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731A -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Google Patents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5731A KR20110065731A KR1020090122362A KR20090122362A KR20110065731A KR 20110065731 A KR20110065731 A KR 20110065731A KR 1020090122362 A KR1020090122362 A KR 1020090122362A KR 20090122362 A KR20090122362 A KR 20090122362A KR 20110065731 A KR20110065731 A KR 201100657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b
- steel
- members
- lower flange
- cro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04B5/29—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the prefabricated parts of the beams consisting wholly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을 접합하여 상자형 단면과 H형 단면이 전체 길이에 걸쳐 반복되도록 제작된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부 플랜지 부재; 하부 플랜지 부재; 및 상, 하부 플랜지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 플랜지 부재와 하부 플랜지 부재의 폭방향 중심선 상에서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웨브 부재와, 상부 플랜지 부재와 하부 플랜지 부재의 폭방향 중심선 상에서 양쪽 끝단으로 각각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상부 플랜지 부재와 하부 플랜지 부재를 서로 연결하면서 제1 웨브 부재와 교대로 설치되는 복수의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로 구성되는 웨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조립보가 제공된다.
조립보, 합성보, 긴장재, 파형강판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판을 접합하여 상자형 단면과 H형 단면이 전체 길이에 걸쳐 반복되도록 제작된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보는 휨과 전단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부재로서 주로 휨모멘트가 구조적 거동을 지배하기 때문에 휨재라고도 한다. 보는 휨과 전단에 의한 응력과 변형이 주로 발생하나 작용하중이 단면의 전단중심과 일치하지 않으면 비틀림이 수반되기도 한다. 따라서 보는 충분한 휨강도와 전단강도(또는 비틀림강도)를 보유하여야 하고, 수평부재로 이용되므로 처짐에 대한 사용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보 부재 특히, 강재 보 부재의 단면형으로는 H형 단면이 주로 쓰이며, 박스형, I형, ㄷ형 단면이 쓰이기도 한다. 보 부재는 주로 압연강재가 이용되지만, 강판을 접합하여 제작된 조립보(built-up beam)가 사용되기도 한다. 비틀림을 받거나 좌굴길이가 대단히 길면 상자형 단면(box section)을 사용하기도 한다. 장스팬 보나 하중이 커서 휨강성이 크게 요구되는 경우 기성 압연부재로는 단면내력이나 강성이 부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커버플레이트 보, 플레이트 거더, 하니 컴 보 및 트러스 보 등이 사용된다.
보의 다른 형태로 강재와 철근콘크리트 부재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강재와 철근콘크리트가 일체로 합성된 합성보가 있다. 합성보의 종류로는 노출된 강재보가 상부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전단연결재로 합성된 노출형 합성보와 강재보가 콘크리트에 완전히 매입된 매입형 합성보가 있다. 매입형 합성보는 별도의 보 거푸집이 필요하며 콘크리트의 충전에 어려움이 있으나 완벽한 내화성능과 휨압축재의 역할이 필요한 경우나 강구조와 철근콘크리트구조가 만나서겹치는 경계 부근에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높은 휨강성과 우수한 비틀림강도를 보유하고 콘크리트와의 합성효과가 뛰어난 신규한 형상의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헙성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보에 도입되는 유효 긴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단면형상을 갖는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헙성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부 플랜지 부재; 하부 플랜지 부재; 및 상, 하부 플랜지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 플랜지 부재와 하부 플랜지 부재의 폭방향 중심선 상에서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웨브 부재와, 상부 플랜지 부재와 하부 플랜지 부재의 폭방향 중심선 상에서 양쪽 끝단으로 각각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상부 플랜지 부재와 하부 플랜지 부재를 서로 연결하면서 제1 웨브 부재와 교대로 설치되는 복수의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로 구성되는 웨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조립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웨브 부재와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는 파형강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강재 조립보가 콘크리트에 완전히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콘크리트 합성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강재 조립보가 콘크리트에 완전히 매립되고, 보의 길이방향으로 제1 웨브 부재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의 안쪽으로 설치된 긴장재를 통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콘크리트 합성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조립보는, 휭강성이 높고 횡비틀림좌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용하중이 단면의 전단중심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비틀림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고 웨브의 국부좌굴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콘크리트와의 합성효과가 뛰어나고 합성보에 도입되는 유효 긴장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며,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조립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조립보의 단면도로서 (a)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조립보는, 상부 플랜지 부재(11)와 하부 플랜지 부재(12) 및 상부 플랜지 부재(11)와 하부 플랜지 부재(12)를 서로 연결하며 서로 교대로 설치된 제1 웨브 부재(131)와 한 쌍의 제2 웨 브 부재(132,132)로 구성되는 웨브 부재(13)로 이루어진다.
상부 플랜지 부재(11)와 하부 플랜지 부재(12)는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폭과 두께를 가진 강판으로 구성된다. 상부 플랜지 부재(11)와 하부 플랜지 부재(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폭을 갖는 대칭 단면으로 구성하거나, 하부 플랜지 부재(12)의 폭을 상부 플랜지 부재(11)의 폭보다 더 크게 하여 비대칭 단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대칭 단면은 비합성보에 그리고 비대칭 단면은 합성보에 적용할 경우 유리하다. 합성보에 있어서 상부 플랜지 부재(11)는 압축영역에 위치하고 하부 플랜지 부재(12)는 인장영역에 위치하므로 비대칭 단면으로 구성할 경우 소요 강도와 강성을 확보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단면을 얻을 수 있다.
웨브 부재(13)는 복수의 제1 웨브 부재(131)와 복수의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로 구성된다.
제1 웨브 부재(131)는 상부 플랜지 부재(11)와 하부 플랜지 부재(12)의 폭방향 중심선 상에 배치되어 상부 플랜지 부재(11)와 하부 플랜지 부재(12)를 서로 연결한다. 복수의 제1 웨브 부재(131)는 상, 하부 플랜지 부재(1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웨브 부재(131)가 설치된 부분의 단면은 도 2(a)에서와 같이 H형 단면이 된다.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는 상부 플랜지 부재(11)와 하부 플랜지 부재(12)의 폭방향 중심선에서 양쪽 끝단으로 각각 일정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부 플랜지 부재(11)와 하부 플랜지 부재(12)를 서로 연결한다. 복수의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는 상, 하부 플랜지 부재(1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제1 웨브 부재(131)와 교대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웨브 부재(131)와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는 보의 전 지간(span)에 걸쳐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상, 하부 플랜지 부재(11,12)를 서로 연결시킨다.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를 상, 하부 플랜지 부재(11,12)의 폭방향으로 끝단에 배치하고 상, 하부 플랜지 부재(11,12)가 서로 동일한 폭을 갖는 경우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가 설치된 부분의 단면은 상자형 단면이 된다. 그렇지 않고 폭방향으로 끝단에서 안쪽으로 배치할 경우 단면은 도 2(b)에서와 같이 대략 ㅍ자형 단면이 된다.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는 제1 웨브 부재(131)와 서로 교차되도록 교대로 배치되거나 교차되지 않도록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조립보는 H형 단면과 상자형(ㅍ자형) 단면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단면이 되고, 그에 따라 강재 조립보의 단부의 단면은 H형 단면 또는 상자형(ㅍ자형) 단면이 될 수 있다. 단부가 H형 단면이 되도록 제1 웨브 부재(131)를 배치할 경우 강재 기둥과의 접합부를 기존의 H형강보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상자형 단면이 되도록 제2 웨브 부재(132,132)를 배치할 경우 집중하중에 의한 국부적인 압축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별도로 스티프너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를 이용해 부분적으로 상자형 단면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휭강성이 증가하고 횡비틀림좌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용하중이 단면의 전단중심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비틀림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고 웨브의 국부좌굴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재 조립보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즉, 웨브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웨브 부재(131)와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가 평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을 높이고 휨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웨브 부재(131)와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를 파형강판으로 구성한다. 파형의 단면은 도 3(a)에 도시된 물결파형,도 3(b)에 도시된 사다리꼴 파형 또는 도 3(c)에 도시된 산형 파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파형강판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조립보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보는 강재 조립보가 완전히 매립된 매립형 합성보가 된다. 본 발명에서 강재 조립보는 제1 웨브 부재(131)와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가 교대로 배치된 구조이므로 콘크리트(20)와 강재 조립보의 합성효과가 향상된다. 한편, 합성보가 장스팬용이나 고하중용으로 사용되어 휨강성이 크게 요구되는 경우나 처짐에 대해 보강을 필요로 하는 경우 긴장재(30)를 설치하여 합성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긴장재(30)는 합성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 웨브 부재(131)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의 안쪽으로 설치될 수 있다. 긴장재(30)의 수는 필요한 보강의 정도에 따라 구조계산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강재 조립보가 제1 웨브 부재(131)와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132,132)가 교대로 배치된 구조이므로 합성보에 도입되는 유효 긴장력을 증가시 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조립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조립보의 단면도로서 (a)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재 조립보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조립보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Claims (4)
- 상부 플랜지 부재;하부 플랜지 부재; 및상, 하부 플랜지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 플랜지 부재와 하부 플랜지 부재의 폭방향 중심선 상에서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웨브 부재와, 상부 플랜지 부재와 하부 플랜지 부재의 폭방향 중심선 상에서 양쪽 끝단으로 각각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상부 플랜지 부재와 하부 플랜지 부재를 서로 연결하면서 제1 웨브 부재와 교대로 설치되는 복수의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로 구성되는 웨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조립보.
- 청구항 1에 있어서,제1 웨브 부재와 제2 웨브 부재는 파형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조립보.
- 청구항 1에 기재된 강재 조립보가 콘크리트에 완전히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콘크리트 합성보.
- 청구항 1에 기재된 강재 조립보가 콘크리트에 완전히 매립되고, 보의 길이방향으로 제1 웨브 부재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2 웨브 부재의 안쪽으로 설치된 긴 장재를 통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콘크리트 합성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2362A KR101154121B1 (ko) | 2009-12-10 | 2009-12-10 |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2362A KR101154121B1 (ko) | 2009-12-10 | 2009-12-10 |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5731A true KR20110065731A (ko) | 2011-06-16 |
KR101154121B1 KR101154121B1 (ko) | 2012-06-11 |
Family
ID=4439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2362A KR101154121B1 (ko) | 2009-12-10 | 2009-12-10 |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412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5917B1 (ko) * | 2010-02-10 | 2012-03-21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
CN105019595A (zh) * | 2015-07-30 | 2015-11-04 | 东南大学 | 一种钢-混凝土组合结构波折形钢腹板 |
KR101897660B1 (ko) * | 2017-11-01 | 2018-09-12 | 김민중 | 프리스트레스트 강재거더 및 그 제작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15054A (ko) * | 2003-08-01 | 2005-02-21 | 주식회사 포스코 | 프리스트레스 강봉이 결합된 플랜지와 파형강판이 설치된웨브를 갖는 구조용 강합성 부재 |
KR200397805Y1 (ko) * | 2005-07-18 | 2005-10-10 | 주식회사 동양피에스씨 | 철제 아이-빔 |
KR20070045435A (ko) * | 2005-10-27 | 2007-05-02 | 신대철 | 파형강판으로 복부를 보강한 형강 |
-
2009
- 2009-12-10 KR KR1020090122362A patent/KR10115412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5917B1 (ko) * | 2010-02-10 | 2012-03-21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
CN105019595A (zh) * | 2015-07-30 | 2015-11-04 | 东南大学 | 一种钢-混凝土组合结构波折形钢腹板 |
KR101897660B1 (ko) * | 2017-11-01 | 2018-09-12 | 김민중 | 프리스트레스트 강재거더 및 그 제작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4121B1 (ko) | 2012-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5917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 |
KR101272116B1 (ko) | 파형강판 복부 피에스씨 거더의 파형강판 복부와 콘크리트의 결합구조 | |
KR101329434B1 (ko) | 슬릿형 웨브를 갖는 프리스트레스 합성보 | |
JP2006257634A (ja) | 波形鋼板ウエブ桁 | |
KR101304439B1 (ko) | 프리토션이 도입된 교량용 거더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0941726B1 (ko) | 파형웨브가 구비된 비대칭 합성보 | |
KR101680649B1 (ko) | 절곡 강판을 이용한 강박스 거더 | |
KR101154121B1 (ko) |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
JP2003119718A (ja) | 橋 梁 | |
KR101354499B1 (ko) | 종·횡방향으로 프리모멘트가 도입된 박스형 거더부재 및 이의 제작방법 | |
KR100650601B1 (ko) | 강합성 거더교 바닥판 데크플레이트의 영구거푸집용헌치조립체 | |
KR100555248B1 (ko) | 단면 강성이 증대된 강재i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347555B1 (ko) |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교량에서의 연속지점부의 시공방법 | |
KR102008516B1 (ko) | Crp 거더 | |
KR200333102Y1 (ko) | 보강판이 결합된 에이치 빔 | |
KR200386508Y1 (ko) | 상하부 거더의 하부거더에 압축력을 도입하면서 상부거더에도 인장력이 도입되도록 하면서 상하부거더를강결연결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 강재보 | |
CN212956124U (zh) | 一种组合式多跨桥梁板连接结构 | |
KR200253561Y1 (ko) | 트러스보강재가 부착된 강재 | |
JP4974540B2 (ja) | 覆工板 | |
JP2958852B2 (ja) | 鋼コンクリート合成版 | |
KR20070111241A (ko) | 강관 하부플랜지를 갖는 강 거더 교량시스템 | |
CN210263635U (zh) | 一种全螺栓连接的桁架式型钢混凝土梁 | |
KR101204279B1 (ko) | 프리스트레싱 강거더교 | |
JP4432421B2 (ja) | コンクリート平板部材 | |
KR102051320B1 (ko) | Icc 거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