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430A -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 Google Patents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430A
KR20010000430A KR1020000057064A KR20000057064A KR20010000430A KR 20010000430 A KR20010000430 A KR 20010000430A KR 1020000057064 A KR1020000057064 A KR 1020000057064A KR 20000057064 A KR20000057064 A KR 20000057064A KR 20010000430 A KR20010000430 A KR 20010000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steel wire
continuous
tension
gir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6471B1 (ko
Inventor
한만엽
Original Assignee
한만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909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0043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만엽 filed Critical 한만엽
Priority to KR10-2000-0057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47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량의 연속화에 있어서 긴장력을 조정 가능하게 하여 거더의 형고를 줄일 수 있으며 경간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연속교의 긴장용 강선 배치, 강선 긴장 방법, 거더의 단부에 외부로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연결부와 슬래브의 동시 타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미리 제작한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교각에 거치 하여 연속교를 구성한 후 슬래브와 조인트의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거더의 외부에 노출된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시공 중에 거더에 작용하는 각 하중 단계에 따라 적절한 긴장력을 도입함으로써 종래의 연속화 방법 보다, 시공이 간편하고, 형고를 작게 하여 경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3경간 이상의 연속교에도 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연속화 공법을 적용하면 공기를 단축시키고, 사용 중 발생된 과도한 처짐 및 균열 등을 재 긴장함으로써 보완 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교량의 내하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Open-type steel wire holding device and Metod for construction of continuous bridge using of prestressed concret beam having it}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도로교 및 철도교에 널리 이용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 또는 건축물을 만드는 연속화 공법에 관한 것이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은 철근콘크리트 교량에 비하여 경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국내의 많은 교량에 단순교 형태로 시공되어 왔으며, 거더를 연속화 함에 따라 거더의 경간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어, 건설비의 절감 효과가 있으며,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를 없앰으로써 건설비, 유지 보수비용의 감소 및 주행성을 향상시킨다.
종래의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은 강선 긴장 및 슬래브 타설 등의 문제로 인하여, 다경간 교량의 경우 연속화가 매우 어려운 형편이며, 거더의 연결부와 슬래브를 따로 타설하여 양생한 후 긴장력을 도입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공기가 길어져 건설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연속교 시공방법은 강선의 정착 장치가 거더의 단부나 슬래브에 있기 때문에 거더를 연속화하여 슬래브를 타설한 후에는 거더 연결부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강선의 재긴장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종래의 PSC 연속교량에서 사용 중 과도한 처짐이나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나, 과적차량의 통행 등으로 내하력이 부족할 시에는 별도의 보강공법을 도입하여 보수 보강이 실시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PSC 단순교 형식의 교량에서는 양 단부에 고정장치를 설치하며, 긴장력을 가하는 외부 강선 보강 공법이 널리 사용되는데, 이런 공법의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교량의 노후화에 따른 유지보수비가 많이 들고 있으며, 연속교의 경우에는 연결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공간을 메우기 때문에 고정장치의 설치가 어려워 효과적인 보수 보강공법 조차 아직 확립되지 못한 형편이다.
종래의 PSC 연속교의 긴장용 강선장치 및 강선긴장 방법은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거더를 제작한 후 단순강선(2)을 긴장하고, 거더(1)를 교각에 거치(12)시켜 연결부의 쉬스를 연결하고 연속강선을 배치시킨 후(13), 연결부를 타설하여 양생(14)하고, 연속강선(3)을 1차긴장(15)한 뒤, 상판 슬래브를 타설 및 양생(16)하고, 연속강선을 2차 긴장하며(17), 마지막으로 교대를(18) 타설한다. 물론 2경간 이상의 연속교는 교대 대신에 이웃한 거더가 배치되기 때문에 이런 방법을 이용한 연속교의 시공은 불가능하거나 한 개의 경간에 대한 시공이 완성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교량에 추가사하중 및 활하중이 재하된다(19,20).
이상과 같은 종래의 연속교 방식에 따른 설계 시공상의 문제점들은 각 하중단계에 따라 거더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다단계 긴장형 거더를 사용하여 건설하면 간단히 문제가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시공단계가 간단하고, 3경간 이상의 다경간 교량에도 적용가능하며, 추후 교량이 손상을 입었을 때, 보수 보강 기능이 있는 노출된 정착장치를 갖는 다단계 긴장형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 공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에 있어서 거더의 단부 부근에 노출된 정착 장치나 개구부를 설치하여 내부 강선을 시공 중이나 시공 후에도 긴장이 가능하도록 강선의 정착부를 노출시켜, 거더에 작용하는 각 하중 단계에 따라 긴장력이 조정 가능하도록 한 거더의 형상과 시공방법을 변경시켜, 연속교의 조인트용 강선 배치방법, 거더의 외부에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연결부와 슬래브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는 방법 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연속교의 강선 긴장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안으로 연속교의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강선 배치 및 긴장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안으로 연속교의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강선 배치 및 긴장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PSC 거더의 단부 정착장치 상세 정면도
도 8 은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PSC 거더의 단부 정착장치 상세 평면도
도 9 는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거더의 가로보 정착장치 상세 정면도
도 10 는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거더의 가로보 정착장치 상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PSC 거더 2: 단순강선
3: 연속강선 4: 연결강선
5: 단부에 노출된 연속강선 정착장치
6: 긴장력 조정을 위한 단순 거더 정착장치
7: 거더의 내측에 위치한 연결강선 정착장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더마다 길이 방향으로 내설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선을 포함하여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다수개의 거더를 연결하는 적어도 한 조 이상의 연속 강선 및/또는 적어도 한쌍의 거더와 거더를 연결하는 한 조 이상의 연결강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트리트 거더에 설치되는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는 연속교 강선의 긴장력 조정이 가능하도록 단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더에 노출된 정착 장치는 거더의 단부에 적어도 한 쌍 이상 구성되어 있으며 거더와 거더를 연결하고, 거더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 연결부 강선의 정착부에 수평 분산 배치되어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더마다 설치되는 적어도 한 조의 단순강선과, 다수개의 거더를 통과하는 적어도 한 조의 연속강선 및/또는 거더와 거더를 연결하는 한 조 이상의 연결강선을 포함하고 노출된 정착장치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에 있어서, 거더 제작후 단순 강선을 긴장시키고, 거더를 교각에 거치시킨 후, 연결부의 쉬스 연결 및/또는 연속, 연결 강선을 배치하고, 연결부와 슬래브를 동시 타설하고, 연속 및/또는 연결강선을 긴장하여 거더에 긴장력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거더에 활하중이 작용하고, 사용중 거더 노후화에 따라 과도한 처짐 및 균열 발생시 연속, 연결 강선을 재긴장하여 처짐이나 균열을 보완하고, 거더의 내하력을 증대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쉬스 내에 부착강선 및/또는 비부착 강선을 배치하고, 상기 쉬스내 부착강선을 시공중에 긴장하고, 긴장 후 절단하거나 비부착 강선을 사용중에 긴장하여 내하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순강선의 이완 및 재긴장 가능하며, 강선 대신 탄소섬유 등 고강도 섬유를 이용한 피복 강선의 대체 사용 가능하고, 상기 정착장치의 상향각 또는 하향각은 강선에 작용하는 긴장력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강선의 긴장력을 항상 조정 가능토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단부에 노출된 정착장치를 두는 것과, 거더마다 설치되는 적어도 한 조 이상의 단순강선과 다수개의 거더를 연결하는 연속강선의 배치방법 및 긴장 방법을 포함하며, 연결부만을 보강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결부용 강선의 정착에 있어서는 거더의 연결부에서 적당히 떨어진 위치에 다수개의 노출된 정착 장치를 수직방향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분산, 배치시켜, 연결부용 강선의 정착이 수직으로 배치됨으로서 응력이 집중되어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거더 거치 후 연결부 및 슬래브의 타설 순서에 있어서, 연결부를 슬래브 타설 시 동시에 타설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공사기간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I형 거더나, 벌브T형 거더, 또는 더블T형 거더 등 거더 단면의 형태에 무관하게 어떤 형태의 거더에도 적용이 가능하지만, 실시 예로서 이하 I형 거더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순강선 배치 및 연속강선 배치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 방법 및 강선 긴장 방법을 시공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거더(1),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순강선(2), 거더의 단부에 위치한 노출된 정착장치(5), 다수의 연속된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속 강선(3), 을 포함하며, 연속 강선은 거더의 처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긴장력이 작용하도록 거더의 중앙에서는 아래로 불룩한 "U" 형상으로 배치되며, 연결부에서는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연결되며, 2경간 이상인 경우는 같은 배치가 거더마다 반복하여 내설된다. 여기서 단부의 정착장치(5)는 제시된 도면과 같이 같은 장소에 위아래로 배치되는 것보다는 어느 정도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단순 강선이 내설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된 뒤에는 거더 및 슬래브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단순 강선을 긴장(21)한 뒤에, 거더에 거치시키고(22), 연결부의 쉬스를 연결하고 연속강선을 쉬스내에 삽입, 배치하고(23), 콘크리트를 연결부와 슬래브에 동시에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24), 거더 단부의 노출된 정착 장치에서 연속 강선을 긴장한다(25). 이어서 추가 사하중이 작용한 뒤에 연속강선의 추가 긴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연속 강선을 추가 긴장함으로써 공사를 완료한다(27). 교량이 완성된 후 장시간이 지나면서, 크립이나 건조수축이 발생하고, 활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28)하게 되면 거더에 균열이 발생한다던가, 처짐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처짐이나 균열양상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는 연속 강선을 추가 긴장한다(29).
교량 완성 후 장시간 후에 긴장하게 되는 비부착 강선은 추후 긴장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정착장치로부터 최소한 30-40cm 이상 길게 여분의 길이가 있어야 하며, 긴장이 완료된 강선은 여분의 강선을 모두 절단하여 긴장된 강선과 긴장되지 않은 강선을 구분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렇게 한 개 쉬스내의 강선을 일부 긴장하고 일부 비 긴장상태로 놔두는 것도 본 특허의 특이한 기술의 하나이다. 또한 현재는 긴장재로서 강선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탄소섬유 등과 같은 고강도 복합재료의 경우도 적절히 피복을 하면 비부착 강선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교량 사용 중 열화나,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립, 또 설계하중 이상의 과도한 차량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되는 교량의 과도한 처짐 및 균열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긴장되는 연속강선은 장기간 비부착 상태로 방치되기 때문에 피복강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속강선을 거더의 노출된 정착장치에서 유압잭 등의 통상적인 긴장장치로 손쉽게 긴장함으로써, 별도의 보수 보강공법 적용 없이 손쉽게 교량을 보강할 수 있어 교량의 유지보수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연속교에 있어서, 통상적인 단순 강선 이외에도, 긴장력 조절이 가능한 새로운 단순 강선의 배치, 긴장력 조절이 가능한 연속강선의 배치, 연속부용 연결강선의 배치, 연속부용 연결강선의 정착장치의 배치, 강선 긴장 방법, 그리고 콘크리트의 타설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도 3, 도4 에 추가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단순 강선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노출된 정착장치(6), 거더의 연결부와 중앙부 사이의 적정한 지점에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된 정착 장치(7), 거더와 거더를 연결하는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용 연결 강선(4)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연결강선은 연속 강선의 긴장력을 돕는 방향으로 긴장력이 작용하도록 거더와 거더의 연결부를 직선이나 역 "U" 형 형상으로 교량의 연결부분마다 최소 1쌍 이상 내설된다. 이러한 연결강선은 연속 강선의 아래로 불룩한 "U"형상과 유사한 역 "U"형이므로 강선의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고, 연결부에 많은 강선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거더의 형고를 높이지 않고도 연결부에 높은 긴장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정착장치를 길이방향으로 분산 배치하게 되면, 정착장치가 한군데 모여 있는 것에 비하여 정착부 주변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결 강선의 배치와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연속교 공법을 적용하면 거더의 형고를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거더의 무게가 감소되고, 거더의 경간장을 크게 늘릴 수 있다.
또한, 연결 강선을 정착하는 노출된 정착 장치는 거더의 중간부의 임의 지점에 설치가 가능하나 가로보가 있는 경우에는 가로보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노출된 상태에서 정착장치를 콘크리트 등으로 마감하지 않고, 아직 긴장되지 않은 강선을 절단하지 않음으로서 언제라도 비부착 강선을 재긴장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강선을 둠으로서 거더와 거더의 연결부에 발생되는 과도한 모멘트를 줄일 수 있으며 연결부에 집중되던 모멘트를 거더의 중앙부분으로 분산시켜서 연속교의 취약한 연결부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거더의 끝에서 끝까지 배치된 연속 강선 만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거더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과다한 상향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먼저,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여 강선을 긴장(31)하여, 교각에 거치시키고(32), 연결부에서 쉬스를 연결한 뒤 연속강선(3)과 연결강선(4)들을 배치하고(33), 연결부와 교량 슬래브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34), 거더 단부의 노출된 정착 장치에서 연속 강선(3)을 긴장한 뒤 단순 강선(2)을 이완시킨다(35).
이어서 추가 사하중이 작용한 뒤에 연속 강선 또는 연결 강선의 추가 긴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연속 강선이나 연결 강선을 추가 긴장함으로써 공사를 완료한다(37). 교량이 완성된 후 장시간이 지나면서, 크립이나 건조수축이 발생하고, 활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38)하게 되면 거더에 균열이 발생한다던가, 처짐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처짐이나 균열양상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는 연속 강선을 추가 긴장한다(39).
교량 사용 중 열화나,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립, 또 설계하중 이상의 과도한 차량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되는 교량의 과도한 처짐 및 균열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긴장되는 연속강선이나 연결강선은 장기간 비부착 상태로 방치되기 때문에 피복강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속강선을 거더의 노출된 정착장치에서 유압잭 등의 통상적인 긴장장치로 손쉽게 긴장함으로써, 별도의 보수 보강공법 적용 없이 손쉽게 교량을 보강할 수 있어 교량의 유지보수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더 거치 후 연결부 및 슬래브의 타설 순서에 있어서, 연결부를 슬래브 타설시 동시에 타설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공사기간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연속교 거더의 단부에 위치한 정착장치의 상세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교량 시공 중이나 교량 완공 후 재 긴장이 필요할 때는 언제나 손쉽게 긴장을 하기 위하여 강선 인장기의 작업 공간을 고려하여 단부 끝에서 1-2m 정도 떨어진 위치인 거더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 정착장치(5)는 정면도인 도 7에서 볼 경우 강선이 약간 상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단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정착장치의 노출면(8)은 상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또한 도 8에서도 정착장치의 면이 외측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작업공간의 확보에 유리한 구조이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노출된 정착장치로서 가장 효율적인 정착장치를 제시하였으나, 이는 한 실시예를 보여준 것이며, 이 정착장치의 형상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9,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연속교의 연결강선의 정착장치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연결강선의 정착장치는 거더 중간의 임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나 가로보(9)가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면 보다 큰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결강선용 정착장치는 1쌍 이상 설치될 경우 수직 방향이 아닌 수평 방향으로 배열 설치가 되어야 하며 각 설계에 따라 강선 배치는 적절하게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제시된 도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이러한 본 발명의 연속교의 연속강선과 연결강선의 배치, 긴장방법, 정착장치 등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연속화에 사용된 거더보다 형고를 작게 할 수 있고 경간을 크게 할 수 있어 건설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연결부와 슬래브를 동시 타설함으로써 공정 및 공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교량의 사용중 장기간에 걸쳐 노후화 되거나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대형 차량에 의한 과도한 처짐, 균열 발생 시 및 설계 내하력의 증대가 필요한 경우에도 대대적인 보수 보강 공정 없이도 거더에 내장된 비부착 강선을 노출된 정착장치에서 유압 긴장기를 이용하여 재긴장, 또는 추가긴장을 함으로써 매우 작은 비용으로 보수 보강을 할 수 있다. 또한, 연속교 시공 시 불필요한 공정 및 공기를 줄일 수 있으며 3경간 이상의 연속교에도 시공이 가능하다.

Claims (6)

  1. 거더마다 길이 방향으로 내설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선을 포함하여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다수개의 거더를 연결하는 적어도 한 조 이상의 연속 강선 및/또는 적어도 한쌍의 거더와 거더를 연결하는 한 조 이상의 연결강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트리트 거더에 설치되는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는 연속교 강선의 긴장력 조정이 가능하도록 단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된 정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에 노출된 정착 장치는 거더의 단부에 적어도 한 쌍 이상 구성되어 있으며 거더와 거더를 연결하고, 거더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 연결부 강선의 정착부에 수평 분산 배치되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된 정착장치.
  3. 거더마다 설치되는 적어도 한 조의 단순강선과, 다수개의 거더를 통과하는 적어도 한 조의 연속강선 및/또는 거더와 거더를 연결하는 한 조 이상의 연결강선을 포함하고 노출된 정착장치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에 있어서,
    거더 제작후 단순 강선을 긴장시키고, 거더를 교각에 거치시킨 후, 연결부의 쉬스 연결 및/또는 연속, 연결 강선을 배치하고, 연결부와 슬래브를 동시 타설하고, 연속 및/또는 연결강선을 긴장하여 거더에 긴장력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거더에 활하중이 작용하고, 사용중 거더 노후화에 따라 과도한 처짐 및 균열 발생시 연속, 연결 강선을 재긴장하여 처짐이나 균열을 보완하고, 거더의 내하력을 증대시켜 주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노출된 정착 장치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 내에 부착강선 및/또는 비부착 강선을 배치하고, 상기 쉬스내 부착강선을 시공중에 긴장하고, 긴장 후 절단하거나 비부착 강선을 사용중에 긴장하여 내하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된 정착 장치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단순강선의 이완 및 재긴장 가능하며, 강선 대신 탄소섬유 등 고강도 섬유를 이용한 피복 강선의 대체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된 정착 장치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의 상향각 또는 하향각은 강선에 작용하는 긴장력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KR10-2000-0057064A 2000-09-28 2000-09-28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KR100456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064A KR100456471B1 (ko) 2000-09-28 2000-09-28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064A KR100456471B1 (ko) 2000-09-28 2000-09-28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430A true KR20010000430A (ko) 2001-01-05
KR100456471B1 KR100456471B1 (ko) 2004-11-10

Family

ID=1969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064A KR100456471B1 (ko) 2000-09-28 2000-09-28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47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772B1 (en) * 2002-02-28 2003-02-25 Dong Yang Psc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preplex girder bridge with multiple spans
KR100437258B1 (ko) * 2001-12-07 2004-06-23 현대건설주식회사 활절라멘교의 보수보강방법
KR100582563B1 (ko) * 2004-08-24 2006-05-23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가설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
KR100616533B1 (ko) * 2004-11-19 2006-08-29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
KR100724739B1 (ko) * 2005-08-26 2007-06-04 주식회사 장헌산업 긴장력 조절이 가능한 정착구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량의 시공방법
KR100948896B1 (ko) * 2009-06-01 2010-03-24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프리캐스트 횡가로보를 이용한 피에쓰씨 합성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
CN1710207B (zh) * 2005-07-11 2010-11-03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院 一种钢绞线后张预应力孔道压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390B1 (ko) 2010-11-02 2011-10-13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텐던 배치 방법
KR101734304B1 (ko) * 2016-09-22 2017-05-12 오병환 효율적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연속교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864B1 (ko) * 1999-05-29 2002-08-22 (주)청석엔지니어링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교량의 구조적 연속화 공법
KR100374284B1 (ko) * 1999-12-10 2003-03-28 김우종 정착블록이 부착된 피에스씨빔 및 그연속화 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258B1 (ko) * 2001-12-07 2004-06-23 현대건설주식회사 활절라멘교의 보수보강방법
KR100372772B1 (en) * 2002-02-28 2003-02-25 Dong Yang Psc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preplex girder bridge with multiple spans
KR100582563B1 (ko) * 2004-08-24 2006-05-23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가설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
KR100616533B1 (ko) * 2004-11-19 2006-08-29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
CN1710207B (zh) * 2005-07-11 2010-11-03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院 一种钢绞线后张预应力孔道压浆方法
KR100724739B1 (ko) * 2005-08-26 2007-06-04 주식회사 장헌산업 긴장력 조절이 가능한 정착구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량의 시공방법
KR100948896B1 (ko) * 2009-06-01 2010-03-24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프리캐스트 횡가로보를 이용한 피에쓰씨 합성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6471B1 (ko) 200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933B1 (ko) 피에스씨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034986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교량의 구조적 연속화 공법
US7827642B2 (en) Hollow prestressed concrete (HPC) girder and spliced hollow prestressed concrete girder (s-HPC) bridge construction method
KR20010036486A (ko) 다단계 긴장식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설계 방법 및 거더의 제조방법
KR100988074B1 (ko) 교대 벽체와 일체화 시공되는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301431B1 (ko) 긴장력조정이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거더
KR100456471B1 (ko)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KR100842062B1 (ko) 프리플랙션 스틸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KR100592196B1 (ko)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및 이의설치방법
KR100349865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유거더 합성교의 연속화 공법
KR10078563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및 그공법
KR10056665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구조 및 연속화 방법
KR100616533B1 (ko)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
KR100554026B1 (ko) 외부로 노출된 교량용 강선 긴장시스템
KR20040091350A (ko) 피에스에스 거더
KR102227878B1 (ko) 장지간 psc거더를 활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0403988B1 (ko) 강재 연결장치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연속화공법 및 그 장치
KR100724739B1 (ko) 긴장력 조절이 가능한 정착구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량의 시공방법
KR100665877B1 (ko) 2차 인장 겸용 연속화 보강강재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빔의 상면에서 2차 인장 및 지점부 연속화 방법
KR100402147B1 (ko) 피에스씨 강봉을 이용한 단순형 합성보의 2차 프리스트레싱 공
KR100406883B1 (ko) 가설용 강재정착장치가 설치된 피에스씨 빔을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KR100503855B1 (ko) 피에스시보를 이용한 교량의 가설공법
KR200394381Y1 (ko) 상단돌출형 플랜지를 갖는 피시 거더 구조
KR200278091Y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KR20010018350A (ko) 다경간 프리플렉스 합성형교 및 리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슬라브콘크리트 연속결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704

Effective date: 200409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10026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704

Effective date: 2004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1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1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