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318B1 -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318B1
KR100931318B1 KR1020070047068A KR20070047068A KR100931318B1 KR 100931318 B1 KR100931318 B1 KR 100931318B1 KR 1020070047068 A KR1020070047068 A KR 1020070047068A KR 20070047068 A KR20070047068 A KR 20070047068A KR 100931318 B1 KR100931318 B1 KR 100931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temporary
cross
sectio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976A (ko
Inventor
황윤국
김형열
박기태
이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4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31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 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가설 벤트 상부에 포스트 구조를 형성하고, 포스트 구조 상단과 거더의 소정 위치를 연결하는 경사재를 설치하여 거더의 지지점을 가설벤트 외측으로 확장시켜, 실질적인 지간장을 감소시키며, 거더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재의 연장된 일단에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긴장재를 설치하여 지점부 및 지간부에서의 처짐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장지간화가 가능하게 된다.
가교, 트러스, 긴장재, 가설벤트

Description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TEMPORARY BRIDGE WITH TRUSS TYPE SUB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장지간 가설교량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경사재의 결합 부위와 긴장재의 정착 부위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의 제 2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설 벤트 120 : 포스트 구조
200 : 경사재 300 : 교량상판
310 : 거더 330 : 내측 가로보
340 : 연결구 350 : 지간부 가로보
400 : 긴장재 410 : 정착장치
500 : 복공판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설 교량의 지점부를 트러스 구조로 형성하여 지간장을 줄이고, 가설 교량의 거더 하면에는 긴장재를 설치하여 가설 교량을 장지간화할 수 있는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설 교량은 도로 공사 시 우회도로의 확보, 본 교량의 보수공사 시 차량의 우회횡단, 통행이 심한 도로의 횡단육교, 항만시설에 따른 작업용 교량 등 다양한 용도로 설치 및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가설 교량의 설치방법은 빔을 서로 연결하여 가설벤트(10)를 세우고 그 위에 I형 거더(30)를 거치하여 가설벤트와 일체로 용접하여 가설교량을 설치한 후에 그 위에 복공판 또는 철판을 설치하여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할 수 있게 임시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가설교량은 지간이 통상적으로 5.0 ~ 8.0m 정도로 짧기 때문에 현장적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폭우로 인한 홍수시 지간이 짧은 가설 교량에 부유 물질이 걸리게 되어 통수단면의 감소를 가져와 하천이 범람한 우려가 있으며 유속이 빠른 횡하중에 의하여 가설 교량이 전도, 유실될 우려가 있어 지간이 긴 가설 교량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었다.
근래의 장지간 가설 교량의 시공에는 주로 강봉이나 강선을 활용한 프리스트레스 시공법이 주로 사용되며, 프리스트레스 시공법은 I형 거더(30)의 하단에 긴장재(40)와 정착장치를 구비하여 긴장력을 도입하는 공법으로, 대략 30 내지 35미터 정도의 장지간 가설 교량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프리스트레싱의 도입에 한계가 있고, 어느 정도 응력상쇄는 가능하지만 긴장재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는 I형 거더의 강성증대를 기대할 수가 없고, 거더의 정모멘트부와 부모멘트부에 동일한 규격의 I빔이 적용되므로, 가설교량의 처짐과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가 없으므로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즉, 응력상으로는 장지간이 가능하나 I형 거더의 강성이 적어 상대적으로 처짐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하는 데는 많은 제약을 받는다.
이에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지점부의 I형 거더에 겹침보를 적용하여 처짐을 줄이는 장지간 가설 공법(특허등록 제10-0547484호)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론적으로 겹침보의 중립축에는 응력이 작용하지 않고, 겹침보의 제작에 따른 시공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 등 경제적으로 불리하고, 가설 교량이 시공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장교 타입의 장지간 가설 교량(특허등록 제10-0512663호)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거더의 단면 강성이 작기 때문에 진동에 취약하고, 처짐량을 다소 감소시킬 뿐이며, 지간의 중앙부에서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연속교의 특성상 인접 지간에서의 사장 케이블은 압축력을 받지 못하므로 그 역할을 못하게 되어 결국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지간에서의 케이블만이 그 역할을 하게 되므로 처짐량의 감소에 있어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보다 경제적이며 시공성이 양호하고 상대적으로 처짐량을 줄이면서도 장지간화를 가능하게 하는 가설 교량의 시공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설교량의 거더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감소시키고, 실질적인 지간장을 감소시켜, 가설교량의 처짐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경제적이고 시공이 용이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가설 벤트 상부에 포스트 구조를 형성하고, 포스트 구조 상단과 거더의 소정 위치를 연결하는 경사재를 설치하여 거더의 지지점을 가설벤트 외측으로 확장시켜, 실질적인 지간장을 감소시키며, 거더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재의 연장된 일단에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긴장재를 설치하여 지점부 및 지간부에서의 처짐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장지간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처짐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을 살펴 보면,
첫째, 지점부에 트러스 구조의 경사재를 도입함으로써 지점부에서의 처짐량을 줄이고, 실질적으로 지간장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교량 중앙부에서의 처짐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둘째, 거더의 하부에서 상기 경사재의 일단에 긴장재를 설치하여 긴장력을 도입시킴으로써, 상기 경사재의 일단에 트러스 구조에 의한 상향력이 발생하게 되어 지점부의 처짐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셋째, 거더의 하부에 설치된 긴장재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서 교량 중앙부의 처짐량을 더욱 감소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경사재의 결합 부위와 긴장재의 정착 부위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a, 4b,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의 제 1, 2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은 복수개의 가설벤트(100), 지점부 가로보(110), 포스트 구조(120), 경사재(200), 교량상판(300), 긴장재(400) 및 복공판(500)으로 구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와 같이 교축방향으로 양쪽에 가설벤트가 설치된 가설 교량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가설벤트(100)는 복수개의 I빔 또는 H빔이 브레이싱재에 의하여 조립된 조립체로서, 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가설벤트와 인접한 가설벤트의 상부에 거더(310)가 연결되어 설치되고, 거더(310)의 상부면에는 복공판(500)이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가설벤트(100)는 교량상판(300)의 폭 방향으로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독립하여 설치된 후에 가설벤트(100)를 서로 연결하여 이용할 수도 있을 것 이다.
가설벤트(100)의 상부면에는 교축(거더가 설치되는 방향)직각방향으로 지점부 가로보(110)가 설치되며, 상기 지점부 가로보(110) 상면에는 거더(310)가 얹혀지게 되는데, 이에 지점부 가로보(110)는 가설벤트(100) 상에서 직접적으로 거더(310)를 지지하는 지지점 역할을 하게 되며, 하중을 가설벤트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지점부 가로보(110)는 통상 I빔 형태의 강재로 제작되며, 후술할 포스트 구조(120)의 설치를 위하여 가설벤트(100)의 폭보다 약간 짧은 길이를 갖게 되고, 가설벤트(100)에 볼트 결합의 방법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포스트 구조(120)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에 있어서 주탑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가설벤트(100)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I빔 또는 H빔이 브레이싱재에 의하여 조립된 조립체로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 구조(120)는 가설벤트(100)의 교축방향 양 측면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데, 각각의 하단부 측면은 상기 가설벤트(100) 상부면에 설치된 지점부 가로보(110)와 접하여 연결되고, 그 하단부는 가설벤트(100)의 상부면에 접합되어 연장, 설치되는데, 가설벤트(100)를 구성하는 부재와 동일한 부재를 연장하여 설치될 수도 있으며, 포스트 구조(120)의 상단부는 거더(310)의 상부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포스트 구조(120)의 설치 높이는 경사재(200)의 효과 측면에서는 포스트 구조(120)가 높을수록 유리하지만, 구조적 안정성이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포 스트 구조(120)가 낮을수록 유리하므로 경사재(200)와 거더(310)와의 연결위치를 고려할 때 포스트 구조(120)의 설치 높이는 지간장의 1/9 내지 1/5 사이가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경사재(200)와 거더(310)가 이루는 각도는 30° - 45° 사이가 될 것이다. 또한 포스트 구조(120)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포스트 구조(120)의 외측에는 별도의 보강형을 추가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가설벤트(100)에서 거더(310)의 중앙부 쪽으로 소정 위치의 거더(310) 하부면에는 지간부 가로보(350)가 교축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데, 결국 한 지간 내에는 두 개의 지간부 가로보(350)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지간부 가로보(350)가 설치되는 위치는 지간의 양단에서 지간장의 약 1/5 위치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고정하중을 받는 연속교에서의 휨모멘트도를 살펴보면, 지간의 양 단에서 지간장의 약 1/5 위치에서 정모멘트와 부모멘트의 교차가 일어나기 때문에 이 위치에 경사재를 연결, 설치함으로서 지점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지간부 가로보(350) 역시 통상의 I빔 또는 채널빔 형태의 강재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는 최외측 거더(310) 사이와 동일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간부 가로보(350)는 가설벤트(100)와 가설벤트 사이에서 교량상판(300)을 이루는 각각의 거더(3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교량상판를 이루는 거더(310) 중에서 양측 거더(310)만이 경사재(200)에 연결되므로 지간부 가로보(350)는 경사재(200)의 연결에 의한 효과를 내측의 거더(310)에 전달하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지간부 가로보(350)와 각각의 거더(310)는 볼트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지간부 가로보(350)의 양 단부에는 경사재(20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지간부 가로보(350)의 단면 크기에 맞는 직사각형 모양의 단부판(351)이 지간부 가로보(350)의 길이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부착되며, 상기 단부판(351)에 경사재(200)가 볼트 결합된다.
상기 지간부 가로보(350)의 일단부와 포스트 구조(120)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지간부 가로보(350)의 일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포스트 구조(120)의 상단에 타단이 결합되는 경사재(200)가 설치되는데, 상기 경사재(200)의 양단이 각각 포스트 구조(120)의 상단과 상기 지간부 가로보(350)의 일단부에 볼트 결합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재(200)는 그 중간부분이 거더(310)와 교차하게 되며 이 교차부에서 거더(310)와 결합하게 되는데, 경사재(200)와 거더(310)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거더(310)의 양측면에는 연결구(340)가 추가로 설치된다.
거더(310)는 통상 I빔이 이용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구(340)는 경사재(200)가 연결될 부분에서 I빔의 상, 하부 플랜지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는 상자 형태로 제작되어 설치되거나 I빔의 상, 하 플랜지가 I형 거더(310)의 복부판과 경사재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포스트 구조(120), 경사재(200), 지점부의 거더(310) 부분이 트러스와 같은 구조로 거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지점부 구조의 강성이 증가하게 되어, 사하중을 포함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거더(310)의 처짐에 대해 경사재(200)가 인장력으로 저항하게 되어 지점부에서의 처짐량을 감소시키게 되며,
또한 지점부에서 거더(310)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의 크기를 감소시키게 되므로, 거더(310)의 소요 단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경사재(200)의 단면의 크기 및 길이는 거더(310)에 작용하는 사하중, 활하중, 가설교량의 길이, 포스트 구조(120)의 높이 등을 고려한 구조 검토를 통하여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지점부의 트러스 구조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실질적인 지간장은 가설벤트(100)와 인접 가설벤트 사이가 아닌 경사재(200)의 연결부와 인접 경사재의 연결부가 되므로, 지간장과 관련되어 있는 거더(310) 중앙부의 처짐도 역시 감소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즉, 고정하중을 받는 연속교에서 중앙부의 처짐은 지간장의 4제곱에 비례하고 휨모멘트는 지간장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지간장을 10% 정도만 줄이더라도 중앙부에서의 처짐은 약 66%로 감소하게 되며, 중앙부의 휨모멘트는 약 81%로 감소하게 되는 등, 경사재의 설치로 인하여 거더 중앙부에서의 처짐 및 휨모멘트의 감소에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지간부 가로보(350)와 인접 지간부 가로보(350)에는 긴장재(400)의 양단이 각각 정착되어 지간부 가로보(350)와 인접 지간부 가로보(350) 사이에서 긴장재(400)가 교축방향으로 설치되어 긴장력이 도입된다. 상기 긴장재(400)는 강봉이나 강연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긴장재(400)가 정착되는 지간부 가로보(350)에 는 설치되는 긴장재(400)의 수에 따라서 정착장치(410)가 다수 구비되는데, 설치되는 긴장재(400)의 수는 거더의 사하중, 활하중 및 지간장의 길이에 따른 구조 검토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결정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긴장재(400)를 설치함으로 인하여 거더(310)의 지간부에서의 처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거더(310)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하여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에 긴장재의 긴장력으로 인하여 거더(310) 중앙부에서의 처짐을 감소시키게 된다.
결국 거더(310) 중앙부에서의 처짐은 상기 설명한 바대로 지점부의 트러스 구조로 인하여 실질적인 지간장이 짧아지는 관계로 처짐이 감소하게 될 뿐만 아니라, 또한 긴장재(400)의 설치로 인하여 처짐이 더욱 감소되게 된다.
상기 긴장재(400)의 역할은 거더(310) 중앙부의 처짐을 감소시키는 역할 뿐만이 아니라 지점부의 트러스 구조로 인하여 지점부에서의 처짐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긴장재(400)에 의한 긴장력은 지점부 가로보(110)를 거쳐 이에 연결된 경사재(200)에 전달되는데, 경사재(200)와 지간부 가로보(350)의 연결부에서 거더(310)의 중앙 방향으로 긴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긴장력에 의하여 경사재(200)의 일단은 트러스 구조상 상향력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거더(310)와 경사재(200)의 연결부에서는 솟음이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긴장재(400)에 의하여 거더(310)와 경사재(200)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솟음량은 지점부에서 하중으로 인한 처짐량을 상쇄하게 되어 지점부에서의 최종 처짐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을 다경간으로 이루어진 가설교량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명한 효과 외에 연속교 구조에 따른 처짐 감소 효과도 갖게 된다.
즉, 연속교의 경우 일 지간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그 지간에서 처짐이 발생하는 동시에 인접 지간에서는 부반력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가설교량의 경우에는 이러한 경우 경사재(200)가 압축력으로 저항하게 되므로 부반력에 저항하여 결과적으로 처짐이 발생하는 지간에서의 처짐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제 1실시예에 대한 지점부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가설벤트(100)가 분리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설벤트(100)는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음을 이미 언급하였다.
가설벤트(100)의 상부면에는 지점부 가로보(110)가 교축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지점부 가로보(110)의 양단에는 포스트 구조(120)의 하단부 측면이 연결되고 가설벤트(100) 상부면에서 상향으로 포스트 구조(120)가 설치된다.
지점부 가로보(110) 상부면에는 I빔 형태의 거더(310)가 교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 때 거더(310) 사이에는 교축직각방향으로 다수의 브레이싱재(360)를 설치하여 거더(310)의 횡방향 변형에 저항하거나 거더(310)가 전도되지 않도록 한다. 거더(310) 상부면에는 복공판(500)이 설치되어 차량 등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포스트 구조(120)의 상단부에서는 경사재(200)의 일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4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제 1실시예에 대한 경사재(200)와 거더(310)의 연결부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경사재(200)의 일단부에 연결된 지간부 가로보(350)가 설치되고, 지간부 가로보(350) 상부면에서는 도 4a의 구조와 같이 거더(310), 복공판(500)이 설치된다. 이때 경사재(200)는 최외측 거더(310)에도 결합되는데, 경사재(200)와 최외측 거더(31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연결구(340)가 설치된다.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제 2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제 2실시예에 대한 지점부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가설벤트(100)는 도 4a와 마찬가지로 분리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가설벤트(100)의 상부면에는 지점부 가로보(110)가 교축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지점부 가로보(110)의 양단에는 포스트 구조(120)의 하단부 측면이 연결되고 가설벤트(100) 상부면에서 상향으로 포스트 구조(120)가 설치된다.
지점부 가로보(110) 상부면에는 I빔 형태의 거더(310)가 교축방향으로 양측면에 설치된다. 이 때 거더(310) 사이에는 거더(310)의 하부 플랜지 상부면에 걸쳐지도록 내측 가로보(330)를 교축직각방향으로 설치하고, 다시 내측 가로보(330) 상부면에는 단면이 작은 보조 거더(320)를 교축방향으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내측 가로보(330)와 단면이 다른 보조 거더(320)를 사용함으로서 거더(310)의 횡방향 변형이나 거더(310)의 전도 가능성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된다.
거더(310) 및 보조 거더(320)의 상면에는 복공판(500)이 설치되어 차량 등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포스트 구조(120)의 상단부에서는 마찬가지로 경사재(200)의 일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5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제 2실시예에 대한 경사재(200)와 거더(310)의 연결부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교량상판(300)을 이루는 거더(310)의 구성만 달리할 뿐, 지간부 가로보(350), 연결구(340)의 구성은 도 4b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은 가설 벤트 상부에 포스트 구조를 형성하고, 포스트 구조 상단과 거더의 소정 위치를 연결하는 경사재를 설치하여 거더의 지지점을 가설벤트 외측으로 확장시킴으로서, 지점부에서의 처짐량을 줄이고, 실질적으로 지간장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교량 중앙부에서의 처짐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거더의 하부에서 상기 경사재의 일단에 긴장재를 설치하여 긴장력을 도입시킴으로써, 상기 경사재의 일단에 트러스 구조에 의한 상향력이 발생하게 되어 지점부의 처짐량을 감소시키게 되며, 거더의 하부에 설치된 긴장재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서 교량 중앙부의 처짐량을 더욱 감소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포스트 구조나 경사재는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설치시 추가비용이 크지 않으면서도 지점부 및 지간부에서의 처짐량을 줄일 수 있으며, 가설교량의 장지간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스트 구조와 경사재의 도입으로 인한 형하공간의 손실도 없게 되므로, 가설벤트를 종래에 비해 높게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9)

  1. 지면에 설치된 한 쌍의 가설벤트, 상기 가설벤트의 상부에 교축방향으로 설치된 거더 및 상기 거더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복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가설벤트(100)의 상부면과 거더의 하부면 사이에서 교축직각방향으로 설치된 지점부 가로보(110);
    각각의 하단부 측면이 상기 지점부 가로보와 접하며, 상기 가설벤트 각각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되,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거더의 상부면보다 높게 위치되는 포스트 구조(120);
    상기 가설벤트 사이의 거더의 양단 하부면에 2개가 이격되어 설치된 지간부 가로보(350);
    상기 지간부 가로부의 일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 구조의 상단부에 타단이 결합되되, 그 중간 부분에서 거더에 결합되는 경사재(200); 및
    상기 지간부 가로보들의 내측 사이에 양단이 정착되며 교축방향으로 설치되어 긴장력이 도입된 긴장재(400)를 포함하도록 하되,
    상기 거더는 상기 지점부 가로보 상부면에서 교축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된 I빔 형태의 거더, 상기 거더 사이에서 교축직각방향으로 상기 거더의 하부 플랜지 상면에 걸쳐지도록 설치된 내측 가로보 및 상기 내측 가로보의 상부면에서 교축방향으로 설치된 I빔 형태의 보조 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간부 가로보 및 상기 경사재는 I빔 형태의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재 및 상기 거더 사이에는 연결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간부 가로보는 가설벤트로부터 지간장(L)의 1L/5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간부 가로보는 그 양단부에 지간부 가로보의 길이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단면 크기에 맞는 직사각형 모양의 단부판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간부 가로보에는 상기 긴장재의 정착을 위한 정착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는 상기 지점부 가로보 상부면에서 교축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I빔 형태의 거더 및 상기 거더 사이에 교축직각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브레이싱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8. 삭제
  9. 지면에 설치된 두 개 이상의 가설벤트의 상부에 교축방향으로 거더를 설치하고, 상기 거더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복공판을 설치하는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더는 상기 지점부 가로보 상부면에서 교축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된 I빔 형태의 거더, 상기 거더 사이에서 교축직각방향으로 상기 거더의 하부 플랜지 상면에 걸쳐지도록 설치된 내측 가로보 및 상기 내측 가로보의 상부면에서 교축방향으로 설치된 I빔 형태의 보조 거더를 포함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가설벤트의 상부면에 교축직각방향으로 지점부 가로보를 설치하고,
    상기 지점부 가로보에 각각의 하단부 측면이 접하며, 가설벤트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되,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거더의 상부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한 쌍의 포스트 구조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벤트 사이의 거더의 양단 하부면에 지간부 가로보를 2개 이격시켜 설치하고,
    상기 지간부 가로부의 일단부와 상기 포스트 구조의 상단에 양단이 결합되는 경사재를 설치하고, 상기 경사재의 중간 부분에서 거더에 결합하고,
    상기 지간부 가로보들의 내측 사이에 양단이 정착되도록 교축방향으로 긴장재를 설치하여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시공방법.
KR1020070047068A 2007-05-15 2007-05-15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931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068A KR100931318B1 (ko) 2007-05-15 2007-05-15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068A KR100931318B1 (ko) 2007-05-15 2007-05-15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976A KR20080100976A (ko) 2008-11-21
KR100931318B1 true KR100931318B1 (ko) 2009-12-11

Family

ID=4028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068A KR100931318B1 (ko) 2007-05-15 2007-05-15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3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055B1 (ko) * 2015-08-27 2016-04-07 표옥근 철판스트립거더와 탄성판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
CN110593110A (zh) * 2019-09-25 2019-12-20 中交二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适用于曲线和纵横坡的箱梁现浇支架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306B1 (ko) * 2009-09-14 2010-08-06 이엔이건설주식회사 교량용 거더가 매달려 설치되는 지점부 구조물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321267B1 (ko) * 2011-12-23 2013-10-28 김영호 단면 강성증대와 복공판의 설치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강재 거더를 이용한 가설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41Y1 (ko) * 2003-09-01 2003-11-17 주식회사 일승에스티 강재를 이용한 조립식 장대가교 설치구조
KR200377854Y1 (ko) * 2004-12-13 2005-03-11 (주)리튼브릿지 사장교 타입 장지간 가설 교량
KR200381696Y1 (ko) * 2005-01-11 2005-04-14 (주)리튼브릿지 관통공이 형성된 가로보를 이용한 장지간 가설교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41Y1 (ko) * 2003-09-01 2003-11-17 주식회사 일승에스티 강재를 이용한 조립식 장대가교 설치구조
KR200377854Y1 (ko) * 2004-12-13 2005-03-11 (주)리튼브릿지 사장교 타입 장지간 가설 교량
KR200381696Y1 (ko) * 2005-01-11 2005-04-14 (주)리튼브릿지 관통공이 형성된 가로보를 이용한 장지간 가설교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055B1 (ko) * 2015-08-27 2016-04-07 표옥근 철판스트립거더와 탄성판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
CN110593110A (zh) * 2019-09-25 2019-12-20 中交二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适用于曲线和纵横坡的箱梁现浇支架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976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615B2 (en)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CN108193607B (zh) 一种加固用装配式预应力桁架及其施工方法
KR101366903B1 (ko) 트러스 단면을 갖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및 육교 시공 방법
KR102035492B1 (ko) 세미 사장교 구조
KR20110109367A (ko) 프리캐스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
KR100931318B1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0876679B1 (ko) 교량용 방음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20140B1 (ko) 프리플렉스 합성형 중ㆍ하로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US7478450B2 (en) Longitudinally offset bridge substructure support system
KR100871831B1 (ko) 휨 하중이 미리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가설 교량 및 그제작 공법
CN211368334U (zh) 一种装配式体外预应力钢桁组合梁结构
KR20200013911A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JP3847604B2 (ja) 床版の打替工法
CN112853934A (zh) 一种新型耗能减震式分幅联塔斜拉桥塔间联系结构
KR20090048054A (ko) 포스트텐션 방식에 의한 장지간 피에스씨 거더교량시공방법
KR102132338B1 (ko) 아치형보강재를 포함하는 강합성 psc 거더
KR102325276B1 (ko) 하프 pc 연속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10088998A (ko) 가설교량 주거더에 있어 편향부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콤팩트 거더의 시공법과 그 구조
KR102145559B1 (ko) 종방향 위치와 긴장 단계에 따른 하부플랜지의 강성 조절 방식의 psc u형 거더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되는 교량
CN109972531B (zh) 一种用于提高贝雷梁临时支架跨度的体外预应力装置
JP2007126813A (ja) 橋梁の鋼とコンクリートの複合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67152B1 (ko) 장경간 교량용 거더
KR200300023Y1 (ko) 교각에 강결시킨 라멘형 다경간 연속 psc i형 거더교량구조
KR102643900B1 (ko) 중공관과 섬유보강된 사각보를 이용한 슬래브 구조의 복합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