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161B1 -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161B1
KR101594161B1 KR1020150138124A KR20150138124A KR101594161B1 KR 101594161 B1 KR101594161 B1 KR 101594161B1 KR 1020150138124 A KR1020150138124 A KR 1020150138124A KR 20150138124 A KR20150138124 A KR 20150138124A KR 101594161 B1 KR101594161 B1 KR 101594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friction
roller
lif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주)아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현건설 filed Critical (주)아현건설
Priority to KR102015013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지하에 설치하기 위하여 지중에 형성된 송배전 터널식 공동구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수축 또는 팽창시 케이블의 피복 손상을 방지하는 지중 송전 및 배전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는 케이블의 수축 또는 팽창시 트레이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어 케이블의 피복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케이블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A protecting equipment for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cable and power distribution cable}
본 발명은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지하에 설치하기 위하여 지중에 형성된 송배전 터널식 공동구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케이블의 수축 또는 팽창시 케이블의 피복 손상을 방지하는 지중 송전 및 배전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는 터널식 공동구가 마련되는데 이 공동구에는 송,배전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함) 등이 가설된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종류의 케이블 및 관들이 서로 간섭되지 한고 가지런히 정리되도록 하기 위해 터널식 공동구 내벽에는 다단으로 걸이대가 무수히 많이 설치된다. 이러한 걸이대를 이용하면 케이블들이 서로 엉키지 않고 분리 가설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지하에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걸이대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57773호에 는 송전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는 지하 공동구 내측면에 상하로 수직위치되는 사각관체인 수직프레임이 형성되되, 상,하부측면과 하단은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상,하부고정판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하향경사지게 돌출형성되되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송전 케이블이 안착되는 반원 케이블 홈을 다수 개 갖는 받침대가 상하로 일정간격 형성되는 절연부재인 케이블 받침틀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는 케이블이 반원케이블홈에 안착되어 있어 케이블이 과부하나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시 발생되는 피복의 피로와 반원케이블홈과의 마찰로 인해 피복의 손상이 가속될 수 있는 우려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7773호 : 지하 전력구 내 송전 케이블 방화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케이블을 지지하는 트레이에 케이블이 수축 또는 팽창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줄여 케이블의 피복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는 내부에 송·배전 케이블의 설치를 위한 공동구가 마련되며 지중에 매립 설치되는 비트와, 상기 비트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비트의 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비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비트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로드를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유닛과; 상기 케이블과 상기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과부하 및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시 상기 케이블이 상기 트레이에 마찰 되어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과; 인접하는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의 수축 및 팽창시 상기 케이블의 마찰을 줄여 피복 손상을 방지하는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관통공에 승강가능하게 관통장착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승강판을 구비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트레이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부재에 지지된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케이블고정홀더와, 상기 트레이를 관통한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트레이 상방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부재결합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승강판의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양측 테두리에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어 지지되는 케이블이 승강판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상부에는 상기 케이블고정홀더가 장착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제1,2케이블구속턱과, 상기 제1,2케이블구속턱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승강판의 케이블이 지지되는 지지영역을 구획하는 다수의 구획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은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어 상기 케이블의 수축 및 팽창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케이블마찰방지롤러와,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케이블마찰방지롤러를 상기 케이블의 수축 및 팽창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은 상기 구획판들 사이 또는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구속턱과 상기 구획판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축이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에 지지되는 상기 케이블이 수축 또는 팽창시 상기 승강판과의 마찰을 줄이는 제2케이블마찰방지롤러와; 상기 케이블고정홀더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의 수축 또는 팽창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케이블고정홀더와의 마찰을 줄이는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고정홀더는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항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판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에 지지된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케이블구속판과; 상기 케이블구속판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2케이블구속턱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1및 제2삽입돌기와; 상기 케이블구속판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호 일정간격을 이루며 상기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가 장착되는 다수의 롤러장착돌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는 케이블의 수축 또는 팽창시 트레이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어 케이블의 피복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케이블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의 일부절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 1 및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의 일부절재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 및 제2 케이블손상방지유닛의 케이블의 수축 및 팽창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의 케이블 손상방지유닛에 대한 일부절재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케이블손상방지유닛의 케이블의 수축 및 팽창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케이블은 주위 온도, 부하에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을 하게되며 이 열신축으로 케이블의 피복에 피로가 가중되어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을 지지하는 부분과의 마찰로 인한 피복의 손상은 가속화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1)는 케이블(5)을 지지하며 케이블(5)의 수축 또는 팽창시 피복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비트(10), 케이블 지지유닛(20), 제1 케이블손상방지유닛(30),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40)을 구비한다.
비트(10)는 콘크리트 재질로서 사각형상을 이루어 내부에 송배전 케이블의 설치를 위한 공동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비트(10)는 지표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하방으로 인입되도록 매립된다.
케이블지지유닛(20)은 비트의 공동구에 설치되어 송배전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트레이(21)와 수직로드(25)를 구비한다.
트레이(21)는 비트(10)의 내부 측벽에 고정되며 비트(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블(5)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트레이(21)는 도 1을 참조하면 상하 방항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복수 개가 비트(10)의 양측벽에 고정된다. 도 2을 참조하면, 트레이(21)는 케이블(5)과 후술되는 케이블손상방지유닛(30)을 지지하는 케이블지지부(23)와, 케이블지지부(23)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케이블지지부(2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된 케이블(5)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4)로 이루어진다. 케이블지지부(23)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후술되는 지지봉(120)이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공(22)이 형성된다.
수직로드(25)는 비트(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호 상하로 일정간격을 이루는 트레이(21)를 상호 연결하며 트레이(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로드(25)는 비트(10)의 연장된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설치된다.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30)은 케이블(5)과 트레이(21)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과부하 및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시 케이블(5)과 트레이(21) 상호 마찰되는 부분을 줄여 피복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30)은 승강부재(100), 스프링(200) 그리고 케이블고정홀더(300), 승강부재결합고정부재(400)를 구비한다.
승강부재(100)는 트레이(21)의 케이블지지부(23) 상방에 위치하도록 트레이(21)에 설치되며, 승강판(110), 지지봉(120), 제1 및 제2케이블구속턱(130, 140), 구획판(150)을 구비한다.
지지봉(1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환봉 형상으로서 트레이(21)에 형성된 관통공(22)에 승강 가능하게 관통장착되는 부분이다.
지지봉(120)의 상단부는 후술되는 승강판(110)이 연결되며, 하단부는 트레이(21)의 저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승강부재결합고정부재(400)가 결합된다.
지지봉(120)의 외주면에 스프링(200)이 설치된다. 이때 스프링(200)은 내부에 지지봉(120)이 관통되며 상단부가 승강판(110)의 저면에 접촉되며, 하단부가 케이블지지부(23)의 상면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봉(120)은 승강판의 하중을 나누며 후술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강화하기 위해 두 개 마련된다.
승강판(110)은 사각형상으로 지지봉(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케이블(5)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승강판(110)은 트레이(21)의 상호 이격된 이탈방지부(24)들 사이에 위치한다. 승강판(110) 상면에 케이블(5)이 접촉된다.
제 1 및 제2케이블구속턱(130, 140)은 승강판(110)의 트레이(2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양측 테두리에 각각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부분이다. 제 1 및 제2케이블구속턱(130, 140)은 승강판(110)에 지지되는 케이블(5)이 승강판(11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제1 및 제2케이블구속턱(130, 140)의 각 상단에는 하방으로 인입되어 후술되는 케이블고정홀더(300)가 삽입장착되는 제 1,2삽입홈(131, 141)이 각각 형성된다.
다수의 구획판(150)은 제1,2케이블구속턱(130, 14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상방으로 돌출되며 트레이(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승강판(110)의 케이블이 지지되는 지지영역을 구획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지지영역은 케이블(5)이 승강판(110)과 접촉되면서 케이블(5)이 차지하는 승강판(110)의 상방 영역을 말한다.
스프링(200)은 트레이(21)의 케이블지지부(23)와 승강부재(100)의 승강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봉(120)의 외측에 설치된다. 스프링(200)은 승강부재(100)를 케이블지지부(23)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승강부재(100)가 케이블지지부(23)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200)은 케이블(5)의 수축과 팽창시 승강부재(100)가 승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케이블고정홀더(300)는 승강부재(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승강부재(100)에 지지된 케이블(5)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고정홀더(300)는 트레이(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항으로 연장되어 승강부재(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부재(100)에 지지된 케이블(5)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고정홀더(300)는 케이블구속판(310)과, 제1및 제2삽입돌기(320, 330)이 구비된다.
케이블구속판(310)은 트레이(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항으로 연장되고 승강판(110)의 상방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케이블구속판(310)은 승강부재(100)에 지지된 케이블(5)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삽입돌기(320, 330)는 케이블구속판(310)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1,2케이블구속턱(130,140)에 형성된 삽입홈(131, 141)에 각각 삽입되는 부분이다.
승강부재결합고정부재(400)는 지지봉(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로서 스프링(20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재(100)가 트레이(21)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40)은 인접하는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30)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트레이(21)의 상면에 장착된다.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40)은 케이블(5)의 수축 및 팽창시 케이블(5)에 발생될 수 있는 마찰을 줄여 피복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40)은 롤러프레임(41), 제1케이블마찰방지롤러(45), 롤러프레임결합고정부재(46)를 구비한다.
롤러프레임(41)은 트레이 상면에 장착되어 제1케이블마찰방지롤러(45)를 케이블의 수축 및 팽창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롤러프레임(41)은 사각형상으로 위아래로 연통되게 개방된 본체(42)와 본체(42)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롤러프레임결합고정부재(46)를 통해 트레이(21)의 케이블지지부(23)와 결합되는 트레이결합부(43)를 구비한다. 롤러프레임결합고정부재(46)는 케이블지지부(23)와 트레이결합부(43)에 관통결합되는 부분으로 볼트가 사용된다.
제1케이블마찰방지롤러(45)는 롤러프레임(41)의 내측에 케이블(5)의 수축 및 팽창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롤러프레임(41)의 상단에 대해 돌출되게 장착되어 외주면이 케이블(5)과 접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는 케이블(5)이 과부하 또는 온도에 의한 팽창과 수축이 일어날 때 트레이와 접촉되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케이블의 피복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5)이 팽창되었을 때 스프링(20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30)의 승강부재(100)는 트레이(21)의 케이블지지부(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되며, 케이블이 수축하였을 때는 케이블이 수축하면서 하방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승강부재(100)가 트레이(21)의 케이블지지부(23)로부터 가까워지게 하강된다.
또한, 케이블(5)이 팽창 및 수축될 때,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40)의 제1케이블마찰방지롤러(41)가 접촉되는 케이블(5)의 팽창 및 수축 방향으로 회전되어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는 제1 및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30, 40)을 통해 케이블이 트레이와 마찰되는 부분을 줄임으로써 케이블(5)의 피복 손상을 최소화하여 장기적으로는 케이블의 내구성을 높이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의 제1 및 제2 케이블손상방지유닛에 대한 일부절재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및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의 케이블의 수축 및 팽창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의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에 제2케이블마찰방치롤러(500)와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600)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는 케이블구속판(310)에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600)가 장착될 수 있는 롤러장착돌기(340)가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케이블마찰방지롤러(500)는 승강판(11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승강부재(100)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제2케이블마찰방지롤러(500)는 구획판(150)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되거나, 구획판(150)과 제1케이블구속턱(130) 사이 또는 구획판(150)과 제2케이블구속턱(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복수 개 장착된다. 제2케이블마찰방지롤러(500)의 회전축(미도시)은 트레이(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제2케이블마찰방지롤러(500)는 승강판(110)에 지지되는 케이블(5)과 접촉되어 케이블(5)이 수축 또는 팽창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승강판(110)과의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600)는 케이블고정홀더(3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케이블(5)의 수축 또는 팽창시 접촉될 수 있는 케이블고정홀더(300)와의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롤러장착돌기(340)는 케이블구속판(3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1,2삽입돌기(320, 330)와 함께 케이블구속홀더(300)에 장착되는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6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600)은 각 회전축(미도시)이 트레이(21)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며 상호 동일선상 위치하도록 일렬로 설치된다. 다수의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600)는 각각 지지영역(a)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케이블구속홀더(300)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는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5)이 팽창되었을 때는 스프링(20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재(100)가 트레이(21)의 케이블지지부(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되며, 케이블과 접촉되는 제2 및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500,600)는 케이블이 팽창하는 방항으로 회전된다. 또한, 케이블이 수축하였을 때는 승강부재(100)가 트레이(21)의 케이블지지부(23)로부터 가까워지게 하강되며, 케이블과 접촉되는 제2 및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500,600)는 케이블이 수축하는 방항으로 회전된다.
또한, 케이블(5)이 팽창 및 수축될 때,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40)의 제1케이블마찰방지롤러(41)는 접촉되는 케이블(5)의 팽창 및 수축 방향으로 회전되어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는 케이블이 트레이 및 승강부재와 접촉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마찰을 줄임으로써 케이블(5)의 피복 손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는 케이블의 수축 또는 팽창시 트레이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어 케이블의 피복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케이블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10 : 비트
20 : 케이블지지유닛 21 : 트레이
22 : 지지봉관통공 23 : 케이블지지부
24 : 이탈방지부 30 :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
40 :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 41 : 롤러프레임
45 : 제1케이블마찰방지롤러 100 : 승강부재
110 : 승강판 120 : 지지봉
130 : 제1케이블구속턱 140 : 제2케이블구속턱
150 : 구획판 200 : 스프링
300 : 케이블구속홀더 310 : 케이블구속판
320 : 제1삽입돌기 330 : 제2삽입돌기
400 : 승강부재결합고정부재 500 : 제2케이블마찰방지롤러
600 :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

Claims (2)

  1. 내부에 송·배전 케이블의 설치를 위한 공동구가 마련되며 지중에 매립 설치되는 비트와;
    상기 비트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비트의 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비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비트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로드를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유닛과;
    상기 케이블과 상기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과부하 및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시 상기 케이블이 상기 트레이에 마찰 되어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과;
    인접하는 상기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의 수축 및 팽창시 상기 케이블의 마찰을 줄여 피복 손상을 방지하는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케이블손상방지유닛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관통공에 승강가능하게 관통장착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양측테두리에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어 지지되는 상기 케이블이 승강판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상부에는 하방으로 인입된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제1,2케이블구속턱과, 상기 제1,2케이블구속턱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승강판의 케이블이 지지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다수의 구획판을 구비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트레이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부재에 지지된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케이블고정홀더와;
    상기 트레이를 관통한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트레이 상방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부재결합고정부재와;
    상기 구획판들 사이 또는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구속턱과 상기 구획판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축이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에 지지되는 상기 케이블이 수축 또는 팽창시 상기 승강판과의 마찰을 줄이는 제2케이블마찰방지롤러와;
    상기 케이블고정홀더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의 수축 또는 팽창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케이블고정홀더와의 마찰을 줄이는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고정홀더는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항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판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에 지지된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케이블구속판과;
    상기 케이블구속판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2케이블구속턱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1및 제2삽입돌기와;
    상기 케이블구속판은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호 일정간격을 이루며 상기 제3케이블마찰방지롤러가 장착되는 다수의 롤러장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2케이블손상방지유닛은
    상기 케이블과 접촉되어 상기 케이블의 수축 및 팽창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케이블마찰방지롤러와;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케이블마찰방지롤러를 상기 케이블의 수축 및 팽창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전 및 배전케이블 보호장치.
  2. 삭제
KR1020150138124A 2015-09-30 2015-09-30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KR101594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24A KR101594161B1 (ko) 2015-09-30 2015-09-30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24A KR101594161B1 (ko) 2015-09-30 2015-09-30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161B1 true KR101594161B1 (ko) 2016-02-15

Family

ID=5535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124A KR101594161B1 (ko) 2015-09-30 2015-09-30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16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970B1 (ko) 2017-06-14 2018-01-08 이승현 공동주택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831254B1 (ko) * 2017-06-19 2018-02-23 유춘상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
KR101877549B1 (ko) * 2017-07-31 2018-07-12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KR101884013B1 (ko) * 2018-04-27 2018-07-31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KR101904859B1 (ko) * 2018-02-09 2018-10-10 박순섭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KR101947788B1 (ko) * 2018-02-09 2019-02-14 박순섭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을 위한 고정장치
KR102145604B1 (ko) * 2020-03-09 2020-08-18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케이블트레이
KR20210080849A (ko) * 2019-12-23 2021-07-01 (주)세우엔지니어링 통신 케이블 트레이 연결 구조
KR102317629B1 (ko) * 2021-02-09 2021-10-25 현명수 케이블 트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17B1 (ko) * 2009-03-30 2009-06-29 (주)협동전기감리단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17B1 (ko) * 2009-03-30 2009-06-29 (주)협동전기감리단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배전선로 접속구조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970B1 (ko) 2017-06-14 2018-01-08 이승현 공동주택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831254B1 (ko) * 2017-06-19 2018-02-23 유춘상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
KR101877549B1 (ko) * 2017-07-31 2018-07-12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KR101904859B1 (ko) * 2018-02-09 2018-10-10 박순섭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KR101947788B1 (ko) * 2018-02-09 2019-02-14 박순섭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을 위한 고정장치
KR101884013B1 (ko) * 2018-04-27 2018-07-31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KR20210080849A (ko) * 2019-12-23 2021-07-01 (주)세우엔지니어링 통신 케이블 트레이 연결 구조
KR102330114B1 (ko) * 2019-12-23 2021-11-23 (주)세우엔지니어링 통신 케이블 트레이 연결 구조
KR102145604B1 (ko) * 2020-03-09 2020-08-18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케이블트레이
KR102317629B1 (ko) * 2021-02-09 2021-10-25 현명수 케이블 트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161B1 (ko)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KR101594162B1 (ko) 지중 송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EP2732323B1 (en) Sealing mechanism and method for drop cable splice enclosures
KR101703495B1 (ko) 케이블류 지지 보호유닛
BRPI0302464B1 (pt) aparelho corta-fogo intumescente
KR102176140B1 (ko) 지중 배전선로용 배전 커넥터 장치
KR101146627B1 (ko) 위치이동이 가능한 교량받침용 앵커소켓 구조물
KR101920198B1 (ko) 가공송전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1264909B1 (ko) 배전 케이블 지중 설치장치
KR101727007B1 (ko)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102069638B1 (ko) 지중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장치
KR101713272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1480757B1 (ko) 해저케이블 배전선로의 안전구조
JP6011660B2 (ja) ケーブル支持装置
KR101466137B1 (ko) 인입형 특고압 전력케이블의 변전소 설치형 절연트레이
KR101047493B1 (ko) 수직압 및 측압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관용 지지대
KR20180016135A (ko) 변류기
KR101771450B1 (ko) 지중관 변형 완화기능을 갖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KR101991295B1 (ko) 공동주택 지중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KR20180134666A (ko) 다도체 긴선작업 최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도체 전선 공중이설 방법
KR101204410B1 (ko) 송배전 케이블 이송 및 보호롤러커버
KR102076185B1 (ko) 가공배전라인 이탈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KR102126907B1 (ko) 지형에 따라 지지구조물의 지지가 용이한 근가장치
KR102019917B1 (ko) 강관지주 매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