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709A -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0709A KR20130090709A KR1020120012041A KR20120012041A KR20130090709A KR 20130090709 A KR20130090709 A KR 20130090709A KR 1020120012041 A KR1020120012041 A KR 1020120012041A KR 20120012041 A KR20120012041 A KR 20120012041A KR 20130090709 A KR20130090709 A KR 201300907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corrugated steel
- steel sheet
- bridge
- abdominal corrug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7 restrai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은, 강재로 구성되며 규칙적인 형태로 굴곡진 파형의 형상을 가진 복부파형강판과, 복부파형강판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 구성되는 종방향부재와, 복부파형강판의 하단과 그 하단에 구성된 종방향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는 하부 플랜지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합성빔를 각 경간마다 반복적으로 교대, 교각 위에 거치하는 단계: 복부파형강판의 상단과 그 상단에 결합된 종방향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교량의 바닥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a는 상기 도 1의 단면도,
도 2b 내지 도 2d는 종방향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는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의 응력분포(a)와 휨모멘트도 및 전단력도(b)를 도시한 개념도,
도 4b는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의 응력분포(a) 와 휨모멘트도 및 전단력도(b)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의 제2실시예의 휨모멘트도,
도 7은 종래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14 : 지점가로보
15 : 상부 바닥판
20 : 종방향부재
21 : 기역자형강
40 : 하부 플랜지 콘크리트
50 : 볼트
101: 지점전단연결부
121 : 연속지점부 콘크리트
122 : 긴장재
Claims (3)
- 강재로 구성되며 규칙적인 형태로 굴곡진 파형의 형상을 가진 복부파형강판과, 복부파형강판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 구성되는 종방향부재와, 복부파형강판의 하단과 그 하단에 구성된 종방향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는 하부 플랜지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합성빔를 각 경간마다 반복적으로 교대, 교각 위에 거치하는 단계: 및
복부파형강판의 상단과 그 상단에 결합된 종방향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교량의 바닥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 강재로 구성되며 규칙적인 형태로 굴곡진 파형의 형상을 가진 복부파형강판과, 복부파형강판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 구성되는 종방향부재와, 복부파형강판의 하단과 그 하단에 구성된 종방향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는 하부 플랜지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합성빔를 각 경간마다 반복적으로 교대, 교각 위에 거치하는 단계:
교각 위의 지점가로보와, 지점부 부모멘트구간의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 및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되 복부파형강판의 상단과 그 상단에 결합된 종방향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교량의 바닥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는 단계; 및
지점부 부모멘트구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의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를 복부파형강판의 상단과 그 상단에 결합된 종방향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교량의 바닥판 콘크리트와 동시에 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연속지점부 콘크리트와 지점가로보를 일괄로 관통하여 매설된 쉬스관에 긴장재를 삽입하고 긴장 및 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2041A KR20130090709A (ko) | 2012-02-06 | 2012-02-06 |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2041A KR20130090709A (ko) | 2012-02-06 | 2012-02-06 |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0709A true KR20130090709A (ko) | 2013-08-14 |
Family
ID=4921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2041A Ceased KR20130090709A (ko) | 2012-02-06 | 2012-02-06 |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90709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66684A (zh) * | 2014-04-08 | 2014-06-18 | 湖南大学 | 一种波形钢腹板组合肋梁及其施工工艺 |
CN104260199A (zh) * | 2014-09-26 | 2015-01-07 | 中铁二十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 一种波形钢腹板预应力混凝土工字梁预制施工工艺 |
CN110872810A (zh) * | 2019-11-19 | 2020-03-10 | 辽宁省城乡市政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内置钢板的混凝土薄壁腹板梁及施工方法 |
CN111549650A (zh) * | 2020-04-25 | 2020-08-18 | 上海洪铺钢结构工程有限公司 | 一种钢结构桥梁及其加工工艺 |
CN113463502A (zh) * | 2021-08-03 | 2021-10-01 |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预制拼装波形钢腹板组合桥梁及其悬臂施工方法 |
CN115012301A (zh) * | 2022-07-13 | 2022-09-06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通过多种不同材质混凝土浇筑的组合盖梁结构 |
KR102720602B1 (ko) * | 2023-12-26 | 2024-10-21 |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 및 그 제작 방법 |
KR102720603B1 (ko) * | 2023-12-26 | 2024-10-21 |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 분절형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를 이용한 교량 급속 시공방법 |
-
2012
- 2012-02-06 KR KR1020120012041A patent/KR20130090709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66684A (zh) * | 2014-04-08 | 2014-06-18 | 湖南大学 | 一种波形钢腹板组合肋梁及其施工工艺 |
CN104260199A (zh) * | 2014-09-26 | 2015-01-07 | 中铁二十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 一种波形钢腹板预应力混凝土工字梁预制施工工艺 |
CN110872810A (zh) * | 2019-11-19 | 2020-03-10 | 辽宁省城乡市政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内置钢板的混凝土薄壁腹板梁及施工方法 |
CN111549650A (zh) * | 2020-04-25 | 2020-08-18 | 上海洪铺钢结构工程有限公司 | 一种钢结构桥梁及其加工工艺 |
CN113463502A (zh) * | 2021-08-03 | 2021-10-01 |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预制拼装波形钢腹板组合桥梁及其悬臂施工方法 |
CN115012301A (zh) * | 2022-07-13 | 2022-09-06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通过多种不同材质混凝土浇筑的组合盖梁结构 |
KR102720602B1 (ko) * | 2023-12-26 | 2024-10-21 |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 및 그 제작 방법 |
KR102720603B1 (ko) * | 2023-12-26 | 2024-10-21 |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 분절형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를 이용한 교량 급속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23757B1 (ko) |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트러스 보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178876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1177342B1 (ko) | 연속교용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 이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20130090709A (ko) |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1012759B1 (ko) | 초고강도 콘크리트 날개형 캔틸레버부를 구비한 교량용 콘크리트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박스 거더 교량 | |
KR101275754B1 (ko) | 전단블록이 상면에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와 그 제작방법 및 전단블록이 상면에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270733B1 (ko) | 강상판데크 일체식 복합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1208231B1 (ko) | 2차 긴장재를 활용한 복부 파형강판 피에스씨 거더의 연속 지점부 시공방법 | |
KR100982974B1 (ko) | 다경간 연속 리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합성형교 시공방법 | |
KR101196874B1 (ko) |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거더 | |
KR101004617B1 (ko) | 임시 강재 보강리브와 영구 콘크리트 보강리브를 이용한 강재 슬래브저판 및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 |
KR101242842B1 (ko) |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교량의 상부구조체 시공방법 | |
JP4585614B1 (ja) |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 |
KR100609304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 |
KR101347555B1 (ko) |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교량에서의 연속지점부의 시공방법 | |
KR101093744B1 (ko) | 하이브리드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 | |
CN110392758B (zh) | 倒t形截面混合型预应力混凝土梁及利用其的面板施工方法 | |
KR20080093261A (ko) |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 |
KR101344219B1 (ko) | 횡방향 긴장력이 도입되어 종방향 압축강도가 증진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
KR200342287Y1 (ko) |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강합성빔의 설치구조 | |
KR101752285B1 (ko) |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
KR20060017949A (ko) | 편심거리 증가로 인한 내하력이 증강된 현장조립식프리스트레싱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 |
KR101402620B1 (ko) | 슬래브교용 하프피씨슬래브를 이용한 합성 슬래브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 |
KR102033052B1 (ko) |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 |
KR101008555B1 (ko) | 지하차도용 복합거더 및 그를 이용한 지하차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5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7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401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7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