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619Y1 -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 Google Patents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619Y1
KR200233619Y1 KR2020010004792U KR20010004792U KR200233619Y1 KR 200233619 Y1 KR200233619 Y1 KR 200233619Y1 KR 2020010004792 U KR2020010004792 U KR 2020010004792U KR 20010004792 U KR20010004792 U KR 20010004792U KR 200233619 Y1 KR200233619 Y1 KR 200233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teel bridge
steel
tensioning
f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출
Original Assignee
(주) 정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정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정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04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61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노후화된 교량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보의 하부에 PC강연선을 설치한 후 포스트텐션닝을하여 보를 보강함으로써 기 설치되어 있는 철재빔이나 강재빔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노후화된 교량을 보강하여 내하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도로교량 강교구간 정착자켓을 이용한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에 있어서, FRP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FRP관통홀을 포함하며 강교 또는 철교의 하단부와 하이텐션볼트로 연결되어 버팀대 역할을 하기위한 중간버팀대; 강교 또는 철교의 양 옆면에 각각 고정 스트롱바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FRP케이블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정착부; 및 상기 중간버팀대와 정착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강교 또는 철교의 처짐을 보강하기 위한 FRP케이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Device for reinforcement of a beam by post tensioning}
본 고안은 노후화된 교량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의 하부에 PC강연선을 설치한 후 포스트텐션닝을하여 보를 보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에 설치된 철재교량은 구조물의 노후로 인한 체결볼트의 문제로 교량에서 처짐 현상이 발생되므로 그 보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철도의 철교에서는 우회도로가 불가능하고 차량통제가 어려우므로 보수가 쉽고 공사기간이 짧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보강 방법에 있어서는 보강이 필요한 보의 일부를 교체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1 은 기존 철교 및 강교의 문제점을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철교 및 강교는 체결볼트의 노후로 인하여 처짐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보의 하부에 PC강연선을 설치한 후 포스트텐션닝을하여 보를 보강함으로써 기 설치되어 있는 철재빔이나 강재빔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노후화된 교량을 보강하여 내하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기존 철교 및 강교의 문제점을 나타낸 일예시도.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량 강교구간 정착자켓을 이용한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량 강교구간 정착자켓을 이용한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중 중간버팀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2c 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량 강교구간 정착자켓을 이용한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중 정착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2d 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량 강교구간 정착자켓을 이용한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중 정착부를 나타낸 일실시예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중간 버팀대 20 : 정착부
30 : FRP 케이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로교량 강교구간 정착자켓을 이용한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에 있어서, FRP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FRP관통홀을 포함하며 강교 또는 철교의 하단부와 하이텐션볼트로 연결되어 버팀대 역할을 하기위한 중간버팀대; 강교 또는 철교의 양 옆면에 각각 고정 스트롱바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FRP케이블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정착부; 및 상기 중간버팀대와 정착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강교 또는 철교의 처짐을 보강하기 위한 FRP케이블을 포함한다.
즉, 본 고안은 강교 외부에 정착자켓을 이용한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도 2a 내지 도 2d 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량 강교구간 정착자켓을 이용한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는 중간버팀대(10), FRP케이블(30) 및 정착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강교 및 철교의 사하장과 활하중에 의한 처짐 현상을 FRP케이블의 PC강선을 인장하여 보강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량 강교구간 정착자켓을 이용한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중 중간버팀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도 2a 에 도시된 부분 중 중간버팀대(A 부분)(10)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버팀대(10)는 중간 버팀대를 강교 및 철교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이텐션볼트(11)와 FRP케이블(30)이 관통하도록 하기 위한 FRP케이블 관통홀(1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c 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량 강교구간 정착자켓을 이용한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중 정착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도 2a 에 도시된 부분 중 정착부(B 부분)(20)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d 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량 강교구간 정착자켓을 이용한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중 정착부를 나타낸 일실시예 평면도로서, 도 2c 에 도시된 정착부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20)는 정착헤드, 보호캡, 고정스트롱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PC강연선을 포함한 FRP케이블(30)을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중간버팀대(10)를 하이텐션볼트(11)를 이용하여 강교(또는 철)에 설치하고, 정착부(20) 역시 강교(또는 철교)에 설치한 후 FRP케이블(30)을 각각 중간버팀대(10)와 정착부(20)에 연결시킨다.
이후 FRP케이블(30)의 PC강연선을 인장함써 강교 및 철교의 처짐을 보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구조물을 훼손하지 않고 보강할 수 있으며 교통통제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재 시공하지 않고 보강하므로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추가 도입하여 보강효과를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로교량 강교구간 정착자켓을 이용한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에 있어서,
    FRP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FRP관통홀을 포함하며 강교 또는 철교의 하단부와 하이텐션볼트로 연결되어 버팀대 역할을 하기위한 중간버팀대;강교 또는 철교의 양 옆면에 각각 고정 스트롱바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FRP케이블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정착부; 및
    상기 중간버팀대와 정착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강교 또는 철교의 처짐을 보강하기 위한 FRP케이블을 포함하는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RP케이블의 PC강선을 인장함으로써 상기 강교 또는 철교의 처짐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KR2020010004792U 2001-02-23 2001-02-23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KR200233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792U KR200233619Y1 (ko) 2001-02-23 2001-02-23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792U KR200233619Y1 (ko) 2001-02-23 2001-02-23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619Y1 true KR200233619Y1 (ko) 2001-09-28

Family

ID=7309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792U KR200233619Y1 (ko) 2001-02-23 2001-02-23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6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747B1 (ko) * 2002-02-21 2004-06-22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교량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KR20180051164A (ko) * 2016-11-08 2018-05-16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KR101939373B1 (ko) * 2018-08-17 2019-01-17 주식회사 대아산업개발 매립강선과 고정정착구를 이용한 frp 보강근의 이격 정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과 보강구조, 및 이에 의해 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747B1 (ko) * 2002-02-21 2004-06-22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교량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KR20180051164A (ko) * 2016-11-08 2018-05-16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KR101870269B1 (ko) * 2016-11-08 2018-06-22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KR101939373B1 (ko) * 2018-08-17 2019-01-17 주식회사 대아산업개발 매립강선과 고정정착구를 이용한 frp 보강근의 이격 정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과 보강구조, 및 이에 의해 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822B1 (ko) 온도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의한 일부타정식 사장교의시공방법
CN109972517B (zh) 一种钢混结合梁斜拉桥主梁的施工方法
JP3754981B1 (ja) Pcケーブルの緊張・定着接続方法
CN108193607B (zh) 一种加固用装配式预应力桁架及其施工方法
US20070119004A1 (en) Longitudinally offset bridge substructure support system
RU2213187C2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балка с регулируемой силой натяжения
KR102035492B1 (ko) 세미 사장교 구조
KR200233619Y1 (ko) 보의 외부 포스트텐션닝 보강 장치
KR100931318B1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3847604B2 (ja) 床版の打替工法
CN208088095U (zh) 混凝土梁中跨合龙结构
KR20010000430A (ko)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KR100400980B1 (ko) 강선을 이용한 교각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200241299Y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외부강선 보강용 정착장치
CN210049106U (zh) 一种自锚式悬索桥猫道承重索转向结构
US4319374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stayed girder bridge
CN220057670U (zh) 一种平旋铁路桥预应力加固结构
JP2807845B2 (ja) スティパネル橋の斜材の施工方法
KR100345978B1 (ko) 다경간 프리플렉스 합성형교 및 리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슬라브콘크리트 연속결합방법.
JP2774937B2 (ja) 既設鋼桁橋の補強方法
KR20010035337A (ko) 콘크리트구조물의 외부강선 보강공법 및 정착장치
KR20010068055A (ko) 정착구 설치용 슬리브가 구비된 psc 거더 및 그 거더의보강방법
KR100440622B1 (ko) 교량빔의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200240385Y1 (ko) 정착구 설치용 슬리브가 구비된 psc 거더
CN218436679U (zh) 一种改进型组合桥梁钢拱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