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402B1 - 내진형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내진형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402B1
KR100696402B1 KR1020050096901A KR20050096901A KR100696402B1 KR 100696402 B1 KR100696402 B1 KR 100696402B1 KR 1020050096901 A KR1020050096901 A KR 1020050096901A KR 20050096901 A KR20050096901 A KR 20050096901A KR 100696402 B1 KR100696402 B1 KR 100696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ring
insert
pip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143A (ko
Inventor
송철수
김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40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5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adjustable; allowing movement of the parts joined
    • F16L37/5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adjustable; allowing movement of the parts joined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형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배관의 길이가 가변가능하여 배관 작업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지진 등으로 인한 소켓과 삽구 상호간 굴곡에도 파손 우려 없이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 내진형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켓의 내면에 구비된 걸림턱; 상기 걸림턱에 연접하여 상기 결합홈에서 연장형성된 링형상의 오목홈; 상기 인접한 관의 삽구 외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걸림돌기; 적어도 두 부분 이상 분리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 안착되며 내면이 상기 삽구의 삽입 방향을 따라 소켓 외측으로 일정곡률 경사진 환형형상의 이탈방지링; 및 상기 소켓의 오목홈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스냅링;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링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냅링이 끼워져 상기 삽구가 소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삽구의 걸림돌기가 상기 이탈방지링에 걸리게 됨으로써 길이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삽구의 외경과 소켓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의해 상호간의 굴곡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켓, 삽구, 걸림돌기, 걸림턱, 오목홈, 이탈방지링, 스냅링

Description

내진형 관 연결구{Earthquake-resistant type piping connector}
도 1은 종래 관 연결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형 관 연결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링의 사시도,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냅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형 관 연결구의 작동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걸림돌기 15...걸림턱
16...오목홈 30...이탈방지링
40...스냅링
본 발명은 내진형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지중 매설되는 상하수도관의 배관 작업시 배관의 길이가 가변가능하며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지진 등으로 인한 소켓과 삽구 상호간 굴곡에도 파손 우려 없이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 내진형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관 등 대형 관로와 같이 지중에 매설되는 통상의 관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소켓(11)이 형성된 복수 개의 관(10, 1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소켓(11)에 인접한 관(10')의 삽구(12)가 끼워지고, 상기 소켓(11) 내면에 형성된 결합홈(14)에 안착되는 고무링(20)에 의해 연결부위가 밀봉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관 연결구는 지진 또는 지반침하 등으로 상기 소켓(11)과 삽구(12)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고무링(20)이 파손되거나, 상기 관(10, 10')의 균열로 인한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배관 작업시 상기 소켓(11)에 삽입된 삽구(12)와의 거리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도 상기 거리를 조정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관과 관의 연결부위 길이 가변은 물론 소켓과 삽구 상호간의 굴곡이 발생되도록 하는 힘에도 지속적인 밀봉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관 연결구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면서도 소켓과 삽구 상호간의 굴곡이나 길이 변화에도 지속적인 밀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내진성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내진형 관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형 관 연결구는, 일측 단부에 소켓이 형성된 복수 개의 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소켓에 인접한 관의 삽구가 끼워지고, 상기 소켓 내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안착되는 고무링에 의해 연결부위가 밀봉되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내면에 구비된 걸림턱; 상기 걸림턱에 연접하여 상기 결합홈에서 연장형성된 링형상의 오목홈; 상기 인접한 관의 삽구 외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걸림돌기; 적어도 두 부분 이상 분리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 안착되며 내면이 상기 삽구의 삽입 방향을 따라 소켓 외측으로 일정곡률 경사진 환형형상의 이탈방지링; 및 상기 소켓의 오목홈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스냅링;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링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냅링이 끼워져 상기 삽구가 소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삽구의 걸림돌기가 상기 이탈방지링에 걸리게 됨으로써 길이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삽구의 외경과 소켓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의해 상호간의 굴곡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형 관 연결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진형 관 연결구는, 외면에 걸림돌기(13)가 형성된 삽구(12)가 소켓(11)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돌기(13)와 접촉되는 이탈방지링(30)이 상기 소켓(11)에 안착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이탈방지링(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40)이 소켓(11)과 결합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일측 단부가 소켓(11)이며 타측 단부가 삽구(12)인 복수 개의 관(10, 10')은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소켓(11) 내면의 결합홈(14)에 안착된 고무링(20)에 의하여 연결부위가 밀봉된다.
상기 고무링(20)은 상기 소켓(11)과 삽구(12) 간의 실링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11)에는 인접한 관(10')의 삽구(12)가 각각 연결되어 지진 또는 지반침하로 인한 상기 소켓(11)측 관(10) 및 삽구(12)측 관(10')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형 관 연결구가 이를 흡수하도록 하여 지중매설된 관(10, 1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형 관 연결구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인접한 관(10')의 삽구(12) 외면에 링형상의 걸림돌기(13)가 형성되어, 상기 소켓(11)에 삽입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10)의 소켓(11)에 상기 인접한 관(10')의 삽구(12)가 삽입되는데, 이때 고무링(20)이 결합홈(14)에 안착된 상기 소켓(11)은 상기 삽구(12)가 관(10, 10') 내의 유동방향으로의 이동, 즉 삽구(12)에 형성된 걸림돌기(13)의 이동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링(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스냅링(40)을 끼워넣은 후 상기 소켓(11)과 삽구(12)가 상호 굴곡을 허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소켓(11)의 내면에는 상기 이탈방지링(30)이 안착되는 걸림턱(15)과 상기 스냅링(40)이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링형상의 오목홈(16)이 각각 상기 결합홈(14)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연장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소켓(11)에 삽입된 삽구(12)의 단부와 소켓(11) 사이에는 소정 간격(d)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d)이 가변가능하게 되므로 연결부위, 즉 연결된 상기 소켓(11)과 삽구(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최대 길이로 보전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이탈방지링(30)에 접촉되어 걸리는 상기 삽구(12)의 걸림돌기(13)와의 메커니즘으로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구(12)의 외경과 소켓(11)의 내경 사이에는 간격(e)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e)에 의하여 상기 소켓(11) 및 삽구(12) 상호간의 굴곡이 허용되게 된다.
이때, 고무링(20)이 상기 삽구(12) 외경과 소켓(11) 내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소켓(11) 및 삽구(12) 상호간의 굴곡을 허용하되 밀봉 상태도 유지하면서 동시에 상기 소켓(11)측 관(10)과 삽구(12)측 관(10')과의 충돌시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내진형 관 연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배관작업이 간단히 완료되게 되며, 분해 시에는 상기 배관작업의 역순으로 실시함으로써 간단히 달성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내진형 관 연결구의 주요 구성을 보다 자세히 살며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링의 사시도, 단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링의 사시도를,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링의 단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링(30)은 미끄럼 접촉을 하는 상기 삽구(12)의 걸림돌기(13)에 대응되도록 내면이 곡률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돌기(13)가 축방향, 즉 관(10, 10')내 유동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링(30)은 결합시에 상기 소켓(11)에 삽구(12)가 삽입된 상태에서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소켓(11)에 걸려 끼워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부분으로 분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냅링을 나타낸 사시도로, 일반적으로 스냅링(40)은 일측이 상호 분리된 링형상으로, 분리된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41)에 별도의 도구(42)를 사용하여 직경을 줄여 오목홈(16, 도 2 참고)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걸림역할을 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이탈방지링(30)이 상기 소켓(11)의 걸림턱(1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링(3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도 2와 같이 스냅링(40)을 상기 소켓(11)의 오목홈(16)에 결합되도록 하면, 이탈방지링(30)은 상기 스냅링(4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분해나 보수공사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도구(42, 도 4 참고)를 사용하여 상기 스냅링(40)의 직경을 줄여 소켓(11)으로부터 빼내면 상기 이탈방지링(30) 또한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므로, 상기 삽구(12)는 소켓(11)으로부터 쉽게 분리가 가 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내진형 관 연결구의 작동예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형 관 연결구의 작동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a) 및 도 5(b)는 소켓과 삽구 상호간의 길이조정을 할 필요가 있을 때, 도 5(c)는 지진 또는 지반침하 등으로 인하여 소켓과 삽구 상호간의 굴곡이 발생했을 때의 작동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먼저, 삽구(12)의 단부와 소켓(11)과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d)이 형성되며, 배관작업시 상기 소켓(11)에 삽입된 삽구(12)와의 거리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구(12) 외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3)가 소켓(11)에 안착된 이탈방지링(30)의 경사면에 걸리게 될 때까지 상기 간격(d)이 최대 길이로 보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비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3)가 소켓(11) 내에 고무링(20)이 안착되는 결합홈(14) 부근까지 상기 간격(d)이 최소한 좁혀지도록 매설될 수도 있다.
한편, 지진이나 지반침하 발생시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1)에 삽입된 삽구(12) 상호간의 굴곡, 즉 연결된 각 관(10, 10')의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삽구(12)의 외경과 소켓(11)의 내경 사이에는 간격(e)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e)에 의하여 상기 소켓(11) 및 삽구(12) 상호간의 굴곡이 허용되 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소켓(11)과 삽구(12)가 굴곡을 허용가능하게 결합, 즉 상기 걸림돌기(13)가 소켓(11)에 안착된 이탈방지링(30)의 곡률진 경사면을 따라 미끄럼 접촉이 되므로 상기 관(10, 10') 사이의 굴곡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매설된 상기 관(10, 10')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링(30)의 경사면이 곡률지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걸림돌기(13)가 이탈방지링(30)의 경사면에 미끄럼 접촉될 때, 걸림돌기(13)와 상기 경사면 사이에 작용하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적절히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관(10, 10') 사이의 굴곡을 흡수하기 위함이다.
이상에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면서도 소켓과 삽구 상호간의 굴곡이나 길이 변화에도 지속적인 밀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내진성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내진형 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우선, 이탈방지링에 걸림돌기가 걸리고 상기 이탈방지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이 결합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종래 관 연결구조에 비하여 관과 관 사이의 굴곡변화에 대한 밀봉 유지는 물론, 배관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길이조절이 가 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적은 부품으로도 연결부위의 밀봉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상기 연결부위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기계가공 등의 필요없이 생산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립 및 분해가 매우 간편하므로, 매설 및 보수 등의 제반 공사에서도 높은 작업 효율을 기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일측 단부에 소켓이 형성된 복수 개의 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소켓에 인접한 관의 삽구가 끼워지고, 상기 소켓 내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안착되는 고무링에 의해 연결부위가 밀봉되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소켓(11)의 내면에 구비된 걸림턱(15);
    상기 걸림턱에 연접하여 상기 결합홈(14)에서 연장형성된 링형상의 오목홈(16);
    상기 인접한 관(10')의 삽구(12) 외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걸림돌기(13);
    적어도 두 부분 이상 분리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 안착되며 내면이 상기 삽구의 삽입 방향을 따라 소켓 외측으로 일정곡률 경사진 환형형상의 이탈방지링(30); 및
    상기 소켓의 오목홈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스냅링(40);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링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냅링이 끼워져 상기 삽구가 소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삽구의 걸림돌기가 상기 이탈방지링에 걸리게 됨으로써 길이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삽구의 외경과 소켓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e)에 의해 상호간의 굴곡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관 연결구.
  2. 삭제
KR1020050096901A 2005-10-14 2005-10-14 내진형 관 연결구 KR100696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901A KR100696402B1 (ko) 2005-10-14 2005-10-14 내진형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901A KR100696402B1 (ko) 2005-10-14 2005-10-14 내진형 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143A KR20050105143A (ko) 2005-11-03
KR100696402B1 true KR100696402B1 (ko) 2007-03-19

Family

ID=37282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901A KR100696402B1 (ko) 2005-10-14 2005-10-14 내진형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4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763A2 (ko) * 2008-10-30 2010-05-06 Lee Sang-Kyeong 관 결합구조
KR20170018771A (ko) * 2015-08-10 2017-02-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부품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2489A (ja) * 1996-09-05 1998-03-31 Kurimoto Ltd スリップオンタイプの耐震性管継手および耐震性管路
JPH1122879A (ja) 1997-06-30 1999-01-26 Kurimoto Ltd スリップオンタイプの耐震性管継手およびその接合方法
JPH11270762A (ja) 1998-03-19 1999-10-05 Kubota Corp 離脱防止管継手
JP2002310354A (ja) 2001-04-06 2002-10-23 Nippon Chutetsukan Kk 管継手構造
JP2002327593A (ja) 2001-05-07 2002-11-15 Kubota Corp 推進工法用耐震管継手
JP2005282684A (ja) * 2004-03-29 2005-10-13 Kurimoto Ltd 耐震管継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2489A (ja) * 1996-09-05 1998-03-31 Kurimoto Ltd スリップオンタイプの耐震性管継手および耐震性管路
JPH1122879A (ja) 1997-06-30 1999-01-26 Kurimoto Ltd スリップオンタイプの耐震性管継手およびその接合方法
JPH11270762A (ja) 1998-03-19 1999-10-05 Kubota Corp 離脱防止管継手
JP2002310354A (ja) 2001-04-06 2002-10-23 Nippon Chutetsukan Kk 管継手構造
JP2002327593A (ja) 2001-05-07 2002-11-15 Kubota Corp 推進工法用耐震管継手
JP2005282684A (ja) * 2004-03-29 2005-10-13 Kurimoto Ltd 耐震管継手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82489 *
1728268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763A2 (ko) * 2008-10-30 2010-05-06 Lee Sang-Kyeong 관 결합구조
WO2010050763A3 (ko) * 2008-10-30 2010-06-24 Lee Sang-Kyeong 관 결합구조
KR20170018771A (ko) * 2015-08-10 2017-02-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부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143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9122B2 (ja) 離脱防止管継手
KR100696402B1 (ko) 내진형 관 연결구
JP6005862B2 (ja) 圧力管連結用継手管のワンタッチ3段締結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圧力管の施工方法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US9890598B2 (en) Anti-rotation wedge
JP6370284B2 (ja) 鋼管連結構造及び鋼管連結方法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RU24843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концов трубы с действующим с геометрическим замыканием стопорным элементом
JP5916780B2 (ja) 鋼管連結構造及び鋼管連結方法
KR20190016641A (ko)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KR20100089377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연결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04248B1 (ko) 내진형 관 연결구
US6447029B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waterway pipe
KR200318113Y1 (ko) 흄관용 받침부재
KR101068778B1 (ko) 상수도관의 직선이음구간 접합구조
KR100914626B1 (ko) 확장 연결부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KR101157190B1 (ko) 관 결합구조
JP2003294178A (ja) 管路用管
KR20100096955A (ko) 고러게이트관의 이음관
JP4596983B2 (ja) リブパイプ用管継手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KR101090733B1 (ko) 관 결합구조
JP2010025225A (ja) 接続部受口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管継手、ます、パイプ
KR101562935B1 (ko) 디씨관 연결용 고정관으로 이루어진 분리방지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