의 가로폭 및 세로폭은 각각 타워크레인(20) 단면상의 가로폭 및 세로폭과 같거나 근소하게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타워크레인(20)은 홀더(P2) 내부의 홀(H)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므로, 설치된 타워크레인(20)이 앞뒤, 좌우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타워크레인을 설치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100) 및 설치된 타워크레인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스(200)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타워크레인을 교각간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 및 이동 플랫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설치되는 레일에 관한 사시도의 일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레일은 동일한 형태인 복수의 서브레일(310-1, 310-2)이 각 서브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결합체이다. 도 10에서는 복수의 서브레일(310-1, 310-2)이 두 개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교각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서브레일(310-2)을 이용하여 서브레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서브레일(310-2)은 레일 본체(331)를 포함한다. 레일 본체(331)의 상면에는 한 쌍의 안내 레일(333) 및 레인(lane, 332)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레일 본체(331)의 길이방향으로 가장자리 양 측에는 한 쌍의 안내 레일(333)이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안내 레일(333) 사이에는 하나의 레인(332)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레일 본체(331)의 길이방향의 일단에는 수 결합부(334)가 형성되어 있고, 반대측에는 암 결합부(33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서브레일(310-1)의 암 결합부(335)는 제2 서브레일(310-2)의 수 결합부(334)와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서브레일이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연결된 복수의 서브레일은 지지 브라켓(100)의 받침대(P1)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관한 평면도의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서브레일(310-1, 310-2, 310-3)은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 브라켓(100)의 받침대(P1)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연결된 복수의 서브레일(310-1, 310-2, 310-3)과 한 쌍의 제1 프레임(140-1, 140-2)이 직각을 이루며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교각의 방향 및 지지 브라켓(100)의 제1 프레임(140-1, 140-2)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레일(310)상에서 타워크레인을 이동시키는 플랫폼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에 설치되는 플랫폼에 관한 상부 및 하부 사시도의 일 예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플랫폼(400)은 플랫폼 본체(413)를 포함한다. 플랫폼 본체(413)는 레일(310)상에 위치 가능하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플랫폼 본체(413)의 폭 길이는 레일(310)의 폭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본체(413)의 상부 중간 영역은 타워크레인(20)이 위치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랫폼 본체(413)의 상부 중간 영역에 형성된 홈은 타워크레인(20)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본체(413)의 하부면에는 가이드(415)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415)는 플랫폼 본체(413) 하부면의 양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플랫폼(400)이 레일(310)상에 위치할 경우 안내 레일(333)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플랫폼 본체(413)의 하부면 가장자리 일측에는 가이드(415)가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415)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플랫폼(400)이 레일(310)상에 위치하여 이동할 경우, 가이드(415)는 안내 레일(333)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플랫폼(400)이 레일(310)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랫폼 본체(413)의 하부면에는 롤러(414)가 배치될 수 있다. 롤러(414)는 플랫폼 본체(413) 하부면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플랫폼(400)이 레일(310)상에 위치할 경우 레인(332)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플랫폼 본체(413)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롤러(414)가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414)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플랫폼(400)이 레일(310)상에 위치할 경우, 롤러(414)는 회전운동을 하며 레인(332)상으로 이동함으로써, 플랫폼(400)이 레일(310)상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롤러(414)는 다양한 방식의 에너지에 의해 회전운동을 할 수 있으며, 플랫폼을 이동시키는 이러한 방식은 널리 알려진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롤러(414)가 휠(wheel) 형상일 경우, 레인(332)은 평면일 수 있다. 다만 롤러(414) 및 레인(33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레인(332)은 래크(rack)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롤러(414)는 피니언(pinion)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방식으로 타워크레인이 이동할 경우, 브레이스(200)에 의한 이동 제한은 없어야 한다. 왜냐하면 브레이스(200)는 타워크레인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하며, 타워크레인은 이러한 홀더 내부에 삽입된 후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4에서는 플랫폼(400)에 의하여 타워크레인(20)이 이동할 경우 브레이스의 변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브레이스에 관한 평면도의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홀더(P2)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P2)는 제1 내지 제4 연결바(251-1 ~ 251-4)로 형성되며, 인접한 연결바 사이는 각각 제1 내지 제4 힌지(S1 ~ S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바(251-1 ~ 251-4)는 대응되는 힌지(S1 ~ S4)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연결바(251-3)의 일단은 제1 힌지(S1)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제4 힌지(S4)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로써 홀더(P2)의 좌측이 개방되므로, 타워크레인(20)은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타워크레인(20)이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플랫폼(400)에 설치된 타워크레인(20)은 교각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도시한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이 설치된 교각에 관한 전체 사시도의 일 예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워크레인의 이동 및 운반에 있어서 비용 및 시간이 적게 소요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건설현장의 날씨, 해류 등과 같은 작업조건에 의해 타워크레인의 이동이 제한될 경우가 줄어들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110-1, 110-2: 제3 지지대
120-1, 120-2: 제2 지지대
130-1, 130-2: 제4 지지대
140-1, 140-2: 제1 프레임
150: 제1 지지대
160-1, 160-2: 제5 지지대
170-1, 170-2: 제2 프레임
171-1, 171-2: 제3 프레임
172-1, 172-2: 제6 지지대
180-1, 180-2: 앵커볼트
200: 브레이스

Claims (8)

  1. 일단은 교각의 일 측면의 상부에 부착되고, 타단은 타워크레인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일단은 상기 교각의 상기 일 측면의 하부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기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는 제2 프레임;
    상기 교각의 상기 일 측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교각의 상기 상부에 부착하는 제1 지지대;
    일단은 상기 제1 지지대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타단과 결합되는 제2 지지대; 및
    일단은 상기 제1 지지대의 상기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교각의 상기 상부와 다른 면에 부착되는 제3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대에 형성된 홈 및 상기 교각의 상기 일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홈을 통과하는 강봉에 의해 상기 교각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은
    복수의 연결바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는
    각각 한 쌍씩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일단에 형성된 홈 및 상기 교각의 상기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홈을 통과하는 강봉에 의해 상기 교각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대의 상기 타단은
    상기 교각의 상기 상부와 동일한 높이이며, 상기 상부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는 다른 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과 이격되며, 상기 교각에 부착되어 상기 타워크레인의 밑면으로부터의 일정 높이에서 상기 타워크레인을 홀딩하는 브레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KR1020170066705A 2017-05-30 2017-05-30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KR101819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705A KR101819166B1 (ko) 2017-05-30 2017-05-30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705A KR101819166B1 (ko) 2017-05-30 2017-05-30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166B1 true KR101819166B1 (ko) 2018-01-17

Family

ID=6102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705A KR101819166B1 (ko) 2017-05-30 2017-05-30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8698A (zh) * 2021-02-08 2021-06-11 中建四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附着于钢柱的施工电梯附墙装置及其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751B1 (ko) 2002-07-02 2004-04-28 삼성물산 주식회사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KR101553966B1 (ko) * 2014-01-09 2015-09-18 삼성물산(주)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WO2016157181A1 (en) 2015-04-01 2016-10-06 Sky-Line Cranes & Technologies Ltd. Modular, adaptable and foldable apparatus for a climbing crane
CN106429883A (zh) 2016-10-27 2017-02-22 上海庞源机械租赁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施工的塔式起重机基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751B1 (ko) 2002-07-02 2004-04-28 삼성물산 주식회사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KR101553966B1 (ko) * 2014-01-09 2015-09-18 삼성물산(주)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WO2016157181A1 (en) 2015-04-01 2016-10-06 Sky-Line Cranes & Technologies Ltd. Modular, adaptable and foldable apparatus for a climbing crane
CN106429883A (zh) 2016-10-27 2017-02-22 上海庞源机械租赁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施工的塔式起重机基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8698A (zh) * 2021-02-08 2021-06-11 中建四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附着于钢柱的施工电梯附墙装置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0475B2 (ja) 基礎用ブロック体
CN102037189B (zh) 提高自升式钻探装置的腿提供的横向支撑的方法和设备
CN210658011U (zh) 钢桁架拱桥安装体系
KR101819166B1 (ko)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CN105839516A (zh) 一种桥梁横向防落梁装置及其施工方法
KR101819167B1 (ko) 타워크레인 이동용 레일이 설치된 교량용 브라켓
CN108979134B (zh) 一种楼板支撑体系的施工方法
CN202658590U (zh) 整体装配式钻孔平台
CN202416881U (zh) 钢梁安装辅助工具
KR101008606B1 (ko) 교량빔의 낙교방지 방법 및 그 구조
CN103882808B (zh) 匝道桥与主线桥交接跨架设预制梁支撑系统的施工方法
CN103171976A (zh) 船厂龙门式起重机的吊装方法
CN204940851U (zh) 一种侧滑式操作平台
CN109722981A (zh) 一种应用索塔结构的景观步行桥及其安装施工方法
JP2017141601A (ja) 防水装置及び防水方法
CN214613615U (zh) 反吊支架式现浇模板
CN212715348U (zh) 一种便于多拼、组合的工字钢
CN213115585U (zh) 一种建筑工程用的稳定型支撑结构
CN211647379U (zh) 一种异形构件安装临时装置
CN208346650U (zh) 一种用于水中桥梁施工的双层钢栈桥
CN208869210U (zh) 塔式起重机及其附着机构
CN217678539U (zh) 一种钢筋混凝土拱式结构
KR102067049B1 (ko) 복공판 유실 방지를 위한 가시설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03322317B (zh) 一种工字形石油平台管道防护管件
CN102561261A (zh) 采用简易门式起重机吊运预制面板建造码头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