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965B1 -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965B1
KR102003965B1 KR1020190023356A KR20190023356A KR102003965B1 KR 102003965 B1 KR102003965 B1 KR 102003965B1 KR 1020190023356 A KR1020190023356 A KR 1020190023356A KR 20190023356 A KR20190023356 A KR 20190023356A KR 102003965 B1 KR102003965 B1 KR 102003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ductive
wire
elastic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전주
Original Assignee
고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전주 filed Critical 고전주
Priority to KR102019002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유닛과 전도유닛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절연유닛에서 전선의 인입을 간편하게 하며, 전선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전도유닛으로부터 전선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는 상호 인접한 두 전선이 접속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이고, 전선이 지지되는 비전도체 상의 절연유닛과, 절연유닛에 내장되고 절연유닛을 통과한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체 상의 전도유닛과, 절연유닛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과 전도유닛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도유닛을 가압하여 전선이 전도유닛으로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푸시유닛 및 탄성푸시유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도유닛이 내장된 절연유닛이 삽입 지지되는 절연거치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INSULATION CONNECTOR OF UNDERGROUND POWER LINE}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유닛과 전도유닛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절연유닛에서 전선의 인입을 간편하게 하며, 전선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전도유닛으로부터 전선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로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중관로의 내부에 구비된 절연대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장 또는 분기되어 각 건물 또는 주택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중 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되기 위해서 지중 배전선의 접속대를 매개로 배전선 간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지중 배전선 간의 접속시 작업자의 실수나 혹은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서 배전선이 당겨지게 되면, 접속대에 고정된 배전선이 외부로 분리되면서 단선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이를 차단할 만한 수단이 부실하여 전기합선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당히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재에 발전경향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동시에 해소할 수 있는 접속대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1740호 (발명의 명칭 :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시스템, 2018. 08. 2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유닛과 전도유닛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절연유닛에서 전선의 인입을 간편하게 하며, 전선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전도유닛으로부터 전선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는 상호 인접한 두 전선이 접속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이고, 상기 전선이 지지되는 비전도체 상의 절연유닛; 상기 절연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절연유닛을 통과한 상기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체 상의 전도유닛; 상기 절연유닛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선과 상기 전도유닛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전도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전선이 상기 전도유닛으로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푸시유닛; 및 상기 탄성푸시유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도유닛이 내장된 상기 절연유닛이 삽입 지지되는 절연거치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연유닛에는, 상기 전도유닛의 내장 공간을 형성하는 접속공간; 상기 접속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전선의 끼움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접속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점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전선인입홀; 및 상기 접속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탄성푸시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접속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점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푸시홀;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전도유닛은,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하는 제1전도브라켓; 및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다른 하나를 탄성 가압하되, 상기 접속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도브라켓과 원점 대칭을 이루는 제2전도브라켓;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전도브라켓은, 상기 접속공간의 내벽에 지지되고, 한 쌍의 푸시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제1전도판; 상기 제1전도판에 구비되고, 한 쌍의 탄성푸시유닛 중 상기 제2전도브라켓을 가압하기 위한 탄성푸시유닛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1전도판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푸시홀의 일부와 연통되는 제1푸셔통과부; 탄성을 가지고 상기 제1전도판의 단부에서 상기 전선의 인입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제1탄성경사판; 및 상기 제2전도브라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탄성경사판에서 절곡 형성되고,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속가압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전도브라켓은, 상기 제1전도판에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접속공간의 내벽에 지지되고, 한 쌍의 푸시홀 중 다른 하나를 폐쇄하는 제2전도판; 상기 제2전도판에 구비되고, 한 쌍의 탄성푸시유닛 중 상기 제1전도브라켓을 가압하기 위한 탄성푸시유닛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2전도판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푸시홀의 일부와 연통되는 제2푸셔통과부; 탄성을 가지고 상기 제2전도판의 단부에서 상기 전선의 인입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제2탄성경사판; 및 상기 제1전도브라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탄성경사판에서 절곡 형성되고,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다른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가압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푸시유닛은, 상기 절연유닛에서 돌출되고, 상기 푸시홀에 삽탈 가능한 돌출파지부재; 상호 이격되어 상기 돌출파지부재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푸시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상기 푸시홀의 내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후크; 및 상기 지지후크가 삽입되도록 상기 푸시홀의 내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후크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후크안내홈;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돌출파지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푸시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전도유닛을 가압하고, 상기 돌출파지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전도유닛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푸시유닛은, 상기 지지후크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단부와 상기 푸시홀의 입구 중 어느 하나에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후크를 상기 후크안내홈으로 안내하는 후크가이드; 및 상기 절연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외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복귀탄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연거치유닛은, 상기 전도유닛이 내장된 상기 절연유닛이 끼움 결합되는 거치하우징;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상기 절연유닛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에 구비된 고정블럭과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거치하우징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전선고정부재; 및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상기 절연유닛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에 구비된 고정블럭과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제1전선고정부재에서 이격되어 상기 거치하우징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선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연거치유닛은, 상기 전선의 배열을 위한 거치대에 상기 거치하우징을 고정시키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하우징에는, 상기 절연유닛이 끼움 결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거치홈; 상기 거치홈과 연통되고, 상기 전도유닛에 결합된 두 전선 중 어느 하나가 끼움 결합되는 제1통과슬릿; 상기 제1통과슬릿과 마주보도록 상기 거치홈과 연통되고, 상기 전도유닛에 결합된 두 전선 중 다른 하나가 끼움 결합되는 제2통과슬릿; 및 한 쌍의 푸시홀 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도록 상기 거치홈의 바닥에 관통 형성되고, 한 쌍의 탄성푸시유닛 중 어느 하나가 끼움 결합되는 푸셔노출홀;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전선고정부재는,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상기 절연유닛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에 구비된 고정블럭이 삽입되는 제1고정캡;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고정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피벗로드; 및 상기 거치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피벗로드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제1피벗축;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전선고정부재는,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상기 절연유닛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에 구비된 고정블럭이 삽입되는 제2고정캡;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2고정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피벗로드; 및 상기 거치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제2피벗로드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제2피벗축;을 포함한다.
상술한 상기 절연유닛에서 상기 접속공간의 내면과, 상기 전선인입홀의 내면과, 상기 푸시홀의 내면에는 내화재가 도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 따르면, 절연유닛과 전도유닛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절연유닛에서 전선의 인입을 간편하게 하며, 전선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전도유닛으로부터 전선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유닛의 분할 및 결합 구조를 통해 전도유닛을 간편하게 내장할 수 있고, 절연유닛에서 전도유닛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전도유닛의 대량 생산을 간편하게 하고, 전도유닛에서 탄성푸시유닛의 동작 및 전선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푸시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절연유닛을 통과한 전선이 전도유닛에 안정되게 인입되도록 하고, 절연유닛에서 탄성푸시유닛의 왕복 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거치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전도유닛이 내장된 절연유닛을 안정되게 감싸 지지하고, 분할된 절연유닛의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도유닛과 전선이 접속되는 경우, 전선을 안정되게 파지 고정하여 전선의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와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절연거치유닛에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전도유닛과 전선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유닛의 내부와 탄성푸시유닛을 내화 처리함으로써, 전도유닛과 전선의 접속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화재에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서 전선의 인입을 위한 탄성푸시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서 전도유닛과 전선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서 전도유닛이 내장된 절연유닛이 절연거치유닛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서 절연거치유닛에 전선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는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는 절연유닛(10)과, 전도유닛(20)과, 탄성푸시유닛(30)과, 절연거치유닛(40)을 포함한다.
절연유닛(10)은 비전도체로 이루어진다. 절연유닛(10)은 전도유닛(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50)이 지지된다.
절연유닛(10)에는 접속공간(101)과, 전선인입홀(102)과, 푸시홀(103)이 구비된다.
접속공간(101)은 전도유닛(20)이 내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전선인입홀(102)은 접속공간(101)과 연통되어 전선(50)의 끼움 경로를 형성한다. 전선인입홀(102)은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의 끼움을 위해 한 쌍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전선인입홀(102)은 접속공간(1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점 대칭을 이루어 접속공간(101)과 연통된다. 이때, 한 쌍의 전선인입홀(102)은 전선(50)의 인입 방향과 평행을 이루되, 접속공간(1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각각 편심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전선인입홀(102)은 전선(50)과 전도유닛(20)의 전기적 연결시 전선(50)의 꺽임을 최소화하고, 전선(50)을 전도유닛(20)에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다.
푸시홀(103)은 접속공간(101)과 연통되어 탄성푸시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푸시홀(103)은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을 끼움을 위해 한 쌍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푸시홀(103)은 접속공간(1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점 대칭을 이루어 접속공간(101)과 연통된다. 이때, 한 쌍의 푸시홀(103)은 전선(50)의 인입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다른 표현으로, 탄성푸시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평행을 이루되, 접속공간(1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부와 우측부로 각각 편심 배치되어 상부 또는 하부로 편심된 전선인입홀(102)과 각각 근접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푸시홀(103)은 각각 전선인입홀(102)에 삽입되는 전선(50)이 직선 형태로 전도유닛(20)을 통과하도록 탄성푸시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되고, 전선(50)과 전도유닛(20)의 전기적 연결시 전선(50)의 꺽임을 최소화하고, 전선(50)의 삽입 경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절연유닛(10)에서 접속공간(101)의 내면과, 전선인입홀(102)의 내면과 푸시홀(103)의 내면에는 내화재(미도시)가 도포되어 화재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푸시홀(103)에는 탄성푸시유닛(30)의 이탈 방지를 위한 지지후크(104)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절연유닛(10)은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와,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연바디(11)는 절연유닛(10)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1절연바디(11)에는 접속공간(101)과 전선인입홀(102)과 푸시홀(103)의 일부 또는 전체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절연바디(12)는 절연유닛(10)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한다. 제2절연바디(12)는 제1절연바디(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절연바디(12)에는 접속공간(101)과 전선인입홀(102)과 푸시홀(103)의 일부 또는 전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공간(101)으로 전도유닛(20)을 간편하게 내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는 상호 마주보도록 양분되어 상호 마주보는 면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에는 각각 체결부재의 결합을 위해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체결홀(10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105)은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고, 접속공간(101)과 전선인입홀(102)과 푸시홀(103)과 연통되지 않도록 한다.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에는 각각 체결홀(105)과 연통되는 지지홈부(106)가 외측으로부터 체결홀(105)을 향해 함몰 형성된다. 지지홈부(106)에는 체결부재에서 체결볼트(13)의 머리부 또는 체결너트(14)가 안착되도록 하여 체결볼트(13)의 머리부와 체결너트(14)가 절연유닛(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를 상호 결합시킨다. 체결부재는 체결볼트(13)를 포함하고, 체결너트(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체결볼트(13)는 머리부가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지지홈부(106)에 안착되고, 나사부가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체결홀(105)을 통과하여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체결홀(105)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체결볼트(13)는 머리부가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지지홈부(106)에 안착되고, 나사부가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에 각각 구비된 체결홀(105)을 통과하여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지지홈부(106)에 안착되는 체결너트(1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전도유닛(20)은 전도체로 이루어진다. 전도유닛(20)은 절연유닛(10)의 접속공간(101)에 삽입 지지됨으로써, 전도유닛(20)은 절연유닛(10)에 내장되도록 한다. 전도유닛(20)은 절연유닛(10)의 전선인입홀(102)을 통과한 전선(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도유닛(20)은 제1전도브라켓(21)과, 제2전도브라켓(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도브라켓(21)은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 중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한다.
제1전도브라켓(21)은 제1전도판(211)과, 제1푸셔통과부(212)와, 제1탄성경사판(213)과, 제1접속가압판(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도판(211)은 한 쌍의 푸시홀(103)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접속공간(101)의 내벽에 지지된다. 제1전도판(211)은 한 쌍의 푸시홀(103)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할 수 있다.
제1푸셔통과부(212)는 제1전도판(211)에 구비된다. 제1푸셔통과부(212)는 한 쌍의 탄성푸시유닛(30) 중 제2전도브라켓(22)의 제2접속가압판(224)을 가압하기 위한 탄성푸시유닛(30)의 슬라이더 중 제1슬라이더(312)가 통과한다. 제1푸셔통과부(212)는 제1전도판(211)에 의해 폐쇄되는 푸시홀(103)의 일부와 연통된다.
제1탄성경사판(213)은 탄성을 가지고 제1전도판(211)의 단부에서 전선(50)의 인입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다.
제1접속가압판(214)은 전선(50)이 인입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제2전도브라켓(22)의 제2전도판(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접속가압판(214)은 제1탄성경사판(213)에서 절곡 형성된다. 전선(50)의 인입 동작에 따라 제1접속가압판(214)은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접속가압판(214)에서 후술하는 제2전도판(221)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1접속요철(미도시)이 돌출됨으로써, 제1접속요철(미도시)은 전선(50)과 제1접속가압판(214)의 전기적 연결시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제1접속가압판(214)에서 전선(50)을 구속시킬 수 있다.
제2전도브라켓(22)은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 중 다른 하나를 탄성 가압한다. 제2전도브라켓(22)은 접속공간(1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전도브라켓(21)과 원점 대칭을 이룬다.
제2전도브라켓(22)은 제2전도판(221)과, 제2푸셔통과부(222)와, 제2탄성경사판(223)과, 제2접속가압판(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도판(221)은 한 쌍의 푸시홀(103)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접속공간(101)의 내벽에 지지된다. 제2전도판(221)은 제1전도판(211)에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본다. 제2전도판(221)은 한 쌍의 푸시홀(103) 중 다른 하나를 폐쇄할 수 있다.
제2푸셔통과부(222)는 제2전도판(221)에 구비된다. 제2푸셔통과부(222)는 한 쌍의 탄성푸시유닛(30) 중 제1전도브라켓(21)의 제1접속가압판(214)을 가압하기 위한 탄성푸시유닛(30)의 슬라이더 중 제2슬라이더(322)가 통과한다. 제2푸셔통과부(222)는 제2전도판(221)에 의해 폐쇄되는 푸시홀(103)의 일부와 연통된다.
제2탄성경사판(223)은 탄성을 가지고 제2전도판(221)의 단부에서 전선(50)의 인입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다.
제2접속가압판(224)은 전선(50)이 인입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제2전도브라켓(22)의 제2전도판(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접속가압판(224)은 제2탄성경사판(223)에서 절곡 형성된다. 전선(50)의 인입 동작에 따라 제2접속가압판(224)은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 중 다른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접속가압판(224)에서 상술한 제1전도판(211)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2접속요철(미도시)이 돌출됨으로써, 제2접속요철(미도시)은 전선(50)과 제2접속가압판(224)의 전기적 연결시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제2접속가압판(224)에서 전선(50)을 구속시킬 수 있다.
그러면, 초기 상태에서 제1전도브라켓(21)과 제2전도브라켓(22)은 상호 탄성 지지된다. 그리고 제1접속가압판(214)과 제2전도판(221) 사이에 전선(50)이 삽입됨에 따라 제1접속가압판(214)은 전선(50)을 제2전도판(221)으로 탄성 가압하고, 제2접속가압판(224)과 제1전도판(211) 사이에 전선(50)이 삽입됨에 따라 제2접속가압판(224)은 전선(50)을 제2전도판(221)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도유닛(20)은 전도바디(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도바디(미도시)는 제1전도브라켓(21)의 제1전도판(211)과 제2전도브라켓(22)의 제2전도판(2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면, 전도바디(미도시)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전도브라켓(21)의 제1전도판(211)과 제2전도브라켓(22)의 제2전도판(221)이 절곡 형성됨으로써, 제1전도판(211)과 제2전도판(221)은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게 된다. 이때, 제1푸셔통과부(212)는 제1전도판(211)을 양분할 수 있고, 제2푸셔통과부(222)는 제2전도판(221)을 양분할 수 있다.
탄성푸시유닛(30)은 비전도체로 이루어진다. 탄성푸시유닛(30)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절연유닛(10)에 구비된 한 쌍의 푸시홀(103)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탄성푸시유닛(30)은 전선(50)과 전도유닛(2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도유닛(20)을 가압하여 전선(50)이 전도유닛(20)으로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탄성푸시유닛(30)은 돌출파지부재와, 슬라이더와, 지지후크(104)와, 후크안내홈을 포함하고, 후크가이드와, 복귀탄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파지부재는 절연유닛(10)에서 돌출된다. 돌출파지부재는 푸시홀(103)에서 삽탈 가능하다.
슬라이더는 상호 이격되어 돌출파지부재의 양단부에서 돌출된다. 슬라이더는 푸시홀(10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더는 한 쌍이 구비됨에 따라 전선(50)이 통과되는 통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후크(104)는 푸시홀(103)의 내면과 슬라이더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된다.
후크안내홈은 지지후크(104)가 삽입되도록 푸시홀(103)의 내면과 슬라이더의 측면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된다. 후크안내홈은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지지후크(104)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돌출파지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면, 슬라이더는 푸시홀(103)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전도유닛(20)을 가압함으로써, 전도유닛(20)에 전선(50)이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파지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슬라이더는 전도유닛(2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고, 전도유닛(20)의 제1, 제2접속가압판(214, 224)은 각각 전선(50)을 가압함으로써, 전선(50)이 전도유닛(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후크가이드는 지지후크(104)에 대응하여 슬라이더의 단부와 푸시홀(103)의 입구 중 어느 하나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후크가이드는 지지후크(104)를 후크안내홈으로 안내한다.
복귀탄성부는 절연유닛(10)을 기준으로 슬라이더를 절연유닛(10)의 외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여기서, 돌출파지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슬라이더는 전도유닛(20)의 탄성력 및 복귀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푸시유닛(30)은 제1탄성푸셔(31)와, 제2탄성푸셔(3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탄성푸셔(31)는 한 쌍의 푸시홀(103)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탄성푸셔는 제1돌출파지부재(311)와, 제1슬라이더(312)와, 제1지지후크와, 제1후크안내홈(314)을 포함하고, 제1후크가이드(315)와, 제1복귀탄성부(3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파지부재(311)는 절연유닛(10)에서 돌출된다. 제1돌출파지부재(311)는 한 쌍의 푸시홀(103) 중 어느 하나에서 삽탈 가능하다.
제1슬라이더(312)는 상호 이격되어 제1돌출파지부재(311)의 양단부에서 돌출된다. 제1슬라이더(312)는 한 쌍의 푸시홀(103)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슬라이더(312)는 한 쌍이 구비됨에 따라 전선(50)이 통과되는 제1통과부(313)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지지후크는 한 쌍의 푸시홀(103) 중 어느 하나의 내면과 제1슬라이더(312)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된다.
제1후크안내홈(314)은 제1지지후크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푸시홀(103) 중 어느 하나의 내면과 제1슬라이더(312)의 측면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된다. 제1후크안내홈(314)은 제1슬라이더(31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슬라이더(31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1지지후크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제1돌출파지부재(311)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슬라이더(312)는 한 쌍의 푸시홀(103) 중 어느 하나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전도유닛(20) 중 제1전도브라켓(21)의 제1접속가압판(214)을 가압함으로써, 전도유닛(20)에 전선(50)이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돌출파지부재(311)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제1슬라이더(312)는 전도유닛(20) 중 제1전도브라켓(21)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고, 전도유닛(20)의 제1접속가압판(214)은 전선(50)을 가압함으로써, 전선(50)이 전도유닛(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제1후크가이드(315)는 제1지지후크에 대응하여 제1슬라이더(312)의 단부와 한 쌍의 푸시홀(103) 중 어느 하나의 입구 중 어느 하나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1후크가이드(315)는 제1지지후크를 제1후크안내홈(314)으로 안내한다.
제1복귀탄성부(316)는 절연유닛(10)을 기준으로 제1슬라이더(312)를 절연유닛(10)의 외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여기서, 제1돌출파지부재(311)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제1슬라이더(312)는 전도유닛(20) 중 제1전도브라켓(21)의 탄성력 및 제1복귀탄성부(316)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제2탄성푸셔(32)는 한 쌍의 푸시홀(103) 중 다른 하나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탄성푸셔(32)는 제2돌출파지부재(321)와, 제2슬라이더(322)와, 제2지지후크와, 제2후크안내홈(324)을 포함하고, 제2후크가이드(325)와, 제2복귀탄성부(3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돌출파지부재(321)는 절연유닛(10)에서 돌출된다. 제2돌출파지부재(321)는 한 쌍의 푸시홀(103) 중 다른 하나에서 삽탈 가능하다.
제2슬라이더(322)는 상호 이격되어 제2돌출파지부재(321)의 양단부에서 돌출된다. 제2슬라이더(322)는 한 쌍의 푸시홀(103) 중 다른 하나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슬라이더(322)는 한 쌍이 구비됨에 따라 전선(50)이 통과되는 제2통과부(323)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지지후크는 한 쌍의 푸시홀(103) 중 다른 하나의 내면과 제2슬라이더(322)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된다.
제2후크안내홈(324)은 제2지지후크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푸시홀(103) 중 다른 하나의 내면과 제2슬라이더(322)의 측면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된다. 제2후크안내홈(324)은 제2슬라이더(32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2슬라이더(32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2지지후크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제2돌출파지부재(321)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2슬라이더(322)는 한 쌍의 푸시홀(103) 중 다른 하나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전도유닛(20) 중 제2전도브라켓(22)의 제2접속가압판(224)을 가압함으로써, 전도유닛(20)에 전선(50)이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출파지부재(321)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제2슬라이더(322)는 전도유닛(20) 중 제2전도브라켓(22)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고, 전도유닛(20)의 제2접속가압판(224)은 전선(50)을 가압함으로써, 전선(50)이 전도유닛(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제2후크가이드(325)는 제2지지후크에 대응하여 제2슬라이더(322)의 단부와 한 쌍의 푸시홀(103) 중 다른 하나의 입구 중 어느 하나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2후크가이드(325)는 제2지지후크를 제2후크안내홈(324)으로 안내한다.
제2복귀탄성부(326)는 절연유닛(10)을 기준으로 제2슬라이더(322)를 절연유닛(10)의 외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여기서, 제2돌출파지부재(321)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제2슬라이더(322)는 전도유닛(20) 중 제2전도브라켓(22)의 탄성력 및 제2복귀탄성부(326)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절연거치유닛(40)은 비전도체로 이루어진다. 절연거치유닛(40)은 전도유닛(20)이 내장된 절연유닛(10)이 끼움 결합된다.
절연거치유닛(40)은 거치하우징(41)과, 제1전선고정부재(42)와, 제2전선고정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하우징(41)은 전도유닛(20)이 내장된 절연유닛(10)이 끼움 결합된다.
거치하우징(41)에는 거치홈(411)과, 제1통과슬릿(412)과, 제2통과슬릿(413)과, 푸셔노출홀(414)이 포함될 수 있다.
거치홈(411)은 절연유닛(10)이 끼움 결합되도록 거치하우징(41)에 함몰 형성된다.
제1통과슬릿(412)은 거치홈(411)과 연통된다. 제1통과슬릿(412)에는 전도유닛(20)에 결합된 두 전선(50) 중 어느 하나가 끼움 결합된다. 제1통과슬릿(412)은 거치홈(411)의 입구로부터 절연유닛(10)의 끼움 방향을 따라 길게 함몰 형성되어 거치홈(411)과 연통됨은 물론 절연유닛(10)이 거치홈(41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전선인입홀(102)과 연통되도록 한다.
제2통과슬릿(413)은 제1통과슬릿(412)과 마주보도록 거치홈과 연통된다. 제2통과슬릿(413)에는 전도유닛(20)에 결합된 두 전선(50) 중 다른 하나가 끼움 결합된다. 제2통과슬릿(413)은 거치홈(411)의 입구로부터 절연유닛(10)의 끼움 방향을 따라 길게 함몰 형성되어 거치홈(411)과 연통됨은 물론 절연유닛(10)이 거치홈(41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전선인입홀(102)과 연통되도록 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전선인입홀(102)이 편심 설치되므로, 절연유닛(10)의 끼움 방향에 따른 제1통과슬릿(412)의 함몰 길이는 제2통과슬릿(413)의 함몰 길이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전선(50)이 전도유닛(20)과 결합된 상태에서도 절연유닛(10)을 거치하우징(41)에 안정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통과슬릿(412)은 절연유닛(10)이 거치홈(41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전선인입홀(102)과 연통되도록 거치하우징(41)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통과슬릿(413)은 절연유닛(10)이 거치홈(41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전선인입홀(102)과 연통되도록 거치하우징(41)의 타측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전도유닛(20)이 내장된 절연유닛(10)을 거치하우징(41)에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전선(50)과 전도유닛(20)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제1전선고정부재(42)는 거치하우징(4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전선고정부재(42)는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 중 절연유닛(1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선(50)에 구비된 고정블럭(51)과 걸림 결합된다. 제1전선고정부재(42)는 제1고정캡(421)과, 제1피벗로드(424)와, 제1피벗축(4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캡(421)은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 중 절연유닛(1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선(50)에 구비된 고정블럭(51)이 삽입된다. 제1고정캡(421)에는 고정블럭(51)이 삽입 지지되는 제1블럭안착홈(422)이 구비된다. 제1블럭안착홈(422)은 고정블럭(51)의 삽입을 위해 제1고정캡(421)에 함몰 형성된다. 제1고정캡(421)에는 제1통과슬릿(412)에 끼움 결합되는 전선(50)이 삽입 지지되는 제1지지슬릿(423)이 구비된다. 제1지지슬릿(423)은 제1블럭안착홈(422)과 연통된다. 고정블럭(51)이 제1블럭안착홈(422)에 삽입 지지되면, 제1지지슬릿(423)에는 제1통과슬릿(412)에 끼움 결합되는 전선(50)이 삽입 지지된다.
제1피벗로드(424)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제1고정캡(421)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피벗축(425)은 거치하우징(41)을 기준으로 제1피벗로드(424)의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그러면, 제1피벗축(425)에는 제1피벗로드(424)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전선고정부재(43)는 제1전선고정부재(42)에서 이격되어 거치하우징(4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전선고정부재(43)는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 중 절연유닛(1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전선(50)에 구비된 고정블럭(51)과 걸림 결합된다. 제2전선고정부재(43)는 제2고정캡(431)과, 제2피벗로드(434)와, 제2피벗축(4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캡(421)은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 중 절연유닛(1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전선(50)에 구비된 고정블럭(51)이 삽입된다. 제2고정캡(431)에는 고정블럭(51)이 삽입 지지되는 제2블럭안착홈(432)이 구비된다. 제2블럭안착홈(432)은 고정블럭(51)의 삽입을 위해 제2고정캡(431)에 함몰 형성된다. 제2고정캡(431)에는 제2통과슬릿(413)에 끼움 결합되는 전선(50)이 삽입 지지되는 제2지지슬릿(433)이 구비된다. 제2지지슬릿(433)은 제2블럭안착홈(432)과 연통된다. 고정블럭(51)이 제2블럭안착홈(432)에 삽입 지지되면, 제2지지슬릿(433)에는 제2통과슬릿(413)에 끼움 결합되는 전선(50)이 삽입 지지된다.
제2피벗로드(434)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제2고정캡(431)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피벗축(435)은 거치하우징(41)을 기준으로 제2피벗로드(434)의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그러면, 제2피벗축(435)에는 제2피벗로드(434)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부가적으로, 절연거치유닛(40)은 거치하우징(41)을 전선(50)의 배열을 위한 거치대(60)에 고정시키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재는 거치로드(44)와, 고정너트(46)를 포함하고, 완충부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로드(44)는 하나 이상이 거치하우징(4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거치로드(44)는 거치대(60)에 관통 형성되는 로드통과홀(61)을 통과한다. 거치로드(44)의 외주면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고정너트(46)는 거치대(60)의 로드통과홀(61)을 통과한 거치로드(44)의 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고정너트(46)는 거치로드(44)에 나사 결합되어 거치로드(44)를 거치대(60)에 고정시킨다.
완충부재(45)는 거치대(60)를 기준으로 거치하우징(41)을 탄성 가압한다. 완충부재(45)는 거치하우징(41)과 거치대(60) 사이에서 거치로드(44)에 권취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를 통해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 사이에서 접속공간(101)에 전도유닛(20)을 삽입한 다음,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절연바디(11)와 제2절연바디(12)를 일체로 결합한다. 이때, 한 쌍의 푸시홀(103)에는 각각 한 쌍의 탄성푸시유닛(3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푸시유닛(30)에서 제1탄성푸셔(31)와 제2탄성푸셔(32)를 각각 가압하면, 전도유닛(20)에는 전선(50)이 인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두 전선(50)은 각각 전선인입홀(102)을 통과하여 전도유닛(20)에 구비된 전선(50)이 인입되는 공간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1탄성푸셔(31)의 제1슬라이더(312)는 제2푸셔통과부(222)를 통과하여 제1접속가압판(214)을 가압하고, 제2탄성푸셔(32)의 제2슬라이더(322)는 제1푸셔통과부(212)를 통과하여 제2접속가압판(224)을 가압한다. 또한, 두 전선(50)은 각각 한 쌍의 제1슬라이더(312)와 한 쌍의 제2슬라이더(322)를 통과하므로, 전선(50)이 탄성푸시유닛(30)에 간섭되지 않는다. 이러한 전선(50)과 전도유닛(20)의 결합은 절연유닛(10)이 절연거치유닛(4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탄성푸시유닛(30)의 제1탄성푸셔(31)와 제2탄성푸셔(32)에 가해지는 외력을 해제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에 의해 제1탄성푸셔(31)와 제2탄성푸셔(32)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제1전도브라켓(21)의 제1접속가압판(214)과 제2전도브라켓(22)의 제2접속가압판(224)은 각각 전선(50)을 탄성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 중 어느 하나는 제1접속가압판(214)과 제2전도판(221) 사이에 압입되고,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 중 다른 하나는 제2접속가압판(224)과 제1전도판(211) 사이에 압입된다.
그리고 전도유닛(20)이 내장된 절연유닛(10)은 절연거치유닛(40)의 거치홈(411)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절연유닛(10)에서 연장되는 두 전선(50)은 각각 제1통과슬릿(412)과 제2통과슬릿(413)에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절연유닛(10)에서 연장되는 두 전선(50)에는 각각 절연유닛(10) 및 절연거치유닛(40)에서 이격되어 고정블럭(51)이 일체로 구비된다.
그러면, 제1전선고정부재(42)를 제1피벗축(425)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제2전선고정부재(43)를 제2피벗축(435)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두 고정블럭(51)은 각각 제1고정캡(421)의 제1블럭안착홈(422)과 제2고정캡(431)의 제2블럭안착홈(432)에 끼움 결합되고, 고정블럭(51)에서 연장되는 두 전선(50)은 각각 제1지지슬릿(423)과 제2지지슬릿(433)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선 연결대는 상호 인접한 두 전선(50)을 안정되게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선(50)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전선(50)이 전도유닛(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절연거치유닛(40)은 거치부재를 통해 거치대(60)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거치로드(44)를 거치대(60)의 로드통과홀(61)에 삽입하고, 로드통과홀(61)을 통과한 거치로드(44)에 고정너트(46)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절연거치유닛(40)의 거치하우징(41)을 거치대(60)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거치하우징(41)과 거치대(60) 사이에는 완충부재(45)를 설치하여 거치하우징(41)에 완충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 따르면, 절연유닛(10)과 전도유닛(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절연유닛(10)에서 전선(50)의 인입을 간편하게 하며, 전선(5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전도유닛(20)으로부터 전선(5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유닛(10)의 분할 및 결합 구조를 통해 전도유닛(20)을 간편하게 내장할 수 있고, 절연유닛(10)에서 전도유닛(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도유닛(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전도유닛(20)의 대량 생산을 간편하게 하고, 전도유닛(20)에서 탄성푸시유닛(30)의 동작 및 전선(5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푸시유닛(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절연유닛(10)을 통과한 전선(50)이 전도유닛(20)에 안정되게 인입되도록 하고, 절연유닛(10)에서 탄성푸시유닛(30)의 왕복 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거치유닛(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전도유닛(20)이 내장된 절연유닛(10)을 안정되게 감싸 지지하고, 분할된 절연유닛(10)의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도유닛(20)과 전선(50)이 접속되는 경우, 전선(50)을 안정되게 파지 고정하여 전선(50)의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60)와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절연거치유닛(40)에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전도유닛(20)과 전선(50)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유닛(10)의 내부와 탄성푸시유닛(30)을 내화 처리함으로써, 전도유닛(20)과 전선(50)의 접속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화재에 대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절연유닛 11: 제1절연바디 12: 제2절연바디
13: 체결볼트 14: 체결너트 101: 접속공간
102: 전선인입홀 103: 푸시홀 104: 지지후크
105: 체결홀 106: 지지홈부 20: 전도유닛
21: 제1전도브라켓 211: 제1전도판 212: 제1푸셔통과부
213: 제1탄성경사판 214: 제1접속가압판 22: 제2전도브라켓
221: 제2전도판 222: 제2푸셔통과부 223: 제2탄성경사판
224: 제2접속가압판 30: 탄성푸시유닛 31: 제1탄성푸셔
311: 제1돌출파지부재 312: 제1슬라이더 313: 제1통과부
314: 제1후크안내홈 315: 제1후크가이드 316: 제1복귀탄성부
32: 제2탄성푸셔 321: 제2돌출파지부재 322: 제2슬라이더
323: 제2통과부 324: 제2후크안내홈 325: 제2후크가이드
326: 제2복귀탄성부 40: 절연거치유닛 41: 거치하우징
411: 거치홈 412: 제1통과슬릿 413: 제2통과슬릿
414: 푸셔노출홀 42: 제1전선고정부재 421: 제1고정캡
422: 제1블럭안착홈 423: 제1지지슬릿 424: 제1피벗로드
425: 제1피벗축 43: 제2전선고정부재 431: 제2고정캡
432: 제2블럭안착홈 433: 제2지지슬릿 434: 제2피벗로드
435: 제2피벗축 44: 거치로드 45: 완충부재
46: 고정너트 50: 전선 51: 고정블럭
60: 거치대 61: 로드통과홀

Claims (7)

  1. 상호 인접한 두 전선이 접속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이고,
    상기 전선이 지지되는 비전도체 상의 절연유닛;
    상기 절연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절연유닛을 통과한 상기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체 상의 전도유닛;
    상기 절연유닛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선과 상기 전도유닛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전도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전선이 상기 전도유닛으로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푸시유닛; 및
    상기 전도유닛이 내장된 상기 절연유닛이 끼움 결합되는 절연거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유닛에는,
    상기 전도유닛의 내장 공간을 형성하는 접속공간;
    상기 접속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전선의 끼움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접속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점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전선인입홀; 및
    상기 접속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탄성푸시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접속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점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푸시홀;이 포함되고,
    상기 탄성푸시유닛은,
    상기 절연유닛에서 돌출되고, 상기 푸시홀에 삽탈 가능한 돌출파지부재;
    상호 이격되어 상기 돌출파지부재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푸시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상기 푸시홀의 내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후크; 및
    상기 지지후크가 삽입되도록 상기 푸시홀의 내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후크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후크안내홈;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파지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푸시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전도유닛을 가압하고,
    상기 돌출파지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전도유닛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2. 상호 인접한 두 전선이 접속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이고,
    상기 전선이 지지되는 비전도체 상의 절연유닛;
    상기 절연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절연유닛을 통과한 상기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체 상의 전도유닛;
    상기 절연유닛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선과 상기 전도유닛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전도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전선이 상기 전도유닛으로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탄성푸시유닛; 및
    상기 전도유닛이 내장된 상기 절연유닛이 끼움 결합되는 절연거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유닛에는,
    상기 전도유닛의 내장 공간을 형성하는 접속공간;
    상기 접속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전선의 끼움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접속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점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전선인입홀; 및
    상기 접속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탄성푸시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접속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점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푸시홀;이 포함되고,
    상기 절연거치유닛은,
    상기 전도유닛이 내장된 상기 절연유닛이 끼움 결합되는 거치하우징;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상기 절연유닛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에 구비된 고정블럭과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거치하우징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전선고정부재; 및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상기 절연유닛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에 구비된 고정블럭과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제1전선고정부재에서 이격되어 상기 거치하우징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선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유닛은,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하는 제1전도브라켓; 및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다른 하나를 탄성 가압하되, 상기 접속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도브라켓과 원점 대칭을 이루는 제2전도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도브라켓은,
    상기 접속공간의 내벽에 지지되고, 한 쌍의 푸시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제1전도판;
    상기 제1전도판에 구비되고, 한 쌍의 탄성푸시유닛 중 상기 제2전도브라켓을 가압하기 위한 탄성푸시유닛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1전도판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푸시홀의 일부와 연통되는 제1푸셔통과부;
    탄성을 가지고 상기 제1전도판의 단부에서 상기 전선의 인입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제1탄성경사판; 및
    상기 제2전도브라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탄성경사판에서 절곡 형성되고,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속가압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전도브라켓은,
    상기 제1전도판에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접속공간의 내벽에 지지되고, 한 쌍의 푸시홀 중 다른 하나를 폐쇄하는 제2전도판;
    상기 제2전도판에 구비되고, 한 쌍의 탄성푸시유닛 중 상기 제1전도브라켓을 가압하기 위한 탄성푸시유닛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2전도판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푸시홀의 일부와 연통되는 제2푸셔통과부;
    탄성을 가지고 상기 제2전도판의 단부에서 상기 전선의 인입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제2탄성경사판; 및
    상기 제1전도브라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탄성경사판에서 절곡 형성되고,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다른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푸시유닛은,
    상기 절연유닛에서 돌출되고, 상기 푸시홀에 삽탈 가능한 돌출파지부재;
    상호 이격되어 상기 돌출파지부재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푸시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상기 푸시홀의 내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후크; 및
    상기 지지후크가 삽입되도록 상기 푸시홀의 내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후크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후크안내홈;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파지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푸시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전도유닛을 가압하고,
    상기 돌출파지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전도유닛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선고정부재는,
    상호 인접한 두 전선 중 상기 절연유닛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선에 구비된 고정블럭이 삽입되는 제1고정캡;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고정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피벗로드; 및
    상기 거치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피벗로드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제1피벗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유닛에서 상기 접속공간의 내면과, 상기 전선인입홀의 내면과, 상기 푸시홀의 내면에는 내화재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0190023356A 2019-02-27 2019-02-27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003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356A KR102003965B1 (ko) 2019-02-27 2019-02-27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356A KR102003965B1 (ko) 2019-02-27 2019-02-27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965B1 true KR102003965B1 (ko) 2019-07-25

Family

ID=6746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356A KR102003965B1 (ko) 2019-02-27 2019-02-27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9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82B1 (ko) * 2019-09-26 2020-04-07 주식회사 훈민종합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199979B1 (ko) * 2020-06-30 2021-01-08 (주)건창기술단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KR102201373B1 (ko) * 2020-06-30 2021-01-11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KR102550231B1 (ko) * 2023-03-03 2023-06-30 (주)세명엔지니어링 배전선로 분기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442Y1 (ko) * 2002-11-30 2003-02-05 정순일 피씨비용 배선 컨넥터 단자대
KR20030027634A (ko) * 2001-09-29 2003-04-07 성신웅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KR101891740B1 (ko) 2017-02-27 2018-08-24 주식회사 미금이엔지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634A (ko) * 2001-09-29 2003-04-07 성신웅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KR200302442Y1 (ko) * 2002-11-30 2003-02-05 정순일 피씨비용 배선 컨넥터 단자대
KR101891740B1 (ko) 2017-02-27 2018-08-24 주식회사 미금이엔지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82B1 (ko) * 2019-09-26 2020-04-07 주식회사 훈민종합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199979B1 (ko) * 2020-06-30 2021-01-08 (주)건창기술단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KR102201373B1 (ko) * 2020-06-30 2021-01-11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KR102550231B1 (ko) * 2023-03-03 2023-06-30 (주)세명엔지니어링 배전선로 분기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965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JP3688338B2 (ja) 電気的な接続兼結合端子
JP4592958B2 (ja) 電気スイッチシステム
EP0696085A2 (en) Plug-in cable connector
US3391374A (en) Electric receptacle
CN212517619U (zh) 轨道连接器、轨道接电线及轨道灯
JP2017220456A (ja) 導体路用ばね負荷端子
US20210151908A1 (en) Plug-type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CN112242634B (zh) 用于导电型材的连接器以及导电装置
CN104969419A (zh) 电插入连接器
CN111937246B (zh) 用于将电线的屏蔽导体连接接地区段的连接装置
CN107925183A (zh) 插拔连接器
CN104617436A (zh) 容座形壳体、连接器、以及具有线缆支撑件的连接器布置
JP2014229611A (ja) 配電ストリップ
KR101996484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CN106887726A (zh) 夹持装置、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102125992B1 (ko)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KR100859597B1 (ko) 매설형 지중전선과 지상배전함의 통전공어뎁터
US8172624B2 (en) Wiring device assembly with contact stabilizing structure
KR102107776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
GB2288287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773831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KR101803796B1 (ko)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CN113422250A (zh) 插座
CN205752993U (zh) 一种电气配件的安装结构以及应用该安装结构的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