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859B1 -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859B1
KR101904859B1 KR1020180016265A KR20180016265A KR101904859B1 KR 101904859 B1 KR101904859 B1 KR 101904859B1 KR 1020180016265 A KR1020180016265 A KR 1020180016265A KR 20180016265 A KR20180016265 A KR 20180016265A KR 101904859 B1 KR101904859 B1 KR 101904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guide
support plate
underground distribu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섭
Original Assignee
박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섭 filed Critical 박순섭
Priority to KR1020180016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쉽고 간편하게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중배전선이 수평을 유지하며 전선삽입공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Connection Apparatus Of High Voltage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쉽고 간편하게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중배전선이 수평을 유지하며 전선삽입공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1차 변전소 또는 2차 변전소로부터 배전된 전기는 가공배전선과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송배전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송전 또는 배전되며 특고압 수용가, 고압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수용가에까지 송배전되어 산업용, 가정용 등으로 사용된다.
이 중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송배전계통을 통한 지중을 이용하는 송배전 방식은 지중배전선이 인입되는 지중배전체에 지중 관로 어댑터를 마련하고, 지중배전선로의 끝단에 플러그를 결합하여 이 플러그를 지중 관로 어댑터에 체결하는 방식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8143호(2014.10.08.)에는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는 지중배전선이 수평을 유지하며 전선삽입공으로 인입되기 어렵기 때문에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8143호(2014.10.08.)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쉽고 간편하게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중배전선이 수평을 유지하며 전선삽입공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에 형성된 개구부(11a)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가이드공(11b)과, 개구부(11a)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삽입부(11c)와, 삽입부(11c)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외향으로 개구된 제1·2결합공(11d,11e)을 구비하는 직육면체형상의 바디부(11)와; 바디부(11)에 내설되는 이음부(12a)와, 이음부(12a)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개구부(11a)에 수용되는 고정부(12b)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연결부재(12)를 갖춘 절연체(10): 지중배전선(L)이 삽입되는 전선삽입공(21a)과, 전선삽입공(21a)을 기준으로 상하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안내부(21b)가 구비된 고정구바디(21)와; 내주면에 고정테(22a)를 갖추고서, 전선삽입공(21a)에 끼워져 고정부(12b)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봉(22)과; 고정구바디(21)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공(11b)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부(23)와; 고정구바디(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부(11c)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제1·2결합공(11d,11e)에 결합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후크편(24)과; 안내부(21b)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25a)를 갖추고서, 전선삽입공(21a)에 삽입된 지중배전선(L)을 가압해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구(25)로 구성되며, 절연체(10)의 양단에 배치되는 배전선고정구(20,20'): 및 가이드공(11b)에 삽입되어 가이드부(23)를 외향으로 미는 탄발수단(30):을 포함하는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지중배전선(L)이 수평을 유지하며 전선삽입공(21a)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100)를 더 포함하되, 지지부(100)는, 지중배전선(L)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전선고정구(20,20')로부터 지중배전선(L)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110); 지지판(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지중배전선(L)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120); 및 배전선고정구(20,20')로부터 지지판(1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0)을 포함하고, 배전선고정구(20,20')에는, 지지판(110)의 일단부가 인입되는 인입홈(26)이 형성되며, 지지수단(130)은, 지지판(110)의 일단부가 통과하도록 인입홈(26)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압착링(131); 상부는 압착링(131)에 연결되고, 하부는 배전선공정구(20,20')의 하부를 관통하는 가압바(132); 및 가압바(132)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압착링(131)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지판(110)을 하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조절레버(133)를 포함하고, 가이드수단(120)은, 지지판(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이드판(121); 지지판(110)으로부터 가이드판(121)을 지지하는 스프링(122); 및 가이드판(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지중배전선(L)이 안착되는 복수의 롤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중배전선이 수평을 유지하며 전선삽입공으로 인입될 수 있음으로써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448143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448143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448143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는 '특고압 지중배전선로의 연결장치'로 대체하고, 지중배전선이 수평을 유지하며 전선삽입공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448143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는 절연체(10)와 한 쌍의 배전선고정구(20,20') 및 탄발수단(30)으로 구성되어 지중배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체(10)는 바디부(11)와 연결부재(1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양단으로 접속되는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바디부(11)는 직육면체형상의 절연재로서, 양단에는 개구부(11a)가 형성되고, 개구부(11a)를 기준으로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가이드공(11b)이 일체로 형성되며, 개구부(11a)를 기준으로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홈이 형성된 삽입부(11c)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외면에는 삽입부(11c)의 선단부 및 후단부와 각각 상호 연통되는 제1·2결합공(11d,11e)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결합공(11d,11e)에는 배전선고정구(20)의 후크편(24)이 각각 결합되는데, 예를 들어 제1결합공(11d)에 후크편(24)이 삽입되면 배전선고정구(20,20')는 바디부(11)의 측면에 밀착되어 지중배전선(L)이 연결부재(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반대로 제2결합공(11e)에 후크편(24)이 삽입되면 배전선고정구(20,20')는 바디부(11)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연결부재(12)로부터 지중배전선(L)이 이탈되면서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해제된다.
특히, 상기 후크편(24)이 제2결합공(11e)에 걸리도록 되어 있어 바디부(11)로부터 배전선고정구(20,20')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고정구(20,20')의 분실률을 그만큼 낮출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연결부재(12)는 금속재질의 이음부(12a)와 한 쌍의 고정부(12b)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이음부(12a)는 바디부(11)에 인서트 성형되어 내설되고, 이음부(12a)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12b)는 개구부(11a)에 수용된다.
상기 고정부(12b)는 전체적으로‘U’자 형상을 이루고 있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금속봉(22)을 손쉽게 파지해 고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전선고정구(20,20')는 절연체(10)를 기준으로 양단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중배전선(L)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전선고정구(20,20')는 고정구바디(21)와 금속봉(22), 가이드부(23), 후크편(24) 및 가압구(25)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봉(22)과 가이드부(23) 및 후크편(24)은 고정구바디(21)의 일면에 형성되고, 가압구(25)만 고정구바디(21)의 타면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바디(21)는 절연재질의 사각형상의 블록으로서, 중앙에는 지중배전선(L)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21a)이 개구부(11a)을 향해 관통되어 있으며, 전선삽입공(21a)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나란하게 안내부(2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봉(22)은 안내부(21b)가 형성된 반대편 전선삽입공(21a)에 결합되며, 특히 지중배전선(L)의 금속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고정테(22a)가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봉(22)은 연결부재(12)의 고정부(12b)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23)는 고정구바디(21)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공(11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부(23)가 가이드공(11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구바디(21)가 가이드부(23)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특히 고정구바디(21)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가이드부(23)와 가이드공(11b)이 상호 결합되어 있어 고정구바디(21)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후크편(24)은 고정구바디(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부(11c)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후크편(24)의 선단에는 삼각형상의 돌기가 있어 제1·2결합공(11d,11e)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를 들어 제1결합공(11d)에 후크편(24)이 삽입되면 배전선고정구(20,20')는 바디부(11)의 측면에 밀착되어 금속봉(22)이 연결부재(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대로 제2결합공(11e)에 후크편(24)이 삽입되면 배전선고정구(20,20')는 바디부(11)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연결부재(12)로부터 금속봉(22)이 이탈되면서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해제된다.
나아가, 상기 후크편(24)이 제2결합공(11e)에 걸리도록 되어 있어 바디부(11)로부터 배전선고정구(20,20')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고정구(20,20')의 분실률을 그만큼 낮출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가압구(25)는 반원형의 부재가 한 쌍을 이루어 지중배전선(L)를 가압해 고정하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이동부(25a)를 매개로 안내부(21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선삽입공(21a)으로 삽입된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가압해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압구(25)는 나사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반원형의 부재를 상호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지중배전선(L)에 외력(인장력)이 발생하더라도 지중배전선(L)을 금속봉(22)과 가압구(25)가 동시에 고정하므로 지중배전선(L)의 이탈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탄발수단(30)은 코일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이드공(11b)에 삽입되어 가이드공(11b)에 삽입되는 가이드부(23)를 일 방향을 미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후크편(24)이 제1결합공(11d)에 고정되면 가이드공(11b)에 가이드부(23)가 완전히 삽입되면서 탄발수단(30)을 양쪽에서 가압하게 되고, 후크편(24)이 제2결합공(11e)에 고정되면 탄발수단(30)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부(23)가 양쪽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금속봉(22)을 고정부(12b)로부터 쉽게 이격시켜줄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지중배전선(L)을 배전선고정구(20,20')의 전선삽입공(21a)으로 삽입하게 되면, 지중배전선(L)의 금속선은 금속봉(22)에 삽입되어 고정테(22a)에 의해 압입고정된다.
상기 지중배전선(L)을 금속봉(22)에 고정한 상태에서 가압구(25)를 이용하여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감싼 다음 나사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가압고정한다.
지중배전선(L)을 배전선고정구(20,20')에 고정한 상태에서 절연체(10)의 고정부(12b)를 향해 밀어주게 되면, 배전선고정구(20)의 가이드부(23)와 후크편(24)이 각각 절연체(10)의 가이드공(11b)과 삽입부(11c)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때 가이드공(11b)에 삽입된 탄발수단(30)은 가이드부(23)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 후크편(24)은 삽입부(11c)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제1결합공(11d)에 위치되면,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던 후크편(24)이 복원되면서 제1결합공(11d)과 결합되고, 금속봉(22)은 연결부재(12)의 고정부(12b)에 가압고정되면서 배전선고정구(20,20')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L)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지중배전선(L)을 연결하고 있는 과정에 지중배전선(L)이 손상되어 교체하고자 할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후크편(24)을 가압하게 되면, 후크편(24)이 제1결합공(11d)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때 압축되어 있던 탄발수단(30)이 복원되면서 가이드부(23)를 밀게 되며, 이로 인해 배전선고정구(20,20')의 가이드부(23)와 후크편(24)은 각각 가이드공(11b)과 삽입부(11c)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후크편(24)이 삽입부(11c)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제2결합공(11e)에 위치되면 휘어져 있던 후크편(24)이 복원되면서 제2결합공(11e)에 결합되고, 이로 인해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배전선고정구(20,20')는 멈추게 되며, 금속봉(22)은 고정부(12b)로부터 이탈되어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배전선(L)이 수평을 유지하며 전선삽입공(21a)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1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지지부(100)는 지중배전선(L)이 대략 수평을 유지하며 전선삽입공(21a)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지중배전선(L)의 인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중배전선(L)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00)는 지중배전선(L)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전선고정구(20,20')로부터 지중배전선(L)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110), 지지판(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지중배전선(L)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120) 및 배전선고정구(20,20')로부터 지지판(1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0)을 포함한다.
지지판(110)은 양단부가 지중배전선(L)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수단(130)에 의해 배전선고정구(20,20')에 고정된다.
배전선고정구(20,20')는 안내부(21b)가 형성되는 타면에 일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지지판(110)의 일단부가 인입되는 인입홈(26)이 형성된다.
지지수단(130)은 지지판(110)의 일단부가 통과하도록 인입홈(26)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압착링(131), 상부가 압착링(131)에 연결되고 하부가 배전선공정구(20,20')의 하부를 관통하는 가압바(132) 및 가압바(132)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압착링(131)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지판(110)을 하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조절레버(133)를 포함한다.
배전선고정구(20,20')는 인입홈(26)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되면서 압착링(131)이 수용되는 한편, 압착링(13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홈부(27)가 형성된다.
가압바(13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부가 압착링(131)에 고정되면서 조절레버(133)의 회전에 따라 압착링(131)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조절레버(133)는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가압바(132)의 하부로 나사결합되며, 인위적인 회전에 따라 가압바(132)와 함께 압착링(13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지지수단(130)은 조절레버(133)의 조작에 따라 지지판(110)을 가압하면서 배전선고정구(20,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배전선고정구(20,20')로부터 지지판(110)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압바(132)가 지지판(110)을 직접 가압 고정함이 없이 압착링(131)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지면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판(110)에 발생되는 흠집과 함께 가압바(132)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수단(120)은 지지판(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이드판(121), 지지판(110)으로부터 가이드판(121)을 지지하는 스프링(122) 및 가이드판(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지중배전선(L)이 안착되는 복수의 롤러(123)를 포함한다.
가이드판(121)은 양단부가 지지판(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지지판(110)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된다.
스프링(122)은 가이드판(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면서 지지판(110)으로부터 가이드판(121)을 지지하는 한편, 지중배전선(L)이 복수의 롤러(123)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한다.
롤러(123)는 양단부가 가이드판(121)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지중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지중배전선(L)의 진행에 따라 회전되면서 지중배전선(L)이 전선삽입공(21a)으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00)는 지지판(110)과 가이드판(121)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수단(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수단(140)은 상부가 가이드판(121)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지판(110)을 통과하는 조절바(141) 및 지지판(1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조절바(141)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142)를 포함한다.
조절바(14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조절부재(14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조절바(141)에 나사결합된다.
즉, 조절수단(140)은 조절부재(142)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122)이 수축,이완되면서 지지판(110)과 가이드판(121)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한다.
조절바(141)는 스프링(122)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스프링(122)의 수축,이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절수단(140)은 조절부재(142)의 회전에 따라 지지판(110)과 가이드판(121)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지중배전선(L)이 전선삽입공(21a)으로 대략 수평을 유지하며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10: 절연체 11: 바디부
12: 연결부재 20,20': 배전선고정구
21: 고정구바디 22: 금속봉
23: 가이드부 25: 가압구
30: 탄발수단 100: 지지부
110: 지지판 120: 가이드수단
121: 가이드판 122 : 스프링
123: 롤러 130: 지지수단
131: 압착링 132 : 가압바
133: 조절레버 140 : 조절수단
141 : 조절바 142 : 조절부재

Claims (1)

  1. 양단에 형성된 개구부(11a)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가이드공(11b)과, 개구부(11a)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삽입부(11c)와, 삽입부(11c)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외향으로 개구된 제1·2결합공(11d,11e)을 구비하는 직육면체형상의 바디부(11)와;
    바디부(11)에 내설되는 이음부(12a)와, 이음부(12a)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개구부(11a)에 수용되는 고정부(12b)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연결부재(12)를 갖춘 절연체(10):
    지중배전선(L)이 삽입되는 전선삽입공(21a)과, 전선삽입공(21a)을 기준으로 상하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안내부(21b)가 구비된 고정구바디(21)와;
    내주면에 고정테(22a)를 갖추고서, 전선삽입공(21a)에 끼워져 고정부(12b)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봉(22)과;
    고정구바디(21)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공(11b)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부(23)와;
    고정구바디(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부(11c)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제1·2결합공(11d,11e)에 결합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후크편(24)과;
    안내부(21b)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25a)를 갖추고서, 전선삽입공(21a)에 삽입된 지중배전선(L)을 가압해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구(25)로 구성되며, 절연체(10)의 양단에 배치되는 배전선고정구(20,20'): 및
    가이드공(11b)에 삽입되어 가이드부(23)를 외향으로 미는 탄발수단(30):을 포함하는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지중배전선(L)이 수평을 유지하며 전선삽입공(21a)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100)를 더 포함하되,
    지지부(100)는,
    지중배전선(L)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전선고정구(20,20')로부터 지중배전선(L)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110);
    지지판(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지중배전선(L)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120); 및
    배전선고정구(20,20')로부터 지지판(1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0)을 포함하고,
    배전선고정구(20,20')에는,
    지지판(110)의 일단부가 인입되는 인입홈(26)이 형성되며,
    지지수단(130)은,
    지지판(110)의 일단부가 통과하도록 인입홈(26)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압착링(131);
    상부는 압착링(131)에 연결되고, 하부는 배전선공정구(20,20')의 하부를 관통하는 가압바(132); 및
    가압바(132)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압착링(131)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지판(110)을 하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조절레버(133)를 포함하고,
    배전선고정구(20,20')는,
    인입홈(26)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되면서 압착링(131)이 수용되는 한편, 압착링(13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홈부(27)가 형성되며,
    가이드수단(120)은,
    지지판(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이드판(121);
    지지판(110)으로부터 가이드판(121)을 지지하는 스프링(122); 및
    가이드판(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지중배전선(L)이 안착되는 복수의 롤러(123)를 포함하고,
    스프링(122)은,
    가이드판(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면서 지지판(110)으로부터 가이드판(121)을 지지하는 한편, 지중배전선(L)이 복수의 롤러(123)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하며,
    지지부(100)는,
    지지판(110)과 가이드판(121)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수단(140)을 더 포함하고,
    조절수단(140)은,
    상부가 가이드판(121)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지판(110)을 통과하는 조절바(141); 및
    지지판(1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조절바(141)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142)를 포함하며,
    조절부재(142)는,
    회전에 따라 스프링(122)이 수축,이완되도록 하면서 지지판(110)과 가이드판(121)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
    조절바(141)는 스프링(122)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스프링(122)의 수축,이완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KR1020180016265A 2018-02-09 2018-02-09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KR101904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265A KR101904859B1 (ko) 2018-02-09 2018-02-09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265A KR101904859B1 (ko) 2018-02-09 2018-02-09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859B1 true KR101904859B1 (ko) 2018-10-10

Family

ID=6387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265A KR101904859B1 (ko) 2018-02-09 2018-02-09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8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092B1 (ko) * 2014-02-14 2014-07-10 (주)한국엔지니어링 지중 송전과 배전 및 변전 선로 보호형 접속장치
KR101448143B1 (ko) * 2014-06-05 2014-10-08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594161B1 (ko) * 2015-09-30 2016-02-15 (주)아현건설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092B1 (ko) * 2014-02-14 2014-07-10 (주)한국엔지니어링 지중 송전과 배전 및 변전 선로 보호형 접속장치
KR101448143B1 (ko) * 2014-06-05 2014-10-08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594161B1 (ko) * 2015-09-30 2016-02-15 (주)아현건설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862667B1 (ko) 접지형 콘센트장치
KR101994400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JP3688338B2 (ja) 電気的な接続兼結合端子
KR101771074B1 (ko)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190658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KR102255226B1 (ko) 안정적 전력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장치
KR101757914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시스템
KR102003965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US20100130042A1 (en)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KR101904859B1 (ko)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KR10181546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다기능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200470078Y1 (ko) 전기 플러그와 콘센트
KR100859597B1 (ko) 매설형 지중전선과 지상배전함의 통전공어뎁터
SK278181B6 (en) Electric socket with improved disconnection characteristics
KR101831254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구조
KR101773831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KR101814637B1 (ko) 지중배전라인 연결을 위한 커넥팅장치
KR10209830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1282658B1 (ko) 커넥터 커버 조립장치
KR20120020999A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JP7185599B2 (ja) 円筒形高圧カットアウトの誤挿入防止カバーおよび高圧配電線路用接地装置
KR101815461B1 (ko)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1842508B1 (ko) 가공전선 고정용 배전애자를 갖춘 전주
KR10214114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