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269B1 -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269B1
KR101870269B1 KR1020160148130A KR20160148130A KR101870269B1 KR 101870269 B1 KR101870269 B1 KR 101870269B1 KR 1020160148130 A KR1020160148130 A KR 1020160148130A KR 20160148130 A KR20160148130 A KR 20160148130A KR 101870269 B1 KR101870269 B1 KR 101870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ension member
fixing
hol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164A (ko
Inventor
김명모
김종해
Original Assignee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경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경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8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26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현재, 하현재 및 웨브재로 구성되는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하현재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정착 장치 및 상기 정착 장치에 결속되고 상기 정착 장치를 통해 상기 하현재에 긴장력을 제공하는 긴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 장치는, 상기 하현재의 하면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연결 홀이 형성되는 플랜지 연결판 및 일측이 상기 플랜지 연결판에 연결되고 상기 긴장재가 관통하는 정착 홀이 형성되는 정착판을 포함하는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및 상기 보강 장치를 사용하여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Strengthening apparatus of lightweight steel truss members by external prestressing}
본 발명은 경량의 재료로 제조된 철골 트러스 구조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장치 및 보강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경량형강을 사용한 트러스부재에 설계 하중 이외에 추가적인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휨 모멘트에 대한 트러스 부재의 저항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 상기 트러스 부재에 긴장재의 프리스트레스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보강 장치 및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과제고유번호] C0349456 
[부처명] 중소기업청
[연구관리전문기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연구사업명] 2015년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명]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의한 강구조물의 보강 장치 개발
[기여율] 1/1
[주관기관]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기간] 2015.11.12 ~ 2016.11.11
중·소규모의 창고나 상가건물 등의 지붕구조에는 C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경량형강(립ㄷ형강)을 사용한 트러스 부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폭설 등의 돌발적인 하중 증가 상황에서, 상기 경량형강 부재가 추가된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무너지게 되는 사례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고가 발생한 이후로, 특히, 겨울철의 적설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설계 기준이 강화된 바 있다. 따라서 종래에 설치된 경량형강 지붕트러스 구조는 위와 같은 설계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보강이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다. 특히 일시적인 큰 외력에 의해 일부 손상을 입었으나 일상적인 하중 조건에서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의 경우 보강이 시급하다.
현재,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은, 경량형강 구조물 분야에서 제대로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사용 중인 철골 구조물을 보강하는 기술은 아니지만, 외부 강선을 이용하여 I형 단면을 가지는 보(I-beam)를 보강하는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92679호에는 I-beam의 하부 플랜지에 편향 부재를 설치하여 보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트러스 구조가 아닌, 단면이 I형 철골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 경량 형강을 사용한 부재를 조립한 트러스 구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2679호.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미 건설되어 있는 경량형강을 사용한 부재를 조립한 트러스 구조에 대하여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으로 간단하게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철골부재의 보강 장치 및 보강 공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현재, 하현재 및 웨브재로 구성되는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하현재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정착 장치 및 상기 정착 장치에 결속되고 상기 정착 장치를 통해 상기 하현재에 긴장력을 제공하는 긴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 장치는, 상기 하현재의 하면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연결 홀이 형성되는 플랜지 연결판 및 일측이 상기 플랜지 연결판에 연결되고 상기 긴장재가 관통하는 정착 홀이 형성되는 정착판을 포함하는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 장치를 사용하여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공법을 제공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철골 트러스부재에 대하여 하현재 전체 길이 중에서 보강이 필요한 구간에 선택적으로 외부 프리스트레싱을 가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골부재의 보강 장치는 고장력볼트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구조물에 간편하게 부착이 가능하므로 사용 중인 구조물에 용접 등의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고, 용접으로 인해 발생한 열응력에 의하여 구조물이 손상되는 문제점 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하중을 크게 받지 않는 대부분의 중·소규모의 지붕트러스 구조는 두께가 얇은 경량형강을 조립하여 만든 것이다. 따라서 부재를 보강하기 위해 철판을 용접할 경우 열에 의한 손상이 크게 우려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장치는 기존 구조물의 하현재에 고장력볼트를 사용하여 장치를 부착시킴으로써 열변형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프리스트레스 힘이 전달되는 장치 부착 위치에 형강 내측에 덧판을 대고 고장력볼트 체결을 하면 추가적인 국부 보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용접작업에 비해 시간이 절약되고 인건비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추가적으로 두 개의 정착장치 사이에 한 개 이상의 긴장재 굴절기를 설치함으로써 긴장재를 굴절시키면, 굴절된 긴장재에 의해 트러스에 상 방향 힘이 작용하여 추가적인 보강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트러스 부재에 설치되는 정착 장치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정착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정착장치에 고정되는 긴장재에 유압 잭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정착 장치에 끼움판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끼움판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트러스 부재에 상기 긴장재를 굴절시키는 긴장재 굴절기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긴장재 굴절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는 워렌 트러스(Warren Truss)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러스 부재(1)는 상현재(10), 하현재(20) 및 웨브재를 포함한다.
상기 웨브재는 상기 상현재(10)와 상기 하현재(20) 사이에서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정 경사 웨브재(31), 상기 상현재(10)와 상기 하현재(20) 사이에서 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역 경사 웨브재(32) 및 상기 상현재(10)와 상기 하현재(20) 사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 웨브재(3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상현재(10)와 상기 하현재(20) 사이에는 서로 연장 각도를 달리하는 세 개의 웨브재(31, 32, 33)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웨브재(33)를 중심으로 상기 정 경사 웨브재(31)와 상기 역 경사 웨브재(32)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상현재(10)와 상기 웨브재가 만나는 부분 또는 상기 하현재(20)와 상기 웨브재가 만나는 부분에는 거셋 플레이트(15)가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트러스 부재(1)의 스팬이 길게 형성되거나 적설 하중과 같은 수직 하중의 증가에 의해 상기 트러스 부재(1)에 처짐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하현재(20)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상현재(10)에 작용하는 압축력 역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현재(20)가 휘어지거나 심지어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현재(20)의 하부에는 상기 트러스 부재(1)에 긴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긴장재(5)가 설치된다. 즉, 상기 긴장재(5)는 상기 하현재(20)의 하부에 고정되게 결합하는 정착 장치(100)에 의해 결속되어 상기 트러스 부재(1)에 긴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현재(20) 중 인장력에 취약한 부분에 상기 긴장재(5)를 설치함에 따라 상기 하현재(20) 중 강도가 취약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상기 긴장재(5)는 상기 하현재(20)의 하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상기 정착 장치(100)에 의해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정착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트러스 부재에 설치되는 정착 장치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정착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정착장치에 고정되는 긴장재에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위한 유압 잭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현재(2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정착 장치(100)는, 상기 정착 장치(100)를 통해 상기 하현재(20)에 긴장력을 제공하는 긴장재(5)를 결속시킨다. 즉, 상기 프리스트레스 가 도입된 긴장재(5)가 상기 정착 장치(100)에 의해 그 양단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현재(20)에 긴장력을 제공한다.
상기 정착 장치(100)는, 상기 하현재(20)의 하면에 연결되는 플랜지 연결판(110), 일측이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에 연결되는 정착판(130) 및 일면이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정착판(13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강판(120)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의 중앙 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연결 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 홀(111)들은 소정의 체결 부재가 관통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하현재(20)와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연결 홀(111)들은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의 중앙 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착판(130)은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의 하면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의 하면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정착판(130)과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은 서로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들 간의 배치 관계에 의해,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의 연결 홀(111)이 상기 정착판(130)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착판(130)에는 상기 긴장재(5)가 관통하는 정착 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정착 홀(131)은 상기 연결 홀(11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천공되는 구멍이다. 그리고, 상기 정착 홀(131)을 관통한 상기 긴장재(5)의 양단은 조임 기능이 구비되는 긴장재 체결구(150)에 의해 상기 정착 홀(131)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긴장재(5)는, 상기 정착판(130)의 외면에 설치되는 긴장재 체결구(150)에 의해 긴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정착 홀(131)은 상기 정착판(13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강판(120)은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의 하면의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판(120)은,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의 하면의 폭 방향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강판(121) 및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의 하면의 폭 방향 타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강판(12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보강판(121)과 상기 제2 보강판(122)은 서로 폭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보강판(121)과 상기 제2 보강판(122)은 세모 형상, 네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어 상기 정착 장치(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보강판(120) 사이에는 상기 연결 홀(111)과 상기 정착 홀(1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홀(111)과 상기 정착 홀(131)은 상기 정착 장치(100) 중 어느 구성에도 가려지지 않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현재(20)의 상면에는 덧판(140)이 설치된다. 상기 덧판(140)은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이 접촉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서 하현재(20)와 접촉하여 볼트 구멍이 가공된 하현재의 단면 손실을 보강해 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덧판(140)에는 상기 연결 홀(111)에 대응하는 덧판 홀(140)이 형성된다. 즉, 소정의 체결 부재가 상기 덧판 홀(141)과 상기 하현재(20)에 형성되는 소정의 홀과 상기 연결 홀(1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하현재(20)에 대한 상기 정착 장치(10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체결 부재는 고장력 볼트일 수 있다.
상기 정착 장치(100)에 의해 고정된 긴장재(5)는 장 기간 사용시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긴장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긴장재(5)의 양단에 긴장력을 공급하는 유압 잭(5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긴장재(5)에 긴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긴장재(5)의 단부에 상기 유압 잭(50)을 설치한 후 펌프(51)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기초로 상기 유압 잭(50)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긴장재(5)를 다시 팽팽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현재(20)와 상기 정착 장치(100)의 중심축 사이의 편심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현재(20)와 상기 정착 장치(100)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좋다. 그러나, 상기 중심축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 또는 상기 유압 잭(50)의 크기가 큰 경우에, 긴장 작업의 공간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에서는 끼움판(200)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정착 장치에 끼움판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끼움판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보강판(120)이 설치되는 면에 대향하는 상기 정착판(130)의 외측면에는, 상면(230)의 길이가 하면(24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끼움판(20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착판(130)에 결합되는 상기 끼움판(200)의 내측면(210)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지만, 상기 내측면(210)에 대향하는 상기 끼움판(200)의 외측면(220)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면(22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내측면(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면(210)과 상기 외측면(220) 사이에는, 상기 정착 홀(131)에 연통하고 상기 정착 홀(131)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천공되는 삽입 홀(205)이 형성된다(도 6 참조). 즉, 상기 긴장재(5)는 상기 정착 홀(131)과 상기 삽입 홀(20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끼움판(200)의 외면에 설치되는 긴장재 체결구(15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긴장재(5)는 상기 삽입 홀(205)에 대응하여 하향 경사지게 굴절되므로 상기 긴장재(5)의 단부에 유압 잭(50)을 설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정착 장치(100)에 의해 고정된 긴장재(5)는 별도의 장치인 긴장재 굴절기(300)에 의해 추가 긴장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7은 상기 트러스 부재에 상기 긴장재를 굴절시키는 긴장재 굴절기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긴장재 굴절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정착 장치(100) 사이에는, 상기 긴장재(5)를 굴절시켜서 상기 하현재(20)에 추가 긴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긴장재 굴절기(300)가 설치된다.
상기 긴장재 굴절기(300)는, 상기 하현재(20)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플랜지 연결판(310), 상기 긴장재(5)에 접촉하는 긴장재 관통 고리(340) 및 상기 플랜지 연결판(310)과 상기 긴장재 관통 고리(340)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시키고 횡 방향, 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리브(330)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 연결판(310)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복수의 연결 홀(311)이 형성된다. 즉, 소정의 체결 부재가 상기 연결 홀(311)과 상기 하현재(20)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 홀(311)에 대응하는 홀들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하현재(20)에 대한 상기 플랜지 연결판(31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전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현재(20)가 상기 플랜지 연결판(310)과 접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덧판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체결 부재는 고장력 볼트일 수 있다.
상기 긴장재 관통 고리(340)에는 상기 긴장재(5)가 통과하는 관통 홀(34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홀(341)은 상기 긴장재 관통 고리(340)의 중앙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구멍으로서, 상기 관통 홀(341)을 이루는 외주면은 상기 긴장재(5)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 홀(341)을 이루는 외주면은 둥글게 곡선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긴장재 관통 고리(340)와 상기 관통 홀(341)의 형상 역시 원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플랜지 연결판(310)과 상기 긴장재 관통 고리(340)는 상기 플랜지 연결판(310)의 중앙 부분에서 횡 방향(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리브(330)에 의해 각 구성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 연결판(310)과 상기 긴장재 관통 고리(340) 사이에는 종 방향, 즉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 리브(320)가 설치된다. 상기 종 리브(320)는 상기 횡 리브(33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횡 리브(33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종 리브(320)는 상기 플랜지 연결판(310)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횡 리브(330)와 교차하여 종 방향(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보강 장치(100)를 사용하여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공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에 대하여 하현재 전체 길이 중에서 보강이 필요한 구간에 상기 정착 장치와 상기 긴장재 굴절기를 설치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트러스 부재에 외부 프리스트레싱을 가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트러스 부재 5: 긴장재
10: 상현재 20: 하현재
100: 정착 장치 110: 플랜지 연결판
120: 보강판 130: 정착판
140: 덧판 200: 끼움판
300: 긴장재 굴절기 320: 종 리브
330: 횡 리브 340: 긴장재 관통 고리

Claims (12)

  1. 상현재(10), 하현재(20) 및 웨브재로 구성되는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하현재(2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정착 장치(100); 및
    상기 정착 장치(100)에 결속되고 상기 정착 장치(100)를 통해 상기 하현재(20)에 긴장력을 제공하는 긴장재(5)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 장치(100)는, 상기 하현재(20)의 하면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연결 홀(111)이 형성되는 플랜지 연결판(110) 및 일측이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에 연결되고 상기 긴장재(5)가 관통하는 정착 홀(131)이 형성되는 정착판(130)을 포함하며,
    상기 정착 홀(131)을 관통한 긴장재(5)는, 상기 정착판(130)의 외면에 설치되는 긴장재 체결구(150)에 의해 긴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그 위치가 고정되며,
    일면이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정착판(13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강판(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보강판(120) 사이에는 상기 연결 홀(111)과 상기 정착 홀(131)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120)이 설치되는 면에 대향하는 상기 정착판(130)의 외측면에는, 상면의 길이가 하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끼움판(200)이 설치되고,
    상기 정착판(130)에 결합되는 상기 끼움판(200)의 내측면(210)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내측면(210)에 대향하는 상기 끼움판(200)의 외측면(220)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내측면(210)과 상기 외측면(220) 사이에는, 상기 정착 홀(131)에 연통하고 상기 정착 홀(131)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천공되는 삽입 홀(205)이 형성되며,
    상기 긴장재(5)는 상기 정착 홀(131)과 상기 삽입 홀(20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끼움판(200)의 외면에 설치되는 긴장재 체결구(15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긴장재(5)의 끝단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굴절됨으로써 긴장재(5) 끝단에 확장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홀(111)은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의 중앙 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 홀(111)에 체결 부재가 관통함으로써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이 상기 하현재(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현재(20)가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과 접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설치되는 덧판(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덧판(140)에는 상기 연결 홀(111)에 대응하는 덧판 홀(1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정착 장치(100) 사이에는, 상기 긴장재(5)를 굴절시켜서 상기 하현재(20)에 추가 긴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긴장재 굴절기(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굴절기(300)는,
    상기 하현재(20)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플랜지 연결판(110);
    상기 긴장재(5)가 통과하는 관통 홀(341)이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5)에 접촉하는 긴장재 관통 고리(340); 및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과 상기 긴장재 관통 고리(340)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시키고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리브(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굴절기(300)는, 상기 플랜지 연결판(110)과 상기 긴장재 관통 고리(340) 사이에서 종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횡 리브(330)를 보강하는 종 리브(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12. 삭제
KR1020160148130A 2016-11-08 2016-11-08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KR101870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130A KR101870269B1 (ko) 2016-11-08 2016-11-08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130A KR101870269B1 (ko) 2016-11-08 2016-11-08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164A KR20180051164A (ko) 2018-05-16
KR101870269B1 true KR101870269B1 (ko) 2018-06-22

Family

ID=6245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130A KR101870269B1 (ko) 2016-11-08 2016-11-08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2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2903A (zh) * 2018-12-29 2019-05-14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用于遥感相机的桁架结构及其组装方法
KR102452970B1 (ko) 2021-11-18 2022-10-07 김의헌 내면긴장재가 배치된 트러스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다목적 모듈러 트러스 교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861B1 (ko) * 2018-08-31 2020-10-07 (주)세명이앤씨 처짐 방지장치가 부착된 장경간의 들보에 의한 공중권태양광발전장치
KR102430436B1 (ko) * 2022-01-20 2022-08-08 주식회사 누리플랜 교량 슬래브 타설용 가설작업대 고정장치
CN117005544B (zh) * 2023-10-07 2023-12-15 中国船舶集团国际工程有限公司 大跨桁架的自感知双向预应力调控系统、大跨桁架及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619Y1 (ko) * 2001-02-23 2001-09-28 (주) 정도엔지니어링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KR200337840Y1 (ko) * 2003-09-04 2004-01-07 (주)스틸엔콘크리트 H형 강재로 이루어진 강재 가설교량에 하중재하 상태에따라 단계적으로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는 단계적프리스트레스 도입장치를 설치한 h형 강재보
KR101065633B1 (ko) * 2010-10-05 2011-09-20 대명건설(주)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강관 트러스 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596A (ko) * 2001-06-21 2002-12-31 황문삼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흙막이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띠장재
KR20010088998A (ko) 2001-08-31 2001-09-29 박대열 가설교량 주거더에 있어 편향부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콤팩트 거더의 시공법과 그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619Y1 (ko) * 2001-02-23 2001-09-28 (주) 정도엔지니어링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KR200337840Y1 (ko) * 2003-09-04 2004-01-07 (주)스틸엔콘크리트 H형 강재로 이루어진 강재 가설교량에 하중재하 상태에따라 단계적으로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는 단계적프리스트레스 도입장치를 설치한 h형 강재보
KR101065633B1 (ko) * 2010-10-05 2011-09-20 대명건설(주)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강관 트러스 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2903A (zh) * 2018-12-29 2019-05-14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用于遥感相机的桁架结构及其组装方法
KR102452970B1 (ko) 2021-11-18 2022-10-07 김의헌 내면긴장재가 배치된 트러스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다목적 모듈러 트러스 교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164A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269B1 (ko)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JP5594792B2 (ja) 構造補強装置及び方法
CN108755954B (zh) 一种单边预应力全装配式自复位钢框架节点
KR101676707B1 (ko) 기둥-보 접합 구조
KR101573734B1 (ko) 복경간강재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1353753B1 (ko) 교량 및 도로의 가설인도
KR102054709B1 (ko) 보도확장로
US10823150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teel tube truss and tower barrel of lattice wind power generation tower, prestressed polygon wind tower provided with circular box girder for direct fan on top of tower, wind power generation tower, and wind tower having prestressed anti-fatigue structure
KR20130081605A (ko) 횡방향 부재를 이용한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복부파형강판과 콘크리트의 합성구조
JP2000355906A (ja) 波形鋼板ウェブpc箱桁橋における波形鋼板と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部構造
CN214993205U (zh) 一种预应力t梁加固用夹具单元及施工平台
CN113481885B (zh) 一种桥梁用工字钢加固梁的构造方法
KR20060003972A (ko)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방법 및그에 사용되는 장치
KR102137126B1 (ko)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KR200348999Y1 (ko) 합성연결재
CN108729335B (zh) 钢混结合段及其安装方法
KR101953016B1 (ko) 좌굴 방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셋 플레이트의 무용접/조립형 보강방법
KR200490975Y1 (ko) H-빔 안전 연결 장치
JP3950747B2 (ja) 橋桁
KR101855412B1 (ko)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
KR20110065731A (ko)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JP2011102500A (ja) トラス張弦梁
KR102242105B1 (ko) 십자경사형 전단강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구조물
KR200369707Y1 (ko) 하중 분산형 트러스빔
CN211690764U (zh) 钢结构梁柱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