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304B1 - 효율적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연속교량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연속교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4304B1 KR101734304B1 KR1020160121258A KR20160121258A KR101734304B1 KR 101734304 B1 KR101734304 B1 KR 101734304B1 KR 1020160121258 A KR1020160121258 A KR 1020160121258A KR 20160121258 A KR20160121258 A KR 20160121258A KR 101734304 B1 KR101734304 B1 KR 1017343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girder
- continuous
- concrete
- girder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을 이용하여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가 제작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를 제작함에 있어서, 2개를 동시에 제작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2경간 연속교량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와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를 이용한 4경간 연속교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를 이용한 연속교량에서, 경간중앙부구간의 강재거더 복부에서 복부 콘크리트가 생략된 부분과 원형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12: 체결수단
13: 거푸집
14: 연결봉
20: 강재거더
22: 하부플랜지
23: 복부
24: 받침
31: 종방향 보강철근
32: 1차 긴장재
33: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
100: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2경간 연속교량의 시공방법으로서,
강재거더(20)의 종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제작받침대(10) 위에 횡방향으로 받침(24)을 복수개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강재거더(20)를 받침(24) 위에 설치하여, 복수개의 강재거더(20)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설치한 후, 강재거더(20)의 복부(23)에서 횡방향 양측에는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보용 보강재(11)를 설치함으로써,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강재거더(20)를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가로보용 보강재(11)에 의해 연결하며, 상기 가로보용 보강재(11)에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봉(14)을 결합 설치하고,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대하여 강재거더(20)의 하부플랜지(22)가 매립되는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13)을 연결봉(14)의 하부에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거푸집(13)과 가로보용 보강재(11) 및 연결봉(14)의 자중, 그리고 거푸집(13)안에 타설되는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의 자중을 강재거더(20)가 견디도록 거푸집(13)을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설치한 후,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대한 거푸집(13) 내에 보강철근(31, 34)과 1차 긴장재(32)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를 완성함으로써,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가 일체화되어 있고 횡방향으로는 가로보용 보강재(11)에 의해 복수개의 강재거더(20)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도록 복수개의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를 동시에 제작한 후, 거푸집(13)과 연결봉(14)을 제거함으로써, 제거된 부재의 자중 경감을 통해서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강재거더(20)의 복원력에 의해 각각의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에 압축응력이 도입되도록 한 다음에, 각각의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에서 1차 긴장재(32)를 긴장하고 정착함으로써 각각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에 설계된 압축응력이 도입된 상태로 되어 있는 복수개의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100)를 제작하는 단계;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가로보용 보강재(11)에 의해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되도록 제작된 복수개의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100)들을 교량의 종방향 양측 경간에서 중앙교각(42)과 교대(41) 사이에 각각 거치하고, 중앙교각(42)위 연속지점부에서 맞이음되는 양측 강재거더(20)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
2개의 경간에 걸쳐 종방향으로 연속텐던(51)을 배치하되, 경간 중앙에서는 연속텐던(51)이 강재거더(20)의 하부플랜지(22)를 관통하여 하부플랜지(22)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중앙교각(42) 위의 연속지점부에서는 연속텐던(51)이 강재거더(20)의 상부플랜지(21)를 관통하여 상부플랜지(21)의 위쪽으로 올라오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강재거더(20)의 복부(23)와 상부플랜지(21) 외부에 복부-슬래브 콘크리트(34)를 타설하여 양생 제작한 후, 양측 경간의 각 측면단부의 정착부(52)에서 연속텐던(51)을 긴장정착함으로써, 연속 배치된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100)에 종방향으로 2차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2경간 연속형태로 교량을 시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 3경간 연속교량의 시공방법으로서,
강재거더(20)의 종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제작받침대(10) 위에 횡방향으로 받침(24)을 복수개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강재거더(20)를 받침(24) 위에 설치하여, 복수개의 강재거더(20)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설치한 후, 강재거더(20)의 복부(23)에서 횡방향 양측에는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보용 보강재(11)를 설치함으로써,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강재거더(20)를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가로보용 보강재(11)에 의해 연결하며, 상기 가로보용 보강재(11)에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봉(14)을 결합 설치하고,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대하여 강재거더(20)의 하부플랜지(22)가 매립되는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13)을 연결봉(14)의 하부에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거푸집(13)과 가로보용 보강재(11) 및 연결봉(14)의 자중, 그리고 거푸집(13)안에 타설되는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의 자중을 강재거더(20)가 견디도록 거푸집(13)을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설치한 후,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대한 거푸집(13) 내에 보강철근(31, 34)과 1차 긴장재(32)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를 완성함으로써,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가 일체화되어 있고 횡방향으로는 가로보용 보강재(11)에 의해 복수개의 강재거더(20)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도록 복수개의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를 동시에 제작한 후, 거푸집(13)과 연결봉(14)을 제거함으로써, 제거된 부재의 자중 경감을 통해서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강재거더(20)의 복원력에 의해 각각의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에 압축응력이 도입되도록 한 다음에, 각각의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에서 1차 긴장재(32)를 긴장하고 정착함으로써 각각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에 설계된 압축응력이 도입된 상태로 되어 있는 복수개의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100)를 제작하는 단계;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가로보용 보강재(11)에 의해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되도록 제작된 복수개의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100)들을 교량의 종방향의 제1, 2, 3의 3개 경간에서 교각과 교대(41) 사이에 각각 거치하고, 중앙교각(42)위 연속지점부에서 맞이음되는 양측 강재거더(20)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
종방향으로 연속텐던(51)을 배치하되, 경간 중앙에서는 연속텐던(51)이 강재거더(20)의 하부플랜지(22)를 관통하여 하부플랜지(22)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중앙교각(42) 위의 연속지점부에서는 연속텐던(51)이 강재거더(20)의 상부플랜지(21)를 관통하여 상부플랜지(21)의 위쪽으로 올라오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강재거더(20)의 복부(23)와 상부플랜지(21) 외부에 복부-슬래브 콘크리트(34)를 타설하여 양생 제작한 후, 제1, 2 및 제3경간의 3개 경간에 대하여 연속텐던(51)을 한꺼번에 배치하고 3개의 경간 중 종방향 양쪽 최외측 경간의 각 측면단부의 정착부(52)에서 연속텐던(51)을 긴장정착하거나, 또는 연속텐던(51)을 제1 및 제2의 2개의 경간에 대해서만 긴장하여 정착한 후에 제2 및 제3경간에 대해서 연속텐던을 추가 긴장 정착함으로써, 연속 배치된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100)에 종방향으로 2차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3경간 연속형태로 교량을 시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 4경간 연속교량의 시공방법으로서,
강재거더(20)의 종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제작받침대(10) 위에 횡방향으로 받침(24)을 복수개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강재거더(20)를 받침(24) 위에 설치하여, 복수개의 강재거더(20)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설치한 후, 강재거더(20)의 복부(23)에서 횡방향 양측에는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보용 보강재(11)를 설치함으로써,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강재거더(20)를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가로보용 보강재(11)에 의해 연결하며, 상기 가로보용 보강재(11)에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봉(14)을 결합 설치하고,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대하여 강재거더(20)의 하부플랜지(22)가 매립되는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13)을 연결봉(14)의 하부에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거푸집(13)과 가로보용 보강재(11) 및 연결봉(14)의 자중, 그리고 거푸집(13)안에 타설되는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의 자중을 강재거더(20)가 견디도록 거푸집(13)을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설치한 후,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대한 거푸집(13) 내에 보강철근(31, 34)과 1차 긴장재(32)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를 완성함으로써,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가 일체화되어 있고 횡방향으로는 가로보용 보강재(11)에 의해 복수개의 강재거더(20)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도록 복수개의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를 동시에 제작한 후, 거푸집(13)과 연결봉(14)을 제거함으로써, 제거된 부재의 자중 경감을 통해서 복수개의 강재거더(20) 각각에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강재거더(20)의 복원력에 의해 각각의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에 압축응력이 도입되도록 한 다음에, 각각의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에서 1차 긴장재(32)를 긴장하고 정착함으로써 각각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부재(33)에 설계된 압축응력이 도입된 상태로 되어 있는 복수개의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100)를 제작하는 단계;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가로보용 보강재(11)에 의해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되도록 제작된 복수개의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100)들을 교량의 종방향의 제1, 2, 3, 4의 4개 경간에서 교각과 교대(41) 사이에 각각 거치하고, 중앙교각(42)위 연속지점부에서 맞이음되는 양측 강재거더(20)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
제1경간 및 제2경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속텐던(51)을 배치하되, 경간 중앙에서는 연속텐던(51)이 강재거더(20)의 하부플랜지(22)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중앙교각(42) 위의 연속지점부에서는 연속텐던(51)이 강재거더(20)의 상부플랜지(21)의 위쪽으로 올라오도록 배치하며, 제3경간 및 제4경간에 걸쳐서도 연속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속텐던(51)을 배치하되, 경간 중앙에서는 연속텐던(51)이 강재거더(20)의 하부플랜지(22)를 관통하여 하부플랜지(22)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중앙교각(42) 위의 연속지점부에서는 연속텐던(51)이 강재거더(20)의 상부플랜지(21)를 관통하여 상부플랜지(21)의 위쪽으로 올라오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강재거더(20)의 복부(23)와 상부플랜지(21) 외부에 복부-슬래브 콘크리트(34)를 타설하여 양생 제작한 후, 제1, 2경간 사이의 연속텐던(51)을 양측 정착부(52)에서 긴장정착하고, 제3, 4경간 사이의 연속텐던(51)도 양측 정착부(52)에서 긴장정착하며,
제2경간과 제3경간을 연속화하기 위하여 제2경간 우측 측면에 설치된 정착부(54)와 제3경간 좌측 측면에 설치된 정착부(54)를 연결하도록 부가 연속텐던(53)을 설치하여 긴장 정착함으로써, 연속 배치된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100)에 종방향으로 2차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4경간 연속형태로 교량을 시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연속교량으로서,
청구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시공방법에 의해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를 이용한 연속교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258A KR101734304B1 (ko) | 2016-09-22 | 2016-09-22 | 효율적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연속교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258A KR101734304B1 (ko) | 2016-09-22 | 2016-09-22 | 효율적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연속교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4304B1 true KR101734304B1 (ko) | 2017-05-12 |
Family
ID=5874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1258A KR101734304B1 (ko) | 2016-09-22 | 2016-09-22 | 효율적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연속교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430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89499A (zh) * | 2021-05-14 | 2021-07-09 | 杭州三阳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桥梁盖梁施工用装配式组合支架平台及其安装方法 |
KR20230040641A (ko) * | 2021-09-16 | 2023-03-23 | (주)에이치앤디건설 | 소켓부재를 이용한 무지보 거푸집 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6471B1 (ko) * | 2000-09-28 | 2004-11-10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
KR100632816B1 (ko) | 2006-06-20 | 2006-10-11 |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 아이(i)형 거더의 전도방지 안전장치 |
KR101283535B1 (ko) * | 2012-12-18 | 2013-07-15 | 오병환 | 완전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KR101319993B1 (ko) * | 2013-04-24 | 2013-10-29 | 정해용 | 회전방지장치를 이용한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 |
-
2016
- 2016-09-22 KR KR1020160121258A patent/KR1017343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6471B1 (ko) * | 2000-09-28 | 2004-11-10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
KR100632816B1 (ko) | 2006-06-20 | 2006-10-11 |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 아이(i)형 거더의 전도방지 안전장치 |
KR101283535B1 (ko) * | 2012-12-18 | 2013-07-15 | 오병환 | 완전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KR101319993B1 (ko) * | 2013-04-24 | 2013-10-29 | 정해용 | 회전방지장치를 이용한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89499A (zh) * | 2021-05-14 | 2021-07-09 | 杭州三阳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桥梁盖梁施工用装配式组合支架平台及其安装方法 |
KR20230040641A (ko) * | 2021-09-16 | 2023-03-23 | (주)에이치앤디건설 | 소켓부재를 이용한 무지보 거푸집 시공방법 |
KR102515783B1 (ko) * | 2021-09-16 | 2023-03-30 | (주)에이치앤디건설 | 소켓부재를 이용한 무지보 거푸집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23757B1 (ko) |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트러스 보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0536489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하여제작된 강합성보 | |
KR20130036890A (ko) | 교량용 타이드 아치형 p.s.c 거더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1335382B1 (ko) | 내부힌지를 활용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시공법 | |
KR101030128B1 (ko) | 개단면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개단면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 |
KR101693256B1 (ko) | 조립식 psc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1208231B1 (ko) | 2차 긴장재를 활용한 복부 파형강판 피에스씨 거더의 연속 지점부 시공방법 | |
KR101582599B1 (ko) |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 |
KR100823448B1 (ko) | 면진성이 향상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연속화 구조 및 그 공법 | |
CN107268889B (zh) | 预应力铝-混组合桁架梁及其施工方法 | |
KR101196874B1 (ko) |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거더 | |
CN105064195B (zh) | 预制拼装的鱼腹波形钢腹板体内预应力钢混组合简支梁桥及其施工方法 | |
KR101734304B1 (ko) | 효율적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연속교량 | |
KR100682794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 |
KR101527752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 |
CN108316150B (zh) | 斜拉桥主塔及钢锚梁的施工系统和施工方法 | |
KR100909004B1 (ko) | 신축 흡수가 가능한 코핑부를 구비한 다경간 복합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0522298B1 (ko) |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JP3877995B2 (ja) | 張弦桁橋の構築方法 | |
KR101067717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
KR20140125754A (ko) |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 |
KR100583671B1 (ko) |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2077385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 |
KR101402620B1 (ko) | 슬래브교용 하프피씨슬래브를 이용한 합성 슬래브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 |
KR102033052B1 (ko) |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9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