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902Y1 -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7902Y1 KR200417902Y1 KR2020060007067U KR20060007067U KR200417902Y1 KR 200417902 Y1 KR200417902 Y1 KR 200417902Y1 KR 2020060007067 U KR2020060007067 U KR 2020060007067U KR 20060007067 U KR20060007067 U KR 20060007067U KR 200417902 Y1 KR200417902 Y1 KR 20041790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orner
- anchor
- tower crane
- frame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posts, e.g. scaffolding, trees or ma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워 크레인을 지지하기 위해 타워 크레인 섹션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앵커 프레임 조립체로서, 상기 타워 크레인 섹션의 코너부에 각각 위치하는 네 개의 코너프레임; 상기 코너프레임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프레임; 및 상기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타워 크레인 섹션의 타워 마스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프레임은, 상호 직각이 되도록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에는 복수개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프레임에는 상기 제1 결합공에 상응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인접하는 코너프레임의 프레임부재 사이에 상기 연장프레임이 개재된 채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을 통해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구성이다.
타워 크레인, 앵커 프레임
Description
본 고안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레임 조립체의 코너프레임과 연장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앵커 프레임 조립체가 타워 크레인 섹션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앵커 프레임 조립체와 타워 크레인 섹션의 결합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앵커 프레임 조립체가 결합된 타워 크레인을 와이어 로프로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워 크레인 섹션의 규격에 따라서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파트별로 조립할 수 있는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워 크레인은 고층 건물의 건설현장에서 건설자재나 작업수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타워 크레인은 각 구성부품들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적층 조립되는 타워 크레인 섹션(Tower crane section)과, 조립된 타워 크레인 섹션의 상단 고공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브(jib)와, 타워 크레인을 조종하는 운전자가 탑승하기 위한 캐빈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워 크레인 섹션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타워 마스트(mast)와 이들 타워 마스트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복수개의 보강바아로 이루어지며, 상층과 하층의 타워 크레인 섹션은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적층된다.
한편, 상기 타워 크레인은 건물의 시공에 따라 그 높이를 연장시킬 필요가 있는데, 높이에 따라 상기 타워 크레인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타워 크레인 섹션의 수는 구조역학적으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타워 크레인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타워 마스트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한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수단으로서 월 브레이싱(wall bracing)과 와이어 로프(wire rope)를 이용한 방식이 채용된다.
월 브레이싱 방식은 타워 크레인과 인접하는 건물 벽체에 앵커를 설치하고 여기에 타워 마스트를 고정시키는 방식이고, 와이어 로프 방식은 건물이나 기타 지지물이 인접하지 않은 경우에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타워 마스트를 지상에 결속시키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지지 방식에 있어서, 고정되는 타워 마스트에는 앵커 프레임이 1차적으로 결합되고 이러한 앵커 프레임이 앵커 또는 와이어 로프에 결합된다. 그런데, 알려진 바와 같이 타워 크레인 섹션의 규격과 치수는 제작사 또는 종류에 따라서 서로 상이하므로 상기 앵커 프레임 또한 각각의 타워 마스트에 맞도록 특화되어 제작되어야만 한다. 즉, 특정 타워 크레인에 사용되는 앵커 프레임은 다른 종류나 규격의 타워 크레인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새로운 앵커 프레임을 제작하는데 따른 공기 지연 및 비용 손실이 초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타워 크레인의 규격이나 종류에 상관없이 호환성있게 채용될 수 있는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 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타워 크레인을 지지하기 위해 타워 크레인 섹션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앵커 프레임 조립체로서, 상기 타워 크레인 섹션의 코너부에 각각 위치하는 네 개의 코너프레임; 상기 코너프레임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프레임; 및 상기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타워 크레인 섹션의 타워 마스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프레임은, 상호 직각이 되도록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에는 복수개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프레임에는 상기 제1 결합공에 상응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인접하는 코너프레임의 프레임부재 사이에 상기 연장프레임이 개재된 채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을 통해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재의 일단은 코너블럭에 용접 결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코너 블럭에는 와이어 로프가 결속될 수 있는 복수개의 로프결속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본 고안에 따른 앵커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바깥 측면에는 앵커로드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브레이싱 브라켓이 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코너프레임에 나사결합되어 그 일단이 상기 타워 마스트를 조여서 바이어스하는 조임볼트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접하는 코너프레임의 프레임부 재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코너프레임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재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인접하는 코너프레임의 프레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연장프레임은 복수개가 채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의 앵커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는 네 개의 코너프레임(10)(20)(30)(40)과, 상기 코너프레임(10)(20)(30)(40)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프레임(50)(60)(70)(80)을 포함한다.
코너프레임을 별도로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코너프레임(10)은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프레임부재(11)(12)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1)(12)는 스틸과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타워 마스트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충분히 견디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부재(11)(12)는, 도 3의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시공시 기둥이나 보 구조물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플렌지(13)(14)와 상기 플렌지(13)(14)와 직각으로 배치되어 이들을 길이 방향으로 결합시키는 웨브(15)로 구성된 H형강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재의 구체적인 형상은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타워 크레인 섹션을 효과적으로 지지한다면 임의의 구조로 얼마든지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재(11)(12)는 서로 직각이 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직접적으로 용접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재(11)(12)의 일단은 예를 들어, 각각 코너블럭(16)에 용접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코너블럭(16) 역시 스틸과 같은 금속 소재, 바람직하게는 H형강빔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이나 구조는 본 고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에 의해 타워 크레인을 지지하는 경우에 와이어 로프를 결속할 수 있도록 상기 코너블럭(16)에는 복수개의 로프결속공(16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11)(12)의 바깥 측면에는 복수개의 브레이싱 브라켓(17)이 부착될 수 있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건물에 마련된 앵커에 앵커로드를 사용하여 타원 크레인을 지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로프결속공(16a)과 브레이싱 브라켓(17)은 본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타워 크레인의 설치 상태와 주변의 지지물 상황에 맞추어 다른 위치에도 얼마든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11)(12)의 타단에는 복수개의 제1 결합공(11a)(12a)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결합공(11a)(12a)을 통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18)을 삽입함으로써 프레임부재(11)와 인접하는 연장프레임(5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프레임(10)에는 본 고안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타워 마스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결합시에 타워 마스트가 위치하게 되는 코너부에 마련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수단은 타워 마스트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도록 설치된 조임볼트(18)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볼트(18)는 프레임부재(11)의 코너부 위치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해 나사결합되어, 그 끝단이 상기 타워 마스트를 조임으로써 앵커 프레임 조립체가 타워 마스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조여진 조임볼트(18)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로킹너트(18a)가 더 채용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을 구체적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타워 마스트에 고정시키는 다양한 수단들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참조번호 19로 표시된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타워 크레인 섹션에 결합시킬 경우, 타워 마스트를 연결하는 보강바아(도 5의 210 참조)와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위치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렬브라켓이다.
상기 연장프레임(50)은 상기 코너프레임(10)(40)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단면 형상은 전술한 코너프레임과 같이 H형강빔의 구조를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장프레임은 타워 크레인 섹션의 규격과 치수에 따라서 적절한 길이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연장프레임(50)의 양단에는 상기 코너프레임(10)의 제1 결합공(11a)(12a)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 결합공(50a)(5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재(11)와 연장프레임(50)의 양단을 서로 맞댄 채로 체결수단(18)의 볼트를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11a)(50a)을 통해 삽입하고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양자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사용하여 타워 크레인을 지지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타워 크레인의 높이가 증가하게 되면 구조역학적 계산에 따라서 타워 크레인 섹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100)가 결합되고, 이것은 인접하는 건물(300)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앵커 프레임 조립체의 연결부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 도 5를 살펴보면 이러한 구성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앵커 프 레임 조립체(100)의 결합에 있어서, 타워 크레인 섹션은 네 개의 코너프레임(10)(20)(30)(40)과 이들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개재된 연장프레임(50)(60)(70)(80)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본 고안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100)에 따르면, 타워 크레인 섹션의 규격이나 치수가 다르더라도 그것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연장프레임(50)(60)(70)(80)을 선택하면 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타워 크레인에 호환될 수 있다. 즉, 타워 크레인 섹션의 규격이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연장프레임의 길이가 설정된다.
상기 앵커 프레임 조립체의 설치에 있어서, 네 개의 코너프레임(10)(20)(30)(40) 사이에 연장프레임(50)(60)(70)(80)을 개재시키고 체결수단(도 2의 18 참조)에 의해 상호 조립한다.
그런 다음, 각 코너부에 있는 조임볼트(18)를 조여서 볼트의 끝단이 타워 마스트(200)와 접촉하여 바이어싱하도록 함으로써, 앵커 프레임 조립체(100)를 타워 크레인 섹션에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 로킹너트(18a)를 조여서 상기 조임볼트(18)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타워 크레인 섹션에 고정된 상기 앵커 프레임 조립체는 인접하는 건물에 지지되거나 지면상에 지지될 수 있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건물의 소정 위치에 먼저 앵커(310)를 설치하고, 앵커로드(320)의 양단을 상기 앵커(310)와 브레이싱 브라켓(17)에 결합함으로써 타워 크레인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앵커(310)와 앵커로드(320)의 설치와 결합방식은 기존의 다양한 설계방식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형가능하다.
도 6에는 타워 크레인이 와이어 로프(400)에 의해 지면상에 지지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와이어 로프(400)의 일단은 로프결속공(도 2의 16a 참조)에 결속되고 타단은 지면상에 구축된 앵커(500)에 결속된다. 타워 크레인을 와이어 로프(400)에 의해 지지시키는 방식은 이미 잘 알려진 바 있으므로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결속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레임 조립체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는 네 개의 코너프레임(10')(20')(30')(40')과 그 사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장프레임(50)(60)(70)(8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코너프레임의 프레임부재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코너프레임(10')(30')의 프레임부재(11')(12')는 그 길이가 제2 및 제4 코너프레임(20')(40')의 프레임부재(21)(22)에 비해 길다.
또한, 단일 코너프레임에 결합된 프레임부재의 길이도 서로 다를 수 있는데 그러한 예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프레임(10")의 제1 프레임부재(11")는 제2 프레임부재(12")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다.
도 9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레임 조립체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레임 조립체는 인접하는 코너프레임(101)과 코너프레임(401) 사이에 복수개의 연장프레임(50')(50"),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연장프레 임(50')(50")이 개재된다. 상기 연장프레임(50')(50")은 그 길이가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연장프레임(50')(50")과 프레임부재의 결합과 연장프레임 상호간의 결합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본 고안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는 네 개의 코너프레임과 그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개재되는 연장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프레임은 설치되는 타워 크레인 섹션의 크기와 규격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따라서, 타워 크레인 섹션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적절한 길이를 가진 연장프레임을 선택함으로써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특징은 앵커 프레임 조립체의 호환성을 높여 영구적인 사용을 가능케하고 종래와 같이 규격 차이로 인해 앵커 프레임을 폐기하는데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Claims (8)
- 타워 크레인을 지지하기 위해 타워 크레인 섹션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앵커 프레임 조립체로서,상기 타워 크레인 섹션의 코너부에 각각 위치하는 네 개의 코너프레임;상기 코너프레임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프레임; 및상기 앵커 프레임 조립체를 타워 크레인 섹션의 타워 마스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상기 코너프레임은, 상호 직각이 되도록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에는 복수개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연장프레임에는 상기 제1 결합공에 상응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어,상기 인접하는 코너프레임의 프레임부재 사이에 상기 연장프레임이 개재된 채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을 통해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레임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재의 일단은 코너블럭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레임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코너 블럭에는 와이어 로프가 결속될 수 있는 복수개의 로프결속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레임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부재의 바깥 측면에는 앵커로드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브레이싱 브라켓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레임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수단은,상기 코너프레임에 나사결합되어 그 일단이 상기 타워 마스트를 조여서 바이어스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레임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인접하는 코너프레임의 프레임부재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레임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단일 코너프레임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재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레임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인접하는 코너프레임의 프레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연장프레임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레임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7067U KR200417902Y1 (ko) | 2006-03-16 | 2006-03-16 |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7067U KR200417902Y1 (ko) | 2006-03-16 | 2006-03-16 |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4198A Division KR100668593B1 (ko) | 2006-03-16 | 2006-03-16 |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7902Y1 true KR200417902Y1 (ko) | 2006-06-02 |
Family
ID=4176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7067U KR200417902Y1 (ko) | 2006-03-16 | 2006-03-16 |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7902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8593B1 (ko) | 2006-03-16 | 2007-01-16 | (주)프로테크 |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
KR100850766B1 (ko) | 2007-01-19 | 2008-08-06 | 송성용 | 타워크레인의 기초구조 |
KR102027979B1 (ko) * | 2019-03-13 | 2019-10-02 | 임희용 | 타워 크레인용 앵커 프레임 |
KR102267935B1 (ko) * | 2020-07-01 | 2021-06-23 | (주)두두인터내셔널 | 타워크레인 장치 |
-
2006
- 2006-03-16 KR KR2020060007067U patent/KR20041790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8593B1 (ko) | 2006-03-16 | 2007-01-16 | (주)프로테크 |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
KR100850766B1 (ko) | 2007-01-19 | 2008-08-06 | 송성용 | 타워크레인의 기초구조 |
KR102027979B1 (ko) * | 2019-03-13 | 2019-10-02 | 임희용 | 타워 크레인용 앵커 프레임 |
KR102267935B1 (ko) * | 2020-07-01 | 2021-06-23 | (주)두두인터내셔널 | 타워크레인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78443B2 (ja) | トラス型セッティングビーム | |
KR101868677B1 (ko) | 메인 철골보와 보조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 |
KR200417902Y1 (ko) |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 |
KR100668593B1 (ko) |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 |
JP4203441B2 (ja) |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装置及びその構築方法 | |
KR101646866B1 (ko) |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
JPH10331436A (ja) | 既存構築物における柱梁の耐震補強構造 | |
KR200397213Y1 (ko) |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 |
KR20120036614A (ko) | 긴장재와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한 이중 강박스거더의 종방향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박스거더교 시공방법 | |
KR102350905B1 (ko) |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 |
KR20080100976A (ko) |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2137126B1 (ko) |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 |
KR101864198B1 (ko) | Pc기둥 및 pc보의 src 결합구조, 상하부 pc기둥 상호간 플레이트 결합구조 | |
KR200253552Y1 (ko) | 강봉인장볼트와 기둥브라켓을 이용한 가교의 보강구조 | |
KR100370177B1 (ko) | 거더의 외부강선 보강을 위한 압축형 단부브라켓 | |
JP4277209B2 (ja) | 建物の構造 | |
KR102390999B1 (ko) | 선조립 대구경 철근 모듈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 |
JP4660810B2 (ja) | 境界梁ダンパー | |
JP4372642B2 (ja) | 柱状構造物の構築方法 | |
JP4382599B2 (ja) | テンションジャッキ | |
KR200347093Y1 (ko) |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
CN204781530U (zh) | 一种屋盖钢结构 | |
EP4335806A1 (en) | Attachment joint for coupling between structural modules of tower cranes | |
CN211340846U (zh) | 拱形腰梁 | |
KR100583774B1 (ko) | 가변형 합벽지지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