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825B1 -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 Google Patents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825B1
KR100921825B1 KR1020080026897A KR20080026897A KR100921825B1 KR 100921825 B1 KR100921825 B1 KR 100921825B1 KR 1020080026897 A KR1020080026897 A KR 1020080026897A KR 20080026897 A KR20080026897 A KR 20080026897A KR 100921825 B1 KR100921825 B1 KR 100921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delete delete
structural beam
steel plate
struc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633A (ko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상현
주식회사 굿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주식회사 굿테크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1020080026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82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 I형 단면의 한쌍의 스틸플레이트 상부에 채널부재로 연결한 강성증가부재를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파이형 단면의 구조용 빔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이용하여 임시 시설물을 보다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교, 주형, 빔, 가설, 구조물

Description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TEMPORARY STRUCTURE USING STUCTURAL BEAM}
본 발명은 가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형 단면의 스틸플레이트의 상부에 "Π"자 형상의 지지구조로 형성되는 구조용 빔을 결합하여 가설구조물의 단면 강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 가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가설 구조물 중 예컨대, 종래 가교 즉 가설교량의 상부구조의 경우 도 1a와 같이, 역학적 지지를 담당하는 I형상의 스틸플레이트(10,주형, 거더)와 차량하중과 같은 윤하중, 활하중을 상기 스틸플레이트에 전달하는 복공판(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틸플레이트(10)는 공장에서 제작되는 압연형강 제품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별도로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로 구성되는 강재빔을 이용하기 때문에 급속시공을 위한 소규모 교량건설에 매우 장점이 발휘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최근 상기 스틸플레이트의 경우 프리스트레스 도입, 앵글(채널부재)를 이용하여 스틸플레이트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등 보다 장지간화된 가교 등에 이용되도록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도 1b의 좌측도면과 같이
ATOM공법으로 지칭되는 가교시공방법에 있어서는, 복공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틸플레이트(10)의 경우, I형 단면의 강재빔과 상기 강재빔의 하부에 이격된 강봉(31, 긴장재,인장재)가 정착구(32)에 의하여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강봉을 긴장한 후 그 양단부를 정착구에 정착시킴으로서 강재빔에 일종의 상향력을 발생시켜 결국 스틸플레이트의 전체 단면 강성이 증진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b의 중간도면과 같이
비대칭 강재빔에 있어서는, 복공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틸플레이트(10)의 경우, I형 단면의 강재빔과 상기 강재빔의 복부의 상부 및 /또는 하부에 앵글(채널부재)과 같은 접철부재(33)를 더 장착함으로서 단면 중립축에 의한 편심효과의 증대를 이용하여 결국 스틸플레이트의 전체 단면 강성이 증진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b의 우측도면과 같이
DHB공법으로 지칭되는 가교시공방법에 있어서는, 복공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틸플레이트(10)의 경우, I형 단면의 강재빔과 상기 강재빔의 하부에 추가로 작은 높이의 I형 강재빔(34)을 더 고정시켜 전체 스틸플레이트의 높이를 인위적으로 증가시켜 역시 스틸플레이트의 전체 단면 강성이 증진되도록 한다.
또한, 도 1c와 같이,
TALL-BEAM공법으로 지칭되는 최근 가교시공방법에 있어서는, 특히 복공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틸플레이트(10)의 경우, 그 상부면에 높이가 작은 I형 강재빔(35)을 더 설치하되, I형 강재빔 양측으로 복공판이 스틸플레이트 거더 상부면 양 외측으로 얹어져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역시 스틸플레이트의 전체 단면 강성이 증진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TALL-BEAM공법의 경우에 설치되는 I형 강재빔의 경우 스틸플레이트의 단면강성을 위한 부재로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복공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역시 복공판의 전체 설치개수를 줄이기에는 다소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스틸플레이트의 단면 강성 증대를 위한 기술개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특히 가교구조물에 있어서는 스틸플레이트를 압연형강 제품으로 이용하는 것이 급속시공을 위해서 필연적인데 이럴 경우 그 단면 강성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가교구조물의 특성상 스틸플레이트와 복공판이 서로 비부착되어 얹어지는 방식을 취하다 보니 이러한 복공판이 스틸플레이트에 일종의 하중으로만 작용하여 스틸플레이트의 단면강성에는 역학적으로 불리한 영향만을 끼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정리하면, 종래 스틸플레이트를 이용하는 가교 구조물에 있어서는 매우 무거운 복공판이 단순 하중증가요인으로 작용하여 구조적으로 불리한 구조가 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스틸플레이트는 그 단면강성이 작고, 복공판의 설치개수가 많아 전체적인 가교 구조물 공사비가 증가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가교 구조물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주차장 시설물이나 지하철 공사장의 가설 구조물에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스틸플레이트의 경우 I형 압연형강 또는 강재빔을 이용하더라도 단면강성에 보다 효과적인 역학구조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스틸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라도 고가인 복공판 설치개수를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경제적인 교량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교량구조물에 나아가 가설 구조물, 건축 구조물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용 빔 및 구조용 빔을 이용한 교량구조물 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함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설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를 갖추어 다리부재를 이루는 나란한 한쌍의 스틸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면 일부를 외부 노출시키도록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L자형 형강이 결합되는 측판부 ; 및 한쌍의 측판부사이를 연결하도록 단위 형강이 단독 또는 복수개 상호 체결되어 상기 한쌍의 측판부 상단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판부 ; 를 포함하여 하부가 개방된 파이단면상의 구조용 빔을 구비하고, 상호 이격설치되는 복수개의 구조용 빔사이마다 설치되는 복공판은 외부노출되는 상부플랜지의 상면 일부와 상기 측판부에 양단부가 접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구조용 빔사이에 상기 상판부와 동일한 높이로 안착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상판부의 상부면은 그 자체로서 가설 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상판부가 차지하는 폭 만금 복공판을 포함한 바닥판의 형성공간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상기 상판부는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채널부재(앵글부재) 또는 H형 강재를 체결 또는 용접에 의하여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 사용성 및 시공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빔 구조물이 π 형상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단면강성을 구비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측판부와 상판부에 의한 내측공간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한 단면구조(π 형상)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부와 양 측판부의 단면형태가 박스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특히 장지간의 구조에 있어서 단순 I형 단면의 스틸플레이트와는 달리 좌굴 및 비틀림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박스체 구조에는 긴장부재 및 정착구를 더 설치하여 필요 시 프리스트레스가 더 도입될 수 있도록 하되, 그 구조 내부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서 그 설치공간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고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가설 구조물은 복공판과 스틸플레이트로만 이루어지는 종래 하중 지지구조에 비해 단면강성이 증가될 수 있어 장지간의 지간을 가질 수 있으면서도 채널부재 또는 앵글부재를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어 그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할 뿐 만 아니라,
삭제
삭제
좌굴 및 비틀림에 유리하도록 박스체 구조로 변형이 가능하며 프리스트레스 도입에 의한 보다 효율적인 빔 구조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형강 조립 구조용 빔(100)의 실시예 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 들은 구조용 빔(100)을 구성하는 강성증가부재(120)의 여러 다른 형태 및 박스체 구조로 변형된 예에 따라 구분될 것들이라 할 수 있다.
<구조용 빔의 실시예1>
먼저, 도 2a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은 크게 스틸플레이트(110)와 측판부(120a) 및 상판부(120b)로 구성되는 강성증가부재(12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스틸플레이트(110)는 통상 압연형강으로 구입이 가능한 것으로서 크게 상부플랜지(111), 복부(112) 및 하부플랜지(113)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도 상부플랜지(111), 복부(112) 및 하부플랜지(113)로 구성된 스틸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살펴보지만 ㅗ형 단면, L형 단면, 역 L형 단면 등이 가능하다.
또한, 압연형강 제품이 아닌 강판을 가공하여 상부플랜지(111), 복부(112) 및 하부플랜지(113)로 구성된 것을 이용해도 상관은 없다.
이러한 스틸플레이트(110)는 병렬로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2개가 배치되도록 하며, 이격된 위치의 스틸플레이트(110)를 서로 구조적으로 연결시켜 주되 구조용 빔의 단면강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가진 부재가 바로 상기 강성증가부재(120)이다.
상기 강성증가부재(120)는 스틸플레이트(110) 상부면 각각에 배치되며, 스틸플레이트의 단면강성이 증가하도록 각각의 스틸플레이트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다시 내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일체화된 것으로서, 이러한 강성증가부재(120)는 L형, 또는 ㄷ 자형 등의 채널부재(앵글부재)를 서로 체결하거나 용접하여 제작할 수 있고, 1개의 부재로서 제작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2개 이상의 부재로 강성증가부재를 제작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의 경우에는 강성증가부재(120)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L형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측판부(120a)를 스틸플레이트(110)의 상부면 개략 중앙부위에 볼트(131) 및 너트(132)를 포함하는 체결구(130)를 이용하여 장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즉, 측판부(120a)의 수평부(121a)가 양 스틸플레이트 상부면 개략 중앙부위에 외측방향으로 체결구를 이용(용접도 가능)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수평부와 일체로 형성된 수직부(122a)가 스틸플레이트 상부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서, 상기 상방으로 돌출된 측판부(120a)는 스틸플레이트 상부면에 일체로 고정되므로 스틸플레이트의 높이가 그만큼 증가하게 되고, 이로서 스틸플레이트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지기 때문에 이로 인한 단면 강성이 증가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a의 경우에는 강성증가부재(120)가 다시 내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부(122a)의 내측면 사이에 ㄷ 자형 채널로 이루어지는 상판부(120b)가 장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장착수단은 도 2a의 경우 용접의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역시 상기 체결구를 이용해도 상관은 없다.
이로서 본 발명에 의한 구조용 빔(100)은 양 측의 스틸플레이트(110)과 강성증가부재(120)에 의한 단면 형태가 파이형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파이형상의 단면 형태는 구조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박스체 형태로 구성되어 단순 I형상의 단면 보다 장지간용으로서 좌굴, 비틀림에 유리하고, 강성증가부재에 의하여 단면 높이가 증가되어 단면강성도 매우 커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L형 채널부재(120a)를 스틸플레이트(110)의 상부면 개략 중앙부위에 장착함으로서, 도 3과 같이 복공판과 같은 부재의 일측단부가 얹어져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복공판의 외측으로 접하여 그 높이들에 차이가 나지 않도록 상기 측판부(120a)의 수직부(121a)의 높이를 조정하게 되며, 이로서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의 강성증가부재(120) 중 ㄷ 자형 채널부재 자체가 복공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구조용 빔의 실시예2>
먼저, 도 2b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 역시 크게 스틸플레이트(110) 및 강성증가부재(12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스틸플레이트는 통상 압연형강으로 구입이 가능한 것으로서 크게 상부플랜지(111), 복부(112) 및 하부플랜지(113)로 구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압연형강 제품이 아닌 강판을 가공하여 상부플랜지(111), 복부(112) 및 하부플랜지(113)로 구성된 것을 이용해도 상관은 없다.
이러한 스틸플레이트 역시 병렬로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2개가 배치되도록 하며, 이격된 위치의 스틸플레이트를 서로 구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가진 부재가 바로 상기 강성증가부재(120)이다.
도 2b의 경우에는 강성증가부재(120)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L자 형강의 측판부(120a)를 스틸플레이트의 상부면 개략 중앙부위에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130)를 이용하여 장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즉, 측판부(120a)의 수평부(121a)가 양 스틸플레이트 상부면 개략 중앙부위에 내측방향으로 체결구를 이용(용접도 가능)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수평부(121a)와 일체로 형성된 수직부(122a)가 스틸플레이트 상부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2b의 경우에는 강성증가부재(120)가 다시 내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부(122a)의 외측면 사이에 ㄷ 자형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ㄷ단위형강을 연속적으로 조립한 형태의 상판부(120b)가 장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122a)의 내측면 사이에 상판부(120b)를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착수단은 도 2a의 경우 용접의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역시 상기 체결구를 이용해도 상관은 없다.
이때 도 2a의 강성증가부재(120)와 다른 점은 수직부(122a)의 내측면 사이에 ㄷ 자형 채널부재를 다수 연결시켜 상판부(120b)를 제작한다는 점이다.
이는 스틸플레이트의 이격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다수의 ㄷ 자형 채널부재(120b)를 다수 연결시켜 가면서 상기 변경된 이격 거리에 대응하기 위함이라 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ㄷ 자형 채널부재를 다수 연결하는 방법은 체결구 또는 용접에 의해서 가능할 것이다.
또한, 미도시하였지만 상기 강성증가부재(120)으로서 ㄷ 자형 채널부재(120b) 다수를 연결시켜 제작할 때, 서로 높이차이가 나도록 하는 경우 그 상부면 요철로 기능하여 차량 등의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강성증가부재(120)의 상부면에 직접 스크래치 등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요철로도 가능할 것이다.
<구조용 빔의 실시예3>
실시예3에 따른 구조용 빔은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강성증가부재(120)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ㅗ형 부재 즉 CT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측판부(120a)를 스틸플레이트의 상부면 폭에 접하여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130)를 이용하여 장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2와 동일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ㅗ형 부재는 통상의 I형 강재빔 등을 상하높이 반으로 절단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즉, ㅗ형 부재(120a)의 수평부(121a)가 양 스틸플레이트 상부면 폭에 접하 도록 체결구를 이용(용접도 가능)하여 고정되도록하고, 수평부와 일체로 형성된 수직부(122a)가 스틸플레이트 상부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구조용 빔의 실시예4>
실시예 4는 도 2c와 같이 구조용 빔(100)에 있어서, 스틸플레이트(110)를 구성하는 상부플랜지(111) 및 하부플랜지(113) 들 사이에 중간연결부재(140,150)가 더 설치된 경우이다.
이러한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플랜지(111) 및 하부플랜지(113) 들 사이에 얹어져 설치되도록 그 폭을 가지고 스틸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용접 뿐만 아니라 미도시된 체결구에 의하여 그 설치가 가능하다.
이렇게 제작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용 빔(100)에 있어 스틸플레이 트와 중간연결부재에 의한 단면 형태가 폐쇄된 박스체 형태로 제작되도록 함으로서, 구조부재로서 박스체가 가지는 구조적 장점, 즉 좌굴, 비틀림 등에 유리하면서 보다 안정적인 구조부재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함을 보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틸플레이트의 복부(112) 하부측면에는 각각 L형 채널부재로서 접철부재(114)가 더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스틸플레이트의 중립축 이동으로 인한 휨 모멘트도 상에서의 편심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을 보인 것이며, 상기 접철부재(114)의 위치는 복부의 상부측면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예컨대, 스틸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틸플레이트(110)를 구성하는 하부플랜지(113) 사이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중간연결부재는 구조용 빔 전장에 걸쳐 설치될 수 있고 교대 또는 교각과 같은 지점부 부위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구조용 빔의 실시예5>
상기 실시예 5는 도 2d와 같이 도 2c에 의한 구조용 빔(100)에 있어서, 하부 중간연결부재(140)의 단부에 정착구(161) 및 긴장부재(162)로 구성된 긴장수단(160)이 더 설치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상기 정착구(161)는 구조용 빔(100)의 하부 중간연결부재(150) 양 단부 상면에 수직판 형태로 설치하고, 긴장부재(162)가 관통되어 설치되도록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긴장부재는(162)는 정착구(162) 사이에 강봉 또는 PC강연선이 배치되어 긴장후, 그 양 단부가 정착구(161)에 정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서, 상기 긴장수단(160)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에 추가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단면 설계가 가능하게 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구조용 빔의 실시예6>
먼저, 도 2e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도 크게 스틸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틸플레이트(110) 및 강성증가부재(12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스틸플레이트는 통상 압연형강으로 구입이 가능한 것으로서 크게 상부플랜지(111), 복부(112) 및 하부플랜지(113)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틸플레이트는 병렬로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2개가 배치되도록 하며, 이격된 위치의 스틸플레이트를 서로 구조적으로 연결시켜 주되 구조용 빔의 단면강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가진 부재가 바로 상기 강성증가부재(120)이다.
상기 강성증가부재(120)는 스틸플레이트 상부면 각각에 배치되며, 스틸플레이트의 단면강성이 증가하도록 각각의 스틸플레이트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다시 내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며 이러한 강성증가부재(120)는 I형 또는 H형 빔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도 2e의 경우에는 강성증가부재(120)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L형 채널부재(120a)를 스틸플레이트의 상부면 개략 중앙부위에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130)를 이용하여 장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즉, L형 채널부재의 수평부(121a)가 양 스틸플레이트 상부면 개략 중앙부위 에 외측방향으로 체결구를 이용(용접도 가능)하여 고정되도록하고, 수평부와 일체로 형성된 수직부(122a)가 스틸플레이트 상부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2e의 경우에는 강성증가부재(120)가 다시 내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부(122a)의 내측면 사이에 I형 또는 H형 빔(120c)를 장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I형 또는 H형 빔(120c)의 플랜지가 상기 수직부(122a)의 내측면 사이에 용접되어 장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장착수단은 도 2e의 경우 용접의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역시 상기 체결구를 이용해도 상관은 없다.
이로서 본 발명에 의한 구조용 빔(100)은 양 측의 스틸플레이와 강성증가부재(120)에 의한 단면 형태가 역시 파이형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단지 상기 실시예 6의 경우에는 강성증가부재(120)로서 I형 또는 H형 빔(120c)에 의하여 특히 가교구조물에 있어 복공판의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도 2e와 같이 I형 또는 H형 빔(120c)의 플랜지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콘크리트와 같은 표면마감재(A)로 충진시켜 주면 된다.
물론 이러한 표면마감재(A) 없이 용도 또는 기능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6으로서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으로 단독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구조용 빔에 의한 가교용 교량구조물 설치구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3에 의하면 특히 가교용 교량구조물 시공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의 시공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미도시된 가교구조물용 가설벤트를 양 쪽 교대로서 시공하게 되며 이는 각종 철골부재를 이용하여 통상의 가설벤트로 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가설벤트 사이에 종방향(길이방향)으로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실시예 2에 의한 도 2b의 구조용 빔(100)을 설치하는 것으로 종방향(길이방향)으로의 스틸플레이트 중앙부가 설치되어지며, 그 다음으로는 지점부 단면은 직접적으로 가설벤트와 연결을 도모한다. 이에 대한 설명을 하면 먼저, 지점부 단면은 가설벤트와의 연결을 위해서 도 2b의 실시 예로써 설명을 하면, 도 2b의 구조용 빔(100)은 도 2d에 표기한 것과 같이 하부플랜지(113)을 일체로 하는 중간연결부재(150)에 의해서 지점부 단면은 폐합된 박스형태로 구성된다. 이렇게 폐합된 박스형태의 단면의 중앙 즉, 중간연결부재(150)의 중앙이 가설벤트에 위치하도록 도 2b의 구조용 빔(10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은 도 2b의 구조용 빔(100)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도 같이 적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상기 구조용 빔(100)의 강성증가부재(120) 중 L형 채널부재의 측면에 접하여 일측단부가 스틸플레이트 외측 상부면에 얹어져 설치되도록 복공판(200)을 안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복공판(200)의 타측 단부는 중간부위의 구조용 빔(100)의 양 측부에 설치된 다른 2개의 구조용 빔(100)의 스틸플레이트 상부면 내측에 얹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복공판(2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은 강성증가부재(120)를 스틸플레이트(110) 상부면에 설치하되 복공판의 일측이 얹어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하도록 배치하게 된다.
이로서 상기 복공판은 강성증가부재 또는 스틸플레이트의 외측 상부면에 일측단부가 얹어지도록 설치되고 타측이 다른 구조용 빔의 강성증가부재 또는 스틸플레이트의 외측 상부면에 얹어지도록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3개의 본 발명에 의한 구조용 빔(100)의 상부면은 복공판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하여, 상기 구조용 빔(100)이 설치되는 부위에는 별도의 복공판(200)이 설치되지 않아 종래와 달리 고가인 복공판의 설치개수를 절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의하면, 보다 좁은 폭의 가교구조물에 있어 중간에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이 설치되고, 그 양 쪽에 복공판이 설치되도록 하되, 양쪽 단부에는 통상의 I형 스틸플레이트가 설치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가교용 교량구조물에 있어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을 사용하게 되면 종래 도 1c에서 보듯이 하나의 주형에 하나의 가설벤트가 설치되어져 도 1c의 경우 4개의 주형에 따른 4개의 가설벤트(수직 빔 4개)가 필요했지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에 의하면 가설벤트는 그 수가 감소된다. 즉, 도 1c에 대응하는 도 2b의 구조용 빔(100)를 적용하는 경우 필요한 가설벤트(수직빔 3개)의 수는 구조용 빔(100)이 3개이므로 3개의 가설벤트만이 설치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과 그것을 시공하는 방법은 가설벤트 자재량과 그에 따른 공사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 구조용 빔에 의한 가교용 교량구조물 설치구조는 교량구조물 외에 동일한 구조를 갖는 주차장 시설물이나 지하철 공사장 등의 가설 구조물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구조용 빔에 의한 교량구조물 설치방법>
본 발명의 구조용 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미도시된 교대 또는 교각 구조물과 같은 교량하부구조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교량하부구조물에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교대, 교각위치에서는 가교용 교량구조물 설치구조와 같이 받침이나 교대, 교각 구조물과 연결을 도모하기 위해서, 도 2d에 표기한 것과 같이 하부플랜지(113)을 일체로 하는 하부 중간연결부재(150)에 의해서 지점부 단면은 폐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설치되어 진다.
이러한 상기 구조용 빔(100)은 도 5a 및 도 5b의 경우 구조용 빔의 실시예 2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 들도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상기 구조용 빔(100)의 상부면에 슬래브(300)를 형성시킴으로서 교량을 완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a의 경우에는 구조용 빔(100)의 강성증가부재(120) 상부면에 슬래브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강성증가부재(120)이 슬래브 내측에 위치하도록 슬래브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미도시 하였지만 위에서 살펴본 상부 및 하부 중간연결부재와 긴장수단을 구조용 빔(100)에 더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b에 의하면, 상기 구조용 빔(100) 사이에 횡방향으로 슬래브를 형성시킬 때, 구조용 빔(100) 상부면 사이가 아니라, 구조용 빔(100)의 상부 사이에 슬래브(300,물론 콘크리트 또는 강상판이 될 수 있을 것이다.)를 시공하여도 상관은 없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교량용 주형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구조용 빔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교구조물 시공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구조용 빔을 이용한 교량구조물 시공예을 도시한 것이다.
삭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구조용 빔 110:스틸플레이트
120:강성증가부재 130:체결구
140,150:상부 및 하부 중간연결부재
160:긴장수단 200:복공판
300:슬래브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가설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를 갖추어 다리부재를 이루는 나란한 한쌍의 스틸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면 일부를 외부 노출시키도록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L자형 형강이 결합되는 측판부 ; 및
    한쌍의 측판부사이를 연결하도록 단위 형강이 단독 또는 복수개 상호 체결되어 상기 한쌍의 측판부 상단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판부 ; 를 포함하여 하부가 개방된 파이단면상의 구조용 빔을 구비하고,
    상호 이격설치되는 복수개의 구조용 빔사이마다 설치되는 복공판은 외부노출되는 상부플랜지의 상면 일부와 상기 측판부에 양단부가 접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구조용 빔사이에 상기 상판부와 동일한 높이로 안착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플레이트의 내측 상부 사이 또는 내측 상부 및 하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간연결부재를 더 설치하여 상기 스틸플레이트와 상기 중간연결부재에 의한 단면이 폐쇄형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상부면은 요철이 형성되거나, 표면마감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박스형태의 중간연결부재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긴장재와 상기 긴장재가 긴장 후 정착되는 정착구를 중간연결부재에 더 설치되도록 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ㄷ"자 형강 또는 "H"자 형강의 단위형강이 복수개 상호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15. 삭제
  16. 삭제
KR1020080026897A 2008-03-24 2008-03-24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KR100921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897A KR100921825B1 (ko) 2008-03-24 2008-03-24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897A KR100921825B1 (ko) 2008-03-24 2008-03-24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633A KR20090101633A (ko) 2009-09-29
KR100921825B1 true KR100921825B1 (ko) 2009-10-16

Family

ID=4135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897A KR100921825B1 (ko) 2008-03-24 2008-03-24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723B1 (ko) 2012-11-16 2014-10-07 최승희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0138B (zh) * 2012-06-29 2014-09-24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钢桁梁架设系统、方法及提升站
KR102624230B1 (ko) * 2016-12-28 2024-01-12 한화오션 주식회사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240A (ja) * 1997-09-11 1999-03-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連続桁橋の桁構造
JP2002266503A (ja) * 2001-03-07 2002-09-18 Topy Ind Ltd 既設建設構造物の鋼製構造材の補修・補強方法及び構造
KR100569028B1 (ko) * 2005-08-08 2006-04-10 지엘기술 (주) 박스형 가설교량
KR100706931B1 (ko) * 2006-08-25 2007-04-13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가설교량의 박스형 주 거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240A (ja) * 1997-09-11 1999-03-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連続桁橋の桁構造
JP2002266503A (ja) * 2001-03-07 2002-09-18 Topy Ind Ltd 既設建設構造物の鋼製構造材の補修・補強方法及び構造
KR100569028B1 (ko) * 2005-08-08 2006-04-10 지엘기술 (주) 박스형 가설교량
KR100706931B1 (ko) * 2006-08-25 2007-04-13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가설교량의 박스형 주 거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723B1 (ko) 2012-11-16 2014-10-07 최승희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633A (ko) 200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057B1 (ko)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555249B1 (ko) 강성보강과 단면강성을 증대시킨 등단면의 압연강재 i형강재빔과 변단면의 강판제작 i형 강재빔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100722809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을 이용한교량 설치구조 및 교량시공방법
KR101013021B1 (ko) 종방향으로 일부 구간이 박스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911451B1 (ko) 메인거더와 대형복공판이 일체화된 합성가설교량용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합성가설교량 시공방법
JP489764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合成鋼床版桁橋
KR100921825B1 (ko)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KR100931317B1 (ko) 스트럿 및 타이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758994B1 (ko) 형강인 수직보강부재로 보강된 빔과 그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243777B1 (ko)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이 도입된 파형강판 합성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887742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의 제작방법
KR100449231B1 (ko)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이의 설치방법
KR100547484B1 (ko) H빔을 다층으로 연결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교량거더와 낙교방지장치 및 다중 지점 지지장치로 이루어진 가설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90041620A (ko) 상부강재빔이 형성된 주형을 이용한 가설교량 설치구조 및그 시공방법
KR100870068B1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0555248B1 (ko) 단면 강성이 증대된 강재i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621928B1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갖는 이중합성 철도 판형교 시공방법
KR100932105B1 (ko) 복공거더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342287Y1 (ko)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강합성빔의 설치구조
KR100650158B1 (ko) 중공복부, 축소된 상자형 하현재 및 개방된 상부플랜지로구성된 조립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503711B1 (ko) 파일과 조립주형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시공방법
KR100316518B1 (ko) 조립식 장력강재보
KR20080100976A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555253B1 (ko) 상하로i빔을 연결하여 제작된 겹보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80093263A (ko) 강합성 형강 교량의 연속화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