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979B1 -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 Google Patents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979B1
KR102199979B1 KR1020200080546A KR20200080546A KR102199979B1 KR 102199979 B1 KR102199979 B1 KR 102199979B1 KR 1020200080546 A KR1020200080546 A KR 1020200080546A KR 20200080546 A KR20200080546 A KR 20200080546A KR 102199979 B1 KR102199979 B1 KR 102199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ver
lower cover
connection block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주)건창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창기술단 filed Critical (주)건창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80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케이블의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 또는 타측에 복수 개의 수납홈부가 구비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이 안착되는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를 덮고,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상기 하부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블록에 우수 또는 이물질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커버; 상기 연결블록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가압고정부; 상기 상부커버가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으로 가압되면서 결합될 때에 상기 상부커버의 가압력을 상기 가압고정부의 체결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변환구동부; 상기 변환구동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가압고정부를 원상태로 복원시켜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복원부; 및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결합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Cover for water leakage prevention at connection of building communication cable}
본 발명은 건축용 통신케이블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서로 연결할 수 있고, 케이블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가 케이블 연결부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하부커버 및 상부커버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를 결합시킬 수 있고, 하부커버 측으로 가압되는 상부커버의 가압력을 가압고정부의 고정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할 수 있는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배선과, 각종 전기 장치, 조명장치, 배선반 등을 연결하는 제어용 배선 등이 있다.
특히 이들 전기 케이블은 벽면 내부나 전력선 통로에 설치된 후 그의 끝단 접속 부위들이 스위치 접속부위 내지 전기 기구접속부위 또는 전원 콘센트, 분전함, 전선 접속함 등에서 외부로 표출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작업자가 전기 기구와 전기 케이블 및 전기 케이블과 전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전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전기 케이블의 피복을 벗기고, 이에 따라 외부로 표출된 전기 케이블의 와이어코어 또는 와이어다발을 서로 트위스트시키고, 연결 부위에 절연 테이프를 감아 사용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 케이블은 연결 부위를 절연 테이프로 감아 사용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접착력이 떨어져 내부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어 쇼트되어 화재, 정전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등록실용 제20-0328980호)은 케이블의 접속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양측단부의 측단부벽에 파인 개방부가 마련되고 양측단부벽 사이를 연결하며 우묵한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가 마련된 제1 케이스부재와, 제1 케이스부재와 결합하며 양축단부에 파인 개방부가 마련되고 양측단부벽 사이를 연결하며 우묵한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가 마련된 제2 케이스부재와, 제1 케이스부재의 개방부를 향한 측단부벽 테두리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밀봉부 및 제2 밀봉부와, 제1밀봉부와 제2 밀봉부를 연결하며 케이스들이 마주보는 벽체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제3 밀봉부 및 제4 밀봉부를 갖는 제1 밀봉부재와, 제2 케이스부재의 개방부를 향한 측단부벽 테두리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밀봉부 및 제2 밀봉부와, 제1밀봉부와 제2밀봉부를 연결하며 케이스들이 마주보는 벽체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제3 밀봉부 및 제4 밀봉부를 갖는 제2밀봉부재를 포함하며, 제1 케이스부재와 제2 케이스부재는 결합하여 케이블의 접속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밀봉부재와 상기 제2 밀봉부재는 상기 내부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밀봉커버로 구성된다.
특허문헌(등록실용 제20-0427340호)은 케이블의 도체선 접속부를 수납한 상태에서 서로 덮도록 본선 케이블 인입부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가 형성된 한 쌍의 제1, 제2 분할커버와, 이 한 쌍의 제1, 제2의 분할커버에 성형되는 레진주입구와, 이들 분할커버의 상호간을 결속하는 로크수단으로 구성된 케이블의 Y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에서, 제1, 제2의 분할커버는 연질수지로 성형되고 각각은 그 연부에 자웅의 위치결정 돌기 및 구멍이 대응 형성된 맞댐부를 성형하되, 이 맞댐부는 길이방향으로 대향 외측에 단턱을 형성하여 이 단턱를 따라 슬라이드 끼움되는 단턱을 내향 돌출한 각각의 탄성가압편으로 결속 구성되고, 동시에 일측의 본선 케이블 인입부와 분기선 케이블 인입부 사이의 형성된 예각의 맞댐부에는 탄성클립편으로 결속하여 구성되는 케이블의 Y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이다.
특허문헌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은 어느 정도의 누수 효과는 있지만 접속부에 물이 침투하는 경우 물이 전기 케이블의 도선에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쇼트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누수방지용 커버는, 제1덮개와, 제1덮개에 결합되는 제2덮개와,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2덮개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는 블록 홀더와, 블록 홀더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1,2케이블의 제1,2도선이 각각 안착되는 접속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2422호(2016년 04월 14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전기 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누수방지용 커버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케이블 연결부위까지 인접하게 이동한 후에 양손을 사용하여 체결부재를 조이는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어렵고, 체결부재를 조이는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서로 연결할 수 있고, 케이블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가 케이블 연결부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하부커버 및 상부커버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를 결합시킬 수 있고, 하부커버 측으로 가압되는 상부커버의 가압력을 가압고정부의 고정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할 수 있는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케이블의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 또는 타측에 복수 개의 수납홈부가 구비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이 안착되는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를 덮고,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상기 하부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블록에 우수 또는 이물질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커버; 상기 연결블록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가압고정부; 상기 상부커버가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으로 가압되면서 결합될 때에 상기 상부커버의 가압력을 상기 가압고정부의 체결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변환구동부; 상기 변환구동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가압고정부를 원상태로 복원시켜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복원부; 및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결합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블록은, 일단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납홈부에 설치되고,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케이스; 타단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납홈부에 설치되고,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2연결케이스; 상기 제1연결케이스와 상기 제2연결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케이스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절연부; 및 상기 제2연결케이스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고정부는, 상기 제1연결케이스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홀부에 설치되는 제1가압롤러; 상기 제2연결케이스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홀부에 설치되는 제2가압롤러; 상기 제1가압롤러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가압롤러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제2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변환구동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연결블록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부재; 상기 랙부재와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연결블록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부재; 및 상기 피니언부재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가압롤러 및 상기 제2가압롤러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는, 연결블록에 삽입되는 한 쌍의 케이블이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하부커버 및 상부커버를 연결블록에 결합함으로써, 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므로 체결부재를 조이는 작업이 생략되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상부커버를 하부커버 측으로 가압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결합시킬 수 있어 케이블 연결부위에 커버를 설치하는 작업이 간단해져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의 연결블록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의 복원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의 착탈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의 착탈부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의 연결블록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의 복원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의 착탈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의 착탈부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검속부 누수방지용 커버는, 복수 개의 케이블의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 또는 타측에 복수 개의 수납홈부가 구비되는 연결블록(30)과, 연결블록(30)이 안착되는 하부커버(10)와, 하부커버(1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연결블록(30)의 상부를 덮고,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하부커버(10)와 결합되어 연결블록(30)에 우수 또는 이물질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커버(12)와, 연결블록(30)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가압고정부(50)와, 상부커버(12)가 하부커버(10)의 상면으로 가압되면서 결합될 때에 상부커버(12)의 가압력을 가압고정부(50)의 체결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변환구동부(70)와, 변환구동부(70)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가압고정부(50)를 원상태로 복원시켜 상부커버(12)와 하부커버(10)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복원부(80)와, 상부커버(12)와 하부커버(10)의 결합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착탈부(90)를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블을 연결할 때에는 연결블록(3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케이스(32) 내부로 케이블을 삽입하고, 연결블록(3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연결케이스(34)에 케이블을 삽입한 후에 연결블록(30)을 하부커버(10)에 안착시키고, 하부커버(10)와 상부커버(12)가 결합되도록 상부커버(12)를 하부커버(10) 측으로 하강시키며 가압하면 변환구동부(70)의 작동에 의해 가압고정부(50)가 조작되어 각각의 케이블을 제1연결케이스(32) 및 제2연결케이스(34) 내벽에 밀착시키면서 고정시키게 되고, 착탈부(90)의 작동에 의해 상부커버(12)와 하부커버(10)가 결합되어 케이블의 연결부위에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블록(30)은, 일단 측면에 형성되는 수납홈부에 설치되고,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케이스(32)와, 타단 측면에 형성되는 수납홈부에 설치되고,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2연결케이스(34)와, 제1연결케이스(32)와 제2연결케이스(34)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제1연결케이스(32)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절연부(36)와, 제2연결케이스(34)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절연부(38)를 포함한다.
제1연결케이스(32)와 제2연결케이스(34)는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금속재질의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연결케이스(32)의 단부와 제2연결케이스(34)의 단부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사이에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가 설치되므로 제1연결케이스(32)에 밀착되는 케이블과 제2연결케이스(34)에 밀착되는 케이블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연결케이스(32) 및 제2연결케이스(34)는 상부에 홀부가 형성되고, 이 홀부를 통해 제1가압롤러(52) 및 제2가압롤러(54)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제1연결케이스(32) 및 제2연결케이스(34)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제1연결케이스(32) 및 제2연결케이스(34) 내벽에 밀착시키도록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압고정부(50)는, 제1연결케이스(32)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홀부에 설치되는 제1가압롤러(52)와, 제2연결케이스(34)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홀부에 설치되는 제2가압롤러(54)와, 제1가압롤러(52)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제1절개부(56)와, 제2가압롤러(54)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제2절개부(58)를 포함한다.
따라서 변환구동부(70)의 작동에 의해 제1가압롤러(52) 및 제2가압롤러(54)가 회전되면 제1절개부(56) 및 제2절개부(58)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었던 케이블과 제1가압롤러(52) 및 제2가압롤러(54)가 서로 간섭되면서 케이블을 제1연결케이스(32) 및 제2연결케이스(34) 내벽 측으로 가압하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변환구동부(70)는, 상부커버(12)의 가압력에 의해 연결블록(30)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부재(72)와, 랙부재(72)와 기어연결되도록 연결블록(3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부재(74)와, 피니언부재(74)의 회전운동을 제1가압롤러(52) 및 제2가압롤러(54)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6)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커버(12)가 하부커버(10) 측으로 가압되면 상부커버(12)의 내벽에 의해 랙부재(72)가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연결블록(30)의 내부로 삽입되고, 랙부재(72)의 하강운동이 피니언부재(74)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 후에 제1기어(77), 제2기어(78) 및 제3기어(79)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76)의 작동에 따라 제1가압롤러(52) 및 제2가압롤러(54)에 전달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케이블의 구속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복원부(80)는, 상부커버(12)가 하부커버(10)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되면 랙부재(72)를 상측 방향으로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랙부재(72)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연결블록(30)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원돌기(82)와, 복원돌기(82)와 연결블록(30)의 작동공간부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8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커버(12)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제1탄성부재(84)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돌기(82)가 상승되므로 복원돌기(82)와 일체로 형성되는 랙부재(72)가 상승되어 연결블록(3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착탈부(90)는, 상부커버(12)의 양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후크부재(92)와, 후크부재(92)가 삽입되도록 하부커버(10) 양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부와, 걸림홈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크부재(92)와 걸림결합되는 걸림후크(93)와, 걸림후크(93)를 걸림홈부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94)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걸림후크(93)를 후퇴시키면서 후크부재(92)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부커버(12)를 하부커버(10) 측으로 하강시키면서 가압하면 후크부재(92)가 걸림홈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후크(93)와 걸림결합되어 상부커버(12)와 하부커버(10)의 결합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의 해제부는, 걸림후크(93)의 배면으로부터 하부커버(10)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해제와이어(96)와, 복수 개의 해제와이어(96)를 일방향으로 모아서 연장되도록 하부케이스 중앙부에 형성되고, 복구 개의 해제와이어(96)가 동시에 통과되는 결합홀부(99)와, 복수 개의 해제와이어(96)가 동시에 연결되는 레버부재(98)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복수 개의 해제와이어(96)를 레버부재(98)에 연결된 상태로 당기게 되면 복수 개의 걸림후크(93)가 동시에 후퇴되면서 걸림결합되었던 복수 개의 후크부재(92)를 동시에 해제시키게 된다.
이로써,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서로 연결할 수 있고, 케이블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가 케이블 연결부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하부커버 및 상부커버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를 결합시킬 수 있고, 하부커버 측으로 가압되는 상부커버의 가압력을 가압고정부의 고정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할 수 있는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검속부 누수방지용 커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검속부 누수방지용 커버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커버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부커버 12 : 상부커버
30 : 연결블록 32 : 제1연결케이스
34 : 제2연결케이스 50 : 가압고정부
52 : 제1가압롤러 54 : 제2가압롤러
70 : 변환구동부 72 : 랙부재
74 : 피니언부재 76 : 동력전달부
80 : 복원부 82 : 복원돌기
84 : 제1탄성부재 90 : 착탈부

Claims (4)

  1. 복수 개의 케이블의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 또는 타측에 복수 개의 수납홈부가 구비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이 안착되는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를 덮고,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상기 하부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블록에 우수 또는 이물질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커버;
    상기 연결블록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가압고정부;
    상기 상부커버가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으로 가압되면서 결합될 때에 상기 상부커버의 가압력을 상기 가압고정부의 체결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변환구동부;
    상기 변환구동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가압고정부를 원상태로 복원시켜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복원부; 및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결합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은,
    일단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납홈부에 설치되고,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케이스;
    타단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납홈부에 설치되고,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2연결케이스;
    상기 제1연결케이스와 상기 제2연결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케이스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절연부; 및
    상기 제2연결케이스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고정부는,
    상기 제1연결케이스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홀부에 설치되는 제1가압롤러;
    상기 제2연결케이스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홀부에 설치되는 제2가압롤러;
    상기 제1가압롤러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가압롤러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제2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구동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연결블록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부재;
    상기 랙부재와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연결블록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부재; 및
    상기 피니언부재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가압롤러 및 상기 제2가압롤러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80546A 2020-06-30 2020-06-30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KR102199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546A KR102199979B1 (ko) 2020-06-30 2020-06-30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546A KR102199979B1 (ko) 2020-06-30 2020-06-30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979B1 true KR102199979B1 (ko) 2021-01-08

Family

ID=7412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546A KR102199979B1 (ko) 2020-06-30 2020-06-30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178B1 (ko) * 2022-01-28 2023-03-07 주식회사 광림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972A (ko) * 2009-09-17 2011-03-23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KR101185178B1 (ko) * 2012-06-12 2012-09-24 율삼엔지니어링(주)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
KR101609860B1 (ko) * 2015-07-31 2016-04-07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구
KR101612422B1 (ko) * 2015-11-19 2016-04-14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전기 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KR102003965B1 (ko) * 2019-02-27 2019-07-25 고전주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075146B1 (ko) * 2019-04-18 2020-02-07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단자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972A (ko) * 2009-09-17 2011-03-23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KR101185178B1 (ko) * 2012-06-12 2012-09-24 율삼엔지니어링(주)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
KR101609860B1 (ko) * 2015-07-31 2016-04-07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구
KR101612422B1 (ko) * 2015-11-19 2016-04-14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전기 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KR102003965B1 (ko) * 2019-02-27 2019-07-25 고전주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075146B1 (ko) * 2019-04-18 2020-02-07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단자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178B1 (ko) * 2022-01-28 2023-03-07 주식회사 광림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373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US7170020B2 (en) Circuit breaker and terminal cover
KR102199979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WO2010047345A1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装置
KR101609860B1 (ko)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구
US4847447A (en) Protective device for a cable end
KR20200012958A (ko) 감소된 직경의 다중 도전체 케이블 및 이를 위한 접촉 장치
CA2761823A1 (en) Lead wire sheath
EP1710867B1 (en) Watertight connector for cables
KR200422905Y1 (ko) 방우형 듀얼 멀티 아웃렛
KR102448205B1 (ko)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
KR100828572B1 (ko) 케이블 컨넥터 커버
KR102338920B1 (ko) 배전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KR200440509Y1 (ko) 전기 계량기함
GB2272586A (en) Electrical cable core connector
US9231336B2 (en) Device for fixing a cable to a cable outlet connector
KR20200039179A (ko) 케이블 혼촉 방지캡
KR102288210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보호용 절연장치
KR200441978Y1 (ko)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EP2863485B1 (en) Jacket sleeve with grippable tabs for a cable connector
KR101870966B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CN210156728U (zh) 一种带负荷刀闸的快速供电取电连接装置
KR102139780B1 (ko) 노출형 스크류타입 콘센트
JPH0670442A (ja) 電力ケーブル接続装置
KR101820152B1 (ko) 전선 방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