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429B1 -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429B1
KR102159429B1 KR1020180089134A KR20180089134A KR102159429B1 KR 102159429 B1 KR102159429 B1 KR 102159429B1 KR 1020180089134 A KR1020180089134 A KR 1020180089134A KR 20180089134 A KR20180089134 A KR 20180089134A KR 102159429 B1 KR102159429 B1 KR 102159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addle
temporary bridge
steel pip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911A (ko
Inventor
최희욱
Original Assignee
최희욱
더원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욱, 더원건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희욱
Priority to KR1020180089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4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의 설치만으로 강성이 보강되고 추가적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새들을 가설교량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에 설치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더욱 높이도록 하고, 최대응력이 발생되는 말뚝의 두부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은, 강관 또는 H형강으로 제작되어 가설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열 이상으로 지반에 관입되어 지지된 말뚝, 말뚝의 두부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 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 주형, 상부 주형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을 포함하는 가설교량에 있어서, 가설교량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을 선택하여 상기 상부 주형측 하면에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설치되되; 상기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은 일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정착판과; 정착판의 일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일정 구간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강관 지지판과; 강관 지지판의 상단에 정착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다수의 긴장재 보호강관과; 정착판의 일면 양측에 각기 설치되고, 각기 정착구 정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정착구 도입블럭과; 정착구 도입블럭과 강관 지지판의 사이에 정착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정착판의 일면에 설치된 다수의 정착판 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Cross section stiffnesses enhanced saddle sttached temporary bridge and method of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체의 설치만으로 강성이 보강되고 추가적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새들을 가설교량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에 설치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더욱 높이도록 하고, 최대응력이 발생되는 말뚝의 두부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본교량은 장경간으로 구성되고, 구조적 및 시각적 경관이 요구되는 추세에 있다. 이 경우 본교량의 시공시 고하중의 중장비 사용이 증대될 수 밖에 없다. 이때 본교량의 시공 및 교통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가교는 설계기준에 따라 작용하는 최대 하중에 맞추어 설계되어 진다.
본교량 시공시 작용하는 최대하중은 길지 않은 시간동안 작용되어지나, 공사용 차량의 통행과 교통편의를 위한 우회용 도로로도 장시간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가설교량은 시공되어진 초기에 최대하중에 의한 피로도를 극한으로 가지게 된다. 또한 장시간의 지속적인 차량의 통행에 의한 기존 내구력 또한 저하될 소지도 갖게 된다.
한편, 대부분의 가설교량은 라멘식 구조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때 말뚝에 작용하는 최대 응력은 상부 주형과 말뚝의 연결부위인 주두부측에서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방안도 강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449231호로서, 가설교량의 지간 중앙부에 설치되는 상부 H빔과; 상기 상부 H빔과 연결하여 설치하되, 양측 지점부에 설치되는 강성이 서로 다른 상부 H빔과 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상하로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겹보와; 상기 가설교량의 중앙 지점부에 설치하되 양측단부에 상기 H빔과 서로 연결되는 상기 겹보를 작업대위에서 유압잭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상기 가설교량의 가설벤트 위에 설치된 받침장치 상에 설치하되, 상기 가설교량에 작용하는 응력의 분포에 따라 상기 상부 H빔, 겹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2개의 H빔을 상하로 연결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하여 가설교량을 설치하므로서 합성보의 응력증가와 단면증가를 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데 반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의 제작이 용이치 않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100005호로서,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데 반해, 최대휨모멘트구간에서 단면 강성을 증대시키기가 어렵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449231호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100005호
본 발명은 자체의 설치만으로 강성이 보강되고 추가적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새들을 가설교량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에 설치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더욱 높이도록 하고, 최대응력이 발생되는 말뚝의 두부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은, 강관 또는 H형강으로 제작되어 가설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열 이상으로 지반에 관입되어 지지된 말뚝, 말뚝의 두부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 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 주형, 상부 주형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을 포함하는 가설교량에 있어서, 가설교량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을 선택하여 상기 상부 주형측 하면에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설치되되; 상기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은 일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정착판과; 정착판의 일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일정 구간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강관 지지판과; 강관 지지판의 상단에 정착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다수의 긴장재 보호강관과; 정착판의 일면 양측에 각기 설치되고, 각기 정착구 정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정착구 도입블럭과; 정착구 도입블럭과 강관 지지판의 사이에 정착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정착판의 일면에 설치된 다수의 정착판 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긴장재 보호강관에 삽입되어 정착구 도입블럭에 정착되는 긴장재가 곡선형을 이루도록, 정착판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긴장재 보호강관은 정착구 정착홀의 형성 위치보다 일정량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강관 지지판은 상단에 강관거치홈이 형성 배열되고, 다수의 강관 지지판은 하나 이상의 연결판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착구 도입블럭은 블럭 측판과 다수의 보강격판이 결합되어 있는 격자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의 상부에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새들 변형상부억제판이 배치되고, 변형상부억제판과 볼트 체결되어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의 양측으로 위치되는 새들 변형측면억제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 주형과 말뚝의 연결부위인 주두부측에 단면강성 증대가 이루어지도록 말뚝의 주두부 둘레에 결합홈을 갖는 접합날개가 설치되고, 말뚝의 주두부에 배치되어져 접합날개에 연결되는 말뚝 두부 보강캡이 더 설치되되; 말뚝 두부 보강캡은 말뚝 두부의 단면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캡 플레이트와, T형 단면을 갖고 캡 플레이트의 하면에 접합되어져 원형 배열되거나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접합날개측 결합홈에 끼워져 볼트 또는 용접으로 접합날개에 연결되는 복수개 이상의 수직보강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의 시공 방법은, 강관 또는 H형강으로 제작된 말뚝을 가설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열 이상으로 지반에 항타하는 단계와; 말뚝의 두부에 캡 플레이트와 복수개 이상의 수직보강대로 이루어진 말뚝 두부 보강캡을 설치하는 단계와; 말뚝 두부 보강캡의 상면에 받침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받침대의 상면에 상부 주형을 설치한 후 복공판 및 난간을 설치하는 단계와; 일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정착판, 정착판의 일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일정 구간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강관 지지판, 강관 지지판의 상단에 정착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다수의 긴장재 보호강관, 정착판의 일면 양측에 각기 설치되고, 각기 정착구 정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정착구 도입블럭, 정착구 도입블럭과 강관 지지판의 사이에 정착판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정착판의 일면에 설치된 다수의 정착판 보강대로 이루어진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을 구비한 후,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의 상부에 새들 변형상부억제판을 배치하는 단계와;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의 양측으로 새들 변형측면억제판을 위치시켜 볼트 체결로 변형상부억제판에 연결하는 단계와; 긴장재를 긴장재 보호강관에 삽입시킨 후 긴장시켜 긴장재의 양단을 정착구 도입블럭에 정착시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의 정착판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을 가설교량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을 선택하여 상부 주형의 하면에 정착시키는 단계와; 프리스트레스가 가설교량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에 전달되도록 새들 변형측면억제판과 새들 변형상부억제판을 순차적으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에서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미리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가설교량에 설치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의 설치만으로 강성이 보강되고 추가적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새들을 가설교량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에 설치하여 휨저항모멘트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구조적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최대응력이 발생되는 말뚝의 두부에 말뚝 두부 보강캡이 설치되어 최대 응력에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가설교량이 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파일을 적용한 가설교량의 주요부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일측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
도 4는 H형강 파일을 적용한 가설교량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도.
도 7a는 도 6의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평면도.
도 8은 도 7a의 A-A선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단면강성 증대를 위한 시공상태도.
도 9b는 도 9a의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에 긴장재를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싱을 도입시킨 시공상태도.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말뚝 두부 보강캡의 일 형태에 따른 파일과의 분해도, 파일과의 결합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말뚝 두부 보강캡의 다른 형태에 따른 파일과 결합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순차적인 시공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과 이에서 분리된 새들 변형상부억제판 및 새들 변형측면억제판을 함께 나타낸 사시도.
도 14a는 도 13에 도시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 새들 변형상부억제판 및 새들 변형측면억제판을 조립시킨 상태에서 긴장재를 설치하여 프리스트레싱을 도입사시도.
도 14b는 도 14a의 새들 변형상부억제판 및 새들 변형측면억제판이 설치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을 구조물에 설치한 시공상태도.
도 14c는 도 14a의 강성 증대용 새들에서 새들 변형상부억제판 및 새들 변형측면억제판을 해체시킨 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10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가설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열 이상으로 지반에 관입되어 지지된 말뚝(110), 말뚝(110)의 두부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112), 받침대(112)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 주형(114), 상부 주형(114)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116), 상부 주형(114)에 입설된 난간(117) 및 가설교량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을 선택하여 상기 상부 주형(114)측에 설치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이 포함된다.
말뚝(110)은 강관 또는 H형강으로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상부 주형(114)은 다수의 주형보(114a)와 이웃한 주형보(114a와 114a)를 연결하는 가로보(114b)로 이루어진다.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일정 폭(w)과 길이(L) 및 두께(t)를 갖는 정착판(12)이 구비된다. 정착판(12)은 강판으로 제작된다. 정착판(12)의 길이와 폭은 단면을 보강하고자 하는 가설교량(100)의 보강구간이나 단면 폭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정착판(12)의 일면 중앙부에 다수의 강관 지지판(14)이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강관 지지판(14)은 일정 구간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강관 지지판(14)은 강재로 제작된다. 다수의 강관 지지판(14)은 정착판(12)에 용접으로 접합될 수 있다. 다수의 강관 지지판(14)은 상단에 강관거치홈(141)이 형성 배열되어 있다. 이때 다수의 강관 지지판(14)은 하나 이상의 연결판(1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보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강관 지지판(14)의 상단에 정착판(12)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긴장재 보호강관(16)이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긴장재 보호강관(16)은 각기 강관거치홈(141)에 위치되어 강관 지지판(14)에 접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정착판(12)의 일면 양측에 각기 정착구 정착홀(18a)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정착구 도입블럭(18)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정착판(12)의 일면 양측에 각기 한 쌍의 정착구 도입블럭(18)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설치 개수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정착구 도입블럭(18)은 블럭 측판(181)과 다수의 보강격판(182)이 결합되어 있는 격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정착구 도입블럭(18)과 강관 지지판(14)의 사이에는 다수의 정착판 보강대(20)가 배치되어 정착판(12)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정착판 보강대(20)는 정착판(12)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도 9b와 같이 긴장재 보호강관(16)에 삽입되어 정착구 도입블럭(18)에 정착되는 긴장재(30)가 곡선형을 이루도록,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착판(1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긴장재 보호강관(16)은 정착구 정착홀(18a)의 형성 위치보다 일정량(h) 높은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 주형(114)과 말뚝(110)의 연결부위인 주두부측에 발생되는 최대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말뚝(110)의 주두부에 말뚝 두부 보강캡(1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말뚝 두부 보강캡(130)은 상부 주형(114)과 말뚝(110)의 연결부위인 주두부측의 단면강성을 증대시킨다. 이를 위해 말뚝(110)의 주두부 둘레에 결합홈(120a)을 갖는 접합날개(120)가 설치되고, 말뚝(110)의 주두부에 접합날개(120)에 연결되는 말뚝 두부 보강캡(130)이 설치된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말뚝 두부 보강캡(130)은 말뚝(110) 두부의 단면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캡 플레이트(132)와, T형 단면을 갖고 캡 플레이트(132)의 하면에 접합되어져 원형 배열되거나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접합날개측 결합홈(120a)에 끼워져 볼트 또는 용접으로 접합날개(120)에 연결되는 복수개 이상의 수직보강대(134)로 구성된다.
예로, 도 10과 같이 말뚝(110)이 강관으로 제작되어 있는 경우에 수직보강대(134)는 캡 플레이트(132)의 하면에 원형 배열되고, 도 11과 같이 말뚝(110)이 H형강으로 제작되어 있는 경우에 수직보강대(134)는 캡 플레이트(132)의 하면에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을 이용한 가설교량(100)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2a와 같이 강관 또는 H형강으로 제작된 말뚝(110)을 가설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 2와 같이 복열 이상으로 지반에 항타가 이루어진다. 이때 말뚝(110)은 주두부 둘레에 결합홈(120a)을 갖는 접합날개(120)가 설치되어진 것이다.
그 다음, 말뚝(110)의 두부에 캡 플레이트(132)와 복수개 이상의 수직보강대(134)로 이루어진 말뚝 두부 보강캡(130)을 설치한다. 말뚝 두부 보강캡(130)은 말뚝(110)의 두부 강성을 향상시켜 보강한다.
그 다음, 도 12b와 같이 말뚝 두부 보강캡(130)의 상면에 받침대(112)를 설치한다. 따라서 교축직각 방향으로 설치된 말뚝(110)들은 받침대(112)를 통해 일체된 거동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된다.
그 다음, 도 12c와 같이 받침대(112)의 상면에 상부 주형(114)을 설치한 후 복공판(116) 및 난간(117)을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상부 주형(114)의 경우 주형보(114a와 114a)와 가로보(114b)가 일체된 상태로 설치되거나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 설치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앞에서 기술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을 구비한 후, 도 13과 같이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의 상부에 새들 변형상부억제판(50)을 배치한다. 새들 변형상부억제판(50)은 ㅛ형 구조로서 베이스판(501)과, 베이스판(501)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고 접합되어 있는 한 쌍의 보강대(502,502)로 이루어져 있다.
그 다음, 도 14c와 같이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의 양측으로 새들 변형측면억제판(52)을 위치시켜 볼트 체결로 변형상부억제판(50)에 연결한다.
그 다음, 긴장재(30)를 긴장재 보호강관(16)에 삽입시킨 후 긴장시켜 긴장재(30)의 양단을 정착구 도입블럭(18)에 정착시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의 정착판(12)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긴장재(30)는 강연선, PC 강봉 등이 될 수 있다. 긴장재(30)의 정착수단은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는 기술 분야에서 주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구성 및 설명은 생략하다.
그 다음,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을 가설교량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을 선택하여 도 12d와 같이 상부 주형(114)의 하면에 정착시킨다. 정착 방법은 예로 앵커가 사용될 수 있다. 앵커는 정착판(12)에 고르게 배열시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이 상부 주형(114)의 하면에 일체로 고정되게 한다.
그 다음, 도 14c와 같이 새들 변형측면억제판(52)과 새들 변형상부억제판(50)을 순차적으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에서 해체한다. 따라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는 가설교량(100)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에 전달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설교량(100)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에는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을 통한 단면강성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긴장재(30)의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 인한 휨저항모멘트가 발생된다. 따라서 가설교량(100)은 설계기준보다 높은 고하중에 견딜수 있는 안정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가설교량(100)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에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 자체로 가지고도 1차 단면 보강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 더욱이 가설교량(100)에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에 설치된 긴장재(30)에 의해 프리스트레가 도입되어 압축과 휨저항모멘트가 발생됨으로써 2차적인 단면 보강을 이루어 휨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안정된 구조를 갖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
12: 정착판
14: 강관 지지판
16: 긴장재 보호강관
18: 정착구 도입블럭
20: 장착판 보강대
50: 변형상부억제판
52: 새들 변형측면억제판
100: 가설교량
110: 말뚝
114: 상부 주형
130: 말뚝 두부 보강캡

Claims (7)

  1. 강관 또는 H형강으로 제작되어 가설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열 이상으로 지반에 관입되어 지지된 말뚝(110), 말뚝(110)의 두부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112), 받침대(112)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 주형(114), 상부 주형(114)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공판(116)을 포함하는 가설교량(100)에 있어서,
    가설교량(100)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을 선택하여 상기 상부 주형(114)측 하면에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이 설치되되;
    상기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은 일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정착판(12)과; 정착판(12)의 일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일정 구간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강관 지지판(14)과; 강관 지지판(14)의 상단에 정착판(12)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다수의 긴장재 보호강관(16)과; 정착판(12)의 일면 양측에 각기 설치되고, 각기 정착구 정착홀(18a)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정착구 도입블럭(18)과; 정착구 도입블럭(18)과 강관 지지판(14)의 사이에 정착판(12)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정착판(12)의 일면에 설치된 다수의 정착판 보강대(20);를 포함하고,
    정착구 도입블럭(18)은 블럭 측판(181)과 다수의 보강격판(182)이 결합되어 있는 격자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2. 제 1항에 있어서,
    긴장재 보호강관(16)에 삽입되어 정착구 도입블럭(18)에 정착되는 긴장재(30)가 곡선형을 이루도록, 정착판(1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긴장재 보호강관(16)은 정착구 정착홀(18a)의 형성 위치보다 일정량(h)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3.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강관 지지판(14)은 상단에 강관거치홈(141)이 형성 배열되고, 다수의 강관 지지판(14)은 하나 이상의 연결판(1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의 상부에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새들 변형상부억제판(50)이 배치되고, 변형상부억제판(50)과 볼트 체결되어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의 양측으로 위치되는 새들 변형측면억제판(52)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6.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주형과 말뚝의 연결부위인 주두부측에 단면강성 증대가 이루어지도록 말뚝(110)의 주두부 둘레에 결합홈(120a)을 갖는 접합날개(120)가 설치되고,
    말뚝의 주두부에 배치되어져 접합날개(120)에 연결되는 말뚝 두부 보강캡(130)이 더 설치되되;
    말뚝 두부 보강캡(130)은 말뚝(110) 두부의 단면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캡 플레이트(132)와, T형 단면을 갖고 캡 플레이트(132)의 하면에 접합되어져 원형 배열되거나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접합날개측 결합홈(120a)에 끼워져 볼트 또는 용접으로 접합날개(120)에 연결되는 복수개 이상의 수직보강대(1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7. 강관 또는 H형강으로 제작된 말뚝(110)을 가설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열 이상으로 지반에 항타하는 단계와;
    말뚝(110)의 두부에 캡 플레이트(132)와 복수개 이상의 수직보강대(134)로 이루어진 말뚝 두부 보강캡(130)을 설치하는 단계와;
    말뚝 두부 보강캡(130)의 상면에 받침대(112)를 설치하는 단계와;
    받침대(112)의 상면에 상부 주형(114)을 설치한 후 복공판(116) 및 난간(117)을 설치하는 단계와;
    일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정착판(12), 정착판(12)의 일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일정 구간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강관 지지판(14), 강관 지지판(14)의 상단에 정착판(12)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다수의 긴장재 보호강관(16), 정착판(12)의 일면 양측에 각기 설치되고, 각기 정착구 정착홀(18a)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정착구 도입블럭(18), 정착구 도입블럭(18)과 강관 지지판(14)의 사이에 정착판(12)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정착판(12)의 일면에 설치된 다수의 정착판 보강대(20)로 이루어진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을 구비한 후,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의 상부에 새들 변형상부억제판(50)을 배치하는 단계와;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의 양측으로 새들 변형측면억제판(52)을 위치시켜 볼트 체결로 변형상부억제판(50)에 연결하는 단계와;
    긴장재(30)를 긴장재 보호강관(16)에 삽입시킨 후 긴장시켜 긴장재(30)의 양단을 정착구 도입블럭(18)에 정착시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의 정착판(12)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을 가설교량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을 선택하여 상부 주형(114)의 하면에 정착시키는 단계와;
    프리스트레스가 가설교량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구간에 전달되도록 새들 변형측면억제판(52)과 새들 변형상부억제판(50)을 순차적으로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10)에서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의 시공 방법.
KR1020180089134A 2018-07-31 2018-07-31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59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134A KR102159429B1 (ko) 2018-07-31 2018-07-31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134A KR102159429B1 (ko) 2018-07-31 2018-07-31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911A KR20200013911A (ko) 2020-02-10
KR102159429B1 true KR102159429B1 (ko) 2020-09-23

Family

ID=6962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134A KR102159429B1 (ko) 2018-07-31 2018-07-31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8915A (zh) * 2020-11-27 2021-03-09 中铁二十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盖梁的施工方法
CN116335013B (zh) * 2023-05-25 2023-08-01 西南交通大学 一种抢险救灾用便携式模块化快速渡河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9743A (ja) * 2008-09-05 2010-03-18 Jfe Civil Engineering & Construction Corp 桟橋式道路の構築方法
KR100985139B1 (ko) * 2009-11-02 2010-10-05 민경기술 주식회사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4861B2 (ja) * 1997-11-25 2006-11-15 神鋼鋼線工業株式会社 構築物のケーブル補強構造
KR100449231B1 (ko) 2003-01-08 2004-09-18 노윤근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이의 설치방법
KR20090041620A (ko) * 2007-10-24 2009-04-29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상부강재빔이 형성된 주형을 이용한 가설교량 설치구조 및그 시공방법
KR20120100005A (ko) 2011-03-02 2012-09-12 (주)누리플랜코리아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9743A (ja) * 2008-09-05 2010-03-18 Jfe Civil Engineering & Construction Corp 桟橋式道路の構築方法
KR100985139B1 (ko) * 2009-11-02 2010-10-05 민경기술 주식회사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911A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429B1 (ko) 전단벽 수평지지 구조
KR101007708B1 (ko) 세미-힌지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202416B1 (ko) 프리플렉스 합성빔과 피에스씨빔을 이용한 구조용 빔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22620B1 (ko) 프리텐셔닝 강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 이의 제작 및 교량 시공방법
KR102159429B1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90001261A (ko) 강봉을 이용한 지점부 연결구조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다경간 연속교 및 그 시공방법
CN110644675A (zh) 叠合梁连接节点、施工方法及叠合梁生产工艺
KR100977061B1 (ko)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인상장치가 부설된 피시빔 주형 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 및 인장보수보강공법
KR101954614B1 (ko) 교량 상부 구조의 가로보 연결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871831B1 (ko) 휨 하중이 미리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가설 교량 및 그제작 공법
KR101660888B1 (ko) 매립형 가압정착장치를 이용한 구조용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433621B1 (ko)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KR20120100005A (ko)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KR101483173B1 (ko) 복부 파형강판 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구조
KR101389044B1 (ko) 교량용 강재거더 및 그 제작 방법과, 강재거더를 교각에 강결 설치하는 시공방법
JP3877995B2 (ja) 張弦桁橋の構築方法
KR20040091350A (ko) 피에스에스 거더
KR101698807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psc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psc거더
KR20080100976A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53030A (ko) 네트형 슬래브 외부 강선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CN109610349B (zh) 一种内置斜编网片的pc箱梁腹板加固结构及方法
KR101342894B1 (ko) 트러스형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그 제작 방법 및 연속화 교량의 제작 방법
KR100682629B1 (ko) 강관 거더
KR200360711Y1 (ko) 가설 교량 주거더의 단면계수 및 단면 2차 모멘트를증대시키는 에이취 형강과 티 형강을 조합한 시공법에따른 가설 교량의 구조
WO2006065085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