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073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073B1
KR100347073B1 KR1019990030216A KR19990030216A KR100347073B1 KR 100347073 B1 KR100347073 B1 KR 100347073B1 KR 1019990030216 A KR1019990030216 A KR 1019990030216A KR 19990030216 A KR19990030216 A KR 19990030216A KR 100347073 B1 KR100347073 B1 KR 100347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concrete structure
fastening
tighten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026A (ko
Inventor
정규성
Original Assignee
정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성 filed Critical 정규성
Priority to KR101999003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073B1/ko
Priority to KR2019990028262U priority patent/KR200182826Y1/ko
Publication of KR2001001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1Making or assembling thereof, e.g. by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2Helicopters ; Flying top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영역 하부에 보강재를 그의 중앙 접촉부가 상기 보강 대상영역의 하면 중앙부에 접촉되고, 그의 양단부가 상기 보강 대상영역의 하면 양단부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보강재의 양단부를 조임수단으로 조여 고정하는 조임단계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휨을 보정하고 보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강재의 역할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영역에 보강재를 대고 조여 프리플랙스력을 가하는 것이므로 보수, 보강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프리플랙스공법으로 보강된 즉시 사하중, 활하중이 구조물에 작용될 때에 구조물과 보강재가 하중을 적절히 분배해서 대응하게 되므로 구조물의 강성 및 내구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METHOD TO REINFORCE CONCRETE STRUCTUR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영역의 중앙부에 보강재를 그의 중앙 돌출부가 접촉되고 양단부가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조여 프리플랙스력을 가함으로써 구조물의 강성 및 내구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여러 교량, 백화점 등의 연이은 붕괴 사고의 원인을 살펴보면 설계 및 시공부실과 이러한 문제를 유발시키는 업계의 구조적인 문제를 들 수 있겠지만 시설물의 유지 보수관리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 것도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이다.
기간 시설물은 산업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한 구조물이고, 도로의 기능이 원활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지하구조물은 그 역할의 가중치로 볼 때 매우 중요한 것이나, 현재까지 시설물의 휨에 대한 유지 보수 방법이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한번 건설된 시설물은 그 특성상 신축, 개축이 어려울 뿐아니라, 파손때 그 피해가 크고 원활한 기능 발휘가 요구되므로 사용성과 안전성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충분히 만족되어야 한다.
더욱이 축조된지 오래된 시설물은 장기간에 걸친 기상영향, 외부 하중의 누적과 누수 및 오수에 의한 부식으로 콘크리트와 철근의 열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잇을 뿐아니라, 국부적인 파손 정도가 심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귀중한 시설물을 새로 개축 또는 적절히 보수, 보강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다행스럽게도 최근에 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이 많이 개발되고 발전하여 시설물의 유지 보수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방법으로는 균열보수공법, 철판접착공법, 탄소섬유공법, 유리섬유나 아미드섬유공법, H빔증설공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법은 구조물의 응급조치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여러 현장 여건을 충분히 만족시켜 주지 못하고 숙련자라 하더라도 완벽한 시공을 기하기 어려울 뿐아니라 많은 시공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존에 보수 보강한 구조물에 대한 안전점검 및 정밀진단 결과 보수, 보강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래 보수, 보강에 적용되고 있는 방법의 효과가 미흡한 이유는 보수, 보강의 시기가 잘 못된 경우, 손상 정도, 위치에 따른 적정한 공법의 선택이 미흡한 경우, 자중 및 외부 하중을 공용중인 구조물과 보강재가 분담해서 받을 수 있는 공법의 선택이 미흡한 경우 등의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적절한 보수, 보강 시기를 선택하였다 하여도 공법의 선택이 보수, 보강에서 소홀히 다루어질 때 노후 구조물을 보강한 후 공용년수 및 안전성에 중대한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노후 또는 부실시공된 교량이나 건축물 등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을 적합하게 보수, 보강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이들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손 및 붕괴와 같은 대형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들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보다 적합한 보수, 보강대책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또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 및 날로 증가하는 교통량 등을 감안하지 않은 교량 등은 철저한 안전진단을 통하여 재 설계 시공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와 같은 노후 또는 잘못 시공된 기존 구조물 등을 전면 파괴하고 신설 구조물로 재 설계 재시공할 경우에는 극심한 교통의 정체 내지는 마비현상이 초래되므로 보수, 보강의 효과가 우수하고 시공작업성이 우수한 대책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검증되고 원리가 간편한 프리플랙스공법을 적용하여 시설물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공용년수를 증대할 수 있게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를 슬라브 교량에 적용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를 폭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를 거더 교량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 장치를 통로박스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폭방향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 장치를 통로박스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길이방향 단면도.
도 6a, 6b는 본 발명 장치의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6a는 프리플랙스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b는 프리플랙스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보강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크리트 구조물 110 : 체결부
111 : 볼트 체결공 112 : 삽입부
200 : 보강재 201 : 접촉부
210 : 체결부 211 : 볼트 체결공
220 : 네오프렌 합성패드 300 : 조임수단
301,302 : 보강철판 303 : 체결공
304 : 앵커볼트 305 : 연결너트
306 : 체결공 307 : 보강철판
308 : 조임볼트 309 : 조임너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예를들어, 보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영역의 양단부를 콘크리트 드릴을 사용하여 관통되게 천공하고, 관통된 구조물의 상면과 하면을 철판으로 보강하고, 본원인이 출원하여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126540호의 기술을 이용하여 앵커볼트를 삽입하고, 관통된 볼트 체결공과 앵커볼트의 공극이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에폭시를 주입, 충전시켜 고정한다.
또, H형빔이나 I형빔과 같은 보강재를 수직보강판으로 양 끝단부에 정밀 용접하고, 보강재의 날개 부분인 상면과 하면을 앵커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볼트 체결공을 형성한다.
이어서, 보강재의 중앙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고 네오프렌 합성패드를 접착하고, 네오프렌 합성패드의 상면에도 에폭시 수지를 도포한다.
이후, 구조물로부터 관통된 앵커볼트에 연결너트로 조임볼트를 연결하고 보강재인 강철빔을 체결공에 맞추어 조립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이 완료되면 보강재 하면에 체결된 조임너트를 서서히 조이게 되면 보강재 상면에 설치된 네오프렌 합성패드가 구조물의 최대 인장측에 먼저 닿게 되며, 보강재를 통과한 조임볼트의 조임너트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네오프렌 합성패드가 구조물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되는 힘으로 작용된다. 즉, 프리플랙스력이 강재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으로 구조물의 기존의 응력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예를들어, 철근의 허용응력을 1500Kg/Cm2으로 볼 때에 공용중인 구조물의 현재 사하중 상태에서 철근의 응력을 측정한 결과 889Kg/Cm2이라고 할 때 보강전 활하중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철근의 인장응력은 1500-889=661Kg/Cm2이 된다.
그러면, 보강전 철근의 응력값을 알고 있으므로 계기값을 보면서 보강된 강재를 관통한 앵커볼트의 연결너트를 서서히 조이면 프리플랙스작용을 인하여 철근의 응력이 감소되는 것을 계기를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연결너트의 조임의 최종마감 작업에서 측정 계기값이 721Kg/Cm2이 되었을 때 약 19%의 철근 응력 감소비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당초 보강전의 철근의 응력이 889Kg/Cm2일 때 활하중에 대응하게 되는 철근의 응력이 661Kg/Cm2이었던 것이 프리플랙스로 인하여 철근의 응력이 721Kg/Cm2로 감소되었으므로 구조물의 사하중 및 활하주에 대응할 수 있는 철근의 응력이 779Kg/Cm2가 되고 이에 따라 구조물의 강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영역 하부에 보강재를 그의 중앙 접촉부가 상기 보강 대상영역의 하면 중앙부에 접촉되고, 그의 양단부가 상기 보강 대상영역의 하면 양단부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보강재의 양단부를 조임수단으로 조여 고정하는 조임단계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휨을 보정하고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이며, 이러한 본 발명 방법은 여러가지 구체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보강재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조이는 형태로 실시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영역의 양단부에 체결을 위한 체결부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체결부 형성단계와, 길이방향 중앙부에 구비된 접촉부가 길이방향 양단부에 비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보강재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체결을 위한 체결부를 형성하는 보강재의 체결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보강재의 체결부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조여 프리플랙스력을 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재는 강철재 H형빔, I형빔과 같은 강철재 빔이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보강재의 중앙부 사이에 네오프렌 합성패드가 삽입되어 상기 접촉부가 이루어지며, 시공할 때에 상기 보강재의 상면 중앙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네오프렌 합성패드를 부착하고, 상기 네오프렌 합성패드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배치하여 조립하게 된다.
상기 네오프렌 합성패드는 탄성, 강인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므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이나, 이러한 성질을 갖는 다른 재료라면 대체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 방법을 적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를 첨부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를 슬라브 교량에 적용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2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를 폭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3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은 보강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는 교량의 상판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보강 대상영역의 하면 중앙부에 접촉되는접촉부(201)가 양단부 보다 돌출되게 중앙부에 구비되는 보강재(200)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보강 대상영역 하부에 상기 보강재(200)를 결합하여 조이기 위한 조임수단(300)을 포함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0)을 휨을 보정하고 보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데, 상기 보강재(200)에는 강철재 H형빔이 이용되고, 이 보강재(200)의 접촉부(201)에는 보강재(200)의 상면 중앙부에 접착되는 네오프렌 합성패드(220)가 이용된다.
상기 조임수단(300)은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양단부에 체결부(110)를 형성하고, 보강재(200)의 양단부에 체결부(210)를 형성하여, 볼트 체결구조로 조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양단 체결부(110)는 보강 대상영역의 양단부에 복수개의 볼트 체결공(111)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보강재(200)의 양단 체결부(210)는 H형빔의 상,하 날개부에 상기 볼트 체결공(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체결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조임수단(300)은 보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보강 대상영역의 상,하면 양단부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볼트 체결공(111)과 대응되는 체결공(303)이 각각 형성된 보강철판(301),(302)을 대고, 앵커볼트(304)를 각각 삽입하여 고정한 후, 각 앵커볼트(304)의 하단 나사부에 연결너트(305)를 체결하는 한편, 상기 보강재(200)의 하면 양단부에 상기 보강재(200)의 양단 볼트 체결공(211)과 대응되는 체결공(306)이 형성된 보강철판(307)을 대고, 상,하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조임볼트(308)를 삽입하여 그 상단 나사부를 상기 연결너트(305)에 체결하고하단 나사부에 조임너트(309)를 체결하여 조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보강재(200)에는 강철재 H형빔 이외에 I형빔 또는 다른 형태의 강철재 빔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보강재(200)의 접촉부(201)는 네오프렌 합성패드(220)를 부가하여 이용하는 대신 강철빔을 중앙부가 양단부 보다 돌출되도록 가공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보강 대상영역의 상면 양단부에는 앵커볼트(304)의 머리부와 상측 보강철판(301)이 삽입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양단 볼트 체결공(111)에 앵커볼트(304)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은 예를들어, 실용신안등록 제126540호에 개시된 앵커볼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며, 앵커볼트(304)에 형성된 주입통로를 통하여 에폭시를 주입하여 볼트 체결공(111)과 앵커볼트(304) 사이의 틈새 등에 충전시킴으로써 강력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도 6a, 6b는 본 발명 장치의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6a는 프리플랙스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b는 프리플랙스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도 6a, 6b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 시공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적용하여 보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양단부를 콘크리트 드릴을 사용하여 관통되게 천공하여 볼트 체결공(111)을 형성한다.
이어서,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양단부 상면과 하면을 보강철판(301),(302)으로 보강하고, 앵커볼트(304)를 삽입함과 아울러 관통된 볼트 체결공(111)과 앵커볼트(304)의 공극이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에폭시를 주입, 충전시켜 고정한다.
또, 보강재(200)인 H형빔의 양단부에 복수개의 수질보강판 정밀 용접하고, H형빔의 날개 부분인 상면과 하면의 양단부에 앵커볼트(304)가 관통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볼트 체결공(211)을 형성한다.
이어서, H형빔의 중앙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고 네오프렌 합성패드(220)를 접착하고, 네오프렌 합성패드(220)의 상면에도 에폭시 수지를 도포한다.
이후,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볼트 체결공(111)에 삽입 고정되어 하측으로 돌출된 앵커볼트(304)의 하단 나사부에 연결너트(305)로 조임볼트(308)를 연결하고 보강재(200)인 H형빔을 볼트 체결공(211)을 맞추어 조립하며, 조임볼트(308)의 하단 나사부에 조임볼트(308)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이 완료된 도 6a의 상태에서 보강재(200)인 H형빔의 하면에 체결된 조임볼트(308)를 서서히 조이게 되면 보강재(200)인 H형빔의 상면에 설치된 네오프렌 합성패드(220)가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최대 인장측에 먼저 닿게 되며, 콘크리트 구조물(100)을 통과한 앵커볼트(304)의 조임볼트(308)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도 6b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네오프렌 합성패드(220)가 콘크리트 구조물(100)을 위로 밀어 올리는 힘으로 작용하므로 프리플랙스력이 강재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기존 응력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상의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슬라브 교량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한 것이고, 도 3에서 부호 101은 슬라브 교량의 콘크리트 구조물 상판을 보인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거더 교량 및 통로박스에도 적용되며, 이외에 여러 가지 형태의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10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장치를 거더 교량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102는 거더 교량의 콘크리트 구조물 상판을 보인 것으로, 이 콘크리트 구조물 상판(102)은 복수개의 거더(102a)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보강재(200)는 이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각 거더(102a) 사이의 내측 공간부(102b)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도 5a는 본 발명 장치를 통로박스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폭방향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 장치를 통로박스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도면에서 103은 통로박스를 보인 것이며, 이 통로박스(103)에는 보강재(200)가 통로박스(103)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렇게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재(200)가 통로박스(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된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그외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상기한 일 실시예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보강재의 역할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영역의 중앙부에 보강재를 그의 중앙 돌출부가 접촉되고 양단부가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조여 프리플랙스력을 가하는 것이므로 보수, 보강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프리플랙스공법으로 보강된 즉시 사하중, 활하중이 구조물에 작용될 때에 구조물과 보강재가 하중을 적절히 분배해서 대응하게 되므로 구조물의 강성 및 내구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7)

  1.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영역 하부에 보강재를 그의 중앙 접촉부가 상기 보강 대상영역의 하면 중앙부에 접촉되고, 그의 양단부가 상기 보강 대상영역의 하면 양단부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보강재의 양단부를 조임수단으로 조여 고정하는 조임단계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휨을 보정하고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영역의 양단부에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체결부를 형성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영역 양단 체결부와 보강재의 양단 체결부를 볼트와 너트로 조여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강철재 H형빔이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보강재의 중앙부 사이에 네오프렌 합성패드가 삽입되어 상기 접촉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상면 중앙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네오프렌 합성패드를 부착하고, 상기 네오프렌 합성패드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배치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5. 교량의 상판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보강 대상영역의 하면 중앙부에 접촉되는 접촉부(201)가 양단부 보다 돌출되게 중앙부에 구비되는 보강재(200)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보강 대상영역 하부에 상기 보강재(200)를 결합하여 조이기 위한 조임수단(300)을 포함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0)을 휨을 보정하고 보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300)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보강 대상영역의 상,하면 양단부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볼트 체결공(111)과 대응되는 체결공(303)이 각각 형성된 보강철판(301),(302)을 대고, 앵커볼트(304)를 각각 삽입하여 고정한 후, 각 앵커볼트(304)의 하단 나사부에 연결너트(305)를 체결하는 한편, 상기 보강재(200)의 하면 양단부에 상기 보강재(200)의 양단 볼트 체결공(211)과 대응되는 체결공(306)이 형성된 보강철판(307)을 대고, 상,하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조임볼트(308)를 삽입하여 그 상단 나사부를 상기 연결너트(305)에 체결하고 하단 나사부에 조임너트(309)를 체결하여 조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보강 대상영역의 상면 양단부에는 앵커볼트(304)의 머리부와 상측 보강철판(301)이 삽입되어 돌출되지 않도록삽입부(112)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
KR1019990030216A 1999-07-24 1999-07-24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 KR100347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216A KR100347073B1 (ko) 1999-07-24 1999-07-24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
KR2019990028262U KR200182826Y1 (ko) 1999-07-24 1999-12-15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216A KR100347073B1 (ko) 1999-07-24 1999-07-24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262U Division KR200182826Y1 (ko) 1999-07-24 1999-12-15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026A KR20010011026A (ko) 2001-02-15
KR100347073B1 true KR100347073B1 (ko) 2002-08-01

Family

ID=1960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216A KR100347073B1 (ko) 1999-07-24 1999-07-24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095B1 (ko) 2009-07-10 2011-09-30 주식회사 건화 프리플렉션 및 강판보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 강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913A (ko) * 2001-04-18 2002-10-26 (주)평화엔지니어링 프리플렉션 복원력을 이용한 교량의 내하력 보강 방법
KR100393103B1 (ko) * 2001-04-18 2003-07-31 (주)평화엔지니어링 탄성지점의 반발력을 이용한 교량의 내하력 보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095B1 (ko) 2009-07-10 2011-09-30 주식회사 건화 프리플렉션 및 강판보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 강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026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1572A (en) Method for externally reinforcing girders
US6588160B1 (en) Composite structural member with pre-compression assembly
US5479748A (en) Friction connector for anchoring reinforcement tendons in reinforced or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US3585771A (en)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tructural members
KR100985139B1 (ko)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KR100352646B1 (ko) 탄성빔을 이용한 구조물 내하력 증진 보강공법
CN105484151A (zh) 一种增强预制混凝土节段间连接的构造及其施工方法
JP2000045227A (ja) 現場打ちコンクリート床版と鋼桁と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KR102012883B1 (ko)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US20120222375A1 (en) Method to Compress Prefabricated Deck Units by Tensioning Elements at Intermediate Supports
KR10041444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보강재 및 그것을 이용한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CN110924522B (zh) 一种钢筋混凝土梁与柱的钢板界面连接结构及连接方法
KR101845717B1 (ko)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034707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
JP2005090115A (ja) 小梁による既設床版の補強工法
KR20020021747A (ko)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합성보
KR20130005928A (ko) 교량의 정모멘트 구간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강박스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KR200182826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치
KR102004854B1 (ko)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120036614A (ko) 긴장재와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한 이중 강박스거더의 종방향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박스거더교 시공방법
KR100696646B1 (ko) 조립식 가로보에 정착 및 지지된 긴장재에 의한 ps 콘크리트 합성거더 교량의 외부긴장 공법
CN113789732A (zh) 空心板梁抗剪加固方法及空心板梁抗剪加固装置
KR0126540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을 위한 강판 접착용 앵커볼트 고정장치
KR100530024B1 (ko) 프리플렉스 h형 빔에 상하부 커버 플레이트 및 긴장재정착장치를 설치한 슬래브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슬래브 보강 시공방법
KR102488261B1 (ko) 세그먼트 접합용 체결장치를 갖는 콘크리트 분절형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일체식 교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40706

Effective date: 2005061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901

Effective date: 2005061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826

Effective date: 200506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