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126B1 -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126B1
KR102137126B1 KR1020190150904A KR20190150904A KR102137126B1 KR 102137126 B1 KR102137126 B1 KR 102137126B1 KR 1020190150904 A KR1020190150904 A KR 1020190150904A KR 20190150904 A KR20190150904 A KR 20190150904A KR 102137126 B1 KR102137126 B1 KR 102137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plate
truss girder
bol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환
정계연
Original Assignee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7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 E04B1/58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with separate connection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86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 E04C2003/0491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the truss elements being located in one single surface or in several paralle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에 관한 발명으로서, 알루미늄 압출로 제작되며, 각형 또는 강관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재(120) 및 복수개의 사재(110) 및 모재와 사재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절점 플레이트(130)로 구비되고 절점 플레이트는 모재 및 사재에 볼트(140B), 너트(140N)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aluminium truss bridge}
본 발명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트러스 거더에 관한 것이며, 상기 트러스거더는 각형 또는 강관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재; 및 복수개의 사재; 및 모재와 사재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절점 플레이트; 조합으로 형성되며, 볼트, 너트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용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패널 거푸집 구조에 관한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용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패널 거푸집 구조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폭방향에 따른 일측 단부에 L자 형상의 절곡 안착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2개 이상의 것이 서로 폭 방향을 따라 연결될 때 절곡 안착부에 긴밀하게 형합되도록 안착되는 하향 돌출부가 형성되며 전 면적을 통한 필요 개소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데크 패널과, 데크 패널의 상부 측에 폭 방향에 따른 일정 간격마다 결합되어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긴 철근/철선 조립체로서 하부 측에 장봉 형상인 하부 철근을 구비하는 트러스 거더와, L자 형상의 판체 부재로서 수직부의 상단부 측에는 트러스 거더의 하부 철근이 삽입되는 수평 방향으로의 수평 삽입 홀이 형성되고 하면을 통해 데크 패널에 안착되는 수평부 상에는 통공과 함께 고정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수직 방향으로의 수직 체결 홀이 형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발명 002는 복부재로 강관을 그리고 상현재와 하현재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트러스 형태로 구성한 강관-콘크리트복합 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면서 강관의 접합 및 콘크리트 상현재 및 하현재와의 합성 작업의 공수를 줄일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이들 접합부에서의 합성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복부재로 강관을 사용한 복합 거더의 강관과 콘크리트 현재 합성용 연결재 및 그를 이용한 복합 거더에 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3은 다목적 가설벤트용 트러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의 상판이나 고가도로 또는 주탑을 만들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거더를 분해 및 조립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거더 설치
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어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거더 해체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의 길이에 따라 작업 현장에서 형고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거더를 수평뿐만 아니라 수직으로도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일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됨에 따른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해체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현부재와, 상기 하현부재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하현용 연결 브라켓에 형고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일단이 하나의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분해 조립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을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상현용 연결브라켓에 하나의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연결되되, 일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됨에 따른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해체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특허발명 004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현재지와 하현재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상현재 및 하현재를 트러스 구조로 구성하기 위한 복합트러스 거더
교의 격점부 연결구조에 사용되는 복부재를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기 위한 원형 강관과 원형 강관에 일측이 삽입되며 하부에 거세트 고정판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거세트판의 타측을 상현재 또는 하현재에 매립함으로써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복부재에 관한 것이다.
KR 10-0882163 B1 (등록일자 2009년01월30일) KR 10-2011-0109179 A (공개일자 2011년10월06일) KR 10-2012-0135658 A (공개일자 2012년12월17일) KR 10-2015-0004136 A (공개일자 2015년01월12일)
본 발명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트러스 거더에 관한 것이며, 상기 트러스거더는 각형 또는 강관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재; 및 복수개의 사재; 및 모재와 사재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절점 플레이트; 조합으로 형성되며, 볼트, 너트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압출성형되며, 각형 또는 강관형으로 형성된 모재(120); 알루미늄 압출성형되며, 각형 또는 강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사재(110); 판재형상이며, 상기 모재 및 사재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절점 플레이트(130); 상기 절점 플레이트, 모재 및 사재를 연결하는 체결수단(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점 플레이트(130)는 상기 모재(120)와 상기 사재(110)의 연결 각도에 대응하는 다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평판 플레이트(131); 상기 평판 플레이트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보강재(13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강재(132)는 상기 사재(110) 및 사재(110) 사이에 위치하는 제1고정쐐기(310); 상기 사재(110) 및 모재(1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고정쐐기(320); 상기 제1고정쐐기 및 제2고정쐐기를 상기 평판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쐐기고정체(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재(120) 및 상기 사재(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모재 및 사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강관보강재;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모재(120), 상기 사재(110) 및 상기 절점 플레이트(130)를 일체로 체결하는 볼트(140B);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140N); 상기 볼트 및 상기 너트는 나사산이 노출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트 및 상기 너트 사이에 위치하는 와셔(140W);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일측이 지면과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트러스거더와 고정되는 강관기둥(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 부재를 활용한 트러스 거더 구성으로 경량의 알루미늄 부재 활용으로 재료의 운반 및 구조의 시공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절점 플레이트와 볼트, 너트로 모재 및 사재를 연결하는 것으로 시공공정이 단순하여 작업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절점 플레이트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여 2차 부재력인 휨 저항에 대한 효율이 커지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볼트, 너트 구성은 조립볼트, 조립너트 구성으로 나사산이 노출되지 않게 구비되어 부재간 응력집중 등에 따른 인열 등 파손에 저항하여 구조물 수명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모재 및 사재는 이중강관 또는 리브강관의 단면형상을 구비하여 휨 저항에 효과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볼트, 너트 구성은 풀림 방지부재를 더 구비하여 공용중의 트러스 구조의 거동에 따른 볼트 풀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 압출재로 제작된 트러스 구조의 절점부.
도 2는 본 발명의 모재 및 사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볼트 및 조립너트의 단면도.
도 4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 트러스구조 조립도.
도 8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고정쐐기 및 제2고정쐐기의 분해 및 조립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압출성형되며, 각형 또는 강관형으로 형성된 모재(120); 알루미늄 압출성형되며, 각형 또는 강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사재(110); 판재형상이며, 상기 모재 및 사재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절점 플레이트(130); 상기 절점 플레이트, 모재 및 사재를 연결하는 체결수단(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실시예 1-1)은 복수의 알루미늄 모재 및 사재로 이루어진 거더에 대한 발명이다. 상기 모재(120)와 상기 사재(110)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압출재는 통상의 알루미늄 부재의 인발가공으로 제작된다.
모재는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재는 모재의 측면에 경사방향으로 형성된다.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사재가 상기 모재의 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모재 및 사재는 절점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구속되며, 상기 절점플레이트는 체결수단에 의해 모재, 사재를 결합한다. 상기 사재는 경사 형성되므로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며, 이는 하중의 안정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모재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사재 일측이 접촉되는 수평재(160);
상기 모재 및 수평재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재(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1-2)은 트러스 거더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모재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 위치에 수평재를 형성한다. 상기 모재 및 수평재 사이에는 앞에서 제시한 복수의 사재가 경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재 및 수평재 사이에는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재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트러스 거더는 트러스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모재(120)는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절점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며, 각각 제1모재(121) 및 제2모재(122)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거더를 구성하는 상기 트러스 구조(100)는 현장여건에 따른 휨 저항에 대한 보강을 위해 모재 중 제1모재 및/또는 제2모재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고, 복수개의 모재 연결을 위해 결합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점 플레이트(130)의 형상을 한정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모재 및 제2모재는 상하 접촉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사이에는 수직으로 결합되는 결합재(12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절점플레이트는 일체의 판재로 제작되며, 하나의 모재 및 2개 이상의 사재를 일체로 결합하거나. 또는 제1모재, 제2모재, 결합재 및 2개이상의 사재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일측이 모재 일단부와 결합되며, 타측이 모재 타단부와 결합되며, 소켓형태로 형성되는 연결재(180);를 포함한다.
거더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재 및 상기 수평재는 거더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형성해야 된다. 그러나, 모재 및 수평재는 생산조건에 따라 일정한 길이로 한정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개의 모재 사이는 연결재를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연결재는 양단에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모재 및 다른 모재를 양측에서 결합할 수 있으며, 또는 삽입돌기를 형성하여, 각각의 모재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에 1-1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2개가 평행하게 위치하며, 각각의 모재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보(190);를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에 1-5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는 직선 및/또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곡선은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1-5, 실시예 1-6)은 의 트러스 거더를 구성하기 위해 제작되는 트러스 구조(100)를 연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가로보 구성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가로보는 아치 형상으로 한정되어 처짐 하중에 대한 높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 2-1] 상기 절점 플레이트(130)는 상기 모재와 상기 사재의 연결 각도에 대응하는 다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평판 플레이트(131)와 상기 평판 플레이트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보강재(132)로 구성된다.
본 발명(실시예 2-1)은 절점플레이트에 대한 것이다. 절점플레이트는 평판형상의 평판플레이트를 구성하며, 이는 모재 및 사재 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평판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된 플레이트 보강재(132)는 트러스 구조(100)의 절점부 보강을 목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플레이트 보강재는(132)는 상기 평판 플레이트(13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또는 결합재에 의해 사전에 제작되거나, 또는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적용도 가능하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강재(132)는 평판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며, 평판플레이트로부터 절곡 형성된 절곡부(132a)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보강재는 복수로 형성되며, 양단면은 모재(120)측면과 사재측면, 및 사재측면과 사재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2-2)은 플레이트보강재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절곡부(132a)는 상기 평판 플레이트(131) 일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절곡부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보강재는 평판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의 양단부는 모재 및 사재, 사재 및 사재의 측면과 접촉 된다. 따라서, 거더의 미소한 처짐에 대하여 접촉력을 향상시켜, 절점부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강재(132)는 상기 모재 및 상기 사재 사이에 위치하며,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평판플레이트와 고정되는 고정쐐기(132b)(3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쐐기 및 상기 평판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쐐기고정체(132c);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2-3)은 플레이트보강재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고정쐐기가 평판플레이트 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고정쐐기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은 모재측면 타면은 사재측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일면이 사재측면과 접촉되며, 타면이 다른 사재의 측면과 접촉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쐐기는 쐐기 고정체에 의해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쐐기고정체를 대신하여 고정쐐기가 평판플레이트와 용접될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평판 플레이트(131)는 2개의 판재가 ㄷ자 형상의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재(120) 및 상기 사재(11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실시예 2-4)은 평판플레이트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2개의 평판플레이트가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2개의 평판플레이트는 ㄷ 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모재와 복수의 사재를 감싸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는 부품수를 감소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모재(120)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절곡부 및/또는 모재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절곡부 및/또는 사재(110)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절곡부 및/또는 사재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절곡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실시예 2-5)는 상기 평판플레이트(131)로부터 절곡 형성된 절곡부(132a)는 절점부에 발생하는 다양한 응력에 대항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각 부재(모재 및 사재) 방향 또는 각 부재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6]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절점 플레이트(130)는 상기 모재(120) 및 상기 사재(11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점 플레이트(130)는 부재가 연결되는 절점부의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절점 플레이트 재료를 알루미늄이 아닌 다른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점 플레이트(130)의 재료로는 알루미늄과 같이 부식에 강하면서 알루미늄보다 피로, 인열 등에 저항성이 높은 통상의 피로저항강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모재 및 사재보다 강도가 낮은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피로 파손시 절점플레이트의 파손을 거더의 파손보다 먼저 유도하여 거더의 안전성을 사전 확보하는 목적을 가진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강재(132)는 상기 사재(110) 및 사재(110) 사이에 위치하는 제1고정쐐기(310); 상기 사재(110) 및 모재(1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고정쐐기(320); 상기 제1고정쐐기 및 제2고정쐐기를 상기 평판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쐐기고정체(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3-1)는 고정쐐기를 구체화 한 발명이다. 수평으로 형성된 모재(120)의 상부에는 사선으로 대칭 형성된 2개의 사재가 위치한다. 하나의 모재와 2개의 사재 양단면에는 평판플레이트(131)를 쌍으로 위치시킨다. 2개의 사재(110) 사이에는 제1고정쐐기(310)가 위치시키며, 모재(120)와 사재(110) 사이에는 제2고정쐐기(320)를 위치시킨다. 상기 모재(120), 2개의 사재(110), 2개의 평판플레이트(131), 1개의 제1고정쐐기, 2개의 제2고정쐐기는 복수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통상의 볼트 및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된다.
거더의 변형에 대하여 사재는 요동운동을 하며, 사재의 요동운동은 제1고정쐐기 및 제2고정쐐기에 접촉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쐐기 및 제2고정쐐기는 거더의 반복적인 피로하중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고정쐐기 및 제2고정쐐기는 거더움직임을 일정범위에서 허용하며, 거더 파손을 사전예방의 효과를 가진다. 제1고정쐐기 및 제2고정쐐기는 평판플레이트와 접촉되어 접촉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고정쐐기 및 제2고정쐐기는 평판플레이트는 볼수의 체결볼트로 고정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쐐기(310)는 평판플레이트(131)와 밀착되는 제1고정쐐기판(311);
상기 제1고정쐐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중간쐐기판(312);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쐐기(320)는 평판플레이트와 밀착되는 제2고정쐐기판(321);
상기 제2고정쐐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모재와 수직으로 형성된 제2중간쐐기판(322);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실시예 3-2, 실시예 3-3)는 제1고정쐐기 및 제2고정쐐기의 형상적 특징을 구체화 한다. 제2고정쐐기는 모재 및 사재의 경사면에 위치한다. 모재와 사재의 요동운동을 저지하기 위해, 평판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삼각형 형상의 제2고정쐐기판이 대칭되며, 2개의 제2고정쐐기판은 모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중간쐐기판 양단면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1고정쐐기는 사재 및 사재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는 사재와 사재의 요동운동을 흡수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1고정쐐기는 삼각형 형상이며, 평판플레이트와 접촉되는 2개의 제1고정쐐기판이 대칭되며, 2개의 제1고정쐐기판(311)은 판재형상의 제1중간쐐기판(311)에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중간쐐기판(312)은 모재(120)과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사재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모재(120) 및 상기 사재(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모재 및 사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강관보강재;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강관보강재는 판재, 원형관, 타원형관, 다각형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4-1, 실시예 4-2)에서, 상기 절점 플레이트(130)로 결합되는 트러스 구조(100)에 발생될 수 있는 2차 부재력 즉, 축력 외의 휨, 비틀림 등에 저항하고, 절점으로 하중을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부재의 단면을 외력에 저항하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고, 대표적으로 강관보강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복수로 형성되며, 중력방향으로 휨에 저항이 용이하도록 하방향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4-3)에서, 각형 또는 강관형의 상기 모재(120) 및 상기 사재(110)의 부재 내부는 휨, 비틀림 등의 부재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특히 중력방향 휨에 저항하기 위해 부재 내부에 하방향으로 확대되는 형상의 리브(Rib, Brace) 구성을 더 포함하는 리브강관(도 3(b))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강관보강재 및 모재, 상기 강관보강재 및 사재의 접촉점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4-4)에서, 강관보강재 및 모재, 강관보강재 및 사재 내부의 접촉부위는에 응력집중에 따른 인열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라운드형상(도 3a, 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모재 및 사재의 외부면은 관통 형성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실시예 4-4)에서, 상기 모재 및 사재는 외부표면에 관통 형성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볼트머리가 삽입되는 목적으로 형성되며, 이는 타 구조물과 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모재(120), 상기 사재(110) 및 상기 절점 플레이트(130)를 일체로 체결하는 볼트(140B);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140N); 상기 볼트 및 상기 너트는 나사산이 노출되지 않는 것; 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1)에서, 상기 조립볼트 및 상기 조립너트는 체결 시 나사산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형상이며, 조립볼트의 나사산이 조립너트로 감싸는 형상을 구현한다. 통상의 트러스 구조(100)에 활용되는 고장력 볼트를 조립볼트 및 조립너트의 형상으로 제작하여 구비할 수 있다. 나사산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나사산과 접촉되는 모재 및 사재의 접촉위치에서 높은 응력집중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나사산이 외부 노출되지 않는 결합구조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조립볼트 및 조립너트 간에는 풀림방지부재(150, 도 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볼트 및 조립너트는 공용 중 트러스 거더의 거동에 따른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풀림방지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풀림방지부재는 풀림방지와셔, 풀림방지 스토퍼, 풀림방지 핀, 링 등 통상의 형태 중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재(150)는 조립볼트 내부에 고정되어, 조립너트와의 체결 시 조립너트 내부에 탄성 고정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부재(150)는 상세하게 조립볼트 내부에 고정 구비되는 풀림방지앵커(150A)고, 조립너트와 체결을 통해 조립너트 단부에 구비되는 풀림방지앵커홀(150H) 확장면에 결속, 정착되어 공용 중 풀림이 방지되는 형상으로 한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볼트(140B) 및 상기 너트(140N) 결합구성에 와셔(140W);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와셔(140W)는 상기 절점 플레이트(130)에 위치한 부재간의 마찰거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몰리브덴 와셔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트러스 구조(100)에는 절점에 부재의 하중이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연결되는 모재(120), 사재(110), 절점 플레이트(130) 간을 연결하는 볼트(140B), 너트(140N)에 와셔(140W)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와셔는 공용중 트러스 구조의 거동에 따른 마찰, 피로에 의한 파손에 저항하기 위해 몰리브덴이 포함된 마찰와셔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일측이 지면과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트러스거더와 고정되는 강관기둥(20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7-2]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강관기둥 및 상기 트러스거더 사이에 위치하며, 강관기둥과 중심부가 고정되며, 양단부가 트러스거더와 접촉되는 고정보(210);를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고정보 및 상기 트러스거더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보에 고정되는 스토퍼(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 고정되며, 상기 트러스거더의 모재와 접촉되는 받침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7-1 내지 7-4)은 트러스거더를 안착시키는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지면(하천바닥면)에는 강관기둥의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는 트러스거더를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은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트러스거더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강관기둥 타측에는 수평방향의 고정보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보의 양단은 스토퍼를 장착하여, 트러스거더를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및 트러스 거더는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받침대는 롤러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알루미늄 특성상 변형이 크게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에 대한 지지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고무판으로 설치될 수 있다.
100 : 트러스 구조 110 : 사재
120 : 모재 130 : 절점 플레이트
131 : 평판 플레이트 132 : 플레이트 보강재
132b : 고정쐐기 132c : 쐐기고정체
140 : 볼트, 너트 140B : 볼트
140N : 너트 140W : 와셔
150 : 풀림방지부재 150A : 풀림방지앵커
150H : 풀림방지앵커홀 160 : 수평재
170 : 수직재 180 : 연결재
190 : 가로보 210 : 고정보
220 : 스토퍼 230 : 받침대
310 : 제1고정쐐기 320: 제2고정쐐기
330 : 쐐기고정체

Claims (7)

  1. 트러스 거더에 있어서,
    알루미늄 압출성형되며, 각형 또는 강관형으로 형성된 모재(120);
    알루미늄 압출성형되며, 각형 또는 강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사재(110);
    판재형상이며, 상기 모재 및 사재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절점 플레이트(130);
    상기 절점 플레이트, 모재 및 사재를 연결하는 체결수단(140);
    상기 절점 플레이트(130)는 상기 모재(120)와 상기 사재(110)의 연결 각도에
    대응하는 다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평판 플레이트(131);
    상기 평판 플레이트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보강재(132);
    상기 플레이트 보강재(132)는 평판 플레이트(131)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상기 모재(120) 및 상기 사재(11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
    상기 모재(120) 및 상기 사재(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모재 및 사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강관보강재;
    상기 강관보강재는 복수의 판재로 형성되며, 중력방향으로 휨에 저항이 용이하도록 하방향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모재(120), 상기 사재(110) 및 상기 절점 플레이트(130)를 일체로 체결하는 볼트(140B);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140N);
    상기 볼트 및 상기 너트는 나사산이 노출되지 않는 것;
    상기 조립볼트 및 조립너트 간에 형성되는 풀림방지부재(150);
    상기 풀림방지부재는, 상기 조립볼트 내부에 구비되는 풀림방지앵커(150A);
    상기 조립너트 내부에 구비되고, 풀림방지앵커가 탄성 고정되는 풀림방지앵커홀(150H);을 포함하는 트러스 거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강재(132)는 상기 사재(110) 및 사재(110) 사이에 위치하는
    제1고정쐐기(310);
    상기 사재(110) 및 모재(1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고정쐐기(320);
    상기 제1고정쐐기 및 제2고정쐐기를 상기 평판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쐐기고정
    체(330);를 포함하는 트러스 거더.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 및 상기 너트 사이에 위치하는 와셔(140W);
    를 포함하는 트러스 거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지면과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트러스거더와 고정되는 강관기둥(200);
    을 포함하는 트러스 거더.

KR1020190150904A 2019-11-22 2019-11-22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KR102137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04A KR102137126B1 (ko) 2019-11-22 2019-11-22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04A KR102137126B1 (ko) 2019-11-22 2019-11-22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126B1 true KR102137126B1 (ko) 2020-07-23

Family

ID=7189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04A KR102137126B1 (ko) 2019-11-22 2019-11-22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698A (ko) * 2021-12-20 2023-06-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트러스 방식과 슬라이딩 절점링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조립식 보도 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보도 확장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316A (ja) * 1995-12-05 1997-06-17 Nippon Light Metal Co Ltd トラス用補強部材付ハブ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トラスベース構造体の接合構造
KR19980027149A (ko) * 1996-10-15 1998-07-15 김기중 가설교(假設矯)
JP2001262685A (ja) * 2000-03-22 2001-09-26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トラス構造体
KR100882163B1 (ko) 2008-10-10 2009-02-06 (주)금강시스템즈스케폴딩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용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패널 거푸집 구조
KR20110109179A (ko) 2010-03-30 2011-10-06 권오근 강관트러스 복합 거더의 강관과 콘크리트 현재 합성용 연결재 및 그를 이용한 강관트러스 복합 거더
KR20120135658A (ko) 2011-06-07 2012-12-17 (주)부국이엔지 다목적 가설벤트용 트러스 구조
JP2013053459A (ja) * 2011-09-05 2013-03-21 Kuriyamagumi:Kk トラス格点部保護部材及びトラス格点構造
KR101321699B1 (ko) * 2012-10-19 2013-10-28 주현규 이중관을 이용한 강합성 트러스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KR20150004136A (ko) 2013-07-02 2015-01-12 (유)하남종합건설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316A (ja) * 1995-12-05 1997-06-17 Nippon Light Metal Co Ltd トラス用補強部材付ハブ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トラスベース構造体の接合構造
KR19980027149A (ko) * 1996-10-15 1998-07-15 김기중 가설교(假設矯)
JP2001262685A (ja) * 2000-03-22 2001-09-26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トラス構造体
KR100882163B1 (ko) 2008-10-10 2009-02-06 (주)금강시스템즈스케폴딩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용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패널 거푸집 구조
KR20110109179A (ko) 2010-03-30 2011-10-06 권오근 강관트러스 복합 거더의 강관과 콘크리트 현재 합성용 연결재 및 그를 이용한 강관트러스 복합 거더
KR20120135658A (ko) 2011-06-07 2012-12-17 (주)부국이엔지 다목적 가설벤트용 트러스 구조
JP2013053459A (ja) * 2011-09-05 2013-03-21 Kuriyamagumi:Kk トラス格点部保護部材及びトラス格点構造
KR101321699B1 (ko) * 2012-10-19 2013-10-28 주현규 이중관을 이용한 강합성 트러스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KR20150004136A (ko) 2013-07-02 2015-01-12 (유)하남종합건설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698A (ko) * 2021-12-20 2023-06-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트러스 방식과 슬라이딩 절점링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조립식 보도 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보도 확장방법
KR102553176B1 (ko) 2021-12-20 2023-07-10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러스 방식과 슬라이딩 절점링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조립식 보도 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보도 확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2502B1 (en) Space frame support structure employing weld-free, single-cast structural connectors for highway signs
KR20070087902A (ko) 강재와 목재를 강결연결한 강합성목재세그먼트부재를이용한 환경친화형 강합성목재교량시공방법
KR100985139B1 (ko)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KR101870269B1 (ko)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KR101868677B1 (ko) 메인 철골보와 보조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20160097888A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100776234B1 (ko) 원형관을 이용한 가설 교량의 거더
KR102054709B1 (ko) 보도확장로
KR102137126B1 (ko)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KR101129502B1 (ko) I 형 합성 거더
KR20100089180A (ko) 조립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연결브라켓이 구비된 강-콘크리트 합성거더
KR102484233B1 (ko) 강관 거더의 보강 시스템
KR101483173B1 (ko) 복부 파형강판 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구조
KR20200013911A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30094195A (ko)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712430B1 (ko) 빔-슬래브패널 결합구조
JPH10331436A (ja) 既存構築物における柱梁の耐震補強構造
KR101732719B1 (ko) 튜브형 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보
KR102132338B1 (ko) 아치형보강재를 포함하는 강합성 psc 거더
KR101548215B1 (ko) 보춤이 높은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KR100370177B1 (ko) 거더의 외부강선 보강을 위한 압축형 단부브라켓
CN108729335B (zh) 钢混结合段及其安装方法
JP3919443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用型枠支持機構
KR20090067927A (ko) 수직 강선을 이용한 아웃리거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