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231B1 -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231B1
KR100449231B1 KR10-2003-0001086A KR20030001086A KR100449231B1 KR 100449231 B1 KR100449231 B1 KR 100449231B1 KR 20030001086 A KR20030001086 A KR 20030001086A KR 100449231 B1 KR100449231 B1 KR 100449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beams
double
bridge
pre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222A (ko
Inventor
노윤근
정찬핵
Original Assignee
노윤근
정찬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윤근, 정찬핵 filed Critical 노윤근
Priority to KR10-2003-0001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2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이 각각 다른 상부 H빔과 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상하로 연결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와 이를 가설벤트 상부에 설치된 받침장치와 연결하여 가설교량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강성이 서로 다른 상부 H빔과 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서로 가용접 또는 가볼팅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제작하고, 가설교량의 가설벤트에 상기 겹보 및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거치하기 위하여 받침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상기 가설벤트에 설치하되 가설교량의 양측의 지점인 가설벤트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겹보를 설치하고, 중앙의 지점인 가설벤트에는 상기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설치하여,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 사이에는 상부 H빔을 설치한 후에 각각의 H빔의 복부에 연결판을 이용하여 용접 또는 볼트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가설교량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의 가설교량의 설치는 비교적 손쉬운 방법으로 H빔의 강성을 증대시키면서 응력의 상쇄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제작 및 설치기간이 간편하면서 가설교량의 가설벤트에 설치되는 받침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의 수축팽창을 허용함으로서 가설벤트의 하부의 응력과 부반력 감소를 기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안전한 가설교량설치방법인 것이다.

Description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temporat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uond double girder and method for building the temporary bridge}
본 발명은 강성이 각각 다른 상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상하로 연결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와 이를 가설벤트 상부에 설치된 받침장치와 연결조립하여 설치한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강성이 서로 다른 상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상하로 서로 가용접 또는 가볼팅 연결한 겹보를 작업대위에 거치한 후에 유압잭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제작하고, 가설교량의 가설벤트에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설치하기 위하여 받침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상기 가설벤트에 설치하되 가설교량의 양측 지점의 단부 가설벤트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겹보를 설치하고, 중앙 지점인 중앙 가설벤트에는 상기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설치하되,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 사이에는 상부 H빔을 설치한 후에 각각의 H빔의 복부에 설치된 연결판에 볼트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가설교량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의 가설교량의 설치는 영구적인 교량을 설치하기 위하여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을 위하여 임시적으로 가설하는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비교적 손쉬운 방법으로 H빔의 강성을 증대시키면서 H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교량에 설치하면 향후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과 상쇄돼는 응력의 상쇄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 가설벤트에 설치되는 받침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의 수축팽창을 허용함으로서 가설벤트 하부의 응력과 가설교량의 양측 지점에 작용하는 부반력의 감소를 기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안전한 가설교량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현재 가설되는 가교의 설치방법은 빔을 서로연결하여 가설벤트를 세우고 그 위에 가설벤트와 일체로 용접하여 가설교량을 설치한 후에 그 위에 복공판 또는 철판을 설치하여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할 수 있게 임시적으로 설치하는 기존재래방법과 고강도 강봉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 및 트러스를 연속 조립가설하는 방법 등이 있다. 기존재래방법은 가설교량의 지간이 통상적으로 5.0 ~ 8.0m 정도로 지간이 협소하여 통수단면의 감소를 가져와 홍수시 가설교량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강도 강봉을 이용한 방법은 라멘식 부정정 효과와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장지간으로 가설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응력상쇄는 가능하지만 비부착 강봉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 상부빔의 강성증대를 할 수가 없어 가설교량의 처짐과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가 없어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즉, 응력상으로는 장지간이 가능하나 상부빔의 강성이 적어 상대적으로 처짐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하는데는 많은 제약을 받는다. 또한 트러스를 연속조립 가설하는 방법은 장지간은 가능하나 자재를 외국에서 수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관계로 원활한 자재수급에 문제점에 있으며, 또한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교량에이러한 수입자재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공사비를 과다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겹보와 상하로 연결된 H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합성겹보를 가설교량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빔의 강성증가와 처짐 및 진동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용성이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이용하여 가설하는 교량의 설치방법을 개발함과 동시에 가설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온도 수축팽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설벤트의 하부응력과 부반력 감소를 기할 수 있는 받침장치를 개발하여 사용하므로서 현재사용하고 있는 제품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현장에서 손쉽게 제작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경제적이면서 실용적인 가설교량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하여 설치한 가설교량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b)(c)(d)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제작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설치한 작업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작업대에 겹보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겹보, 상부 H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받침장치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7은 도 6의 받침장치를 조립하여 가설벤트에 설치하되 양지점에 설치한 가동단 받침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6의 받침장치를 조립하여 가설벤트에 설치하되 중앙의 가설벤트에 고정단 받침장치의 설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프리스트레스 하중
10... 가설교량 11... 가설벤트
12... 복공판
20... 겹보 21... 상부 H빔
22... 하부 H빔 23... 상부플랜지
24... 하부플랜지 25... 연장부
26... 볼트너트이음
30...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
40... 받침장치 41... 받침틀
42... 구멍 43... 상부플레이트
44... 하부플레이트 45... 보강탄성고무판
46... 보강플레이트 47... 환봉
48... 장공 49-1... 너트
49-2... 볼트
50... 연결부 51... 연결판
60... 작업대 61... 반력지지대
62... 유압잭 63... 가로보
64... 세로보 65... 횡좌굴방지대
66... 공간부
본 발명은 상부 H빔과 강성이 각각 다른 상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상하로 가용접 또는 가볼팅 연결한 겹보와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가설교량의 가설벤트 상부에 설치된 받침장치와 연결조립하여 설치한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강성이 서로 다른 상하부 H빔(21,22)의 상하부 플랜지(23,24)를 상하로 서로 연결한 겹보(20)를 작업대(60)위에 거치한 후에 유압잭(62)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제작하고, 가설교량(10)의 가설벤트(11)에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설치하기 위하여 받침장치(40)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상기 가설벤트(11)에 설치하되 가설교량(10)의 양측의 지점인 단부 가설벤트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겹보(20)를 설치하고 중앙의 중앙부 가설벤트(11)에는 상기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설치하되, 상기 겹보(20)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 사이에는 상부 H빔(21)을 설치한 후에 각각의 H빔의 복부에 설치된 연결판(51)에 볼트(49-2)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가설교량(10)에 특징이 있다.
상기 상부 H빔(21)은 SM400으로서 허용응력(fa)은 1400㎏f/㎠, 하부 H빔(22)은 SM490으로서 허용응력(fa)은 1900㎏f/㎠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하여 설치한 가설교량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강성이 서로 다른 상하부 H빔(21,22)의 상하부 플랜지(23,24)를 상하로 서로 연결한 겹보(20)와 상기 겹보에 유압잭(62)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와 상기 겹보(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H빔(21)을 가설교량(10)의 가설벤트(11)에 설치하게 되는데 가설벤트(11) 위에 받침장치(40)를 설치하고, 가설교량(10)의 양측 지점의 단부 가설벤트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겹보(20)를 설치하고 중앙 지점의 중앙부 가설벤트에는 상기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설치하되,상기 가설교량(10)의 지간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인 상기 겹보(20)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가 설치되는 사이에는 상부 H빔(21)을 설치한 후에 각각의 H빔의 복부에 설치된 연결판(51)에 볼트(49-2)로 연결하여 설치한 가설교량(10)이다.
도 2(a)(b)(c)(d)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제작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연강, SM400)인 상부 H빔(21)의 하부 플랜지(24)와 고강도 압연강재(고강, SM490)인 하부 H빔(22)의 상부 플랜지(23)를 상하로 가볼팅 또는 가용접하여 겹보(20)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하부 H빔(22)의 양측단이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게 연장부(25)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연장부(25)는 상기 도 1에서 각각의 가설벤트(11)에 설치된 겹보(20) 및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와 상부 H빔(21)이 지간사이에서 서로 연결될 때 상부 H빔(21)을 상기 연장부(25)에 올려놓고 서로 연결판(51)을 이용하여 볼트너트이음 연결하기 위함이다.
도 2(b)는 상기 도 2(a)에서 제작된 겹보(20)를 후술하는 도 3의 작업대(60) 위에 상기 겹보(20)를 거치하고 상기 상부 H빔(21)의 양측단에서 중앙으로 1/4 ℓ만큼 떨어진 거리에 프리스트레스 하중 P를 양측에서 유압잭을 이용하여 하중을 재하하여 상기 겹보(2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것이다. 이럴 경우 상부 H빔(21)의 상부 플랜지(23)에는 압축력이, 하부 H빔(22)의 하부 플랜지(24)에는 인장력이 각각 발생한다.
도 2(c)는 상기 겹보(2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스 하중 P를 재하하고 있는 동안 상부 H빔(21)의 하부 플랜지(24)와 하부 H빔(22)의 상부 플랜지(23)를 상하에서 가볼팅 또는 가용접한 부분을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볼트너트이음(26) 또는 완전용접을 하여 완벽히 일체화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제작하는 것이다.
도 2(d)는 재하된 프리스트레스 하중 P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렇게 프리스트레스트가 겹보(20)에 도입되는 원리는 2개의 H빔을 상하로 가연결한 겹보(20)는 완전하게 일체로 연결한 합성보 보다 강성이 월등히 작으므로 동일한 프리스트레스 하중 P를 재하 하였다가 상기 2개의 빔을 완전히 일체화시킨 합성보로 하고 나서 상기 하중 P를 제거하면 응력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 차이만큼 프리스트레스트가 상기 겹보에 도입되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가 제작되는 것이다. 물론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강재의 허용응력을 초과 하여서는 않된다.
이렇게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는 간단히 상기의 4단계를 거치면 제작이 완료되므로 제작상의 어려움이나 유지관리의 번거러움이 없이 손쉽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과 동시에 단면을 증가시킴으로써 처짐과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겹보(2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설치한 작업대(6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작업대는 지상에 설치된 2개의 가로보(63)위에 1/4 ℓ간격으로 5개의 세로보(64)를 설치하여 볼트너트이음(26)을 하고, 그 위에 상기의 겹보(20)를 상부 H빔(21)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그 사이에 유압잭(62)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작업대(60)의 양측단부에 설치된 2개의 세로보(64)에는 반력지지대(61)를 각각 상기의 겹보(20)와 밀착시켜 세로보(64)와볼트너트이음(26)으로 설치한다. 이렇게 반력지지대(61)와 상기 겹보(20)를 밀착시켜 설치하는 것은 유압잭(62)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 하중P를 재하할 때 양측이 지점의 역할을 하게하기 위함이다. 좌굴의 발생확률이 높은 중앙 3개의 세로보(64) 위에는 반력지지대(61)를 설치하고, 유압잭(62)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 하중 P가 도입될 때 상기 겹보(20)에 발생가능성이 있는 횡좌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횡좌굴 방지대(65)는 상기 반력지지대(61)의 상부에 설치하여 반력지지대(61)와 볼트너트이음(26)으로 설치하되, 중앙 3개의 반력지지대(61)와 상기 겹보(20)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인 공간부(66)를 둔다. 이렇게 공간부(66)를 두는 것은 상기 겹보(20)의 양측단의 1/4 ℓ거리에 각각 설치된 유압잭(62)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 하중P가 작용할 때 양측으로 겹보(20)가 휘어져 프리스트레스트가 겹보에 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중앙 3개의 세로보위에 설치되는 반력지지대는 단순히 가이드와 상기 횡좌굴방지대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양측 단부에 설치된 반력지지대의 지점역할을 하는 것과는 구분되는 것이다.
상기 공간부의 거리는 15 ~ 30㎝이나 바람직한 거리는 20㎝이다.
그리고, 가설교량의 지간이 다양하므로 사용되어지는 합성보의 길이가 지간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게되므로 이를 대비하여 세로보에 미리 여러 개의 볼트구멍을 뚫어 놓아 다양한 합성보의 길이에 따라 작업대에 거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겹보(20), 상부 H빔(21),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5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설교량(10)의 양측의 지점인 단부 가설벤트(11)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겹보(20)를 설치하고 중앙의 지점인 중앙부 가설벤트(11)에는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설치하되, 상기 가설교량(10)의 지점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인 상기 겹보(20)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 사이에는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연장부(25)위에 상부 H빔(21)을 올려놓고 양측의 H빔의 복부에 설치된 연결판(51)에 볼트너트이음(26)을 하여 교량을 설치한 가설교량(10)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받침장치(40)를 보여주는 상세도로서, 장공(48)이 양측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43), 다수개의 환봉(47), 보강 플레이트(46), 보강탄성고무판(45) 및 중앙부에 받침틀(41)이 형성되고 양측부에 구멍(42)이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44)가 상기 장공(48)과 구멍(42)을 이용하여 볼트너트로 일체로 결합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43)의 상부는 겹보(20) 또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30)의 하부 H빔(22)의 하부플랜지(24)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플레이트(43)의 하부에는 환봉(47), 보강 플레이트(46), 보강탄성고무판(45)이 하부 플레이트(44)의 받침틀(41)내에 설치되도록하여 상기의 부재들을 보호하고 상부의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며 종구배에 대해 수평을 유지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부 플레이트(43) 양측에 설치된 장공(48)은 하부 플레이트(44) 양측에 형성된 구멍(42)과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가설벤트(11) 위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 환봉(47)은 온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력을 환봉(47)자체가 이동하면서 구속력을 제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46)는 보강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는 보강탄성고무판(45)을 보호함과 동시에 위로는 환봉(16)을 균등하게 지지하여 지지력을 원활히 하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탄성고무판(45)은 상부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회전에 대한 구속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데 하부 플레이트의 받침틀(41)내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44)의 양측변에는 구멍(42)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보강탄성고무판(45)이 설치되는 받침틀(41)이 형성되며 하부 플레이트(44)의 하부는 가설벤트(11)의 상부에 설치되게 된다.
도 7은 도 6의 받침장치(40)를 조립하여 가설벤트(11)에 설치하되 양지점인 양단부에 설치한 가동단 받침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6의 받침장치(40)를 조립하여 가설벤트(11)위에 설치한 것으로서 양지점인 단부는 교량의 빔이 온도에 의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장치에 환봉(47)을 설치한 것이다.
도 8은 도 6의 받침장치(40)를 조립하여 가설벤트(11)에 설치하되 중앙의 중앙부 가설벤트(11)에 고정단 받침장치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중앙의 중앙부 가설벤트(11) 위에 설치된 받침장치(40)는 교량 빔이 온도등에 의하여 신축에 의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하기 위하여 상기의 환봉(47)을 설치하지 않고 받침장치(40)를 설치한 것이다.
2개의 H빔을 상하로 연결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하여 가설교량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합성보의 응력증가와 단면증가를 통한 사용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단기간 내에 교량에 사용하는 합성보를 제작할 수 있고 지상에서 작업하여 가설벤트 위에 바로 거치하므로 경제성 및 시공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력을 감쇄시킬 수 있는 받침장치를 개발함으로써 가설교량의 가설벤트의 응력과 부반력 감소를 기할 수 있고, 제작이 간편하여 공사비가 저렴하고 미관이 수려하며 역학적으로 하중전달 메카니즘이 명확하고 안전한 가설교량을 건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가설교량의 지간 중앙부에 설치되는 상부 H빔과; 상기 상부 H빔과 연결하여 설치하되, 양측 지점부에 설치되는 강성이 서로 다른 상부 H빔과 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상하로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겹보와; 상기 가설교량의 중앙지점부에 설치하되 양측단부에 상기 H빔과 서로 연결되는 상기 겹보를 작업대위에서 유압잭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상기 가설교량의 가설벤트 위에 설치된 받침장치 상에 설치하되, 상기 가설교량에 작용하는 응력의 분포에 따라 상기 상부 H빔, 겹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지상에 설치된 2개의 가로보위에 1/4 ℓ간격으로 5개의 세로보를 설치하여 볼트너트이음을 하고, 그 위에 상기의 겹보를 상부 H빔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되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대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2개의 세로보에는 반력지지대를 각각 상기의 겹보와 밀착시켜 세로보와 볼트너트이음으로 설치하고, 좌굴의 발생확률이 높은 중앙 3개의 세로보 위에는 반력지지대를 설치하되, 유압잭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 하중 P가 도입될 때 상기 겹보에 발생가능성이 있는 횡좌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횡좌굴 방지대는 반력지지대의 상부에 설치하여 반력지지대와 볼트너트이음으로 설치하며, 중앙 3개의 반력지지대와 상기 겹보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한 공간부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일정한 거리는 15 ~ 30㎝이며, 상기 겹보의 양측단의 1/4 ℓ거리에 각각 설치된 유압잭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 하중P가 작용할 때 양측으로 겹보가 휘어져 프리스트레스가 겹보에 도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장치는 장공이 양측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다수개의 환봉과 보강 플레이트와 보강탄성고무판이 조립되어 중앙부에 형성된 받침틀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양측부에 구멍이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장공과 하부 플레이트의 구멍에 볼트너트로 하부 H빔의 하부 플랜지와 가설 벤트사이에 일체로 결합되어 교량 구조물의 온도에 의한 신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가설교량의 양측 지점인 단부 가설벤트에 설치되는 가동단 받침장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장치 중에서 상부 플레이트와 보강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환봉을 제거하여 가설교량의 중앙 지점인 중앙부 가설벤트에 설치되는 고정단 받침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의 양측에 일정길이의 연장부를 두어 가설교량의 가설벤트에 설치된 겹보 및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와 상부 H빔이 지간사이에서 서로 연결될 때 상부 H빔을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의 연장부에 올려놓고 복부에 연결판을 이용하여 볼트너트이음을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교량에 작용하는 응력의 분포에 따라 상기의 상부 H빔, 겹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의 설치위치는 가설교량의 양측 지점인 단부 가설벤트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겹보를 설치하고, 가설교량의 중앙 지점인 중앙부 가설벤트에는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교량의 지간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 사이에 상부 H빔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8. 가설교량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가설교량의 가설벤트를 설치하기 위한 지반에 가설벤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가설교량의 양측과 중앙부에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대위에 가설벤트를 조립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가설교량의 양측의 단부 가설벤트위에는 가동단 받침장치를, 상기 가설교량의 중앙의 중앙부 가설벤트에는 고정단 받침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작업대위에 겹보를 설치하여 유압잭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제작하는 단계;
    e) 상기 가설교량의 양측에 설치된 받침장치 위에는 겹보를 설치하고, 중앙부의 받침장치 위에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설치하고,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사이에는 상기 상부 H빔을 설치연결하는 단계 및
    f) 상기 가설교량의 빔의 상부에 복공판을 설치하여 통행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설치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제작하는 순서는 상부 H빔의 하부플랜지와 하부 H빔의 상부플랜지를 상하로 가볼팅 또는 가용접하여 겹보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겹보를 작업대 위에 거치하고 상기 상부 H빔의 양측단에서 중앙으로 1/4 ℓ위치의 거리에 프리스트레스 하중 P를 도입하기 위한 유압잭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유압잭에 프리스트레스 하중P를 재하하고 있는 동안 상부 H빔의 하부 플랜지와 하부 H빔의 상부 플랜지를 상하에서 가볼팅 또는 가용접한 부분을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볼트너트이음을 하여 완벽히 일체화를 하고,
    상기 재하된 프리스트레스 하중 P를 제거하여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설치방법.
KR10-2003-0001086A 2003-01-08 2003-01-08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이의 설치방법 KR100449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086A KR100449231B1 (ko) 2003-01-08 2003-01-08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086A KR100449231B1 (ko) 2003-01-08 2003-01-08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이의 설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548U Division KR200315883Y1 (ko) 2003-01-08 2003-01-08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222A KR20030086222A (ko) 2003-11-07
KR100449231B1 true KR100449231B1 (ko) 2004-09-18

Family

ID=3238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086A KR100449231B1 (ko) 2003-01-08 2003-01-08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23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5041A1 (en) * 2004-12-13 2006-06-22 Leton Bridge Co., Ltd Temporary bridge of a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with a long span
KR100891924B1 (ko) 2008-05-16 2009-04-08 (주)미래기술단 가설교량용 변단면 유타입 지점부 주형보
KR20200013911A (ko) 2018-07-31 2020-02-10 더원건설산업 주식회사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61809B1 (ko) 2019-10-15 2020-10-05 주식회사 중앙이앤씨 가설교량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구조물 시공방법
KR102195563B1 (ko) * 2019-12-11 2020-12-29 주식회사 신흥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KR102207777B1 (ko) * 2019-12-11 2021-01-26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교량용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46B1 (ko) * 2006-03-02 2007-09-06 양난경 합성가설교량
KR101124515B1 (ko) * 2009-04-17 2012-03-15 홍석희 다양한 단면형식의 합성으로 강성의 최대화와, 편심의 극대화를 통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합성단면빔을 이용하여 설치한 가설구조체
KR101312300B1 (ko) * 2012-12-20 2013-09-30 정병목 상부 및 하부부재를 이용한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682442B1 (ko) * 2016-02-19 2016-12-05 장영철 가설 교량
KR101644528B1 (ko) * 2016-04-21 2016-08-01 강경훈 가변거더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5041A1 (en) * 2004-12-13 2006-06-22 Leton Bridge Co., Ltd Temporary bridge of a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with a long span
KR100891924B1 (ko) 2008-05-16 2009-04-08 (주)미래기술단 가설교량용 변단면 유타입 지점부 주형보
KR20200013911A (ko) 2018-07-31 2020-02-10 더원건설산업 주식회사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61809B1 (ko) 2019-10-15 2020-10-05 주식회사 중앙이앤씨 가설교량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구조물 시공방법
KR102195563B1 (ko) * 2019-12-11 2020-12-29 주식회사 신흥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KR102207777B1 (ko) * 2019-12-11 2021-01-26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교량용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222A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0065A (en) Lightweight modular, truss-deck bridge system
KR100569028B1 (ko) 박스형 가설교량
KR100449231B1 (ko)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이의 설치방법
KR20090016264A (ko) 철근이 선조립된 src 기둥용 철골기둥 및 이를 이용한철골조 시공방법
KR100758994B1 (ko) 형강인 수직보강부재로 보강된 빔과 그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911451B1 (ko) 메인거더와 대형복공판이 일체화된 합성가설교량용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합성가설교량 시공방법
KR100722809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을 이용한교량 설치구조 및 교량시공방법
KR200397213Y1 (ko)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CN110042745B (zh) 抗震桥墩组件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101243777B1 (ko)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이 도입된 파형강판 합성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896173B1 (ko) 장지간 빔, 이를 포함하는 무주 구조물, 무주 주차 구조물 및 장지간 빔의 제조방법 및 무주 구조물 시공방법
KR101892073B1 (ko) 강관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80093261A (ko)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KR101347555B1 (ko)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교량에서의 연속지점부의 시공방법
KR100565384B1 (ko) 빔 연결부재와 강재가로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빔의 연속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US5644890A (en) Method to construct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structure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for a continuous beam thereof
JPH04228710A (ja) 橋梁用道路スラブ
KR200315883Y1 (ko)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KR20070001410A (ko)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KR101682442B1 (ko) 가설 교량
CN210177354U (zh) 抗震桥墩组件
KR100921825B1 (ko)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KR20080093263A (ko) 강합성 형강 교량의 연속화 시공방법
CN210798013U (zh) 钢次梁与桁架交叉布置而成的井字梁楼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105

Effective date: 200708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002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105

Effective date: 200708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