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139B1 -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5139B1 KR100985139B1 KR1020090104949A KR20090104949A KR100985139B1 KR 100985139 B1 KR100985139 B1 KR 100985139B1 KR 1020090104949 A KR1020090104949 A KR 1020090104949A KR 20090104949 A KR20090104949 A KR 20090104949A KR 100985139 B1 KR100985139 B1 KR 1009851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ement
- upper structure
- reinforcing
- longitudinal
- adhes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0)
- 교량슬래브 또는 거더인 상부 구조물(C)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공법에 있어서,보강섬유(120)가 상면에 부착된 종방향 보강재(110)를 상부 구조물(C)의 종방향으로 다수 설치하는 단계;상기 종방향 보강재(110) 사이사이에 상부 구조물(C)의 하부면에 철판(172)을 앵커볼트(174)로 부착하고, 상기 종방향 보강재(110)의 하부와 상기 철판(172)을 지지대(176)로서 일체로 연결시킨 횡방향 보강재(170)를 각각 배치하여 상기 종방향 보강재(110)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횡방향 보강재(170)를 상부 구조물(C)에 다수 설치하는 단계;상기 종방향 보강재(110)에 긴장재(180)를 긴장 후, 정착하여 상기 종방향 보강재(110)에 연결된 횡방향 보강재(170)과 함께 상부 구조물(C)을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동시에 보강하는 단계; 및상기 상부 구조물(C)의 저면과 종방향 보강재(110)의 상면 및 상부 구조물(C)의 저면과 횡방향 보강재(170)의 철판(172) 상면에 형성된 공극(K) 사이에 접착제(122)를 주입하여 일체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재(110)는 경량의 강재를 이용하여 π형의 단면으로 제작되고, 그 상부면에는 접착제(122)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122)에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인 보강섬유(120)가 다층으로 부착되며, 상기 보강섬유(120)의 최상단 상면에는 접착제(122)와 함께 규사(130)를 도포하여 그 표면을 거칠게 형성시켜, 상기 규사에 의하여 접착제(122) 주입 공극(K)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재(110)는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 또는 교대(142)의 내측면에 브라켓(140)을 장착하고, 상기 브라켓(140)의 상부에는 탄성패드(146)를 설치하며, 상기 탄성패드(146) 상면에 종방향 보강재(110)의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거치하되, 상기 브라켓(140)은 앵커볼트(114)를 통하여 상부 구조물(C)에 고정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재(110)는 그 상부면으로 강봉(150)이 다수 돌출하여 상부 구조물(C)의 상부로 관통한 다음, 상기 상부 구조물 상면에서 너트(152)가 장착되어 상기 너트에 의하여 강봉이 상부 구조물에 체결시켜 종방향 보강재(110)는 상부 구조물(C)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보강재(170)의 철판(172)은 그 상부면에는 접착제(122)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122)에 보강섬유(120)가 다층으로 부착되며, 상기 보강섬유(120)의 최상단 상면에는 접착제(122)와 함께 규사(130)를 도포하여 그 표면을 거칠게 형성시켜, 상기 규사에 의하여 접착제(122) 주입 공극(K)이 형성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 교량슬래브 또는 거더인 상부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장치에 있어서,경량의 강재를 이용하여 π형의 단면으로 제작되고, 그 상부면에는 접착제(122)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122)에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인 보강섬유(120)가 다층으로 부착되며, 상기 보강섬유(120)의 최상단 상면에는 접착제(122)와 함께 규사(130)를 도포하여 그 표면을 거칠게 형성시켜, 상기 규사에 의하여 접착제(122) 주입 공극(K)이 형성시킨 종방향 보강재(110);상기 종방향 보강재(110) 사이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종방향 보강재(110)들을 횡방향으로 연결시키고 상부 구조물(C)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횡방향 보강재(170);상기 종방향 보강재(110) 및 횡방향 보강재(170)를 상부 구조물(C)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10); 및상기 종방향 보강재(110)에 그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후 긴장 및 정착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C)에 고정된 횡방향 보강재(170)와 함께 상부 구조물(C)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함께 보강하는 긴장재(180)를 포함하는 보강수단(230);을 포함하며,상기 횡방향 보강재(170)는 종방향 보강재(110)의 사이에서 상부 구조물(C)의 하부면에 철판(172)을 앵커볼트(174)로 부착하고, 상기 종방향 보강재(110)의 하부와 상기 철판(172)을 지지대(176)로서 일체로 연결시킨 것이며, 상기 철판(172)은 그 상부면에는 접착제(122)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122)에 보강섬유(120)가 다층으로 부착되며, 상기 보강섬유(120)의 최상단 상면에는 접착제(122)와 함께 규사(130)를 도포하여 그 표면을 거칠게 형성시켜, 상기 규사에 의하여 접착제(122) 주입 공극(K)이 형성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10)은교량을 구성하는 교각 또는 교대(142)에 앵커볼트(114)를 통하여 장착된 브라켓(140); 및상기 브라켓(140)의 상부에 설치된 탄성패드(146);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패드(146) 상면에 종방향 보강재(110)의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거치되어 종방향 보강재(110)를 교량의 하부 공간에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10)은 상부 구조물(C)의 상부로 관통되도록 상기 종방향 보강재(110)의 상부면으로 다수 돌출되도록 형성된 강봉(150); 및상기 강봉(150)을 상부 구조물(C)에 체결되도록 설치된 너트(152);를 포함하여 상기 종방향 보강재(110)는 상부 구조물(C)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장치.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230)은 종방향 보강재(110)의 양단 하부에 설치된 지지판(118)과, 상기 종방향 보강재(1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오목 공간(116)을 따라서 연장되고, 지지판(118)을 관통하는 긴장재(180) 및, 상기 긴장재(180)를 지지판(118)에 각각 고정시키는 정착구(184)를 포함하고, 유압잭을 이용하여 상기 긴장재(180)를 인장시켜서 종방향 보강재(110)와 횡방향 보강재(170)에 의하여 상부 구조물(C)의 종방향 및 횡방향의 동시 보강효과가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4949A KR100985139B1 (ko) | 2009-11-02 | 2009-11-02 |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4949A KR100985139B1 (ko) | 2009-11-02 | 2009-11-02 |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85139B1 true KR100985139B1 (ko) | 2010-10-05 |
Family
ID=4313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4949A KR100985139B1 (ko) | 2009-11-02 | 2009-11-02 |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5139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61271A (zh) * | 2012-12-25 | 2013-04-24 |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 空心板桥单板受力加固方法 |
CN104846753A (zh) * | 2015-05-28 | 2015-08-19 | 大连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 桥面板的孔洞维修方法 |
CN104947603A (zh) * | 2015-04-30 | 2015-09-30 | 西安科技大学 | 一种钢筋混凝土梁桥主梁加固构造及加固方法 |
KR101761726B1 (ko) * | 2015-12-31 | 2017-07-28 | 포엠 주식회사 | 프리스트레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장치 |
KR101886062B1 (ko) * | 2017-04-18 | 2018-08-07 | 김재은 |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을 이용한 구조물의 단면강성 증대 방법 |
KR20200013911A (ko) * | 2018-07-31 | 2020-02-10 | 더원건설산업 주식회사 |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
KR102104291B1 (ko) * | 2019-07-31 | 2020-04-24 | 주식회사 리빌텍이엔씨 | 교량 상부구조물의 보수보강 시스템 |
CN114922095A (zh) * | 2022-03-18 | 2022-08-19 |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 一种装配式轻质高强纤维复合材料施工支架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7407B1 (ko) | 2000-12-26 | 2005-12-19 | 김원기 | 보강재 수직 삽입식 구조물의 보강방법 |
KR100575298B1 (ko) | 2003-08-02 | 2006-05-02 | 주식회사 국제특수건설 | 콘크리트 구조물의 에폭시 보수보강제 조성물 |
-
2009
- 2009-11-02 KR KR1020090104949A patent/KR1009851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7407B1 (ko) | 2000-12-26 | 2005-12-19 | 김원기 | 보강재 수직 삽입식 구조물의 보강방법 |
KR100575298B1 (ko) | 2003-08-02 | 2006-05-02 | 주식회사 국제특수건설 | 콘크리트 구조물의 에폭시 보수보강제 조성물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61271A (zh) * | 2012-12-25 | 2013-04-24 |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 空心板桥单板受力加固方法 |
CN104947603A (zh) * | 2015-04-30 | 2015-09-30 | 西安科技大学 | 一种钢筋混凝土梁桥主梁加固构造及加固方法 |
CN104846753A (zh) * | 2015-05-28 | 2015-08-19 | 大连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 桥面板的孔洞维修方法 |
KR101761726B1 (ko) * | 2015-12-31 | 2017-07-28 | 포엠 주식회사 | 프리스트레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장치 |
KR101886062B1 (ko) * | 2017-04-18 | 2018-08-07 | 김재은 |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을 이용한 구조물의 단면강성 증대 방법 |
KR20200013911A (ko) * | 2018-07-31 | 2020-02-10 | 더원건설산업 주식회사 |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
KR102159429B1 (ko) * | 2018-07-31 | 2020-09-23 | 최희욱 |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
KR102104291B1 (ko) * | 2019-07-31 | 2020-04-24 | 주식회사 리빌텍이엔씨 | 교량 상부구조물의 보수보강 시스템 |
CN114922095A (zh) * | 2022-03-18 | 2022-08-19 |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 一种装配式轻质高强纤维复合材料施工支架 |
CN114922095B (zh) * | 2022-03-18 | 2024-02-13 |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 一种装配式轻质高强纤维复合材料施工支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5139B1 (ko) |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 |
KR100977061B1 (ko) |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인상장치가 부설된 피시빔 주형 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 및 인장보수보강공법 | |
KR100988074B1 (ko) | 교대 벽체와 일체화 시공되는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 |
KR20160115602A (ko) | 교량 바닥판의 교체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조립체 | |
JP6517122B2 (ja) | T桁橋の上部構造 | |
JP2016017358A (ja) | 既設桁橋のヒンジ部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 |
KR100592196B1 (ko) |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및 이의설치방법 | |
JP2010265623A (ja) | 鋼床版の補強構造 | |
KR100522298B1 (ko) |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0840190B1 (ko) | 연속교용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콘크리트 상부플랜지를가지는 아이빔 세그멘트 연결방법 | |
CN208604499U (zh) | 限制局部开裂的内置式混凝土梁桥钢混锚固件 | |
KR20040091350A (ko) | 피에스에스 거더 | |
KR20100023214A (ko) | 다경간 단순교의 바닥판 연속부 | |
CN216194047U (zh) | 一种预制节段梁边跨少支架拼装结构 | |
CN212452258U (zh) | 悬臂梁桥既有牛腿的替代结构 | |
CN108221709B (zh) | 一种用于跨线桥顶推施工的配套设备及施工方法 | |
KR100466017B1 (ko) | 교량의 강상자형 주형보 보강공법 및 그 구조 | |
KR100347073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 | |
KR20020023018A (ko) | 복합소재 또는 프리캐스트 상판과 지지보와의 연결 방법 | |
JP2003064621A (ja) | 吊床版橋及び吊床版の補強方法 | |
CN111809498A (zh) | 倒槽形的钢-混凝土桥面板的梁桥组合结构及其施工方法 | |
KR20060095149A (ko) | 임시 긴장 공법을 이용한 사하중/활하중 합성구조 시스템 | |
KR200333780Y1 (ko) |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 |
KR20040082059A (ko) | 프리플렉스 h형 빔에 상하부 커버 플레이트 및 긴장재정착장치를 설치한 슬래브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슬래브 보강 시공방법 | |
KR20020059960A (ko) | 섬유혼입 콘크리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그가설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1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