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005A -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005A
KR20120100005A KR1020110018585A KR20110018585A KR20120100005A KR 20120100005 A KR20120100005 A KR 20120100005A KR 1020110018585 A KR1020110018585 A KR 1020110018585A KR 20110018585 A KR20110018585 A KR 20110018585A KR 20120100005 A KR20120100005 A KR 2012010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temporary bridge
fixed
support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섭
Original Assignee
(주)누리플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플랜코리아 filed Critical (주)누리플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1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0005A/ko
Publication of KR2012010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파일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프리스트레싱을 간단하게 인가할 수 있으며, 가설교량의 양 단부를 콤팩트하고 안정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으므로, 가설교량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그 시공방법은, 설치될 가설교량의 설치위치 및 그 구간을 설정하고 가설교량 설치에 필요한 물자 및 장비를 확보한 후 교각(20)이 설치될 위치에 지지 파일(10)을 설치하는 단계(S100);
각각의 상기 지지 파일(10)에 수직빔(21)을 고정연결하고, 상기 수직빔(21)에 보강빔(22)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수직빔(21)의 상단에 수평빔(23)을 평행하게 고정하여 교각(20)을 설치하는 단계(S110);
상기 교각(20)의 수평빔(23)에 복수의 거더(30)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는 단계(S120);
수평부(41)를 상기 거더(30)의 하부면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고, 경사부(42)의 일단을 각각의 상기 교각(20)의 수직빔(21)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수평부(41)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하여 지지부재(40)를 설치하는 단계(S130);
마주하는 각각의 상기 교각(20)에 설치된 거더(30)에 고정된 상기 지지부재(40)의 상기 수평부(41)의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편(411)에 양단을 고정하여 강선(50)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S140);
상기 거더(30)의 상부에 복공판(60)을 배열하여 설치하는 단계(S150);
상기 거더(30)의 측부 또는 상기 복공판(60)의 측부에 난간(70)을 설치하는 단계(S160);
설치될 가설교량의 자체적인 스트레싱 및 하중의 인가시 계산된 스트레싱을 고려하여 결정된 프리스트레스를 상기 강선(50)에 인가하여 고정시켜 가설 교량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S170); 및
상기 가설교량에 도로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가설교량의 양단에 연결부재(80)를 설치하여 수용공간을 확보한 후 그 수용공간에 도로구성 물질들을 충전하여 도로와 연결하는 단계(S1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Method for Constructing Temporary Bridge Using Prestressing Wire}
본 발명은 임시교량 또는 공사를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가설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스트레싱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고, 프리스트레싱 강선의 설치가 용이하며, 복수의 지지 파일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연결 및 설치할 수 있고, 가설교량의 양 단부를 콤팩트하고 안정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어 가설교량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지점과 다른 하나의 지점간의 교통 또는 다른 다양한 목적을 위해 교량이 건설되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 같은 영구적인 교량 이외에 공사차량 및 작업자 또는 일반인들의 통행을 위해, 또는 신속한 교량의 설치를 위해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가설교량이 설치되고 있다.
이 같은 가설교량은 먼저 빔을 상호 연결하거나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가설벤트 또는 교각을 지면에 설치하고 그 가설벤트 또는 교각 상단에 여러 개의 보를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 시킨 후 그 연결보 위에 복공판을 설치하는 방식이 있다. 그리고 고강도의 강봉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는 방식과 트러스를 연속, 반복적으로 조립하여 가설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설교량들에 있어서 고강도의 강봉으로 적용한 가설교량의 경우에는 벤트와 벤트간의 거리가 다소 길어지고 응력의 상쇄가 다소 증가하지만 가설교량의 보의 처짐이 초래되거나 진동에 취약하게 되며, 심한 경우 강봉의 파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제안 되어 있는바, 예컨대 한국특허공개 제2003-0086222호는 상부 H빔과 강성이 서로 다른 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상하로 서로 연결한 겹보와 그 겹보를 작업대 위에서 유압잭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 합성겹보를 가설벤트 위에 설치된 받침상자에 설치하고, 가설교량에 작용하는 응력의 분포에 따라 상부 H빔, 겹보, 프리스트레스 합성겹보를 설치 및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가설교량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 공개특허는 겹보의 부가로 인해 빔의 강성증가와 처짐 및 진동에 다소의 효과는 기대되나 겹보의 부가 및 이들의 과도한 중량으로 인해 교각 또는 가설벤트의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교각 또는 가설벤트의 지간 거리의 증가에 여전히 한계가 있음은 물론 겹보의 부가공정이 복잡하고 기간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특허등록 제10-392679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0-358339호에는 강형재와, 그 강형재의 양 끝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강형재의 하부면에서부터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강형재와 평행하도록 한 쌍의 고정부의 하부측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텐던과, 강형재의 하부면 중앙부에 장착되며 고정부의 높이보다 크지 않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편향부재로 구성되며, 텐던에 인장력을 가하여 강형재를 프리스트레싱하고, 그 강형재의 처짐이 발생하면 편향부재가 텐던과 접촉하여 그 텐던에 의한 상향 수직력을 강형재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이 제안되어 있는 바, 이 같은 제안들은 공통적으로 보의 처짐의 발생시 편향부재 및 텐던의 작용에 의해 응력을 분산시켜 다소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이들 제안들 역시 보인 강형재 모두가 직접 교각 또는 가설벤트에 일체로 고정되어 지지되어야 하므로 교각 또는 가설벤트의 구조가 복잡해짐은 물론 그 지간 거리를 일정길이 이상 증대시킬 수 없어, 작업성 및 안전성이 여전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리스트레싱이 보의 하단 양측에 별도로 설치된 고정부에 불필요한 응력이 인가되어 안전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초래됨은 물론, 이 같은 고정부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그 제작 및 시공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교각의 설치를 위한 등록특허 10-0803658호의 복합파일용 콘크리트파일은, 중공콘크리트 말뚝과, 상기 중공콘크리트 말뚝 상단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된 연결강관과, 상기 중공콘크리트 말뚝의 상기 연결강관이 설치된 상단면에 결합된 끝단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강관과 상기 중공콘크리트 말뚝을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중공콘크리트 말뚝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인장강선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일모서리가 상기 연결강관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모서리가 상기 끝단 플레이트에 고정된 수직리브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교각하부의 지면에 항타 또는 선굴착 방식으로 다양하게 설치되어 교각을 지지하고 있으나, 복수의 상기 복합파일용 콘크리트파일을 상호 연결할 때 작업자가 직접 볼팅 또는 용접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작업속도가 지연됨은 물론 안전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성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스트레싱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고, 프리스트레싱 강선의 설치가 용이하며, 복수의 지지 파일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연결 및 설치할 수 있으며, 가설교량의 양 단부를 콤팩트하고 안정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어 가설교량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은, 지중에 항타 또는 선굴착 매입 방식으로 설치되고,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원형 강재 및 선형 강재를 상호 엮어 이루어진 원통형 보강부와, 상기 원통형 보강부의 일단(하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강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숫부재와, 상기 원통형 보강부의 타단(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강성을 유지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 파일의 상기 숫부재가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된 암부재와, 상기 보강부 전체와 상기 숫부재 및 암부재의 일부를 포위하며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콘크리트로 형성된 원통형 몸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지지 파일; 하단이 상기 지지 파일의 상단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빔과, 각각의 상기 수직빔에 보강을 위해 상호 교차적으로 배열되어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보강빔과, 상기 수직빔의 상단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빔을 일체로 구비한 복수의 교각; 상기 교각에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거치된 다수의 거더; 마주하는 상기 각각의 교각의 일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거더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상부면이 상기 거더의 하부면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선단부 양측에는 고정편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고정편에는 고정공이 천공되어 있는 수평부와, 일단이 각각의 상기 교각의 수직빔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부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경사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지지부재; 일단은 하나의 지지부재의 상기 수평부에 형성된 고정편에 고정되고, 타단은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수평부에 형성된 고정편에 고정되며, 각각의 단부에는 각각의 상기 고정편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도록 나선이 형성된 고정부가 형성된 강선; 차량 또는 행인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거더에 설치된 다수의 복공판; 및 통행하는 차량이나 사람이 가설교량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설치된 난간을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싱 간선을 이요ㅗㅇ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에 있어서,
설치될 가설교량의 설치위치 및 그 구간을 설정하고 가설교량 설치에 필요한 물자 및 장비를 확보한 후 교각이 설치될 위치에 지지 파일을 설치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지지 파일에 수직빔을 고정연결하고, 상기 수직빔에 보강빔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수직빔의 상단에 수평빔을 평행하게 고정하여 교각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각의 수평빔에 복수의 거더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는 단계;
수평부를 상기 거더의 하부면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고, 경사부의 일단을 각각의 상기 교각의 수직빔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수평부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하여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마주하는 각각의 상기 교각에 설치된 거더에 고정된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수평부의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편에 양단을 고정하여 강선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더의 상부에 복공판을 배열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더의 측부 또는 상기 복공판의 측부에 난간을 설치하는 단계;
설치될 가설교량의 자체적인 스트레싱 및 하중의 인가시 계산된 스트레싱을 고려하여 결정된 프리스트레스를 상기 강선에 인가하여 고정시켜 가설 교량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에 의하면, 지지 파일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프리스트레싱을 간단하게 인가할 수 있으며, 가설교량의 양 단부를 콤팩트하고 안정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으므로, 가설교량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이 적용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설교량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가설교량에 적용된 지지 파일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지지 파일이 결합된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이 적용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을 보여주는 부분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이 적용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이 적용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의 연결부재 설치단계를 상세히 보여주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이 적용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은 기본적으로 지중에 항타 또는 선굴착 매입 방식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파일(10)과, 상기 지지 파일(10)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교각(20)과, 상기 교각(20)에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거치된 다수의 거더(30)와, 마주하는 상기 각각의 교각(20)의 일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거더(3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재(40)와, 각각의 상기 지지부재(40)에 일단이 고정되는 강연선(50)과, 차량 또는 행인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거더(30)에 설치된 다수의 복공판(60)과, 통행하는 차량이나 사람이 가설교량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설치된 난간(7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파일(10)은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원형 강재(111) 및 선형 강재(112)를 상호 엮어 이루어진 원통형 보강부(11)와, 상기 원통형 보강부(11)의 일단(하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강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숫부재(12)와, 상기 원통형 보강부(11)의 타단(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강성을 유지함은 물론 다른 하나의 지지 파일(10)의 상기 숫부재(12)가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된 암부재(13)와, 상기 보강부(11) 전체는 물론 상기 숫부재(12) 및 암부재(13)의 일부를 포위하며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콘크리트로 형성된 원통형 몸체(14)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4)는 상기 보강부(11), 숫부재(12) 및 암부재(13)가 상호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숫부재(12)는 상기 보강부(11)의 일단에 용접 또는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원형의 플랜지부(121)와, 상기 플랜지부(121)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암부재(13)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원추절단형으로 형성된 삽입부(122)를 일체로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22)는 상기 암부재(13)로의 용이하고 안정적인 삽입을 위해 상호 분리된 복수의 분지부(122a)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분지부(122a)에는 상기 암부재(13)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걸림턱(12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게 상기 암부재(13)는 상기 보강부(11)의 타단에 용접 또는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며 다른 하나의 지지 파일(10)의 플랜지부(121)에 접하도록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31)와, 상기 플랜지부(131)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숫부재(12)의 삽입부(122)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밀착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항타시 지중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원추형 또는 원추절단형으로 형성된 수용부(132)를 일체로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32)의 선단에는 상기 숫부재(12)의 삽입부(122)의 각각의 상기 분지부(122a)의 걸림턱(122b)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턱(13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분지부(122a)들은 다소의 탄성을 구비하여, 항타시 각각의 상기 분지부(122a)가 수축되어 수용부(132)에 용이하게 삽입되며, 상기 삽입부(122)가 상기 수용부(13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부(122)의 각각의 상기 분지부(122a)의 걸림턱(122b)이 상기 수용부(132)의 지지턱(132b)에 지지되어, 상기 숫부재(12)와 상기 암부재(13) 상호간 견고하고 안정적인 밀착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설치시 상기 지지 파일(10)을 항타하는 경우, 최초의 상기 지지 파일(10)을 지상에 항타할 때, 상기 지지 파일(10)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숫부재(12)가 저항 없이 지중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숫부재(12)에 관통부재(15)가 외삽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재(15)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역원추형 몸체부(151)와, 상기 몸체부(151)의 내부에 상기 숫부재(12)의 삽입부(122)가 내삽되도록 형성된 수용부(152)와, 상기 숫부재(12)의 각각의 상기 분지부(122a)의 걸림턱(122b)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턱(153b)이 형성된 역원추형 결합부(153)를 구비한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숫부재(12)의 각각의 상기 분지부(122a)들이 상기 관통부재(15)의 상기 수용부(152)를 지나 상기 결합부(153)에 결합되면, 상기 숫부재(12)의 각각의 상기 분지부(122a)의 걸림턱(122b)이 상기 지지턱(153b)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숫부재(12)에 상기 관통부재(15)가 완전히 일체화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최초 또는 최 하단의 지지 파일(10)의 선단은 역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지중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교각(20)은 다수의 형강을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하여 상기 지지 파일(10)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교각(20)은 하단이 상기 지지 파일(10)의 상단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빔(21)과, 각각의 상기 수직빔(21)에 보강을 위해 상호 교차적으로 배열되어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보강빔(22)과, 상기 거더(30)가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평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빔(21)의 상단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빔(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거더(30)는 단면이 I 또는 H형상의 형강으로 형성되며, 상기 교각(20)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좌굴 등을 방지하고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직각 방향으로 가로보 및 브레이싱 부재로 상호 연결하여 보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40)는 상부면이 상기 거더(30)의 하부면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수평부(41)와, 일단이 각각의 상기 교각(20)의 수직빔(2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부(41)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경사부(42)를 일체로 구비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수평부(41)의 선단부 양측에는 상기 강선(50)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41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고정편(411)에는 상기 강선(50)의 선단이 삽입되는 고정공(411a)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강선(50)의 일단은 하나의 지지부재(40)의 상기 수평부(41)에 형성된 고정편(411)에 고정되며, 타단은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수평부(41)에 형성된 고정편(411)에 고정된다. 각각의 상기 강선(50)의 단부에는 각각의 상기 고정편(411)에 형성된 고정공(411a)에 삽입되어 너트(5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된 고정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공판(60)은 차량 또는 행인이 교량을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상기 거더(30)에 상호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각각의 상기 복공판(60)의 상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이 형성되거나 미끄럼 방지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난간(70)은 복공판(60)위를 통과하는 행인이 가설교량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차량이 이탈하는 것을 일정범위에서 보호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전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공 방법이 적용되는 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가설교량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이 적용되는 가설교량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제1실시예의 시공방법이 적용된 가설교량의 양 단부를 도로에 안정적이고 콤팩트하게 마무리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재(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80)는 상기 교각(20)의 최외측에 설치된 수직빔(21)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수직지주(81)와, 상기 수직지주(81)에 일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횡지주(82)와, 상기 횡지주(82)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보강지주(83)와, 각각의 상기 지주(81,82,83)에 고정되며 도로구성 물질들을 충전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함은 물론 그 도로구성물질을 실제적으로 포위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지주(81,82,83)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는 지지패널(84)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패널(84)은 도로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상호 대향하는 측방패널(841)과, 상기 각각의 측방패널(841)의 전방에 일체로 연결되어 교량측으로의 도로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횡패널(842)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각각의 지지패널(84)들은 도로를 형성하는 물질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각각의 상기 측방패널(841)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선(85)으로 상호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선(85)은 강선으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고정너트(852)가 고정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된 고정단(85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측방패널(841)을 상호 연결함은 물론 각각의 상기 횡지주(82)를 연결 보강하기 위해 상기 횡지주(82)에는 복수의 고정공(821)이 천공되며, 상기 보강선(80)의 고정단(851)이 상기 고정공(821)에 삽입되어 고정너트(85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설치방법을 도 7 및 8과 도 1 내지 6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이 적용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에 의하면, 먼저 작업자는 가설교량의 설치위치 및 그 구간을 설정하고 가설교량 설치에 필요한 물자 및 장비를 확보한 후 교각(20)이 설치될 위치에 지지 파일(10)을 설치한다(S100). 여기서, 상기 지지 파일(10)은 교량이 설치될 지중의 상태에 따라 복수의 지지 파일(10)이 연속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항타 또는 선굴착 매입 방식으로 설치되는 바, 이때 하나의 지지 파일(10)의 상단에 구비된 암부재(13)에 다른 하나의 지지 파일(10)의 숫부재(12)가 밀착 결합되어 각각의 지지 파일(10)의 몸체(14)가 상호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암부재(13)의 수용부(132)에 삽입된 상기 숫부재(12)의 삽입부(122)의 분지부(122a)의 걸림턱(122b)이 상기 암부재(13)의 수용부(132)의 지지턱(132b)에 밀착 결합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 파일(10)을 항타하는 경우, 최초의 상기 지지 파일(10)을 지상에 항타할 때, 상기 지지 파일(10)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숫부재(12)에 관통부재(15)를 결합시켜 그 최초 또는 초 하단의 지지 파일(10)로 하여금 지중에 대한 저항 없이 관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숫부재(12)의 각각의 상기 분지부(122a)들이 상기 관통부재(15)의 상기 수용부(152)를 지나 상기 결합부(153)에 결합되면, 상기 숫부재(12)의 각각의 상기 분지부(122a)의 걸림턱(122b)이 상기 지지턱(153b)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숫부재(12)에 상기 관통부재(15)가 완전히 일체화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최초 또는 최 하단의 지지 파일(10)의 선단은 역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지중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 파일(10)이 설치되면, 각각의 지지 파일(10)에 수직빔(21)을 고정연결하고, 상기 수직빔(21)에 보강빔(22)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수직빔(21)의 상단에 수평빔(23)을 평행하게 고정하여 교각(20)을 설치한다(S110).
이어서, 상기 교각(20)의 수평빔(23)에 복수의 거더(30)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한다(S120).
다음으로, 수평부(41)를 상기 거더(30)의 하부면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고, 경사부(42)의 일단을 각각의 상기 교각(20)의 수직빔(21)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수평부(41)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하여 지지부재(40)를 설치한다(S130).
이후, 마주하는 각각의 상기 교각(20)에 설치된 거더(30)에 고정된 상기 지지부재(40)의 상기 수평부(41)의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편(411)에 양단을 고정하여 강선(50)을 연결한다(S140). 여기서, 상기 강선(50)의 일단은 하나의 지지부재(40)의 상기 수평부(41)에 형성된 고정편(411)에 고정되고, 타단은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수평부(41)에 형성된 고정편(411)에 고정되며, 각각의 상기 강선(5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51)가 각각의 상기 고정편(411)에 형성된 고정공(411a)에 삽입되어 너트(5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더(30)의 상부에 복공판(60)을 배열하여 설치한다(S150).
이후, 상기 거더(30)의 측부 또는 상기 복공판(60)의 측부에 난간(70)을 설치한다(S160).
최종적으로, 가설교량의 자체적인 스트레싱 및 하중의 인가시 계산된 스트레싱을 고려하여 결정된 프리스트레스를 상기 강선(50)에 인가하여 고정시켜 가설 교량의 설치를 완료한다(S170).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싱 간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가설교량이 설치된 상태에서 실제적으로 상기 가설교량에 도로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설교량의 양단에 연결부재(80)를 설치하여 수용공간을 확보한 후 그 수용공간에 도로를 구성하는 물질들을 충전하여 도로와 연결하는 단계(S180)를 포함한다.
상기 도로 연결단계(S180)는, 상기 교각(20)의 최외측에 설치된 수직빔(21)에 수직지주(81)를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하여 설치하는 단계(S1801)와, 상기 수직지주(81)에 복수의 횡지주(82)를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고정하는 단계(S1802)와, 복수의 보강지주(83)를 상기 횡지주(82)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하는 단계(S1803)와, 각각의 상기 지주(81,82,83)에 측방패널(841) 및 횡패널(842)로 이루어진 지지패널(84)을 고정시켜 도로구성 물질 수용공간을 확보하는 단계(S1804)와, 상기 각각의 측방패널(841)을 상호 연결보강 함은 물론 각각의 상기 횡지주(82)를 연결 보강하기 위해 대향하는 각각의 상기 횡지주(82)를 보강선(85)으로 상호 연결하여 보강하는 단계(S1805)와, 상기 지지패널(84)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도로구성 물질을 충전하여 상기 가설교량을 도로와 연결하는 단계(S1806)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가설교량을 설치함으로써, 지지 파일의 설치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프리스트레싱 강선의 설치가 신속하고, 도로와의 연결부분이 안정적이고 콤팩트하게 설치됨은 물론, 그 시공이 신속하고 안정적이므로 작업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10: 지지 파일 20: 교각
30: 거더 40: 지지부재
50: 강선 60: 복공판
70: 난간 80: 연결부재

Claims (4)

  1. 지중에 항타 또는 선굴착 매입 방식으로 설치되고,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원형 강재(111) 및 선형 강재(112)를 상호 엮어 이루어진 원통형 보강부(11)와, 상기 원통형 보강부(11)의 일단(하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강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숫부재(12)와, 상기 원통형 보강부(11)의 타단(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강성을 유지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 파일(10)의 상기 숫부재(12)가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된 암부재(13)와, 상기 보강부(11) 전체와 상기 숫부재(12) 및 암부재(13)의 일부를 포위하며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콘크리트로 형성된 원통형 몸체(14)를 포함하는 복수의 지지 파일(10); 하단이 상기 지지 파일(10)의 상단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빔(21)과, 각각의 상기 수직빔(21)에 보강을 위해 상호 교차적으로 배열되어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보강빔(22)과, 상기 수직빔(21)의 상단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빔(23)을 일체로 구비한 복수의 교각(20); 상기 교각(20)에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거치된 다수의 거더(30); 마주하는 상기 각각의 교각(20)의 일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거더(3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상부면이 상기 거더(30)의 하부면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선단부 양측에는 고정편(41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고정편(411)에는 고정공(411a)이 천공되어 있는 수평부(41)와, 일단이 각각의 상기 교각(20)의 수직빔(2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부(41)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경사부(42)를 일체로 구비하는 지지부재(40); 일단은 하나의 지지부재(40)의 상기 수평부(41)에 형성된 고정편(411)에 고정되고, 타단은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수평부(41)에 형성된 고정편(411)에 고정되며, 각각의 단부에는 각각의 상기 고정편(411)에 형성된 고정공(411a)에 삽입되어 너트(52)에 의해 고정도록 나선이 형성된 고정부(51)가 형성된 강선(50); 차량 또는 행인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거더(30)에 설치된 다수의 복공판(60); 및 통행하는 차량이나 사람이 가설교량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설치된 난간(70)을 포함하는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에 있어서,
    설치될 가설교량의 설치위치 및 그 구간을 설정하고 가설교량 설치에 필요한 물자 및 장비를 확보한 후 교각(20)이 설치될 위치에 지지 파일(10)을 설치하는 단계(S100);
    각각의 상기 지지 파일(10)에 수직빔(21)을 고정연결하고, 상기 수직빔(21)에 보강빔(22)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수직빔(21)의 상단에 수평빔(23)을 평행하게 고정하여 교각(20)을 설치하는 단계(S110);
    상기 교각(20)의 수평빔(23)에 복수의 거더(30)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는 단계(S120);
    수평부(41)를 상기 거더(30)의 하부면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고, 경사부(42)의 일단을 각각의 상기 교각(20)의 수직빔(21)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수평부(41)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하여 지지부재(40)를 설치하는 단계(S130);
    마주하는 각각의 상기 교각(20)에 설치된 거더(30)에 고정된 상기 지지부재(40)의 상기 수평부(41)의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편(411)에 양단을 고정하여 강선(50)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S140);
    상기 거더(30)의 상부에 복공판(60)을 배열하여 설치하는 단계(S150);
    상기 거더(30)의 측부 또는 상기 복공판(60)의 측부에 난간(70)을 설치하는 단계(S160); 및
    설치될 가설교량의 자체적인 스트레싱 및 하중의 인가시 계산된 스트레싱을 고려하여 결정된 프리스트레스를 상기 강선(50)에 인가하여 고정시켜 가설 교량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교량에 도로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가설교량의 양단에 연결부재(80)를 설치하여 수용공간을 확보한 후 그 수용공간에 도로구성 물질들을 충전하여 도로와 연결하는 단계(S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연결 단계(S180)는,
    상기 교각(20)의 최외측에 설치된 수직빔(21)에 수직지주(81)를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하여 설치하는 단계(S1801)와, 상기 수직지주(81)에 복수의 횡지주(82)를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고정하는 단계(S1802)와, 복수의 보강지주(83)를 상기 횡지주(82)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하는 단계(S1803)와, 각각의 상기 지주(81,82,83)에 측방패널(841) 및 횡패널(842)로 이루어진 지지패널(84)을 고정시켜 도로구성 물질 수용공간을 확보하는 단계(S1804)와, 상기 각각의 측방패널(841)을 상호 연결보강하고 각각의 상기 횡지주(82)를 연결 보강하기 위해 대향하는 각각의 상기 횡지주(82)를 보강선(85)으로 상호 연결하여 보강하는 단계(S1805)와, 상기 지지패널(84)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도로구성 물질을 충전하여 상기 가설교량을 도로와 연결하는 단계(S18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파일(10) 설치 단계(S100)는, 최초 또는 최하단의 상기 지지 파일(10)을 지상에 항타하기 전 상기 지지 파일(10)의 상기 숫부재(12)에 관통부재(15)를 일체로 압입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KR1020110018585A 2011-03-02 2011-03-02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KR20120100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585A KR20120100005A (ko) 2011-03-02 2011-03-02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585A KR20120100005A (ko) 2011-03-02 2011-03-02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005A true KR20120100005A (ko) 2012-09-12

Family

ID=4710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585A KR20120100005A (ko) 2011-03-02 2011-03-02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00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7276A (zh) * 2018-05-28 2018-09-18 宁波交通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水上充砂嵌岩钢管桩工作平台及其施工方法
KR20200013911A (ko) 2018-07-31 2020-02-10 더원건설산업 주식회사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0904753A (zh) * 2019-11-28 2020-03-24 四川鸥鹏建筑工程公司 快速装配式悬臂结构山区临时道路
WO2021109535A1 (zh) * 2019-12-04 2021-06-10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在有轨电车上方拼装钢箱梁的施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7276A (zh) * 2018-05-28 2018-09-18 宁波交通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水上充砂嵌岩钢管桩工作平台及其施工方法
CN108547276B (zh) * 2018-05-28 2023-11-28 宁波交通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水上充砂嵌岩钢管桩工作平台及其施工方法
KR20200013911A (ko) 2018-07-31 2020-02-10 더원건설산업 주식회사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0904753A (zh) * 2019-11-28 2020-03-24 四川鸥鹏建筑工程公司 快速装配式悬臂结构山区临时道路
WO2021109535A1 (zh) * 2019-12-04 2021-06-10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在有轨电车上方拼装钢箱梁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17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캔틸레버부 무지보 시공방법
KR100976847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KR100860478B1 (ko) 철골구조물의 보
KR101136926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KR101007708B1 (ko) 세미-힌지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JP6180376B2 (ja)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KR200381589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JP3844743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120100005A (ko)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JP2006265976A (ja) 波形鋼板ウェブuコンポ橋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159429B1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CN212103631U (zh) 一种大横梁和高立柱预制拼装框架墩
EP1877632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a floor structure of steel and concrete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JP2010229733A (ja) 鋼管による橋梁用床版と橋梁用床版構造および鋼管
KR101518210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787366B1 (ko)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386881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JP3877995B2 (ja) 張弦桁橋の構築方法
KR102141679B1 (ko) I형 지지체를 갖는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20120099999A (ko)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JP5982143B2 (ja) 既設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JP2006183286A (ja) 波形鋼板ウエブuコンポ橋における波形鋼板ウエブの接合構造
KR101787368B1 (ko)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JP6652462B2 (ja) 橋梁用防護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